[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6305B1 -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305B1
KR100906305B1 KR1020080116005A KR20080116005A KR100906305B1 KR 100906305 B1 KR100906305 B1 KR 100906305B1 KR 1020080116005 A KR1020080116005 A KR 1020080116005A KR 20080116005 A KR20080116005 A KR 20080116005A KR 100906305 B1 KR100906305 B1 KR 100906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voltage
surge
gdt
electronic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일
Original Assignee
이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일 filed Critical 이준일
Priority to KR102008011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09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in numerical for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입력라인상에 연결되어 서지전압을 1차로 방전시키는 제1 GDT와; 상기 입력라인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피뢰기와; 입력라인 또는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서지전압제거기와; 상기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역서지제거 GDT와; 상기 제1 GDT의 일측단자가 연결된 접지단과 상기 피뢰기의 공통연결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노이즈 및 과전압(서지전압)을 차단시키는 제2 GDT와; 상기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전송신호속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시키는 노이즈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자장비의 인입단에 연결된 외부유입용 서지전압방지회로의 후단에 서지전압방지회로부를 구비하여 전자장비로부터 역방향으로 돌발적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제거하고 입력과 출력을 바꾸어 연결할 시에도 완벽하게 서지를 차단하므로써, 서지전압으로부터 전자장비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서지 역전압에 대한 고가의 서지전압보호장치도 효율적으로 보호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Figure R1020080116005
서지전압, 역방향, 전송특성, 전송장비, 노이즈, 브리지

Description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the surge voltage for a bidirectional suppression}
본 발명은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장비의 인입단에 연결된 외부유입용 서지전압방지회로의 후단에 서지전압방지회로부를 구비하여 전자장비로부터 역방향으로 돌발적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 및 입력과 출력을 바꾸어 연결할 시에도 서지를 제거하는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지전압에는 통상 개폐서지, 사고서지, 뇌서지 등으로 구분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서지전압중 개폐서지는 송전선로상에서 설치된 고전압장치의 차단기를 개폐조작시 발생하는 서지이며, 사고서지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선로에 지락되는 경우 발생되는 과전압에 의한 서지를 말하는 것이고, 뇌서지전압(낙뇌 혹은 번개)은 대기중 상층부에 존재하는 뇌우에 충전된 뇌전압이 지상으로 방전될 때 이러한 뇌전압인 서지전압이 통신이나 전기기기로 유입되어 해당 기기를 파손시키는 이를 뇌서지라 말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서지전압(surge voltage)으로부터 해당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위해 전자나 혹은 통신시스템들은 통상 서지전압 방지장치들을 그 해당 기기의 인입단이나 전송라인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지전압 방지장치들은 주로 각종 신호, 통신, 데이터, 영상전송라인상이나 혹은 전화기, 팩스, 모뎀 등 통신용 전기기기의 통신선의 접속부분, 또는 CRT 구동회로 등, 뇌서지나 정전기 등의 서지전압에 의한 전기충격을 받기 쉬운 부분에 설치되어 서지전압 유입시 기체방전 및 방류에 의하여 서지에너지를 소모시킴으로써 이상전압에 의해 통신이나 전자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서지전압방지장치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입력라인(70) 예컨대, 각종 신호, 통신, 데이터, 및 영상전송라인의 인입단(IN A, IN B)상에 병렬로 설치되어 이 라인의 인입단(IN A, IN B)측으로 유입되는 서지
전압을 1차로 방전시키는 제1 GDT(가스방전관;71)와;
상기 입력라인(70)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라인(70)를 따라 유입되는 정상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서지전압만을 블록킹시키는 저항기(72A,72B)와;
상기 입력라인(70)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73)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2차로 입력라인(7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피뢰기(74A,74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서지전압방지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낙뢰나 기타 고전압이나 과전압이 입력라인(70)으로 유입되지 않는 정상상태일 경우 외부로부터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 예컨대, 영상신호나 통신신호 혹은 데이터신 호가 입력라인(70)을 경유하여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73)으로 전송되므로 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73)이 정상동작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라인(70)상에 연결된 제1 GDT(71)나 피뢰기(74A,74B)들은 동작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만약, 상기 입력라인(70) 주변에 낙뢰나 고전압이 발생되어 이 입력라인(70)를 따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73)측으로 유입되려 할 경우 먼저, 상기 서지전압은 저항기(72A,72B)들에 의해서 블록킹되어 제1 GDT(71)측으로 흐르게된다. 이때, 상기 제1 GDT(71)는 입력라인(70)의 인입단(IN A, IN B)측으로 유입되는 임계전압이상의 서지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해당 서지전압을 1차로 입력단 및 접지단(GND)을 통해 방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서지전압이 여러이유 예컨대, 1차 방전된 서지 잔류전압에 의해서 저항기(71A,71B)를 통과할 경우 이 서지전압은 입력라인(70)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73)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뢰기(74A,74B)에 의해서 2차로 접지단(GND)를 통해 방 출시키므로써, 서지전압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7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73)의 파손을 보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서지전압 방지장치는 서지전압 방지장치의 인입단쪽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 예컨대, 낙뢰나 과전압만을 차단할 뿐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쪽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에 대해서 이렇다 할 보호요소가 없기 때문에 서지전압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쪽으로 유입될 경우 서지전압 방지장치는 물론 고가의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도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였고,
또한, 서지전압 방지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통상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터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지전압이 유입되지 않을 경우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전송신호에 노이즈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선로의 전송효율도 상당히 저감시켰으며,
더 나아가, 서지전압 방지장치에 전송상태 알림수단이 구비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평상시에 라인을 통해 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지를 관리자가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서지전압 방지장치의 편의성도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서지전압방지회로의 인입부쪽뿐만아니라 전자장비와 연결된 후단쪽으로도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다단계로 제거하므로 그에 따라 서지전압으로부터 전자장비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지전압방지회로의 중단부에 브리지회로를 구비하여 라인을 따라 흐르는 통신신호속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제거하므로 그에 따라 서지전압장치를 경유하는 신호들의 전송특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입력라인의 인입단상에 병렬로 설치되어 이 입력라인의 인입단(IN A, IN B)측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1차로 방전시키는 제1 GDT와;
상기 입력라인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라인를 따라 유입되는 정상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서지전압만을 블록킹시키는 저항기와;
상기 입력라인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2차로 입력라인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피 뢰기와;
상기 입력라인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각기 연결되어 입력라인 또는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서지전압제거기와;
상기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과 연결된 출력라인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역서지제거 GDT와;
상기 제1 GDT의 일측단자가 연결된 접지단과 상기 피뢰기의 공통연결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라인을 통해 유입된 과전압(서지전압) 및 노이즈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제2 GDT소자와;
상기 서지전압제거기와 역서지제거 GDT사이에 라인에 연결되어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을 통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전송신호속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시키는 노이즈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자장비의 인입단에 연결된 외부유입용 서지전압방지회로의 후단에 서지전압방지회로부를 구비하여 전자장비로부터 역방향으로 돌발적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다단계로 제거하므로 그에 따라 서지전압으로부터 전자장비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서지역전압에 대한 고가의 서지전압장치 도 효율적으로 보호하게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지전압방지회로의 중단부에 브리지회로를 구비하여 라인을 따라 흐르는 통신신호속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제거하므로 그에 따라 서지전압장치를 경유하는 신호들의 전송특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더나아가, 본 발명은 서지전압회로부의 일측에 라인의 신호전송을 상태를 표시하는 전송상태표시부와 서지전압을 수치로 표시할 수 있는 서지전압표시부를 연결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서지전압장치의 동작상태를 명확히 파악함과 더불어 순간적으로 유입된 서지전압에 대한 수치정보도 얻을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서지전압방지장치의 기능성도 상당히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라인(1) 예컨대, 모뎀이나 PLC등의 각종 신호, 통신, 데이터 및 영상전송라인의 인입단(IN A, IN B)상에 병렬로 설치되어 이 입력라인(1)의 인입단(IN A, IN B)측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1차로 방전시키는 제1 GDT(2)와;
상기 입력라인(1)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라인(1)를 따라 유입되는 정상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서지전압만을 블록킹시키는 저항기(3A-F)와;
상기 입력라인(1)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2차로 입력라인(1)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
출시키는 피뢰기(5A-C)와;
상기 입력라인(1)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각기
연결되어 입력라인(1) 또는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서지전압제거기(6A-C)와;
상기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과 연결된 출력라인(7)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역서지제거 GDT(8)와;
상기 제1 GDT(2)의 일측단자가 연결된 접지단(GND)과 상기 피뢰기(5A, 5B)의 공통연결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입력라인(1)으로 통해 유입되는 과전압(서지전압) 및 노이즈를 차단하는 제2 GDT(13)와;
상기 서지전압제거기(6C)와 역서지제거 GDT(8)사이에 라인에 연결되어 입력라인(1)과 출력라인(7)을 통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으로 전송되는 전송신호속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시키는 노이즈제거부(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제거부(9)에는 전송특성을 향상시키기위해 노이즈제거필터가 사용되거나 또는 브리지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서지제거 GDT(8)의 후단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 사이의 라인에는 서지전압 방지장치(10)의 전송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전송상태 표시부(11)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송상태 표시부(11)에는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GDT(2)와 역서지제거 GDT(8)는 3극의 피뢰관으로써, 표준 뇌임펄스전 압(1.2/50μs)을 기준으로 최소 800 V, 50/60hz의 상용주파 교류전압이 제어회로에서 혼촉되거나 인근 지락사고시 최소 130 V에서 방전을 시작하는 보호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서지제거 GDT(8)의 후단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 사이의 라인에는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디지털 수치정보로 변환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수치표시부(1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수치표시부(12)에는 접지단에 연결된 제1 GDT(2)의 일측단자와 역서지제거 GDT(8)의 일측단자에 각기 설치되고 이 제1 GDT(2)와 역서지제거 GDT(8)가 동작될 경우 그 서지전압을 검출(빛, 전류, 전계, 전압 포함 검출)하는 검출센서(14A,14B)와;
상기 검출센서(14A,14B)에 의해 검출된 서지전압을 디지털 수치정보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제어변환부(15)와;
상기 수치표시부(12)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전원부(16)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발명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장치는 먼저 서지전압 예컨대, 낙뢰나 기타 고전압이나 과전압이 입력라인(1)을 통해 유입되지 않는 정상상태일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라인(1)을 통해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 예컨대, 영상신호나 통신신호 혹은 데이터신호가 예컨대, 통신용 모뎀이나 PLC와 같은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으로 전송되므로 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이 해당 입력신호를 정해진 방식대로 처리하게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서지전압이 순방향으로든 혹은 역방향으로든 유입되지 않는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입력라인(1)이나 출력라인(7)상에 연결된 제1 GDT(2), 피뢰기(5A-C), 서지전압제거기(6A-C), 역서지제거 GDT(8) 및 제2 GDT(13)들은 동작을 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정상상태일 경우 상기 입력신호가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으로 전송되기전에 노이즈제거부(9)를 경유하게되는데, 상기 노이즈제거부(9)는 예컨대, 노이즈제거필터 혹은 브리지회로는 전송특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입력신호중에 포함된 노이즈성분들을 필터링한다음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으로 전송시킨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서지전압이 없이 입력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 전송될 경우 상기 역서지제거 GDT(8)의 후단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 사이의 라인에 연결된 전송상태 표시부(11)가 현재 정상적인 신호전송을 알리는 적색 또는 녹색램프를 점등하여 서지전압 방지장치(10)의 정상전송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게된다. 물론, 상기 전송상태 표시부(11)는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경우 빛을 발광하지않거나 점멸되지 않고 점등되어있게된다.
그런데, 만약, 상기와 같은 정상동작중에 입력라인(1) 주변에 예기치않은 서지전압 예컨대, 낙뢰나 고전압이 발생되어 이 입력라인(1)을 따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측으로 유입되려 할 경우 먼저, 상기 서지전압은 저항기(3A,3B)들에 의해서 블록킹되어 제1 GDT(2)측으로 흐르게된다.
이때, 상기 제1 GDT(2)는 표준 뇌임펄스전압(1.2/50μs)을 기준으로 최소 800 V, 50/60hz의 상용주파 교류전압이 제어회로에서 혼촉되거나 인근 지락사고시 최소 130 V에서 방전을 시작하는 소자이기 때문에 입력라인(1)의 인입단(IN A, IN B)측으로 유입되는 기준전압이상의 서지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해당 서지전압을 1차로 접지단(GND)을 통해 방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서지전압이 여러이유 예컨대, 1차 방전된 서지 잔류전압에 의해서 저항기(3A,3B)를 통과할 경우 이 서지전압은 저항기(3C,3D)에 의해 블록킹된후 입력라인(1)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뢰기(5A-5C)로 흐르게되는데, 이 서지전압이 피뢰기(5A-5C)와 제2 GDT(13)의 최소절연파괴전압 예컨대, 100 V 혹은 기준전압이상이므로 이 피뢰기(5A-5C)와 제2 GDT(13)에 의해서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된다.
이때, 상기 피뢰기(5A-5C)의 후단측에 연결된 저항기(3C,3D)들은 입력라인(1)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과전류가 선로의 후단으로 넘어가는 것을 블록킹시켜 피뢰기의 동작을 극대화 시킴과 더불어 서지전압제거기(6A-C)의 제너다이오드와 노이즈제거부(9)의 브리지 다이오드들이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시키게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과정을 통해서도 제거되지 않은 서지전압이 있을 경우 그 잔류하는 서지전압은 서지전압제거기(6A-C) 예컨대, 제너다이오드의 어벨런치 항복전압이상일 것이므로 그 서지전압은 서지전압제거기(6A-C)와 제2 GDT(13)를 통해 접지단(GND)으로 모두 방출하게 하므로 서지전압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파손을 보호한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돌발적인 서지전압이 서지전압 방지장치(10)의 입력쪽이 아닌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4)의 역방향으로 유입될 경우 상기 서지전압은 저항기(3E,3F)에 의해 볼록킹되어 역서지제거 GDT(8)로 유입되게되는데, 이때, 상기 역서지제거 GDT(8)는 표준 뇌임펄스전압(1.2/50μs)을 기준으로 최소 800 V, 50/60hz의 상용주파 교류전압이 제어회로에서 혼촉되거나 인근 지락사고시 최소 130 V에서 방전을 시작하는 소자이기 때문에 상기 서지전압에 의해 역서지제거 제1 GDT(8)가 동작되어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전시킨다.
이때, 상기 노이즈제거부(9)의 후단에 연결된 저항기(3E,3F)는 선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라인(7)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과전류를 억제하게되고 아울러, 서지전압제거기(6A-C)의 제너다이오드와 노이즈제거부(9)의 브리지 다이오드들이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시키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지전압 보호회로(10)의 입력단으로 혹은 역방향의 출력단으로 서지전압이 입력될 경우 수치표시부(12)의 제어변환부(15)는 검출센서(14A,14B)를 통해 제1 GDT(2)와 역서지제거 GDT(8)의 주변으로부터 서지전압을 검출한 다음 이를 디지털 수치정보로 변환한 다음 예컨대, 1,2,3 과같이 서지유입 회수를 디지털수치정보로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저항기(3A-F)를 인덕터로 대체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동작을 하게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장비로부터 역방향으로 돌발적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다단계로 제거하여 서지전압으로부터 전자장비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라인을 따라 흐르는 통신신호속에 포함된 노이즈성분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때문에 서지전압의 유입이 우려되는 모든 전자 및 통신시스템에 연결한다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서지전압 방지회로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서지전압 방지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입력라인 2 : 제1 GDT
3A-F: 저항기 4 :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
5A-C: 피뢰기 6A-C: 서지전압제거기
7 : 출력라인 8 : 역서지제거 제1 GDT
9 : 노이즈제거부 10: 서지전압 방지장치
11: 전송상태 표시부 12: 수치표시부
13: 제2 GDT 14A,14B: 검출센서
15: 제어변환부 16: 배터리전원부

Claims (8)

  1. 입력라인의 인입단상에 병렬로 설치되어 이 입력라인의 인입단(IN A, IN B)측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1차로 방전시키는 제1 GDT와;
    상기 입력라인상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라인를 따라 유입되는 정상신호들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서지전압만을 블록킹시키는 저항기와;
    상기 입력라인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2차로 입력라인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피뢰기와;
    상기 입력라인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각기 연결되어 입력라인 또는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서지전압제거기와;
    상기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과 연결된 출력라인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접지단(GND)를 통해 방출시키는 역서지제거 GDT와;
    상기 서지전압제거기와 역서지제거 GDT사이에 라인에 연결되어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을 통해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전송신호속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시키는 노이즈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제거부는 노이즈제거필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제거부는 브리지회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서지제거 GDT의 후단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사이의 라인에는 서지전압 방지장치의 전송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전송상태 표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서지제거 GDT의 후단과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의 입력단 사이의 라인에는 양방향 라인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디지털 수치정보로 변환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수치표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표시부에는 접지단에 연결된 제1 GDT의 일측단자와 역서지제거 GDT의 일측단자에 각기 설치되고 이 제1 GDT와 역서지제거 GDT가 동작될 경우 그 서지전압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서지전압을 디지털 수치정보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제어변환부와;
    상기 수치표시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가 인덕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DT의 일측단자가 연결된 접지단과 상기 피뢰기의 공통연결점의 사이에는 입력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과전압, 서지전압 및 노이즈를 차단하는 제2 GDT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억제용 과도전압 방지장치.
KR1020080116005A 2008-11-21 2008-11-21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KR100906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005A KR100906305B1 (ko) 2008-11-21 2008-11-21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005A KR100906305B1 (ko) 2008-11-21 2008-11-21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305B1 true KR100906305B1 (ko) 2009-07-07

Family

ID=4133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005A KR100906305B1 (ko) 2008-11-21 2008-11-21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30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99B1 (ko) * 2010-04-02 2011-02-10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저온 납땜을 이용한 내부열 폭발 방지와 서지 유입을 차단시키는 서지 보호기
KR101184949B1 (ko) * 2012-03-21 2012-10-02 주식회사 그라운드 직류 전원용 낙뢰서지 보호 장치
KR101425269B1 (ko) 2012-08-10 2014-08-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Led조명기기용 서지보호기
KR101558029B1 (ko) 2011-07-26 2015-10-06 애플 인크. 가역 커넥터들을 위한 보호 회로
KR101736675B1 (ko) * 2016-08-08 2017-05-16 한국수자원공사 인디케이터 내장형 신호통신 서지보호기
KR101956589B1 (ko) * 2017-09-28 2019-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압 검출 장치
KR102042379B1 (ko) 2019-04-19 2019-11-27 코엔원 주식회사 서지방호기능이 구비된 전기설비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757A (ko) * 2004-10-28 2006-05-03 주식회사 다토스 낙뢰 및 서지 방지장치
KR100608208B1 (ko) 2006-05-15 2006-08-02 주식회사프로컴시스템 스위치 모듈과 센서를 구비한 서지 보호장치
KR20070098150A (ko) * 2006-03-31 2007-10-05 여종수 데이터/신호용 서지보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757A (ko) * 2004-10-28 2006-05-03 주식회사 다토스 낙뢰 및 서지 방지장치
KR20070098150A (ko) * 2006-03-31 2007-10-05 여종수 데이터/신호용 서지보호기
KR100608208B1 (ko) 2006-05-15 2006-08-02 주식회사프로컴시스템 스위치 모듈과 센서를 구비한 서지 보호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99B1 (ko) * 2010-04-02 2011-02-10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저온 납땜을 이용한 내부열 폭발 방지와 서지 유입을 차단시키는 서지 보호기
KR101558029B1 (ko) 2011-07-26 2015-10-06 애플 인크. 가역 커넥터들을 위한 보호 회로
KR101184949B1 (ko) * 2012-03-21 2012-10-02 주식회사 그라운드 직류 전원용 낙뢰서지 보호 장치
WO2013141429A1 (ko) * 2012-03-21 2013-09-26 주식회사 그라운드 직류 전원용 낙뢰서지 보호 장치
KR101425269B1 (ko) 2012-08-10 2014-08-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Led조명기기용 서지보호기
KR101736675B1 (ko) * 2016-08-08 2017-05-16 한국수자원공사 인디케이터 내장형 신호통신 서지보호기
KR101956589B1 (ko) * 2017-09-28 2019-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압 검출 장치
KR102042379B1 (ko) 2019-04-19 2019-11-27 코엔원 주식회사 서지방호기능이 구비된 전기설비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305B1 (ko) 양방향 억제용 서지전압 방지장치
KR100906304B1 (ko) 서지전압 보호회로의 누설전류 차단제어장치
CA1332074C (en) Surge protection device
KR101171228B1 (ko) Hemp 대책용 전원선로 방호장치
US6816352B2 (en) Abnormal voltage protection circuit
US6778375B1 (en) Hybrid MOV/gas-tube AC surge protector for building entrance
KR101801798B1 (ko) 교체 권고 기능을 구비한 서지 보호기
KR101013244B1 (ko) 비접지 계통의 서지방지시스템
CA2535681A1 (en) Meter-base surge protector
WO2007064062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surge and over voltage
KR101027038B1 (ko) 서지 보호기용 통신 시스템
CN201039374Y (zh) 视频监控雷电防护器
US8035946B2 (en) Overvoltage protector circuit and a detector circuit for supervising such a protector circuit
KR200312397Y1 (ko) 자동복귀형 누전차단기
KR100614117B1 (ko) 카운트 수단이 구비된 서지보호장치
KR101801797B1 (ko) 서지 보호기 교체 권고 장치
KR101409479B1 (ko) 단락감지식 서지카운터를 갖는 서지보호장치
KR100907943B1 (ko) 감시카메라용 통합형 서지 방지장치
KR101074663B1 (ko) 쌍방향 서지보호기
JP4048495B2 (ja) 雷防護装置
KR101515878B1 (ko) 전원보호 기능을 갖는 능동 어레스터
CN109217238B (zh) 一种保护电路和电子设备
JP2007116879A (ja) 自動投入機構を備えたサージ保護装置
KR200371933Y1 (ko) 낙뢰보호형 누전차단기
KR101369856B1 (ko) 이더넷 전원을 갖는 네트워크 장비용 일체형 하이브리드 서지 보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