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5386B1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386B1
KR100905386B1 KR1020080136854A KR20080136854A KR100905386B1 KR 100905386 B1 KR100905386 B1 KR 100905386B1 KR 1020080136854 A KR1020080136854 A KR 1020080136854A KR 20080136854 A KR20080136854 A KR 20080136854A KR 100905386 B1 KR100905386 B1 KR 100905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topic
herbal
burdock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효
김선옥
박선규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에이치앤피
주식회사 녹십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에이치앤피, 주식회사 녹십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에이치앤피
Priority to KR102008013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3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가려움증 및 염증 완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한방 생약 조성물 또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엉을 주성분으로 하고, 선택적 성분으로서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및 자소엽 성분을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로서 아토피 질환을 겪는 환자를 위한 화장료로 제공되며, 본 발명은 아토피 질환을 겪는 환자에 있어서 가려움증을 완화 시키며, 보습성과 항염증 및 면역기능을 상승시킴으로서 아토피 피부염의 근본적인 병인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요인을 차단함으로서 다양한 연령대의 아토피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화장료로써 가려움증과 염증 완화 및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다.
소양증, 아토피, 염증,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 생약조성물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of oriental cosmetics for atopy skin containing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및 항염증,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한방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안전한 천연 한방 생약제인 우엉, 소태나무, 금은화, 인진쑥 및 자소엽 등으로부터 얻은 생약 추출 혼합물로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증상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토피(atopy)'란 말은 '부적당한' 또는 '특이한'이란 의미로 1925년 코카(Coca)라는 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음식물이나 흡입성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 알레르기성 증상이 나타나는 경향을 가리키는 말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세계 인구의 0.5%-1%, 어린이의 경우 5-10%)이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생하는데,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란 아토피성 체질인 사람에게 일어나는 가려움이 매우 심한 습진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발원인이 아직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한 유전적 질환으로서, 그 발증과 악화에는 환경인자가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 해 쉽게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바이러스·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수십년 동안 발병률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그 환자수가 크게 늘고 있는 현실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장 큰 고민은 가려움증, 염증 그리고 만성적 재발(Chronic relapsing dermatitis)이다. 가려움증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지만, '긁는다(scratch)'는 행위에 의해 가려움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재발되는 경향이 높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으로는 주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IgE, mast cells, eosinophils, lymphocytes에 의해 유도되는 알레르기성 염증)과 피부의 방어기능의 저하(Barrier dysfunction)를 들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려움증에는 항히스타민제만으로는 효과적인 치료를 획득하기가 어렵다. 이는 아토피성 가려움증이 신경섬유의 직접적 자극에 의한 것이거나, 히스타민을 제외한 화학적 매개체(TNF-α, ECP, MBP, IL-1, IL-2, IL-5 등)에 의해서 유발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종래의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등에 관련된 본 조성물에 포함되는 생약 관련 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제2006-0058530호에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우엉, 신이화, 엉겅퀴, 울금, 오미자의 혼합 추출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제2007-0095588호에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용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공법에 관한 금은화를 포함하는 어성초, 당귀, 약쑥, 천궁, 신선초, 홰나무, 솔싹, 박하, 녹두, 살구씨, 송진, 상황버섯, 생강, 현삼, 조피, 녹차, 금잔화, 도라지, 검은콩의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제2006-0074038호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금은화, 당귀, 부평초, 우슬, 금잔화, 알로에, 황금의 혼합추출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제2006-0092373호에 화분, 백강잠, 동충하초, 사상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선택적 성분으로서 금은화, 질려, 사삼, 또는 포공영을 더욱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작용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제2007-0110589호에는 쑥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여드름 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용 조성물의 적용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특허공개 2001-0003116에는 청자소엽과 적자소엽의 물 추출액과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기능성 식품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한약재들은 피부염 관련 생리활성 등의 기능을 가져 이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에 자주 사용되어 왔으나, 그 효과가 단시간내에 나타나 효과가 미미하고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 경감용일 뿐 근본적인 원인 치유에는 한계가 있어서 사용하기 부적절하였다.
또한, 기존의 의학적 처방제인 스테로이드제에는 여러 가지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생약 조성물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토피 피부염의 가시적인 병변인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며 항염증 효과 및 지속적인 보습효과와 면역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줄이고, 또한 부작용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생약조성물의 제공이 아토피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요청되어 오고 있는 실정 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의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화장품에 비해서 아토피 피부염 억제, 항균, 면역조절 효과가 우수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및 그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안전하고, 비자극성이며, 피부 침투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백, 보습, 및 턴 오버 효과가 우수하며, 사람의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에 쉽고 안전하게 침투하면서 피부질환의 유발 문제가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조성은 부작용 및 독성을 낮추어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증상을 더욱 감소시키고, 항균 및 보습력과 면역능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서 재발의 위험을 낮추는 장점을 갖는, 또한 비-스테로이드 관련 제품을 통해 화장품 시장에 접근하고자 본 생약조성물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으로 구성되는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질환을 겪는 사람에 있어서 화장료로서의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생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우엉(Arctium Lappa Root)은 우리나 라 전국의 산야지에서 자라며, 7월 내지 8월에 개화하는 2년생 초본이다. 식용 및 약용식물로 농가에서 옛날부터 재배하던 것이 야생으로 퍼져서 자생하고 있다. 원산지는 유럽이다. 뿌리는 식용으로 하고, 종자는 이뇨제로서 부기에 사용하며, 인후통의 해소 및 독충의 해독제로 활용하기도 한다. 우엉의 뿌리에는 이눌린과 약간의 팔미트산이 들어 있다. 상기 우엉 추출물은 정제수와 프로필렌 글라이콜 50:50의 조건하에 상온에서 16시간 추출한 뒤 10㎛ 필터로 여과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금은화(Lonicera japonica Thunb)는, 염증, 궤양, 위암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플라보노이드, 루테올린, 이노시톨 등이 들어있어 강력한 향균 작용은 물론 항암작용 및 면역 강화 기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 Benn)는 다량의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성분 및 쓴맛을 내는 콰시인 성분 함유하며, 한방 미용 등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비타민 A, C 칼슘 및 카로틴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콜레스테롤 배출을 도와주고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염증 및 보습에 있어서도 효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자소엽(Perilla frutescens)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현대 의학에서는 자소의 항염증, 항알러지, 항천식, 항산화 작용 등에 주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조성 생약 성분을 혼합하거나 각 약제별로 정제수와 프로필렌글라이콜 혹은 에탄올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상의 추출물은 농축을 하거나 또는 건조분말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생약 구성은 기존의 우엉추출물을 함유한 기술과 비교하여 새로운 조성물로서, 실제 사람의 아토피 피부병변과 가장 유사한 동물모델로 알려져 있는 Nc/Nga 마우스를 사용하여, 가려움 및 염증, 아토피 질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사이토카인(cytokine) 등에 있어서의 효능을 확인 하였다. 더 나아가 가려움을 호소하는 아토피 질환 및 염증질환을 겪는 유아와 성인에게서의 본 의약품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함을 통해서 다양한 연령대가 사용할 수 있는 진보성을 갖는 인체에 안전한 화장료를 추구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효과와 항염증 및 항균효과를 갖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의약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및 자소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을 각각 세척 및 건조한 후 중량의 약 1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3배~10배 분량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의 극성용매, 프로필렌글라이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로포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에탄올 또는 30 내지 100% 프로필렌글라이콜로 약 1시간~24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8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여 감압 여과 및 농축하여 본 발명의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 효과를 갖는 의약품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며, 바람직하게는 구성의 배합비가 우엉(1~3):금은화(1~3):소태나무(1~3):인진쑥(1~3):자소엽(1~3) 중량비(w/w)인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통상의 약학용 담체 또는 화장품 제조용 기제물질과 혼합하여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의약품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1 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아토피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프로필 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려움증의 억제 및 완화 효과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생약들로부터 적절하게 그 구성 생약을 첨가하거나 혹은 삭제하거나, 그 배합비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 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품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한방 식물추출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아토피피부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어온 세라마이드(Ceramides) 등 보습제 또는 지질(Lipids) 성분이나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등의 스테로이드(Steroids),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의 비타민A 유도체 또는/및 토코페롤(Tocopherol), 기타 식물추출물 등을 공지의 레시틴(lecithin)을 이용하여 리포좀(liposome) 형태로 만들거나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에 포접시켜 병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되, 종래의 화장료제형인 피부외용연고,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젼,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헤어토닉, 전신세정제, 오일젤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들은 오래 전부터 동양에서는 민간요법 또는 한방에서 사용해 오던 재료로서 일정 함유량 내에서 피부 외용제로 사용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어서,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약 조성물에 기호성 식품 성분을 첨가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각종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하게 선택하여 배합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개선이 기대되는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의 생약추출물은 가려움증을 가라앉히고 항균성 및 보습성과 면역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아토피 환자의 병변을 경감시키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요인을 차단함으로서 아토피 피부염을 겪는 환자에게 예방, 개선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가려움과 염증 부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IgE, TNF-α등을 모두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내는 효과임으로, 아토피 피부질환 및 염증성 피부질환환자 등에 있어서 도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실험예 1 : 항균효과실험>
하기 실시예1, 2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2차 감염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확인하고자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어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균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를 이용한 아가 확산(agar diffusion)법으로 사용 균주에 상기 비교 예1 및 예2 샘플을 페이퍼 디스크에 점적한 후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의 직경(㎜)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5, 표6 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은 멸균수에 희석시킨 샘플과 제제예 1은 화장료에 희석시킨 샘플이다.
표3.
Group (에탄올 추출물)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의 직경 (㎜) - 균주 :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
실시예 1
멸균수 8.2±0.2
실시예 1-1 11.8±0.27
실시예 1-2 11.9±0.34
실시예 1-3 10.9±0.83
실시예 1-4 11.1±0.45
실시예 1-5 11.6±0.63
표4.
Group (프로필렌글라이콜 추출물)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의 직경 (㎜) - 균주 :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
실시예 1
멸균수 8.2±0.2
실시예 1-1 12.8±0.21
실시예 1-2 11.1±0.31
실시예 1-3 10.2±0.72
실시예 1-4 10.5±0.62
실시예 1-5 10.6±0.45
상기의 표3, 4 은 각각의 생약의 에탄올 추출법과 프로필렌글라이콜 추출법에 따른 결과이다. 그 결과 우엉의 경우 프로필렌글라이콜로 추출하였을때 항균력 이 더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또한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의 경우는 프로필렌글라이콜과 에탄올 추출법이 비슷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에 아래의 실험예 및 제제예 에서는 아토피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우엉은 프로필렌글라이콜 추출법을 사용하였고,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은 에탄올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표5.
Group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의 직경 (㎜) - 균주 :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
실시예 1
멸균수 8.2±0.2
실시예 1-1 12.8±0.21
실시예 1-2 11.9±0.34
실시예 1-3 10.9±0.83
실시예 1-4 11.1±0.45
실시예 1-5 11.6±0.63
실시예 1-6 15.4±0.29
실시예 1-7 15.3±0.88
실시예 1-8 16.4±0.81
실시예 1-9 15.4±0.23
실시예 1-10 14.1±0.76
실시예 1-11 14.2±0.71
실시예 1-12 14.4±0.81
실시예 1-13 14.6±0.61
실시예 1-14 14.8±0.44
실시예 1-15 14.1±0.49
실시예 1-16 14.7±0.77
실시예 1-17 14.6±0.61
실시예 1-18 14.4±0.59
표6.
Group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의 직경 (㎜) - 균주 :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
제제예 1
화장료 8.6±0.24
실시예 1-1 14.2±0.3
실시예 1-2 13.6±0.54
실시예 1-3 13.3±0.42
실시예 1-4 13.8±0.32
실시예 1-5 12.9±0.76
실시예 1-6 16.4±0.81
실시예 1-7 16.9±0.45
실시예 1-8 18.8±0.27
실시예 1-9 17.9±0.22
실시예 1-10 17.4±0.63
실시예 1-11 17.2±0.38
실시예 1-12 17.6±0.87
실시예 1-13 17.6±0.53
실시예 1-14 17.7±0.55
실시예 1-15 17.4±0.71
실시예 1-16 17.6±0.42
실시예 1-17 16.3±0.39
실시예 1-18 16.1±0.66
<실험예 2 : In vivo 평가, 염증 및 부종 유발인자(TPA)로 유도한 마우스 모델 실험>
상기의 표5 과 표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제제예 1에 있어서 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1-9의 생약구성이 항균력이 다른 실시예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더욱이 화장료에 희석시킨 제제예 1에 있어서의 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1-9의 구성이 항균력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제제예 1에 있어서의 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1-9의 구성이 아토피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인 부종 억제율에 따른 항염증 효능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로써 4~6주령의 체중 25~35g인 ICR계 마우스를 실험군별로 5마리씩 사용하여 반복실험 하였다. 먼저 각 그룹별로 각각의 일정한 함량의 추출생약이 함유되어 있는 화장료를 마우스의 양쪽 귀에 각각 50㎎씩 면봉으로 도포하여 준다. 30분이 지난 후 부종 유도 물질인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를 5nmol/50㎕ 의 농도로 4시간 처리 후 마우스의 양쪽 귀를 잘라내어 무게를 측정하여 TPA에 의해 유도된 부종에 있어서의 상기 화장료들에 대한 부종 억제율을 하기의 표7 에 나타내었다.
표7.
Group 귀 무게 (mg) 억제율 (%)
control 11.5±0.37 -
TPA 19.1±0.91 #
제제예 1 실시예 1-1 17.3±0.77 9.42
실시예 1-5 17.9±1.00 6.28
실시예 1-6 15.1±0.52 20.94
실시예 1-7 15.5±0.29 18.85
실시예 1-8 13.9±0.37 27.22
실시예 1-9 15.8±0.51 17.28
실시예 1-10 15.0±0.33 21.47
실시예 1-11 15.1±0.67 20.94
실시예 1-12 14.9±0.54 21.99
실시예 1-13 14.4±0.63 24.61
실시예 1-14 14.9±0.57 21.99
실시예 1-15 14.4±0.88 24.61
실시예 1-16 15.1±0.49 20.94
실시예 1-17 16.5±0.67 13.61
실시예 1-18 17.9±0.55 6.28
상기 표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구성 화장료중 제제예 1의 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1-13, 1-15의 구성으로 각각의 생약이 함유된 그룹의 부종 억제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우엉(1~3):금은화(1~3):소태나무(1~3):인진쑥(1~3):자소엽(1~3) 중량비(w/w)인 복합생약추출물의 함유가 항균력이나 항염증 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아래의 실험예 3에서는 실험예 2와 제제예의 실시예로서 화학적 아토피 유발인자에 의해서 유도된 아토피 병변을 갖는 마우스에 있어서의 효능을 확인 하였다.
<실험예 3 : In vivo 평가, 아토피 유발인자(DNCB)로 유도한 마우스 모델 실험>
상기 제제예 1에 있어서의 실시예 1-1, 1-6, 1-7, 1-8, 1-9, 1-10, 1-17의 구성이 사람의 아토피 병변과 가장 유사한 병변을 갖는 마우스에 있어서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7주령의 체중 25~27g인 Nc/Nga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Nc/Nga 마우스의 등 부위를 제모한 뒤 화학적 아토피 유발물질로 알려져 있는 DNCB(2,4-dinitrochlorobenzene) 1%를 실험 시작 3일 전 200씩 귀 및 등 부분에 도포하고, 3일 후부터는 각 실시예의 각 생약들이 함유되어 있는 화장료를 150㎎씩 매일 면봉을 이용하여 발라주었다. DNCB는 0.2% 의 농도로 주 2회 150씩 지속적으로 도포하여 준다. 12주간 일주일에 한 번씩 아토피 관련 평가 항목<홍반 (Erytherma), 부종&혈종 (Edema&Excoriation), 짓무름 (Erosion), 태선화 (Lichenificaiton)>들을 scoring(0:증상없음, 1:경증, 2:중증, 3:매우심한증상)하여 합산한 값의 평균값으로 평가하였고 이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으며, 도 2 에 동물의 사진을 첨부하였다. 또한 12주째에 마우스의 안면, 귀, 등 부위의 긁는 횟수를 20분간 측정하여 아래 표8 에 나타내었다.
표 8.
Group 20분간 긁은 평균 횟수 억제율 (%)
Control 12.7±2.4 -
DNCB 처리 103.0±8.39 #
제제예 1 실시예1-1 88.6±11.21 13.98
실시예1-6 58.6±9.21 43.11
실시예1-7 35.2±4.82 65.82
실시예1-8 21.0±1.53 79.61
실시예1-9 55.2±11.3 46.41
실시예1-10 44.3±8.91 56.99
실시예1-17 77.5±8.99 24.75
상기 표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예 1의 실시예 1-8이 79.61%의 억제율로서(실시예 1-1: 13.98%, 실시예 1-6: 43.11%, 실시예 1-7: 65.82%, 실시예 1-9: 46.41%, 실시예 1-10: 56.99%, 실시예 1-17: 24.75%) 가장 우수한 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도 2 를 보았을 때도, 제제예 1의 실시예 1-8이 DNCB에 의해 유도되는 홍반, 혈종, 염증, 태선화 등에 있어서 뛰어난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8 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12주째에 마우스의 안면 및 귀, 등 부위의 긁는 횟수를 20분간 측정한 결과 DNCB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control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약 8배가량 긁는 횟수가 증가한데 비해서 제제예 1의 실시예 1-8의 그룹에서는 90.8%의 긁는 횟수의 억제 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생약 구성화장료는 아토피 환자들에 수반되는 가려움증 현상을 동물 실험을 통해서 현저하게 억제시킴을 확인 할 수 있다.
표 9.
Group IgE level(ng/ml) 억제율 (%)
control 44.5±3.4 -
DNCB 처리 110.6±0.66 #
제제예 1 실시예 1-8 102.3±0.21 7.5
상기 표9 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제제예 1의 실시예 1-8에서 12주째에 마우스 의 혈액에서 분리한 serum 내에서의 IgE level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ontrol 그룹과 비교 하였을 때 DNCB를 처리한 그룹에서 IgE level이 약 148.3% 유의성 있게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나, 본 생약 구성화장료를 발라준 그룹에서는 DNCB를 그룹에 비해 7.5% 억제시키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생약구성 화장료가 감소시키는 아토피병변(도 1, 도 2 참조)은 12주째에서 IgE가 억제됨으로써 가려움 등에 있어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표10.
Group TNF-α level(pg/ml) 억제율 (%)
control 366.7±15.68 -
DNCB 처리 490.0±53.65 #
제제예 1 실시예 1-8 394.3±11.89 19.53
상기 표10 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제제예 1의 실시예 1-8에서 12주째에 마우스의 혈액에서 분리한 serum 내에서의 TNF-α level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ontrol 그룹과 비교 하였을 때 DNCB를 처리한 그룹에서 TNF-α level이 366.7에서 490.0(pg/ml)으로 약 33.6% 유의성 있게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본 생약 구성화장료를 발라준 그룹에서는 TNF-α level이 394.3(pg/ml) 로 감소되어 DNCB를 처리한 그룹에 비해 19.53% 억제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생약구성 화장료가 감소시키는 아토피병변(도 1, 도 2 참조)은 12주째에서 TNF-α가 억제됨으로써 염증성 피부질환을 동반한 아토피 질환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가려움증과 염증질환을 동반하는 백선이라는 피부염을 갖는 아토피 환자에 있어서의 본 생약 구성물의 화장료로서의 효과 (29세, 남)>
도 3 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본 병변은 백선이라 하는 일종의 피부곰팡이를 동반한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습한 환경이나, 목욕 후 잘 건조시키지 않은 경우 나타나기도 하며, 심한 가려움증과 염증반응을 수반한다. 특히 심한 경향을 보이는 오른쪽 허벅지 부위에 집중적으로 제제예 1의 실시예 1-8의 화장료를 8주간 꾸준히 처리한 결과 2주째에는 가려움증, 염증, 홍반, 태선화 등에 있어서 뛰어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4주째에서는 상처등도 치유되고 있음을 눈에 띄게 확인하였다. 8주째에서도 지속적인 효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환자 본인역시 가려움증으로부터의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에 제제예 1의 실시예 1-8의 화장료에서 가려움 및 염증 등의 질환을 겪는 환자에 있어서도 효과를 보여 주었다.
<실험예 5 : 가려움증과 홍반 등을 수반하는 아토피 환자에 있어서의 본 생약 구성물의 화장료로서의 효과>
도 4 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가려움증과 홍반, 염증 등을 수반하는 아토피 환자에게서 4주간 제제예1의 실시예1-8의 화장료를 처리한 결과, 육안적으로 나타나는 홍반, 발진 등에 있어서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하였고, 3세 여아와 12세 남아의 보호자로부터, 다리 및 등 부위를 긁는 행위가 감소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33세 여자의 경우에는 가려움이나 홍반의 감소뿐만 아니라, 염증도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구성 화장료는 유아 및 어른에 있어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연령대가 사용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화장료임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생약 추출물의 제조>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 각각 600g을 50메쉬 정도의 입자로 잘게 분쇄한 후, 각각의 생약 중량의 5배량의 70% 에탄올수용액에서 3시간 동안 환류 냉각한 후, 여과지(10㎛ filter)로 여과하여 추출한 액을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각 생약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생약은 50% 프로필렌글라이콜 수용액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표1.
실시예 1 구성생약 추출물 조성비 (중량비) 생약 추출물 혹은 혼합물 중량%
실시예 1-1 우엉 1 4.0%
실시예 1-2 금은화 1 4.0%
실시예 1-3 소태나무 1 4.0%
실시예 1-4 인진쑥 1 4.0%
실시예 1-5 자소엽 1 4.0%
실시예 1-6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1:1:1 4.0%
실시예 1-7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2:1:1:1:1 4.0%
실시예 1-8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3:1:1:1:1 4.0%
실시예 1-9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2:1:1:1 4.0%
실시예 1-10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3:1:1:1 4.0%
실시예 1-11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2:1:1 4.0%
실시예 1-12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3:1:1 4.0%
실시예 1-13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1:2:1 4.0%
실시예 1-14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1:3:1 4.0%
실시예 1-15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1:1:2 4.0%
실시예 1-16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1:1:3 4.0%
실시예 1-17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5:1:1:1:1 4.0%
실시예 1-18 우엉:금은화:소태나무:인진쑥:자소엽 1:1:1:1:5 4.0%
<실시예 2 : 생약 추출물 및 혼합물을 함유한 제제의 제조>
하기 표2 에 나타낸 통상적인 화장료 유화액 조성물에,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4.0 중량%로 준비한다. 표2 에 나타낸 B상을 80℃까지 가온 용해하고, A상도 정제수와 함께 80℃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완전히 용해 된 후, 상기한 B상에 상기한 A상을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잘 교반하면서 유화한 후, C상을 상기한 B상에 투입하여 중화시켰다. 상기한 B상을 45℃까지 냉각한 후, 상기한 B상에 D상을 투입, 교반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2.
원료명 제형(중량%)
제제예1
-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1- 10 실시예 1- 11 실시예 1- 12 실시예 1- 13 실시예 1- 14 실시예 1- 15 실시예 1- 16
D 추출물 0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A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세탄올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0.4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세토스레아릴알코올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0.8
스테아린산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디메친콘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디아이 씨 12-13 알킬마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스쿠알렌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B 농글리세린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1,3 부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미네랄 오일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C 트리에탄올아민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3 : 화장수 제조>
실시예 1-8 추출물 4.0 중량%, 글리세린 5.0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3.0중 량%, 히알루론산 0.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중량%,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텔 0.1중량%, 에탄올 5.0중량%, 방부제 0.15중량%,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에센스 제조>
실시예 1-8 추출물 4.0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중량%, 밀납 0.5중량%, 스쿠알란 5.0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중량%, 디메틸실록산 0.3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중량%, 글리세린 4.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0.2중량%, 카르복시폴리머 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 적량의 방부제, 향료, 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로션 제조>
실시예 1-8 추출물 4.0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중량%, 밀납 0.5중량%, 스테아린산 0.5중량%, 유동파라핀 7.0중량%, 스쿠알란 5.0중량%, 마카데미아오일 3.0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중량%, 디메틸실록산 0.3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중량%, 글리세린 4.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중량%, 베타인 4.0중량%, 카르복시폴리모 0.1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5중량%, 방부제 0.25중량%,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크림 제조>
실시예 1-8 추출물 8.0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중량%, 자기유화형 모 노스테아린산 0.5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1.5중량%, 밀납 0.5중량%, 유동파라핀 8.0중량%, 스쿠알란 7.0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중량%, 정제호호바유 4.0중량%, 디메틸실록산 0.3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중량%, 글리세린 6.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중량%, 베타인 4.0중량%, 잔탄검 0.0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중량%, 방부제 0.25중량%,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젤 제조>
실시예 1-8 추출물 5.0중량%, 글리세린 4.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중량%, 에탄올 10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중량%, 카르복시폴리머 0.30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0중량%, 적량의 방부제, 향료, 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젤을 제조하였다.
도 1은 사람의 아토피 병변과 가장 유사한 병변을 갖는 마우스에 있어서의 실시예 1-6, 1-7, 1-8, 1-9, 1-10 추출물의 치료효과 그래프이다.
도 2는 아토피 유발인자(DNCB)로 유도한 마우스 모델 실험의 결과이다.
도 3은 가려움증과 염증질환을 동반하는 백선이라는 피부염을 갖는 아토피 환자에 있어서의 본 생약 구성물의 화장료 처리시 치료효과 그림이다.
도 4는 가려움증과 홍반 등을 수반하는 아토피 환자에 있어서의 본 생약 구성물의 화장료로서의 효과 그림이다.

Claims (8)

  1. 우엉(1~3) : 금은화(1~3) : 소태나무(1~3) : 인진쑥(1~3) : 자소엽(1~3) 중량비율 혼합 생약의 프로필렌글라이콜 또는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우엉은 프로필렌글라이콜 추출물이고,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및 자소엽은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엉, 금은화, 소태나무, 인진쑥, 자소엽의 추출용매인 프로필렌글라이콜과 에탄올은 각각 30 내지 100% 프로필렌글라이콜 수용액이고, 50 내지 10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5.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피부외용제.
  6.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외용연고,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젼,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헤어토닉, 전신세정제 및 오일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KR1020080136854A 2008-12-30 2008-12-30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0905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54A KR100905386B1 (ko) 2008-12-30 2008-12-30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54A KR100905386B1 (ko) 2008-12-30 2008-12-30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386B1 true KR100905386B1 (ko) 2009-06-30

Family

ID=4098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854A Active KR100905386B1 (ko) 2008-12-30 2008-12-30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3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970B1 (ko) 2009-04-14 2012-05-30 이규민 항알레르기, 항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인 소엽에 함유된 로즈마린산의 효율적인 소엽 추출 제조방법
KR101262813B1 (ko) 2009-12-15 2013-05-09 서정희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312025B1 (ko) 2011-04-26 2013-09-27 주식회사 참 존 소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추출물의 용도
CN104707032A (zh) * 2015-04-13 2015-06-17 黄艳影 一种美白祛斑中药面霜及其制备方法
CN104758221A (zh) * 2015-01-08 2015-07-08 海南蛛王药业有限公司 一种蜘蛛冻干粉蚊虫水及其制备方法
KR20190062341A (ko) * 2019-05-20 2019-06-05 (주)아모레퍼시픽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018075A (ko) 2018-08-10 2020-02-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주밀감, 비자,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JP2021519317A (ja) * 2018-04-12 2021-08-10 ソシエテ・デ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デュイ・プール・レ・アンデュストリー・シミック・セピック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ポ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をベースとする新規組成物、その化粧的使用、及びそれを含む化粧用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322A (ko) * 2000-11-06 2002-05-11 안용찬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52839A (ko) * 2003-12-01 2005-06-07 주식회사 태평양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322A (ko) * 2000-11-06 2002-05-11 안용찬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52839A (ko) * 2003-12-01 2005-06-07 주식회사 태평양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27, No.1, pp.72-83 '소풍도적탕이 아토피 피부염의 항염증효과와 각질츨 ceramide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06.03.)*
약학회지 Vol.46, No.1, pp.18-23 'jurkat T 임파구의 세포주기 기전에 미치는 저근백피(Ailanthus altissima)의 효과’ (2002.)*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970B1 (ko) 2009-04-14 2012-05-30 이규민 항알레르기, 항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인 소엽에 함유된 로즈마린산의 효율적인 소엽 추출 제조방법
KR101262813B1 (ko) 2009-12-15 2013-05-09 서정희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312025B1 (ko) 2011-04-26 2013-09-27 주식회사 참 존 소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추출물의 용도
CN104758221A (zh) * 2015-01-08 2015-07-08 海南蛛王药业有限公司 一种蜘蛛冻干粉蚊虫水及其制备方法
CN104707032A (zh) * 2015-04-13 2015-06-17 黄艳影 一种美白祛斑中药面霜及其制备方法
JP2021519317A (ja) * 2018-04-12 2021-08-10 ソシエテ・デ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デュイ・プール・レ・アンデュストリー・シミック・セピック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ポ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をベースとする新規組成物、その化粧的使用、及びそれを含む化粧用組成物
JP7366048B2 (ja) 2018-04-12 2023-10-20 ソシエテ・デ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デュイ・プール・レ・アンデュストリー・シミック・セピック ポリカフェオイルキナ酸をベースとする新規組成物、その化粧的使用、及びそれ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20200018075A (ko) 2018-08-10 2020-02-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주밀감, 비자,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KR20190062341A (ko) * 2019-05-20 2019-06-05 (주)아모레퍼시픽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79310B1 (ko) 2019-05-20 2020-02-19 (주)아모레퍼시픽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5386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516002B1 (ko) 아토피증상 완화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2292A (ko)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120060296A (ko) 화장료 조성물
JP2007230977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i
KR20090017282A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US7597911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wounds and burns
CN114146014B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7777A (ko) 두피염증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2324A (ko) 피부 염증성 질환 치료용 다시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280315B1 (ko) 피톤치트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20110079088A (ko) 고순도 카테킨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00026855A (ko)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134118A (ko)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