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698B1 -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 Google Patents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5698B1 KR100905698B1 KR1020070103927A KR20070103927A KR100905698B1 KR 100905698 B1 KR100905698 B1 KR 100905698B1 KR 1020070103927 A KR1020070103927 A KR 1020070103927A KR 20070103927 A KR20070103927 A KR 20070103927A KR 100905698 B1 KR100905698 B1 KR 100905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fluid
- suction
- nozzle
- sel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자체 세척식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 내의 유체 흐름을 불규칙하게 생성하게 하고 노즐의 흡입관부를 탄성 지지 되도록 구성하여 스크린 필터에 침전된 불순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노즐에 흡입될 수 있도록 개선된 자체 세척식 필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comprising an irregular self-generating fluid flow in the filter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ction pipe of the nozzle so that impurities deposited in the screen filter can be sucked into the nozzle more effectively. Provide a washable filter.
자체 세척, 필터, 석션 스캐너, 배기 밸브, 플러싱 챔버 Self-cleaning, filter, suction scanner, exhaust valve, flushing cha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입관과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에 스크린 필터를 형성하여 유동 유체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되, 이를 흡입 노즐이 마련된 석션 샤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필터를 세척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flow fluid by forming a screen filter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the filter for cleaning the screen filter using a suction shaft provided with a suction nozzle It is about.
유동 유체를 스크린 필터를 사용하여 포함된 불순물 등을 걸러 청정유체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필터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Filters aimed at making a fluid fluid into a clean fluid by filtering out impurities or the like contained using a screen filter are well known.
이와 같은 필터는 유입관과 유출관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에 스크린 등으로 형성되는 필터를 그 유체 관로에 설치하여 불순물이 상기 필터에 걸러지도록 구성된다.Such a filter includes an inflow pipe and an outflow pipe, and in particular, a filter formed as a screen between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is installed in the fluid line to filter impurities.
이에 더하여 걸러진 불순물을 자동으로 회수 가능한 자체 세척식 필터 또한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간단한 구성을 알아보면 유체가 유입하고 배출되는 입구와 출구를 각각 가지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스크린형의 필터, 그리고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 필터에 침전된 불순물을 흡입하는 다수의 노즐을 가지는 석션 샤프트 등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 self-cleaning filter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filtered impurities is already known, and the simpl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housing has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luid flows in and out, a screen-type filter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And a suction shaft installed inside the filter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 sucking impurities deposited in the screen filter.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의 구성도를 참고하여 종래의 자체 세척시 필터의 구성을 알아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1 looks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self-cleaning filter.
상기 석션 샤프트는 연결된 노즐의 흡입작용을 위하여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흡입 수단부(10)와 연결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흡입작용을 실현하기 위한 흡입 수단부는 펌프를 사용하기도 하며, 대기압에 노출된 배기 밸브와 연결 구성되기도 한다. 필터 하우징(100) 내부는 유체의 흐름으로 인해 통상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외부의 대기압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원으로 작용하여 압력차에 의한 흡입작용이 가능한 것이다.The suction shaft is generally made of a hollow tube for the suction action of the connected nozzle a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uction means 10. The suction means part for realizing such a suction action may use a pump, or may be connected to an exhaust valve exposed to atmospheric pressure. Since the inside of the
이러한 흡입작용으로 인해 스크린 필터(200)에 침전되고 부착된 침전물을 흡입하여 필터 하우징(100) 외부로 이동시켜 자체적으로 스크린 필터(200)를 세척한다.Due to this suction action, the precipitate deposited and attached to the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자체 세척식 필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elf-cleaning filt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필터 하우징(100)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은 유입관(110)에서 유출관(120)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크린 필터(200)를 마련하여 두는 것이 통상의 구조이다. 이는 유체의 흐름이 스크린 필터(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한다고 가정하면 유체가 포함하고 있는 불순물은 스크린 필터(200) 내벽에 닿고 그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형태로써 불순물이 걸러지는 것이다.(도 4의 유체방향 A 참고)First, the flow of fluid in the
따라서, 불순물은 자체 세척식 필터가 작동되고 있는 한 계속하여 스크린 필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Thus, impurities continue to be forced from inside to outside of the screen filter as long as the self-cleaning filter is operating.
이에, 자체 세척식 필터에 마련되어 있는 석션 샤프트(300)는 상기 스크린 필터의 내측을 향하여 다수의 노즐(310)을 근접하게 설치 구성하고, 상기 노즐(310)의 말단에 구비되는 흡입관부로 상기 불순물을 흡입하게 된다.Thus, the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불순물은 노즐의 흡입방향과 항시 반대방향(스크린 필터의 외측으로 향하는)으로 힘이 작용되고 있기 때문에 불순물의 흡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 높은 압력차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since the impurity is alway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creen filter) and the su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the impurity has to have a higher pressure difference to increase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impurity.
한편, 석션 샤프트(300)는 흡입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린 필터(200)의 내부 중심축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되, 석션 샤프트(300)에는 방사형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노즐(310)이 스크린 필터(200) 내측을 향하도록 마련하여 효과적으로 이동하면서 흡입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하여, 상기 석션 샤프트(300)는 외부의 모터부(20)에의 해 회전운동과 스크린 필터(2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For this configuration, the
상기 노즐(310)은 보다 효과적인 흡입을 위하여 상기 스크린 필터(200)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장시간 작동에 의해 노즐(310)과 스크린 필터(200)가 서로 맞닿거나 하여 서로 손상을 생기고 이는 흡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본 발명은 스크린 필터에 침전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흡입 가능하도록 하며, 스크린 필터와 근접하게 설치되는 노즐의 형상을 개선하여 효과적인 흡입작용 이 가능한 자체 세척식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cleaning filter capable of effectively sucking impurities precipitated in the screen filter and improving the shape of the nozzle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creen filt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체 유입구와 청정유체 출구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유체 유입구와 청정유체 출구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린 필터와, 상기 스크린 필터와 근접하도록 방사형으로 다수의 노즐을 가지며, 그 내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 내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원에 연결되어 있는 석션(suction) 샤프트를 가지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구는 필터 하우징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석션 샤프트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에 수직 설치되어 회전운동하며; 다수의 날개로 구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석션 샤프트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석션 샤프트에 연동되어 회전운동함으로써 불규칙한 유체 흐름을 생성하는 난류 발생기를 포함하여, 상기 난류 발생기에 의한 불규칙한 유체 흐름으로 인하여 상기 스크린 필터에 침전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노즐로 흡입 가능한 자체 세척식 필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housing having a fluid inlet and a clean fluid outlet, a screen filt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fluid inlet and the clean fluid outlet, and a plurality of radially adjacent to the screen filter. A filter having a suction shaft, the in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 pressure source lower than the pressure in the filter housing, the fluid inlet being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using; The suction shaft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lter housing to rotate; It consists of a plat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ings, including a turbulence generator coupled to the suction shaft en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suction shaft to generate an irregular fluid flow, the screen due to the irregular fluid flow by the turbulence generator It provides a self-cleaning filter that can effectively suck in impurities deposited on the filter with a nozzl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석션 샤프트에 마련되는 각 노즐은, 노즐의 말단에 마련되는 흡입관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관부가 항시 상기 스크린 필 터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세척식 필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each nozzle provided in the suction shaft, the suction pipe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nozzle is coupled by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suction pipe portion is always formed so as to be close to the screen filter.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는 필터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난류 등과 같은 불규칙한 흐름을 생성함으로써 스크린 필터의 내벽에 침전된 불순물이 노즐에 더욱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irregular flow such as turbulence in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filter housing, and thus, impurities deposited on the inner wall of the screen filter can be more effectively sucked into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흡입관부를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에 의해 결합 구성함으로써 스크린 필터와의 근접 설치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흡입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uction pipe portion of the nozzle can be combined by elastic means such as a spring can be expected more effective suction effect in close installation with the screen filt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f s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의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에서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의 난류 발생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의 노즐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3A and 3B are each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urbulence generator of a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nozzle of a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과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스크린 필터(200)에 걸 러져 침전된 불순물이 난류 발생기(400)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석션 샤프트(300)의 노즐(310)로 흡입되는 자체 세척식 필터의 구성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and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urities filtered by the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는, 크게 유체 유입구(110)와 청정유체 출구(120)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1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 유입구(110)와 청정유체 출구(120)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린 필터(200)가 구비된다.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provided with a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는 유체의 관로로 이용되기 때문에 유체 유입구(110)와 청정유체 출구(120)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상기 유체 유입구(110) 및 청정유체 출구(120) 각각은 통상의 파이프 라인과 접속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유동되는 유체의 량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체적과 유체 유입구(110)와 청정유체 출구(120)의 지름 등을 산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 수용부에는 스크린 필터(200)가 설치되되 최적의 불순물을 거둘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동되는 유체와의 접촉면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필터(200)는 통상의 메쉬(그물)상이면 충분하다.The
특히,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유체 유입구(110)를 하단부에 마련하고 필터링 된 청정유체의 출구(120)를 일 측면에 구성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에는 원통형의 스크린 필터(200)를 마 련하여 상기 유체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 하우징(100) 하단부로부터 유입된 후 스크린 필터(200)를 거쳐 불순물이 걸려진 청정 유체가 측면에 마련된 청정유체 출구(120)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 중심부에는 석션(suction) 샤프트(300)가 구성된다. 상기 석션 샤프트(300)는 내부 중공부가 형성된 수직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필터(200)와 근접하도록 방사형으로 다수의 노즐(310)을 가지도록 구성한다.A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석션 샤프트(300)는 내부에 상기 필터 하우징(100) 내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원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압력원의 단속작동에 의해 노즐(310)들이 흡입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노즐(310)은 스크린 필터(200)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유체로부터 걸러져 스크린 필터(200) 내벽에 침전된 불순물을 흡입하게 된다. (도 4 참고)As shown in FIG. 1,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는 상기 노즐(310)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 내부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발생기(400)를 구비한다. 상기 난류 발생기(400)는 상기 유체 유입구(110)와 청정유체 출구(120) 사이에서 다수의 날개를 가지고 축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불규칙한 흐름을 생성한다.Thus, the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3a와 도 3b각각은 상기 난류 발생기(400)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난류 발생기(400)는 필터 하우징(10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불규칙하게 회전시켜 유체가 소용돌이치게 한다. 즉 유체 유입구(110)에서 청정유체 출구(120)로의 고정된 유체의 관로의 내부에서 와류 등을 형성하여 불규칙한 유체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다만, 상기 난류 발생기(400)를 구현함에 있어 스크류 형상은 피하도록 한다. 이는 내부 유체가 회전하게 되어 입구에서 출구로 향하는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여 필터의 효율을 떨어지게 하는 요인이 된다.3A and 3B each show a different embodiment of the
도 3a은 상기 난류 발생기의 일 실시예로서, 평판으로 형성된 양 날개편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것이며, 도 3b은 4개의 날개편이 일정 간격의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유체의 흐름을 막아 유속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단부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3a is an embodiment of the turbulence generator, both blade pieces formed in a flat plat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Figure 3b shows that the four blade pieces are formed radially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narrowed so as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uid and prevent the flow rate.
한편, 상기의 난류 발생기(400)는 그 설치에 있어서, 외부의 독립된 회전 동력원으로 상기 필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동작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더욱 제안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stallation of the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난류 발생기(400)를 상기 석션 샤프트(300) 말단에 결합시킴으로써 석션 샤프트(300)와 연동되어 회전운동하도록 형성시킨다. 특히, 상술한 것과 같이 필터 하우징(100) 하단부에 마련되는 유체 유입구(110)에 근접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1, by coupling the
도 2는 상기 난류 발생기(400)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청정유체 출 구(120)까지 도달하기까지의 유체 흐름을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스크린 필터(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체의 흐름(B)은 상기 난류 발생기에 의해 형성된 불규칙 유체 흐름 등에 의해 스크린 필터(200) 내벽과 충돌되어 형성되는 것이다.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fluid flow until the fluid introduced by the
상기 불규칙한 유체 흐름(B)은 침전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노즐(310)에 흡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irregular fluid flow (B) helps the precipitate to be sucked more effectively into the
도 4는 도 2의 부분확대도 I를 보여주는 것으로, 노즐(310)을 더욱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 4에서 보이는 스크린 필터(200)의 내벽 측에는 불순물이 들어 붙어있는데 상기 난류 발생기(400)가 없는 경우에는 유체의 일반적인 흐름(A)에 의해 스크린 필터(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힘이 불순물에 미친다.4 shows a partially enlarged view I of FIG. 2, showing the
이런 경우 스크린 필터(200) 내벽에 근접하여 설치된 노즐(310)이 흡입력이 상기 불순물을 충분히 빨아 들려야 할 정도의 큰 흡입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난류 발생기(400)에 의해 발생한 불규칙한 유체의 흐름(B)으로 인하여 스크린 필터(200) 내측에 붙어 있는 불순물이 일시적으로 외측으로 향하는 힘이 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노즐(310)은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불순물 들을 흡입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ction force of the
즉, 난류 발생기(400)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불규칙해지면 스크린 필터(200)의 내벽에 붙어 있는 불순물들에게 일시적인 빽플러싱(backflusing) 효과가 발생하여 쉽게 노즐(310)이 불순물 들을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low of the fluid is irregular by the
한편,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석션 샤프트(300)에 마련된 다수의 노 즐(310)은 그 말단에 형성되는 흡입관부(315)를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316)을 사용하여 항시 스크린 필터(200) 내벽으로 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노즐(310)이 효과적으로 상기 스크린 필터(200)에 근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plurality of
이는 스크린 필터(200)의 형상이 변형되어 굴곡이 형성되거나, 잦은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여도 탄성 지지되는 흡입관부(315)를 가지는 노즐(310)에 의해 항시 근접 설치되도록 하여 일정한 흡입력으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자체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or modifi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ame object and effect. Could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의 구성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에서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fluid in the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의 난류 발생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3A and 3B are diagrams each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urbulence generator of the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세척식 필터의 노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nozzle of a self-clean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배기 밸브 20 : 모터부10: exhaust valve 20: motor portion
100 : 필터 하우징 200 : 스크린 필터100: filter housing 200: screen filter
300 : 석션 샤프트 400 : 난류발생기300: suction shaft 400: turbulence generator
110 : 유체 유입구 120 : 청정유체 출구110: fluid inlet 120: clean fluid outlet
310 : 노즐 315 : 흡입관부310: nozzle 315: suction pipe
316 : 탄성수단316: elastic means
A :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방향선A: direction line showing the flow of fluid
B : 난류에 의한 유체 흐름의 방향선B: direction line of fluid flow by turbulenc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3927A KR100905698B1 (en) | 2007-10-16 | 2007-10-16 |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3927A KR100905698B1 (en) | 2007-10-16 | 2007-10-16 |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8571A KR20090038571A (en) | 2009-04-21 |
KR100905698B1 true KR100905698B1 (en) | 2009-07-03 |
Family
ID=4076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3927A Active KR100905698B1 (en) | 2007-10-16 | 2007-10-16 |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569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3655B1 (en) * | 2011-10-18 | 2013-09-04 | 주식회사 파나시아 | A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compact and enhanced operating efficienc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0730B1 (en) | 2009-10-29 | 2012-04-12 | 주식회사 파나시아 |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
US8821720B2 (en) | 2010-06-11 | 2014-09-02 | Panasia Co., Ltd. | Filtering apparatus for treating ballast water |
KR101012752B1 (en) * | 2010-06-11 | 2011-02-08 | 주식회사 파나시아 | Filter device for ballast water treatment |
ITVR20110118A1 (en) * | 2011-05-27 | 2012-11-28 | Mauro Bonatti | FILTER PARTICULARLY FOR IRRIGATION OR INDUSTRIAL WATERS |
NO345889B1 (en) * | 2020-02-19 | 2021-09-27 | Tenko As | Filter systems and methods |
KR102725681B1 (en) * | 2023-11-06 | 2024-11-04 | 주식회사 가하공업 | An auto-filter device equipped with backwashing mean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5578A (en) * | 1998-05-20 | 1999-12-06 | 한상배 | Self-cleaning filtration and filtering method with backwash function |
JP2003502139A (en) | 1999-06-22 | 2003-01-21 | オンタリオ パワー ジェネレ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ilter with vacuum cleaning head |
KR100530806B1 (en) | 2005-03-17 | 2005-11-23 | 세림제지주식회사 | Water filtering apparatus with suction flushing type screen |
KR20070087546A (en) * | 2004-07-21 | 2007-08-28 | 아미애드 필트레이션 시스템즈(1997) 엘티디. | Filter cleaning head |
-
2007
- 2007-10-16 KR KR1020070103927A patent/KR1009056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5578A (en) * | 1998-05-20 | 1999-12-06 | 한상배 | Self-cleaning filtration and filtering method with backwash function |
JP2003502139A (en) | 1999-06-22 | 2003-01-21 | オンタリオ パワー ジェネレ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ilter with vacuum cleaning head |
KR20070087546A (en) * | 2004-07-21 | 2007-08-28 | 아미애드 필트레이션 시스템즈(1997) 엘티디. | Filter cleaning head |
KR100530806B1 (en) | 2005-03-17 | 2005-11-23 | 세림제지주식회사 | Water filtering apparatus with suction flushing type scre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3655B1 (en) * | 2011-10-18 | 2013-09-04 | 주식회사 파나시아 | A Ballast Water Filter Equipment having compact and enhanced operating efficienc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8571A (en) | 2009-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5698B1 (en) | Improved self-cleaning filter | |
CN104083130B (en) | A kind of wall cleans device | |
CN105597460B (en) | For the filtrate tank of cleaner and the cleaner with it | |
CN106039820B (en) | Sea water filter before a kind of centrifugal backwashing pump | |
CN109432907A (en) | It is a kind of can automatic cleaning filter core nitrogen fertilizer production workshop exhausting-dusting blower | |
KR100602869B1 (en) | Air Purifier with Wet Anion Generator | |
CN205760000U (en) | A kind of vertical self-washing filter with cone bottom shape housing | |
KR20160052254A (en) | Jet nozzle for bagfilter cleaning | |
KR101219406B1 (en) | A the dust reduction system which uses a nothing power cyclone method | |
CN111155968A (en) | A self-excited oscillation filter pulverized coal system for coalbed methane exploitation | |
CN109091986B (en) | Air purifier | |
CN209145990U (en) | Centrifugal blower with silencing filter | |
CN113164865A (en) |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and exhaust gas harmful removal device using same | |
KR20160082690A (en) | Integrated washing system for gas turbine engine | |
CN108499267A (en) | A kind of sack cleaner with deashing function | |
CN110013716B (en) | Water washing device and air purifier thereof | |
CN106196212A (en) | Tubulose oil smoke separation cleaning device | |
CN115869683B (en) | Cyclone separator and dish washer | |
CN216617792U (en) | Air inlet system for pneumatic dredging sewage pump | |
CN118949604B (en) | A fume collecting device for a petroleum resin granulator | |
CN222163035U (en) | Water diversion filter device of centrifugal pump | |
CN218687794U (en) | Dust filter for civil air defense engineering | |
CN216111480U (en) | Centrifugal pump with self-cleaning function for conveying impurities | |
KR20130120049A (en) | Self cleaning strainer | |
CN115807774B (en) | Central dust collection device of water ring vacuum pu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