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787B1 - Injection vessel with overpressure relief - Google Patents
Injection vessel with overpressure relie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3787B1 KR100903787B1 KR1020070107996A KR20070107996A KR100903787B1 KR 100903787 B1 KR100903787 B1 KR 100903787B1 KR 1020070107996 A KR1020070107996 A KR 1020070107996A KR 20070107996 A KR20070107996 A KR 20070107996A KR 100903787 B1 KR100903787 B1 KR 1009037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stem
- opening
- closing member
- overpressure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fre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6 hair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65D83/70—Pressure relief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for the discharge of contents;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분사 용기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에 과압이 걸린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상기 과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과압 해소 장치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ray container for selectively spray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housing by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over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overpressure release device that can eliminate the overpressure state without the user's operation It provides a spray cont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사될 내용물이 수용된 하우징 내부에 과압이 걸린 경우에 이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해소되게 하는 과압 해소장치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ay container having an overpressure releasing device for relieving the overpressure inside a housing containing the contents to be sprayed without the need for user manipulation.
일반적으로 분사 용기는 분사할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하우징 내부에 충전하여 분사가스(추진제 또는 추진가스)와 함께 밀봉시켜둔 상태에서, 분사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말한다. In general, the injection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contents to be injected (fluid or gas) inside the housing and sealed with the injection gas (propellant or propellant gas), so that the contents can be injected to the outside using the pressure of the injection gas. Say courage to do.
상기 분사가스로는 통상 프레온,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등의 가스가 사용되며, 이러한 분사 용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용 가스용기,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휴대용 에어로졸 소화기, 가스 라이터용 용기 등이 있다.Frequently, gas such as freon, carbon dioxide, nitrogen and oxygen is used as the injection gas, and typical examples of such injection vessels include portable gas containers, spray mosquito repellents, hair sprays, portable aerosol fire extinguishers, and gas lighter containers.
이와 같은 분사 용기는 내용물을 분출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가스를 충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일정 이상의 충격이나 열이 가하여져 내부에 충전된 가스가 쉽게 기화되어 용기의 팽창 등으로 과압 상태가 됨에 따라 용기의 변형과 함께 파열의 위험성이 있다. Since the injection container uses gas filled therein to eject the contents, a certain amount of impact or hea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gas filled inside is easily vaporized and becomes overpressured due to expansion of the container. There is a risk of rupture with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분사 용기의 자체적인 구성에 의해 위와 같은 과압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es for solving such an overpressure state by the self-constitution of the spray container regardless of the user's operation have been conduct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과압 해소 장치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ray container having an overpressure releasing device of a typ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분사 용기가 다른 장치에 장착된 경우에도 가스 배출 통로를 밀폐하는 구성만이 이동되어 과압 상태를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는 분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jection container capable of easily eliminating the overpressure state by moving only the configuration for closing the gas discharge passage even when the injection container is mounted in another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밀폐를 위한 구성만 이동 가능하기에, 과압 해소 장치가 작동하는 압력의 수준을 보다 낮추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only the configuration for sealing as described above, it is to lower the level of pressure to operate the overpressure release devi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사 용기는 분사할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조작 시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노즐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spra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formed with an inner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contents to be sprayed, and a nozzle assembly mounted to the housing so that the contents are sprayed to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It includes.
상기 노즐 조립체는 노즐 몸체와, 밸브스템 및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 몸체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내용물이 유동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스템은 상기 노즐 몸체의 공간부에 제1 탄성체에 의해 지지된 채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가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는 가스 유동이 가능한 틈새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밸브스템의 외주에 형성된 이동 구간 내에서 상기 통로의 입구를 차단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입구에 벗어난 제2 위치로 제2 탄성체에 의해 지지된 채로 탄성적으로 상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형성된 과압에 의해 상대 이동하여 상기 통로를 개방한다. 상기 틈새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노즐 몸체의 지지턱에 대하여 상승 이동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The nozzle assembly includes a nozzle body, a valve stem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nozzle body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a space portion through which the contents flow. The valve stem is elastically movabl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body in the space portion of the nozzle body, and has an inner passage allowing the space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gas for the housing. It is arranged to form a gap where flow is possible.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capable of elastically relative sliding movemen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body from the first position blocking the inlet of the passage in the movement sec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tem to the second position away from the inlet. It is mounted and relatively moved by the overpressure formed in the inner space to open the passage. The gap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up relative to the support jaw of the nozzle body.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밸브스템의 외주를 감싸면서 상기 밸브스템의 축방향 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slidably mount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stem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stem.
상기 밸브스템의 외주에는 상기 이동 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축방향을 따라 리세스된 형태의 이동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tem may be formed with a movement guide portion of the shape recess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form the movement section.
상기 통로의 일 부분을 이루는 유입구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와 연통되게 상기 밸브스템에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개방 시에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An inlet constituting a portion of the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valve stem in communication with the movement guide portion, and may be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en the passage is opened.
삭제delete
상기 분사 용기는 상기 개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탄성체를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jection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support and guide the second elastic bod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분사 용기는 개폐부재가 밸브스템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밸브스템이 다른 장치와의 간섭에 의해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개폐부재 만이라도 이동하여 과압 상태 해소를 위한 분사 통로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As the injec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valve stem, even when the valve stem cannot be moved by interference with other devic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to solve the overpressure state. It is possible to open the injection passage for.
또한,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만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개폐부재를 이동시킬 정도의 낮은 수준의 과압도 바로 해소될 수 있다. 그 결과로,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과압의 정도는 더욱 낮아지게 되어, 용기의 안정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move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overpressure at a low level enough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immediately eliminated. As a result, the degree of overpressure formed inside the housing is further lowered,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container can be enhanc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압 해소 기능을 구비하는 분사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ray container having an overpressure release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의 종 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injec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 용기는 하우징(100) 및 노즐조립체(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pray container includes a
하우징(100)은 내용물 및 분사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S)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하부 및 상부 밀봉캡(120 및 130)을 포함한다. 하부 밀봉캡(120)은 내부 공간(S)에 일정 수준의 과압이 걸린 경우 내부 공간(S)의 체적을 확대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기 위하여 내부 공간(S)을 향해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밀봉캡(130)에는 노즐조립체(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40)가 결합 된다. The
노즐조립체(200)는 일 단부가 내부 공간(S)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채로 지지부재(14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에 내부 공간(S)에 충전된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외부로 분사되게 한다. The
도 2는 도 1의 노즐 조립체(200)의 미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non-operational stat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노즐조립체(200)는 노즐 몸체(210)와, 밸브스템(220)과, 개폐부재(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노즐 몸체(21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S)에 배치되는 중공체일 수 있 다. 노즐 몸체(210)의 중공 부분은 내용물 등이 유동하는 공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 공간(S)으로부터 내용물 등이 유입되는 유입로(211)와 밸브스템(220)이 배치되는 공간부(212)를 포함한다. 노즐몸체(210)와 지지부재(140) 사이의 틈새는 실링재(280)에 의해 차단된다.The
밸브스템(220)은 공간부(212)에 자신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스템(220)은 노즐 몸체(210)의 일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탄성체(2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탄성력에 반하여 또는 그의 도움을 받아 이동하게 된다. The
밸브스템(220) 역시 내부에 일정 공간을 구비하여 내용물 등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간은, 구체적으로 밸브스템(220)의 외주 상에 개구된 유입구(221)와,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되는 유출로(222)에 의해 형성되는 내용물 등의 유동을 위한 통로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유입로(211)는 유입구(221)를 거쳐 유출로(222)와 연결되면서, 내부 공간(S)이 외부와 연통 되게 한다.The
개폐부재(230)는 밸브스템(2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밸브스템(220)과 함께 또는 밸브스템(220)과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와 같은 내용물 등의 유출 통로를 개폐하게 된다.The opening /
개폐부재(230)는 밸브스템(220)의 외주를 감싸면서 밸브스템(22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밸브스템(220)의 외주에는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이드부(260)가 리세스된(recessed) 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260)의 양단부에 의해 개폐부재(230)의 슬라이딩 거리의 양단부 역시 한 정된다. 유입구(221)는 이동 가이드부(260)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개폐부재(230)가 상기 일 부분에 위치할 때 차단되게 된다.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부재(230)의 이동은 지지부재(140)에 일 단부가 지지되는 제2 탄성체(250)에 의해 탄성적에 반하여, 또는 그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다. 제2 탄성체(250)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개폐부재(230)에는 커버 부재(27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370)의 일 단부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여, 제2 탄성체(250)의 탄성 변형을 가이드하게 된다. 개폐부재(230)는 노즐 몸체(210)의 미작동 상태에서 노즐 몸체(210)에 형성된 지지턱(213)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2 탄성체(250)에 의해 가압 된다.The movement of the opening /
이러한 미작동 상태에서는 개폐부재(230)가 유입구(221)를 차단하기에, 내부 공간(S)에서 유입로(211)를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 등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된다.In this non-operating stat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도 3은 밸브스템(220)이 눌려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case in which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밸브스템(220)이 눌려지게 되면, 밸브스템(220)은 유입로(211)와 가까워지는 방향(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개폐부재(230)는 지지턱(213)에 걸려서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when the
그 결과로, 개폐부재(230)가 유입구(221)에서 멀어지게 밸브스템(22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유입구(221)가 개방된다. 개방된 유입구(221)로 유입된 내용물 등은 유출로(22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분사 용기를 이용하는 소정의 목적(내 용물 분사)이 달성되게 된다. 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도 4는 내부 공간(S)에 과압 발생 시에 밸브스템(220)과 개폐부재(230)가 함께 상승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 부분(A)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내부 공간(S)에서 발생한 과압이 유입로(211)를 통해 밸브스템(220)에 전달됨에 따라, 밸브스템(220)과 개폐부재(230)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개폐부재(230)는 제2 탄성체(250)의 탄성력에 반하여 이동하나 밸브스템(22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지 않을 수 있고, 그 경우에는 개폐부재(230)에 의하여 유입구(221)가 개방되지는 않는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s the overpressure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S is transmitted to the
유입구(221)가 개방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과압 가스는 개폐부재(230)와 노즐 몸체(210) 사이의 통로를 통해 밸브스템(220)과 지지부재(140)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어, 내부 공간(S)의 과압 상태가 해소되게 한다.Even if the
도 6은 내부 공간(S)에 과압 발생 시에 밸브스템(220)은 상승하지 않으면서 개폐부재(230)만이 상승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only the opening / closin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내부 공간(S)에서 발생한 과압의 정도가 크지 않아 밸브스템(220)은 이동하지 않는 경우라도, 개폐부재(230)만이 제2 탄성체(25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승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even when the
그 결과로, 유입구(221)가 개방되기에, 과압 가스는 유출로(222)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되고, 내부 공간(S)의 과압 상태는 해소될 수 있다. 나아가, 과압 가스는 개폐부재(230)와 노즐 몸체(210) 사이의 통로를 통해 밸브스템(220)과 지지부 재(140)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기도 한다.As a result, since the
이와 같이 밸브스템(220)과 상관없이 개폐부재(230)만의 이동으로도 과압 상태가 해소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밸브스템(220)이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개폐부재(230)가 이동하여 내부 공간(S)의 과압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overpressure may be eliminated even by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또한, 밸브스템(220)과 개폐부재(230)를 동시에 이동시킬 정도보다 낮은 과압 상태에서도 개폐부재(230)가 밸브스템(220)과 독립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낮은 수준의 과압도 조기에 해소되어 분사 용기의 과압으로 부터의 안정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opening and closing
도 7은 밸브스템(220)이 눌려진 경우에 내부 공간(S)에 과압 발생 시에 개폐부재(230)만이 상승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only the opening / closin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내부 공간(S)에서 발생한 과압에도 불구하고 밸브스템(220)은 분사 용기가 장착된 외부 장치, 예를 들어 가스 버너의 가버너 등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개폐부재(230)는 밸브스템(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됨에 따라, 제2 탄성체(25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승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despite the overpressure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S), the
이때, 유입구(221) 및 유출로(222)를 연결하는 경로는 이미 가스 버너 등에 대한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는 통로여서,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내부 공간(S)의 과압 상태를 해소할 수는 없다.At this time, the path connecting the
그러나, 개폐부재(230)의 상승으로 인하여 지지턱(213)과 개폐부재(230) 사이로 새로운 유로가 개방되기에, 과압 가스는 공간부(212)를 거쳐서 지지부재(140)와 밸브스템(220) 사이의 틈새로 외부로 배출되고, 내부 공간(S)의 과압 상태는 해소될 수 있다. However, since a new flow path is opened between the
이와 같이 밸브스템(220)과 상관없이 개폐부재(230)만의 이동으로도 과압 상태가 해소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밸브스템(220)이 이동할 수 없어 내부 공간(S)의 과압 상태가 해소되지 못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밸브스템(220)이 이동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분사 용기의 과압으로 부터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overpressure may be solved even by the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상기와 같은 분사 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Such a spray container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anner of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의 종 단면도이고,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njec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노즐 조립체의 미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n-operational state of the nozzle assembly of FIG. 1;
도 3은 밸브스템이 눌려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valve stem is pressed,
도 4는 내부 공간에 과압 발생 시에 밸브스템과 개폐부재가 함께 이동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이며,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alve stem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e together when an overpressure occurs in an internal space.
도 5는 도 4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4;
도 6은 내부 공간에 과압 발생 시에 개폐부재만이 이동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onl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moves when an overpressure occurs in an internal space.
도 7은 밸브스템이 눌려진 경우에 내부 공간에 과압 발생 시에 개폐부재만이 상승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case in which onl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raised when an overpressure occurs in the internal space when the valve stem is presse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996A KR100903787B1 (en) | 2007-10-25 | 2007-10-25 | Injection vessel with overpressure relie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996A KR100903787B1 (en) | 2007-10-25 | 2007-10-25 | Injection vessel with overpressure relie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2089A KR20090042089A (en) | 2009-04-29 |
KR100903787B1 true KR100903787B1 (en) | 2009-06-19 |
Family
ID=4076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7996A Active KR100903787B1 (en) | 2007-10-25 | 2007-10-25 | Injection vessel with overpressure relie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378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258B1 (en) | 2010-06-09 | 2012-05-17 | 주식회사 승일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8891A (en) * | 2001-04-11 | 2002-10-19 | 박진하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KR20020090671A (en) * | 2001-05-29 | 2002-12-05 | 박진하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KR100437957B1 (en) * | 2001-10-20 | 2004-07-02 | 박진하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
2007
- 2007-10-25 KR KR1020070107996A patent/KR1009037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8891A (en) * | 2001-04-11 | 2002-10-19 | 박진하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KR100416469B1 (en) * | 2001-04-11 | 2004-01-31 | 박진하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KR20020090671A (en) * | 2001-05-29 | 2002-12-05 | 박진하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KR100437957B1 (en) * | 2001-10-20 | 2004-07-02 | 박진하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258B1 (en) | 2010-06-09 | 2012-05-17 | 주식회사 승일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2089A (en) | 2009-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80733B2 (en) | Aerosol valve assembly and aerosol vessel | |
EP0826608A1 (en) | Spray mechanism for an aerosol product | |
US8919618B2 (en) | Over pressure release valve | |
KR100978850B1 (en)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1895583B1 (en)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0903787B1 (en) | Injection vessel with overpressure relief | |
KR101998024B1 (en)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20180062197A (en) | Injection valve device for spray | |
KR100936182B1 (en) | Nozzle Assembly and Vessel Having Same | |
JP4547532B2 (en) | Spraying equipment | |
KR100416469B1 (en)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
JP4407268B2 (en) | Button for intermittent injection | |
KR101139258B1 (en)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0936181B1 (en) | Metering vessel with residual gas discharge | |
KR100437957B1 (en) | Over 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ans | |
KR101186931B1 (en) | Aerosol can enable to expel high pressured gas therefrom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1049521B1 (en) | Injection vessel and valve assembly with overpressure release mechanism | |
JP5501420B2 (en) | Injection container equipped with an overpressure prevention valve | |
KR102634902B1 (en) | Hydrogen containing mist spraying device for ski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JP2021511269A (en) | Injection vessel and its valve assembly | |
KR102086284B1 (en)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1897739B1 (en) | Aerosol can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2037003B1 (en) | Aerosol can having overpressure protector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1897738B1 (en) | Aerosol can and valve assembly thereof | |
KR100461514B1 (en) | Safety valve apparatuspressur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