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899B1 - Breathable gloves - Google Patents
Breathable glov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9899B1 KR100899899B1 KR1020070107987A KR20070107987A KR100899899B1 KR 100899899 B1 KR100899899 B1 KR 100899899B1 KR 1020070107987 A KR1020070107987 A KR 1020070107987A KR 20070107987 A KR20070107987 A KR 20070107987A KR 100899899 B1 KR100899899 B1 KR 100899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alm
- hand
- vent holes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47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454 Hyperhid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092 H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37 artifici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47 silicone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460 swea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3—Baseball or hockey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의 상하 및 측면 상호 간을 통해 공기가 입체적으로 유통될 수 있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able gl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love through which air can be circulat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lo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성 장갑은 손을 감싸서 수용하는 것으로 다수의 손가락부와, 상기 손가락부의 일측에 형성된 손등부 및 손바닥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과 측면 및 하면 상호 간을 통해 공기가 입체적으로 유통되는 통기수단;을 구비하며, 통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1통기홀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2통기홀과,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 및 손가락부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통기홀 또는 제 2통기홀로 공기가 유통되는 제 3 및 제 4통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및 제 4통기홀의 총 단면적은 상기 제 1 및 제 2통기홀의 총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Breathable glo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containing a plurality of fingers,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palm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ger portion to accommodate the hand; And ventilation means through which air is three-dimensionally distributed through the upper and side surfac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ven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 second vent hole, and third and fourth vent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alm part and the fing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air flows to the first vent hole or the second vent hole;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nt hole is larger than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기성 장갑에 의하면 본체 하면의 통기공을 크게 형성하여 손바닥 측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땀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손바닥의 건조상태를 유지하고, 본체에 측면 및 상면으로 공기가 입체적으로 유통되도록 하여 통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eathable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hole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largely formed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is circulated to the palm side to maintain the dry state of the palm where sweat occurs most, and to the main body on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entilation efficiency by allowing air to be distributed in three dimensions.
장갑, 골프장갑, 등산장갑, 낚시장갑, 통풍, 입체 Gloves, golf gloves, hiking gloves, fishing gloves, ventilation, solid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기성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의 상하 및 측면 상호 간을 통해 공기가 입체적으로 유통될 수 있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able gl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love through which air can be circulat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love.
일반적으로 장갑은 작업용이나 방한용, 레저용, 스포츠용 등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gloves are mainly used for work, winter, leisure, sports and the like.
작업용 장갑은 주로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부터 손을 보호하여 손의 상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방한용은 외부의 한기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Working gloves are mainly used to protect the hands from shocks, etc. generated from the outside to prevent hand injury, cold protection is used to protect the hands from the cold outside.
그리고 스포츠용이나 레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갑은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손의 충격이나 미끄러짐 등과 같이 운동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특히 야구나 골프, 테니스 등과 같이 운동도구를 사용하는 운동의 경우 장갑을 착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의 흡수나 미끄럼 방지 또는 운동도구의 원활한 파지를 위해 착용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gloves used for sports or leisure are worn to prevent factors that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exercise, such as shock or slipping of the hand from the outside, especially using sports equipment such as baseball, golf, tennis, etc. In the case of exercise, by wearing glove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necessity to be worn for absorbing external shocks or preventing slipping or smooth gripping of exercise equipment.
이러한 종래의 장갑은 주로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과 같은 피혁재 또는 면이나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서 만든다. Such conventional gloves are mainly made of leather, such as natural leather or artificial leather, or materials such as cotton or rubb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갑은 단순 형상으로 그 착용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손을 보호하는 효과는 바랄 수 있으나, 장시간 착용시 외부와의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 지지 못하여 착용자의 손에서 발생되는 땀이나 습기와 같은 수분의 누적에 의해 착용시 그 착용감이 저하된다.However, the glove as described above may hav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hand by absorbing the impact from the outside when worn in its simple shape, but the sweat or moisture generated from the wearer's hand due to the poor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when worn for a long time. When worn by the accumulation of moisture, such a feeling of wear is reduced.
또한, 장시간 땀 등과 같은 수분의 발생과 그 누적으로 인하여 손바닥의 습진과 같은 피부질환이 유발되는 등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moisture, such as sweat for a long time, due to the accumulation of skin diseases such as eczema of the palm,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good hygiene.
특히, 스포츠용 장갑의 경우 손바닥에 땀이 고여 운동기구 파지시 마찰력의 저하로 미끄러짐 등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그립력 저하, 감각 둔화로 이어져 운동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sports gloves, sweating in the palm of the hand causes slippage and the like due to a decrease in frictional force when the exercise device is held, thereby lowering the grip force and desensitizing, thereby lowering the efficiency of the exercise.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256078호에는 손등제의 전면과, 손바닥재의 손가락 부위와, 손가락 연결재의 전면에 통기공이 형성된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56078 discloses a glove having a ven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of the hand, the finger portion of the palm material,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nger connecting material.
상기 개시된 장갑은 일부에만 통기공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손의 통풍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가장 땀이 많이 발생하는 손바닥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아 손바닥에 땀이 고인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glove disclosed above can not expect the ventilation effect of the overall hand is formed only a part of the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weat is accumulated in the palm because the ventilation is not formed in the palm is the most sweaty.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20618호에는 손가락부와, 손등부와, 손바닥부의 전체에 걸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운동용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And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0320618 discloses a glove for exercis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throughout the fingers,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palm of the hand.
상기 개시된 장갑은 전체적으로 통기공이 형성되어 손의 전 부위에 통풍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통기공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유동범위가 좁아 효율적인 통풍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glove disclosed above may be ven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hand is form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as a whole, but because the size of the ventilation hole is uniformly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t airflow can not be achieved because the flow range of the air is narrow.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땀이 많이 배출되는 손바닥부위로 가장 많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손의 피부면을 따라 흘러 상방이나 측방으로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입체적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장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air flows along the skin surface of the hand so that the most air flows into the palm area where sweat is discharged a lot, and the air is discharged upwards or sideways so that air is circulated in three dimensions. The aim is to provide gloves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끄러움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ov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slippag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성 장갑은 손을 감싸서 수용하는 것으로 다수의 손가락부와, 상기 손가락부의 일측에 형성된 손등부 및 손바닥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과 측면 및 하면 상호 간을 통해 공기가 입체적으로 유통되는 통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reathable glo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containing a plurality of fingers,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palm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ger portion to accommodate the hand; And ventilating means through which air is circulat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the top,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1통기홀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2통기홀과,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 및 손가락부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통기홀 또는 제 2통기홀로 공기가 유통되는 제 3 및 제 4통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및 제 4통기홀의 총 단면적은 상기 제 1 및 제 2통기홀의 총 단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nting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econd vent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vent hol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palm part and a finger part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Or third and fourth vent holes through which air is flowed into the second vent holes, wherein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s of the third and fourth vent holes are larger than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상기 제 3 및 제 4통기홀의 테두리를 따라 손가락부와 손바닥부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코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nger portion and a palm portion along the edges of the third and fourth vent hole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ating for preventing slipping.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1통기홀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2통기홀과, 상기 본체의 손바닥부 및 손가락부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통기홀 또는 제 2통기홀로 공기가 유통되는 제 3 및 제 4통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통기홀 또는 제 4통기홀의 테두리를 따라 손가락부 또는 손바닥부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코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nting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econd vent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vent hol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palm part and a finger part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Or a third and fourth vent hole through which air is flowed into the second vent hole, and a coating part for preventing slip is further provided on the finger part or the palm part along the edge of the third vent hole or the fourth vent hole. It is done.
상기 손가락부 및 손바닥부에는 마찰력이 큰 섬유 또는 피혁으로 덧대어져 형성된 보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ger portion and the palm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portion is further provided padded with a fiber or leather with a large friction force.
상기 손의 관절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의 손등부 및 손가락부의 상면에는 신축가능한 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astic band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joint of the hand.
상기 제 3통기홀은 각 손가락의 관절과 대응되는 위치의 손가락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4통기홀은 손바닥의 장심과 대응되는 위치의 손바닥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third vent holes may be formed at a finger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joint of each finger, and the fourth vent holes may include a palm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lm of the palm.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기성 장갑에 의하면 본체의 하면의 통기홀을 크게 형성하여 손바닥 측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손바닥에 수분발생을 최소화하여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eathable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ho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large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flows to the palm side, there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moisture in the palm and maintaining comfort.
또한, 본체의 하면으로 유입된 공기가 손의 표면을 따라 흘러 본체의 측면이나 상면으로 배출되거나, 본체의 측면이나 상면으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의 하면으로 배출되어 입체적으로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써 시원할 뿐만 아니라 통풍효과를 향 상시켜 장시간 착용시에도 착용감을 좋게 하고 피부질환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hand and is discharged to the sid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air introduced to the sid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dischar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ols by circulating air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ventilation effect can be worn even for a long time to wear and prevent skin diseases.
아울러 우천시 본체에 형성된 통기홀을 통해 빗물이 신속하게 배출되며 건조가 빠르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is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body during rainy weather and the drying is quick.
또한, 손바닥부에 형성된 통기홀의 테두리에 형성된 실리콘 코팅부가 미끄럼움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통기홀을 통해 노출된 손에 의해 압착력이 증가되어 마찰력을 증대시켜 운동기구의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여, 손의 편안함으로 인한 운동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silicone coating formed on the edge of the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palm portion not only prevents slippage, but also increases the compressive force by the hands expos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grip the exercise equipment. Thi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xerc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기성 장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breathable glo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기성 장갑은 크게 본체(10)와, 외부의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입체적으로 유통되는 통기수단을 구비한다.1 and 2, the breathabl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는 손을 수용하는 것으로, 손등을 둘러싸는 손등부(20), 손바닥을 둘러싸는 손바닥부(30)와, 다수의 손가락을 둘러싸는 손가락부(50)로 이루어진다. 손가락부(50)는 다시 엄지부(51), 검지부(53), 중지부(55), 약지부(57), 소지부(59)로 나뉜다.The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본체(10)는 한 장의 상부 원단지와, 한 장의 하부원단지를 대응하고 여러 장의 손가락연결재를 상기 상부원단지와 하부원단지의 손가락 부위의 사이에 배치하여 재봉에 의해 접합된다.The
본체(10)의 소재로는 모든 인조피혁(synthetic) 및 모든 비직조 원단(non-woven)과 모든 자연산 가죽(natural leather)등을 원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손등부(20)에는 조임밴드가 형성되어 손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조임밴드의 조절은 조임밴드측에 연결된 커버(25)를 조임밴드 측의 맞은 편 손등부에 접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데, 접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벨크로 형식의 파스너를 이용한다. 이외에도 파스너로서 똑딱이 단추, 고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ightening band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그리고 본체(10)의 상면과 측면 및 하면 상호 간을 통해 공기가 입체적으로 유통되는 통기수단으로는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1통기홀(61)과,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2통기홀(63)과, 본체(10)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3 및 제 4통기홀(65)(67)을 구비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61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제 1통기홀(61)은 손등부의 좌우 양측과, 각 손가락부(50)의 상면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손등과 손가락의 상면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The
제 2통기홀(63)은 각 손가락부(50)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제 2통기홀(63)은 제 1통기홀(61)의 크기보다 작거나 제 1통기홀(61)의 수보다 적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하면에서 유입된 공기 중 제 2통기홀(63)로 배출되는 공기보다 제 1통기홀(61)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더 많도록 유도하여 공기가 손가락의 측면을 따라 손가락의 상면이나 손등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그리고 본체(10)의 하면에는 제 3 및 제 4통기홀(65)(67)이 다수 형성된다. 이 경우 제 3 및 제 4통기홀(65)(67)의 총 단면적은 제 1 및 제 2통기홀(61)(63)의 총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의 부위 중 가장 많이 땀이 배출되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하면에 가장 많은 통기량을 유도함과 동시에 본체(10)의 측면이나 상면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입체적인 통풍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더운 여름에 손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착용자에게 시원함과 쾌적함을 준다.A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vent holes 65 and 67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따라서 제 3 및 제 4통기홀(65)(67)의 직경은 제 1통기홀(61)이나 제 2통기홀(63)보다 더 크게 형성되거나, 직경이 동일한 경우 제 3 및 제 4통기홀(65)(67)의 총 수가 제 1 및 제 2통기홀(61)(63)의 총 수보다 더 많도록 형성된다.Therefore, the diameters of the third and fourth vent holes 65 and 67 may be larger than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3 및 제 4통기홀(65)(67)의 직경을 제 1통기홀(61)이나 제 2통기홀(63)보다 더 크게 형성시킨다. 이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통기홀이 형성된 것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통기홀이 형성된 것이 골프채를 파지시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천시 야외에서 운동을 하더라도 본체(10) 내에 고인 물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본체(10)가 젖어있더라도 통기량이 많아 건조가 빠르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iameters of the third and fourth vent holes 65 and 67 ar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손가락부(5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 3통기홀(65)은 각 손가락의 관절과 대응되는 위치의 손가락부(5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가락의 상단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진행될 때 첫마디인 제 1절, 둘째 마디인 제 2절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손가락을 굽히는 경우 각 관절부위의 손가락부(50) 하면에서 가장 큰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손가락을 굽혔다 펴거나 폈다 굽히는 경우 펌핑작용을 하여 많은 양의 공기가 제 3통기홀(65)을 통해 유통되도록 한다.When the fingers are bent, the largest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골프채의 손잡이와 접촉되는 엄지부(51)와 검지부(53)에는 후술할 보강부(70)가 형성되므로 이 경우 제 3통기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And since the
제 4통기홀(67)은 손바닥부(30)에 다수 형성된다. 이 경우 손가락보다 손바닥으로의 더 많은 공기량을 유통시키기 위해 제 4통기홀(67)은 제 3통기홀(63)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fourth vent holes 67 are formed in the
특히, 제 4통기홀(67)은 손바닥의 중앙인 장심과 대응되는 위치의 손바닥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심부분은 손바닥의 가장 큰 세 개의 손금이 지나는 곳으로 주먹을 쥘 경우 오목한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손을 쥐었다가 펴거나, 편 상태에서 쥐는 경우 펌핑역할을 하여 손바닥부(30)의 중앙에 형성된 제 4통기홀(67)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어 손바닥의 통풍을 원활하게 한다.In particular,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 4통기홀(67)은 검지부(53)의 하부에서 장심을 지나 손목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데, 이는 손바닥의 세 개의 손금 중 하나의 손금과 일치하는 형상이다. 또한, 상기한 제 4통기홀(67)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채의 파지시 골프채와 손바닥부(30)의 접촉부위와 일치하므로 공기의 유통 외에도 그립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fourth vent holes 67 are formed in a curved direction in the wrist direction through the long cor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그리고 제 3 및 제 4통기홀(65)(67)의 테두리를 따라 손가락부(50)와 손바닥부(30)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코팅부(80)가 더 구비된다. 코팅부(80)는 그립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 통기홀의 테두리에 실리콘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코팅한다.Along with the edges of the third and fourth vent holes 65 and 67, the
또한, 손가락부(50) 또는 손바닥부(30)에는 마찰력이 큰 섬유 또는 피혁으로 덧대어져 형성된 보강부(70)가 더 구비된다. 보강부(70)는 엄지부(51) 및 검지부(53)와, 손의 수도(手刀)부위에서 장심(掌心) 사이에 위치하는 손바닥부(30)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잡이의 골퍼가 어드레스(address)시 골프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채(5)의 손잡이를 파지하게 되면 먼저 왼손으로 손잡이를 감싸며 파지하고 연속해서 오른손으로 왼손 엄지 손가락을 감싸는 형태로 파지하게 되는 데 이때 왼손의 엄지부(51)와 검지부(53)가 손잡이를 가장 강하게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부(70)는 밀착력과 지지력을 확보하여 파지력을 향상시킨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golfer of the right hand grips the handle of the
손가락부(50)가 시작되는 손등부(20)와 검지부(53), 중지부(55), 약지부(57), 소지부(59)의 둘째 마디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손가락부(50)의 상면에는 신축성을 위한 밴드부(80)가 형성된다.The
손등부(20)에 위치한 제 1밴드(83)는 좌우에 걸쳐 파형(波形)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틈에는 신축성이 큰 신축소재를 연결하여 재봉한다.The
그리고 손가락부(50)의 상면에 위치한 제 2밴드(81)는 Y형상으로 절개하고, 그 절개된 틈에는 제 1밴드(83)와 마찬가지로 신축소재를 연결하여 재봉한다.The
이러한 밴드부(80)를 형성함으로써 손을 펴거나 그립을 움켜쥐는 경우 탄성적으로 신장하여 장갑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forming the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기성 장갑의 공기 유통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circulation of the breathable glo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를 참조하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을 폈다가 일정 정도 구부리면 제 4통기홀(57)과 제 3통기홀을 통하여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 경우 유입된 공기는 손의 측면을 따라 손의 상면으로 이동하면서 제 2통기홀(53)로 일부 배출되고, 제 1통기홀(51)로 일부가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a user unfolds his / her hand while wearing gloves, a large amount of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상태에서 주먹을 쥐면 펌핑작용에 의해 제 3 및 제 4통기홀을 통해 유입되었던 공기 중 일부가 제 1통기홀(51) 및 제 2통기홀(53) 뿐만 아니라 제 4통기홀(57)과 제 3통기홀로도 함께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fist is clenched in the state of FIG. 4, some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vent holes by the pumping action is not only the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손가락을 구부린 상태에서 펴는 경우 본체의 상면 및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통기홀(51)(53)을 통해 공기가 주로 유입되어 3 및 제 4통기홀(57)로 공기가 배출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fingers are bent, the air is mainl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 holes 51 and 5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body to the third and fourth vent holes 57. The air is exhausted.
상기한 바와 같이 땀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손바닥이나 손가락의 하면으로 가장 많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고, 본체의 측면과 상면으로 입체적으로 유통됨으로써 손 전체에 걸쳐 땀이나 빗물 등의 수분 제거가 가능하며, 통풍효율이 우수하여 더운 여름철에도 시원하게 장갑을 착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most air is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alm or finger where sweat occurs most frequently, and is three-dimensionally distributed to the side and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remove moisture such as sweat or rain water throughout the hand. Good ventilation efficiency allows you to wear gloves in hot summer.
도 6에서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장갑을 도시하고 있다.6 illustrates a golf gl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엄지부(151)와 검지부(153)의 보강부(170)에도 제 3통기홀(165)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제 4통기홀(167)은 검지부(153)의 하부에서 장심을 지나 수도방향을 따라 손바닥부(130)에 다수 형성하고, 다수의 제 4통기홀 중 장심 이 위치한 손바닥부에 가장 큰 제 4통기홀을 형성함으로써 그립력을 증대시키고 손의 감각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그리고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산용 장갑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등산용 장갑은 손바닥부(230)의 전체에 걸쳐 다수의 제 4통기홀(267)이 형성된다. 이는 본체의 하부에서 많은 공기량이 유입되어 측면이나 상부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바닥의 노출면적을 넓혀 손에 전달되는 감각을 최대한 살리기 위함이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기홀이 형성되지 않은 손바닥부나 손가락부의 하면에는 미끄러방지를 위한 코팅부가 별도로 더 형성될 수 있다.And Figure 7 shows a climbing gl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climbing gloves have a plurality of fourth vent holes 267 formed over the
그리고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장갑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낚시용 장갑의 손가락부 중 엄지부(351)와 검지부(353)는 엄지와 검지의 끝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제되어 소형 낚시 도구의 파지나 미끼를 끼울 때 용이하게 한다.And in Figure 8 shows a fishing gl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그리고 검지부(353)와 손바닥부(33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를 잡는 경우 파지력 향상을 위해 보강부(370)가 형성되고, 제 3통기공은 중지부(355), 약지부(357), 소지부(359)의 선단에 더 형성하여 많은 공기가 유통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본체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용 장갑에도 본체의 측면이나 상면보다 하부에 더 큰 통기홀을 형성하여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work glove to form a larger ventilation hole in the lower side than the side or upper surface of the body can create a condition to work in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한편,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components not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6 and 8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of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골프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채를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olf club is gripped while wearing the golf glove of FIG. 1,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장갑에 공기가 유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ir is distributed to the glove of FIG. 1,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olf gl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등산용 및 낚시용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love for climbing and fis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20: 손등부10: main body 20: the back of the hand
30: 손바닥부 50: 손가락부30: palm part 50: finger part
61: 제 1통기홀 63: 제 2통기홀61: first vent hole 63: second vent hole
65: 제 3통기홀 67: 제 4통기홀65: third vent hole 67: fourth vent hole
70: 보강부 80: 코팅부70: reinforcement part 80: coating part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987A KR100899899B1 (en) | 2007-10-25 | 2007-10-25 | Breathable glov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987A KR100899899B1 (en) | 2007-10-25 | 2007-10-25 | Breathable glov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2082A KR20090042082A (en) | 2009-04-29 |
KR100899899B1 true KR100899899B1 (en) | 2009-05-29 |
Family
ID=4076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7987A KR100899899B1 (en) | 2007-10-25 | 2007-10-25 | Breathable glov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989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4516B1 (en) | 2022-08-12 | 2023-01-31 | 정이안 | Multifunctional Glov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18815A (en) * | 2016-08-25 | 2017-02-22 | 湖州环球手套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protective glove |
CN106307722A (en) * | 2016-08-25 | 2017-01-11 | 湖州环球手套有限公司 | Damping protection gloves |
KR101970501B1 (en) * | 2017-11-29 | 2019-04-19 | 김상수 | A finger band |
KR102743417B1 (en) * | 2022-08-08 | 2024-12-16 | 임창선 | A Right Hand Golf Glove with a Finished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6078Y1 (en) * | 2001-08-28 | 2001-12-13 | 주식회사 진성토피아무역 | Glove |
JP2006265804A (en) * | 2005-03-23 | 2006-10-05 | Act Business Kk | Shock-absorbing nonslip glove |
-
2007
- 2007-10-25 KR KR1020070107987A patent/KR10089989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6078Y1 (en) * | 2001-08-28 | 2001-12-13 | 주식회사 진성토피아무역 | Glove |
JP2006265804A (en) * | 2005-03-23 | 2006-10-05 | Act Business Kk | Shock-absorbing nonslip glov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4516B1 (en) | 2022-08-12 | 2023-01-31 | 정이안 | Multifunctional Glov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2082A (en) | 2009-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98397A1 (en) | Finger Cots and Sports Sleeves | |
US3255462A (en) | Golf glove | |
US20090025120A1 (en) | Tri-Finger Multi Sport Glove | |
US6353931B1 (en) | Baseball mitt | |
US4525877A (en) | Sports glove | |
US9003569B2 (en) | Partial-fingered gloves | |
US20090144880A1 (en) | Tri-finger sports glove | |
US2907047A (en) | Sports glove | |
ES2616365T3 (en) | Glove, particularly cycling glove | |
US12070674B1 (en) | Batting glove and cushioning apparatus | |
US8769720B2 (en) | Lacrosse glove | |
US10285462B2 (en) | Heat providing football glove | |
WO1995024136A1 (en) | Improved ergonomic hand covering and grip enhancer | |
US20120023632A1 (en) | Hand protecting device | |
KR100899899B1 (en) | Breathable gloves | |
US12075866B2 (en) | Glove allowing direct palm contact | |
WO2015081192A1 (en) | Shade shirt | |
US20070118966A1 (en) | Exposed Palm Glove and Method of Use | |
US20090000004A1 (en) | Baseball gloves with an adaptable index finger stall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US20090193560A1 (en) | Hand protecting device | |
US6704936B1 (en) | Boxing gloves incorporating multi-layer, anti-absorbent materials | |
US6269487B1 (en) | Tennis glove | |
US9220307B2 (en) | Dual-use handcovering for protecting the hand of wearer from the atmospheric condition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
US20180055108A1 (en) | Pad device and glove for protection of hypothenar reg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US20200037683A1 (en) | Partial Fingered Gloves for Football or Golf 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