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301B1 - Packing box - Google Patents
Pack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6301B1 KR100906301B1 KR1020090024986A KR20090024986A KR100906301B1 KR 100906301 B1 KR100906301 B1 KR 100906301B1 KR 1020090024986 A KR1020090024986 A KR 1020090024986A KR 20090024986 A KR20090024986 A KR 20090024986A KR 100906301 B1 KR100906301 B1 KR 100906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g
- handle
- packaging box
- folded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65D5/46104—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other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a slit which completely encompasses the two handle elements to maintain the handle in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박스 내부를 완전하게 밀봉시키도록 폐쇄 가능하게 하면서도 손잡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부가 평면 상태로 되어 적재가 용이하고 별도로 손잡이를 펼치는 등의 과정 없이 곧바로 휴대가 가능하며,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무거운 중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ing box for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rticle, and more particularly, the upper part is in a flat state in spite of being able to be closed to completely seal the inside of the box and having a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be easily loaded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carry it immediately without unfolding an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to accommodate heavy weight contents.
본 발명은 내부에 물품을 넣을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가 사각통형상이 되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의 하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우측면하면부(131)와 전면하면부(133) 및 좌측면하면부(132)와 후면하면부(134)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하는 상기 우측면하면부(131) 및 좌측면하면부(132)는 하단에서 삼각형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전면하면부(133)와 후면하면부(134)는 상기 좌측면하면부(132) 및 우측면하면부(131)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각 끝단부에는 겹침흠(133a)(134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하면부(133)와 후면하면부(134)가 절곡될 때 겹침흠(133a)(134a)을 통해 그 양측이 어긋나게 겹쳐지도록 이루어지는 바닥부(13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의 상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우측면날개(121)와 전면날개(123) 및 좌측면날개(122)와 후면날개(124)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날개(123)에는 외측면에 손잡이(123b)가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3a)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3b)가 펼쳐진 상태에서 통과되는 통과공(124a)이 길이방향으로 후면날개(124)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날개(123)를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후면날개(124)를 접을 때 손잡이(123b)가 통과공(124a)을 통해 통과되어 후면날개(124)의 외측에 위치되는 덮개부(120)로 구성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3b)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날개(123)의 내측면 상부에는 부직포(190)가 접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so as to put the goods inside the right side 111 and the front side 113 and the left side 112 and the rear side 114 and the body is formed to be bent to form a rectangular cylinder ( The right side surface 111 and the right side surface 111 and the front side 113 and the right side bottom surface 131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xtend from the lower ends of the left side 112 and the rear side 114 to seal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the front bottom surface 133 and the left bottom surface 132 and the rear bottom surface 134 are formed by bending inward, but the right bottom surface 131 and the left bottom surface 132 facing each other are at the bottom.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extending in front, and the front lower surface portion 133 and the rear lower surface portion 134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extend the same length as the left side lower surface portion 132 and the right side lower surface portion 131, each end In the portion, overlapping flaws 133a and 134a are formed so that the front lower surface portion 133 and the rear lower surface portion ( When the 134 is bent, the bottom portion 130 formed so that both sides thereof are alternately overlapped through the overlapping flaws 133a and 134a, and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111 and the front portion 113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the right side wing 121 and the front wing 123 and the left side wing 122 and the rear wing 124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left side 112 and the rear side 114 are bent inward. Although the front wing 123 is formed by extending the support portion 123a, the handle 123b is formed to be folded on the outer surface, the through hole 124a is passed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handle 123b It is formed in the rear wing 12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front wing 123 folded in the state in the state of folding the rear wing 124, the handle 123b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4a and the rear wing 124 In the packaging box consisting of a cover portion 120 which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he handle The nonwoven fabric 19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ing 123 in which the teeth 123b are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종이재료의 포장박스 상부에 손잡이를 구비시키되, 상기 손잡이가 박스와 일체로 구성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for accommodating certain i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box having a handle on an upper portion of a packaging box of paper material, the handle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x.
일반적으로 커피믹스와 같은 스틱타입의 물품은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을 위하여 포장박스를 포장을 하게 된다.In general, a stick-type article such as a coffee mix will package a packaging box for convenienc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이러한 포장박스의 상부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부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The upper portion of the packaging box is usually attached to the handle to facilitate transport.
여기에서 종래 포장박스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덮기위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한쌍의 홀을 통해 양끝이 각각 관통된 뒤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부가 양 끝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conventional packing box has a body portion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catch portion for preventing both sides from penetrating through both ends through a pair of holes formed in the cover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for covering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at both ends. Consists of a formed handle.
이러한 종래 포장박스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들게되면 손잡이의 양 끝에 형성 되어 있는 걸림부가 커버부의 홀을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포장박스를 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Such a conventional packaging box is that the user is lifted by the handle is caught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does not escape the hole of the cover portion, the user can lift the packaging box.
그러나 이러한 종래 포장박스는 손잡이의 걸림부가 커버부에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됨으로써, 포장박스의 내부에 들어있는 물품의 하중에 의해 커버부의 홀 주위가 약해지게되어 쉽게 찢어지게 됨으로써 손잡이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ackaging box is not secured to the cover portion of the handle by the flow,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hole of the cover portion is weakened by the load of the goods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packaging box to be easily torn, which makes the use of the handle impossible. There was a problem.
한편, 종래 포장박스는 손잡이의 걸림부가 커버부에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하게 손잡이가 충분한 인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 져야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두께만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포장박스를 여러 층으로 적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acking box is relatively thick in order that the handle of the handle is not fixed to the cover portion and the handle has sufficient tensile force to flow, so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by the thickness of the handle, several layers of the packing box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loaded.
또한, 종래 포장박스는 종이재료와 별도로 합성수지제 손잡이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손잡이를 조립해야 하는 등의 공정이 추가되고 또한 폐기시 종이와 합성수지제 손잡이를 분리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ckaging box must be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handle separately from the paper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handle is added, and the inconvenience of disposing and discharging the paper and synthetic resin handle when disposing There was a ham.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제 손잡이를 배제하고, 종이재료의 포장박스 상부에 손잡이 형태의 구멍을 천공하고, 구멍이 천공된 덮개부 면을 포장박스 상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세워 고정함으로써 손잡이가 포장박스 상단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형태가 제안되었으며, 그 예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 1992-5471호, 제1990-2245호, 제 1995-25333호, 제 1996-46호, 제 1998-28779호 등을 꼽을 수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합성수지제 손잡이를 배제함으로써 한편으로 원가 절감의 목적은 달성하였지만, 손잡이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포장박스를 여러 층으로 적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제품출하 전 단계인 제품 포장단계에서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출고하였다가 이를 구입한 소비자가 손잡이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손잡이를 형성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소비자에게 떠넘기는 폐단이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of the synthetic resin is excluded, and a hole in the shape of the handle is dri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ckaging box of paper material, and the perforated cover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of the packaging box. As a result, the handle wa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acking box, and as an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s. 1992-5471, 1990-2245, 1995-25333, 1996-46, 1998-28779 However, the prior art has achieved the purpose of cost reduction by eliminating the synthetic resin handle, but the problem is that the packaging box can not be stacked in multiple layers while the handle is formed. In the product packaging stage, which is a stage, the customer does not have to form the handle part, but the consumer who purchases it has to make the handle. In the end, there was a dismissal that left the consumer with the complicated process of forming a handle.
이러한 기술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는 보다 개선된 형태의 포장박스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3-7001812호 "보강된 종이상자 손잡이"가 제안된 바 있는데, 그 구조는 포장박스의 상부 패널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호 접힐때 일부가 겹치도록 하되, 겹쳐지는 측변에 손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패널 각 양측에 손잡이 구멍을 형성시킨 것이다.As a more improved type of packaging box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se technologie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3-7001812 has been proposed, "reinforced paper box handle," the structure of the top panel of the packaging box facing each other When folded at a viewing position, the parts overlap each other, and the handle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nel so that the hands can be inserted into the overlapping sides.
이와 같은 구조의 포장박스는 포장 단계에서 손잡이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를 구입한 소비자 역시 손잡이를 만드는 과정 없이 구입 후 바로 휴대할 수 있기는 하지만, 손잡이 구멍을 통해 포장박스 내용물이 관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ackaging box of such a structure does not have to form a handle at the packaging stage, but the consumer who purchased it can be carried immediately after purchase without making a handle, but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box are observed through the handle hole. .
이와 같은 문제점은, 손잡이 구멍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장박스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을 더럽혀서 이를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줄뿐만 아니라, 내용물Such a problem is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introduced into the packing box through the handle hole, and the contents are not only unpleasant to the consumer who purchases the contents, but also the contents
이 커피믹스 또는 티백(TEA BAG)과 같이 소형물일 경우 손잡이 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어서 수용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종류와 크기 등을 고려해야 하는 등 사용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small items such as coffee mixes or tea bags (TEA BAG), there are other problems such as the contents leaking out through the handle holes, which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the type and size of the contents to be accommodated.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박스 상부에 손잡이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박스 내부를 완전하게 밀봉시키도록 폐쇄 가능하게 하면서도 손잡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부가 평면 상태로 되어 적재가 용이하고 별도로 손잡이를 펼치는 등의 과정 없이 곧바로 휴대가 가능하며,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무거운 중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의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lly configure the handle on the top of the packaging box, while being able to be closed to completely seal the inside of the box, despite the handle, the top is in a flat state, easy to load and expand the handle separately, etc.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box of a rigid structure that can be carried immediately without a process,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accommodate heavy weight contents.
또한, 본 발명은 포장상품을 테이블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인출구를 통해 커피믹스와 같은 스틱타입의 물품을 하나씩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packaging box that can take out the stick-type article, such as coffee mix one by one through the display outlet in the packaged goods on the tabl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장박스는 내부에 물품을 넣을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가 사각통형상이 되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의 하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우측면하면부(131)와 전면하면부(133) 및 좌측면하면부(132)와 후면하면부(134)를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하는 상기 우측면하면부(131) 및 좌측면하면부(132)는 하단에서 삼각형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전면하면부(133)와 후면하면부(134)는 상기 좌측면하면부(132) 및 우측면하면부(131)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각 끝단부에는 겹침흠(133a)(134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하면부(133)와 후면하면부(134)가 절곡될 때 겹침흠(133a)(134a)을 통해 그 양측이 어긋나게 겹쳐지도록 이루어지는 바닥부(13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와 후면부(114)의 상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우측면날개(121)와 전면날개(123) 및 좌측면날개(122)와 후면날개(124)를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날개(123)에는 외측면에 손잡이(123b)가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3a)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3b)가 펼쳐진 상태에서 통과되는 통과공(124a)이 길이방향으로 후면날개(124)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날개(123)를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후면날개(124)를 접을 때 손잡이(123b)가 통과공(124a)을 통해 통과되어 후면날개(124)의 외측에 위치되는 덮개부(120)로 구성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3b)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날개(123)의 내측면 상부에는 부직포(190)가 접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Packaging box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put the goods therein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상기 우측면날개(121)와 좌측면날개(122)에 형성된 끼움홈(121a)(122a)의 하단부에는 절개홈(121a')(122a')이 직각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홈(121a)(122a)에 지지부(123a)를 끼움 작업시 끼움홈(121a)(122a)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확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end of the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지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있는 전면날개의 저면이 몸체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는 우측면날개와 좌측면날개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접은 후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펼쳐 후면덮개부를 내측으로 접을 때 통과공을 통해 후면덮개부의 외부로 인출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포장박스를 적재시에는 손잡이의 저면이 후면날개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접어 상부면이 평탄해지도록 한 상태에서 여러개의 포장박스를 효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포장박스를 휴대시에는 손잡이를 펼쳐주는 것에 의해 덮개부의 외부로 손잡이가 돌출되어 곧바로 휴대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를 사용시에도 포장박스에 포장되어 있는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손잡이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손잡이를 사용시 좌측날개면과 우측날개면의 상부면이 전면날개 및 후면날개의 저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이동시에도 포장박스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pack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wing is extended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wing and the left wing is fold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ody and then open the hand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rear When the cover part is folded inward, it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rear cover part through a through hole, and serves as a handle. In one stat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load several packing boxes, and when carrying the packing box, the handl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art by spreading the handle so that it can be carried immediately. The handle may be torn due to the weight of the contents of the box. Of course,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wing and right wing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ront wing and the rear wing when using the hand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ppearance of the packaging box does not deform even when moving.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전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의 접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의 전면날개에 형성된 손잡이가 후면날개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포 장박스의 디스플레이창이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의 끼움홈에 지지부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rear wing of the handle formed on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window of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인 포장박스는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물품을 넣을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가 사각통형상이 되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의 하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우측면하면부(131)와 전면하면부(133) 및 좌측면하면부(132)와 후면하면부(134)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하는 상기 우측면하면부(131) 및 좌측면하면부(132)는 하단에서 삼각형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전면하면부(133)와 후면하면부(134)는 상기 좌측면하면부(132) 및 우측면하면부(131)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형성되되, 각 끝단부에는 겹침흠(133a)(134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하면부(133)와 후면하면부(134)가 절곡될 때 겹침흠(133a)(134a)을 통해 그 양측이 어긋나게 겹쳐지도록 이루어지는 바닥부(13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의 상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우측면날개(121)와 전면날개(123) 및 좌측면날개(122)와 후면날개(124)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날개(123)에는 외측면에 손잡이(123b)가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3a)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3b)가 펼쳐진 상태에서 통과되는 통과공(124a)이 길이방향으로 후면날개(124)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날 개(123)를 내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후면날개(124)를 접을 때 손잡이(123b)가 통과공(124a)을 통해 통과되어 후면날개(124)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덮개부(120)로 구성된다.1 and 2 and 3 and 4,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Figure 5, the
한편, 상기 몸체(110)의 전면부(113) 하부에는 도 1과 도 2 및 도 4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절단점선(150)으로 뜯어 낼수 있도록 하는 도어(14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140)를 절단점선(150)을 따라 뜯어 내면 포장된 상품을 몸체(110)의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품을 손으로 집어 몸체(110) 밖으로 꺼낼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창(113a)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창(113a)의 좌우 에는 상품의 자유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13b)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우측면날개(121)와 좌측면날개(122)의 상부 중간 부위에는 지지부(123a)의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끼움홈(121a)(122a)이 파여져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21a)(122a)에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지지부(123a)의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123b)의 하부에는 접힘선(180)에 의해 절첩이 이루어지는 플랩(123c)이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한편, 상기 손잡이(123b)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날개(123)의 내측면 상부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부직포(190)가 접착되어 있어, 좌측면날개(122)의 끼움홈(122a) 및 우측면날개(121)의 끼움홈(121a)에 좌우 양측 상부가 끼워지는 지지부(123a)와 손잡이(123b) 및 상기 손잡이(123b)의 일측면에 절첩이 이루어지면서 일측면이 접촉되는 플랩(123c)의 강성이 향상되어 지게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a
또한, 상기 우측면날개(121)와 좌측면날개(122)에 형성된 끼움홈(121a)(122a)의 하단부에는 도 1과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절개홈(121a')(122a')이 직각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홈(121a)(122a)에 지지부(123a)를 끼움 작업시 끼움홈(121a)(122a)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상기 지지부(123a)를 끼움홈(121a)(122a)에 끼우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5,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내부에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사각통형상이 되도록 서로 연결된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를 절곡선(160)을 따라 접은 후 후면부(114)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접착면(170)을 우측면부(111)의 일측 내측면에 접착시켜 주는 것에 의해 사각통형상의 몸체(110)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몸체(110)를 형성시킨 후에는 우측면부(111)와 전면부(113) 및 좌측면부(112) 와 후면부(114)의 하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우측면하면부(131)와 전면하면부(133) 및 좌측면하면부(132)와 후면하면부(134)를 절곡선(160)을 따라 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접은 후 서로 마주하는 삼각형 형상의 우측면하면부(131) 및 좌측면하면부(132) 일측 외측면에 서로 마주하는 전면하면부(133)와 후면하면부(134)의 끝단부에 형성된 겹침흠(133a)(134a)의 상부면이 접하도록 접착시켜 주는 것에 의해 몸체(110)의 하부가 밀폐되어 바닥부(130)가 형성된다.After the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바닥부(130)가 형성되도록 밀폐시킨 후에는 우측면부(111)와 좌측면부(112)의 상부에 상호 대칭한 형상으로 형성된 우측면날개(121)와 좌측면날개(122) 및 전면부(113)의 상부에 형성된 전면날개(123)와 후면부(114)의 상부에 형성된 후면날개(124)를 순차적으로 접어주는 것에 의해 몸체(110)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덮개부(120)가 형성되어 몸체(110)의 상부가 밀폐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120)의 전면날개(123)에 형성된 지지부(123a)의 좌우 양측단부는 각각 우측면날개(121)에 형성된 끼움홈(121a)과 좌측면날개(122)에 형성된 끼움홈(122a)에 끼워진 상태가되도록 우측면날개(121)와 좌측면날개(12)의 상부면에 전면날개(123)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접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23a)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23b)는 후면날개(124)에 형성된 통과공(124a)을 통해 후면날개(124)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후면날개(124)가 전면날개(123)를 덮도록 접혀지게 됨으로써, 상기 손잡이(123b)를 사용시에는 후면날개(124)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도록 펼친 후 점힘선(180)을 이용하여 플랩(123c)을 접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123b)를 미사용시에는 상기 후면날개(124)의 상부면에 저면이 밀착되도록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After sealing the bottom of the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On the other hand,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물론, 상기 손잡이(123b)를 후면날개(124)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도록 펼쳐 사용시에는 전면날개(12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3a)의 상부면이 후면날개(124)의 저면에 접촉되고, 상기 지지부(123a)의 좌우 양측단부는 우측면날개(121)에 형성된 끼움홈(121a)과 좌측면날개(122)에 형성된 끼움홈(122a)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면날개(123)가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손잡이(123b)를 이용해 무거운 중량이 내용물이 포장되어 있는 몸체(110)의 내부에 포장되어 있는 포장박스(100)를 운반시에도, 포장되어있는 내용물의 중량이 지지부(123a)를 통해 덮개부(120) 전체로 효과적으로 분산되어지게 된다.Of course, when the
또한, 상기 전면날개(123)의 내측면 상부에 접착된 부직포(19)에 의해 좌측면날개(122)의 끼움홈(122a) 및 우측면날개(121)의 끼움홈(121a)에 좌우 양측 상부가 끼워지는 지지부(123a)와 상기 지지부(123a)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23b) 및 상기 손잡이(123b)의 일측면에 절첩이 이루어지면서 일측면이 접촉되는 플랩(123c)의 강성이 향상되어, 포장박스의 내부에 들어있는 물품의 하중에 의해 덮개부(120)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손잡이가 찢어지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포장박스(100)에 커피믹스와 같은 스틱타입의 물품을포장한 상태에서 하나씩 꺼내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110)의 전면부(113) 하부에 절단점선(150)으로 뜯어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도어(140)를 절단점선(150)을 따라 뜯어 내면 디스플레이창(113a)이 개방되어지게되고, 상기 도어(140)가 절단점선(150)에 의해 뜯어져 개방된 디스프레이창(113a)을 통해 손가락으로 몸체(11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을 잡고 밖으로 꺼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take out one by one in the packaging state of the stick type, such as a coffee mix in the
이때, 상기 포장박스(100)의 몸체(110)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은 양단이 이탈방지부(113b)에 걸리어 안정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된 상품을 디스프레이창(113a)을 통해 꺼낼시에는, 상품의 양단이 이탈방지부(113b)에 걸려 구부러지지만 이탈 상태 에서는 원래상태로 복원된다.At this time,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창(113a)을 통해 하나의 상품이 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면 포장박스(100)의 몸체(110) 내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상품의 침하가 이루어져 상품을 꺼내기전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디스프레이창(113a)에 상품이 가득 채워진 상태로 디스플레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product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이러한 상품의 침하는 디스플레이창(113a)의 상부에 상품이 누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반복된다.The settlement of such goods is repeated in a state where goods are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창(113a)을 통해 상품을 계속해서 꺼내어 몸체(110)의 내부에 일정치 이하의 상품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창(113a)을 통해 몸체(110)의 상부 공간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상태에서 계속해서 상품을 꺼내면 상품 상부의 공간은 차츰 커지고 마침내 몸체(110)의 바닥 내부가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보이게 됨으로써, 포장박스(100)에 물품을 포장한 상태에서 디스프레이창(113a)을 통해 상품을 하나씩 꺼내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창(113a)을 통해 상품을 광고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창으로의 기능을 유지하고, 몸체(110)에 일정치 이하의 상품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상품의 잔량을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product continues to be taken out through the
도 1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전개도1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ors packaging box
도 2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의 접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aging box
도 3은 본 발명인 포장박스의 전면날개에 형성된 손잡이가 후면날개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formed on the front 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aging box folded back wing
도 4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의 디스플레이창이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aging box is opened
도 5는 본 발명인 포장박스의 끼움홈에 지지부가 끼워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aging box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 포장박스 110 : 몸체100: packing box 110: body
111 : 우측면부 112 : 좌측면부111: right side portion 112: left side portion
113 : 전면부 113a: 디스플레이창113:
113b: 이탈방지부 114 : 후면부113b: release prevention portion 114: rear portion
120 : 덮개부 121 : 우측면날개120: cover 121: right side wing
122 : 좌측면날개 123 : 전면날개122: left side wing 123: front wing
123a: 지지부 21a',122a': 절개홈123a: support portion 21a ', 122a': incision groove
123b: 손잡이 124 : 후면날개123b: handle 124: rear wing
124a: 통과공 130 : 바닥부124a: through hole 130: bottom portion
131 : 우측면하면부 132 : 좌측면하면부131: bottom surface of the right side 132: bottom surface of the left side
133 :전면하면부 134 : 후면하면부133: front bottom portion 134: rear bottom portion
133a,134a: 겹침흠 140 : 도어133a, 134a: Overlap 140: Door
150 : 절단점선 190 : 부직포 150: cutting line 190: nonwoven fabric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9447 | 2009-02-05 | ||
KR20090009447 | 2009-02-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6301B1 true KR100906301B1 (en) | 2009-07-07 |
Family
ID=4133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49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6301B1 (en) | 2009-02-05 | 2009-03-24 | Pack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6301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6141Y1 (en) * | 2009-07-14 | 2011-10-13 | (주)영케미칼 | Packing box |
CN106742500A (en) * | 2016-12-21 | 2017-05-31 | 浙江理工大学 | A kind of cylindrical bottle buffering packaging box without adhesive |
KR20190003179U (en) | 2018-06-18 | 2019-12-27 | 이계옥 | Packaging box with partition |
KR102077551B1 (en) * | 2019-05-20 | 2020-02-14 | 김선국 | Packing box with easy retrieval of goods |
KR102089753B1 (en) | 2018-10-25 | 2020-03-18 |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 Ampule packing box to use ampule standing |
KR20230077357A (en) | 2021-11-25 | 2023-06-01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Packing box having fastener |
WO2024010849A1 (en) * | 2022-07-07 | 2024-01-11 | Gpi Frankfurt & Augsburg Gmbh | Carton with locking features |
KR20240171694A (en) * | 2023-05-31 | 2024-12-09 | 주식회사 팩스타 | variable food packaging box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2639A (en) * | 1997-06-20 | 1999-01-15 | 정중교 | Packing box |
KR200251840Y1 (en) * | 1999-05-08 | 2001-11-16 | 김용률 | Packing box |
KR200376366Y1 (en) * | 2004-11-23 | 2005-03-08 | 동서식품주식회사 | Display and drawing slot installation of the packing box for stick goods |
KR200401481Y1 (en) * | 2005-08-18 | 2005-11-17 |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 Apparatus of upper grip for Paperboard box |
-
2009
- 2009-03-24 KR KR1020090024986A patent/KR1009063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2639A (en) * | 1997-06-20 | 1999-01-15 | 정중교 | Packing box |
KR200251840Y1 (en) * | 1999-05-08 | 2001-11-16 | 김용률 | Packing box |
KR200376366Y1 (en) * | 2004-11-23 | 2005-03-08 | 동서식품주식회사 | Display and drawing slot installation of the packing box for stick goods |
KR200401481Y1 (en) * | 2005-08-18 | 2005-11-17 |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 Apparatus of upper grip for Paperboard box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6141Y1 (en) * | 2009-07-14 | 2011-10-13 | (주)영케미칼 | Packing box |
CN106742500A (en) * | 2016-12-21 | 2017-05-31 | 浙江理工大学 | A kind of cylindrical bottle buffering packaging box without adhesive |
KR20190003179U (en) | 2018-06-18 | 2019-12-27 | 이계옥 | Packaging box with partition |
KR102089753B1 (en) | 2018-10-25 | 2020-03-18 |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 Ampule packing box to use ampule standing |
KR102077551B1 (en) * | 2019-05-20 | 2020-02-14 | 김선국 | Packing box with easy retrieval of goods |
KR20230077357A (en) | 2021-11-25 | 2023-06-01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Packing box having fastener |
WO2024010849A1 (en) * | 2022-07-07 | 2024-01-11 | Gpi Frankfurt & Augsburg Gmbh | Carton with locking features |
KR20240171694A (en) * | 2023-05-31 | 2024-12-09 | 주식회사 팩스타 | variable food packaging box |
KR102780829B1 (en) * | 2023-05-31 | 2025-03-12 | 주식회사 팩스타 | variable food packaging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6301B1 (en) | Packing box | |
JP4942746B2 (en) | A box containing loosely packed smokeable materials | |
MXPA04005952A (en) | Package for compressible products and method for making the package. | |
US9102442B2 (en) | Container with presentation element | |
US2872097A (en) | Reclosable containers | |
KR101339438B1 (en) | Packing Box | |
US5243807A (en) | Package, in particular for product samples, blank for same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rticles | |
US9150327B2 (en) | Folding box with removable handle | |
US6016919A (en) | Packaging container for allowing inspection of contents | |
US20150023614A1 (en) | Flexible Pouches for Goods on a Roll | |
KR101300468B1 (en) | Packing box | |
JP4128003B2 (en) | Packaging box | |
WO1998024711A1 (en) | Improved package for compressible 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US20140191022A1 (en) | Method of Using Modular Pizza Box | |
JP3225453U (en) | Package for home delivery or mailing of clothing | |
US20070158235A1 (en) | Packaging device | |
US245422A (en) | Sample-package | |
JP7121976B2 (en) | packaging bag | |
JP6987025B2 (en) | Packing box | |
AU2007343175B2 (en) | Packet for containing a tobacco product | |
JP2021138403A (en) | Absorbent article packaging bag | |
US9856048B1 (en) | Electronic device package | |
JP5584059B2 (en) | Packaging bag | |
KR20140004480U (en) | Packing case | |
JPS6030181Y2 (en) | A belt-shaped sheet-like object stored in a thin plate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3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