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115B1 - Ceiling air conditioner with cover member - Google Patents
Ceiling air conditioner with cover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8115B1 KR100898115B1 KR1020070043979A KR20070043979A KR100898115B1 KR 100898115 B1 KR100898115 B1 KR 100898115B1 KR 1020070043979 A KR1020070043979 A KR 1020070043979A KR 20070043979 A KR20070043979 A KR 20070043979A KR 100898115 B1 KR100898115 B1 KR 1008981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 air conditioner
- cover member
- type air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본체와 천장 사이에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에 발생하는 응결수가 천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 cov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the ceiling, so that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at the outlet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s generated.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the transmission to the ceiling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천장형 에어컨, 응결수, 번짐방지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ondensation water, bleeding preven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a conventional ceiling air conditioner.
도 2는 종래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ceiling air condition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의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member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의 반매립 설치시를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mi-embedded installation of a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천장 12 : 설치홀10
100 : 천장형 에어컨 110 : 본체100: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10: main body
112 : 토출구 114 : 단턱112: discharge port 114: step
120 : 커버부재 130 : 절곡부120: cover member 130: bent portion
132 : 연장편 134 : 절곡편132: extension 134: bending
140 : 보호부 142 : 보강리브140: protector 142: reinforcing rib
본 발명은 천장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형 에어컨의 본체와 천장 사이에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에 발생하는 응결수가 토출구의 풍력에 의해 천장 도배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eiling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to prevent condensation generat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to prevent spreading to the ceiling medium by the wind of the discharge port, aesthetics It relates to a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to improv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제습, 공기청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냉동 사이클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widely used as a mechanical device that performs functions such as air conditioning, de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includes components for implementing a refrigeration cycle.
즉,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액상으로 응축되는 동시에 주위로 응축열을 전달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를 통과하여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위로부터 증발열을 흡수하는 열교환기인 증발기로 구성된다.That i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for introduc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condensed into the liquid phase, and transferring condensation heat to the surroundings, an expansion mechanism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and the expansion mechanism It is composed of an evaporator which is a heat exchanger that absorbs the heat of evaporation from the surroundings while the expanded refrigerant evaporates.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가운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Among the air conditioners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type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nstalling a cooling device on the indoor side, and installing a heat dissipation and compression device on the outdoor side to connect the two separated devices with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상기 실내기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이 발명한 천장형 에어컨과 같이 천장에 매립하거나 이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may b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nd may be fixed to a ceiling or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such as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applica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천장형 에어컨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conventional ceiling-type air conditioner,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nventional ceiling-type air condition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를 위한 대상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3)과 공기조화가 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그릴(4)이 실내기인 천장형 에어컨(1)의 본체(2) 전면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of the ceiling
상기 천장형 에어컨(1)의 본체(2)는 고정바(미도시)에 의하여 천장(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흡입그릴(3)과 토출그릴(4)만 하측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천장(10)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천장형 에어컨(1)의 본체(2)에서 흡입그릴(3)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5)을 거쳐 열교환기(6)로 안내가 되며, 상기 열교환기(6)에서 냉각된 공기는 토출그릴(4)을 통하여 공기조화 대상 공간으로 토출이 이루어진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그러나,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를 통해 나오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토출구측에는 응결수가 발생하게 되고, 응결수는 토출구의 풍력에 의해 천장형 에어컨의 인접한 천장의 도배지로 번짐에 따라 도배지가 오염되고, 축축해져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장형 에어컨의 반매립 설치 시 천장과 에어컨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장과 에어컨의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densation water is generat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by the cool air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of the ceiling and the air conditioner is accumulated when the semi-embedded installation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nse of beauty falls as the gap between the ceiling and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천장형 에어컨의 본체와 천장 사이에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에 발생하는 응결수가 토출구의 풍력에 의해 천장 도배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천장형 에어컨의 반매립 설치 시 천장과 에어컨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the ceiling to prevent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to spread to the ceiling medium by the wind power of the discharge port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ceiling and the air conditioner, and to improve the aesthetics.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은 천장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본체와 천장 사이에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에 발생하는 응결수가 천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eiling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to prevent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to the ceiling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aesthetics.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에어컨의 본체와 천장 사이에 개재되는 절곡편과, 상기 절곡편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에어컨의 토출구와 인접한 천장을 덮는 보호부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cover member is formed of a bent piec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eiling of the air conditioner, and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bent piece, the protection portion covering the ceiling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상기 보호부는 표면이 상기 에어컨 본체의 끝단과 연이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상태이며, 내부에 보강리브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on portion is formed in series with the end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the interior is hollow, the reinforcement ribs are formed therein.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측에 발생하는 응결수가 천장의 도배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eiling medium.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천장형 에어컨의 실내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의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3 is a view showing a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member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use state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hich has a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은, 천장형 에어컨(100)에 있어서, 상기 천장형 에어컨(100)의 본체(110)와 천장 사이에 커버부재(12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10)의 토출구에 발생하는 응결수가 천장(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iling
상기 천장(10)에는 상기 본체(110)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설치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가장자리는 단턱(114)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홀(12)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된다.An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와 천장(10) 사이에 개재되는 절곡부(130)와, 상기 절곡부(130)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토출구(112)와 인접한 천장(10)을 덮는 보호부(140)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상기 절곡부(130)는 상기 보호부(14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32)과, 상기 연장편(132)의 끝단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절곡편(134)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절곡편(134)은 상기 설치홀(12)의 끝단과 상기 본체(110) 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장편(132)은 상기 본체(110)의 단턱(114)과 설치홀(12)의 가장자리 천장(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컨의 본체 설치 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The
상기 보호부(140)는 표면이 상기 본체(110)의 끝단과 연이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상태이며, 내부에 보강리브(1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I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o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천장(10)에 설치홀(12)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홀(12)에 천장형 에어컨(100)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120)를 고정한다.The
상기 천장형 에어컨(100)의 본체(110) 측면과 설치홀(12) 사이에 상기 커버부재(120)의 절곡편(134)을 끼우면, 상기 연장편(132)은 상기 본체(110)의 단턱(114)과 상기 설치홀(12)의 가장자리 전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천장형 에어컨(100)을 설치하면 고정되게 된다.When the
상기 보호부(140)는 중공 형상이며, 내부에 보강리브(142)가 형성되어 강성을 유지하면서 무게를 줄임으로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The
상기 천장형 에어컨(100)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10)의 토출구(112)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토출됨에 따라 토출구(112) 측에 응결수가 발생되며, 응결수는 토출구(114)의 풍력에 의해 토출구(114)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ceiling
이동되는 응결수는 상기 커버부재(120)에 의해 천장(10)의 도배지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도배지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condensed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aper medium of the
상기 보호부(140)는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표면이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114) 측의 응결수가 풍력에 의해 진행되다 소멸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형 에어컨(100)이 천장에 반매립되어 설치될 경우 천장(10)과 본체(110)의 단턱(114)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고 측면에서 볼 때,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보호부(140)의 두께 및 상기 연장편(132) 두께가 상기 단턱(114)과 천장(10)사이에 꽉 차는 두께로 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지닌다.The
And,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ceil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갖는 천장형 에어컨은 천장형 에어컨의 본체와 천장 사이에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천장형 에어컨의 토출구에 발생하는 응결수가 토출구의 풍력에 의해 천장 도배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배지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형 에어컨의 반매립 설치 시 천장과 본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the ceiling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ceiling air conditioner to the ceiling dowel by the wind of the discharge port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the paper medium by preventing the sprea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between the ceiling and the main body when installing half-filled ceiling air conditioner, and improve the aesthetic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3979A KR100898115B1 (en) | 2007-05-07 | 2007-05-07 | Ceiling air conditioner with cover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3979A KR100898115B1 (en) | 2007-05-07 | 2007-05-07 | Ceiling air conditioner with cover me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8739A KR20080098739A (en) | 2008-11-12 |
KR100898115B1 true KR100898115B1 (en) | 2009-05-18 |
Family
ID=4028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39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8115B1 (en) | 2007-05-07 | 2007-05-07 | Ceiling air conditioner with cover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811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4199A (en) * | 1999-06-22 | 2001-0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Indoor unit for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KR20020050771A (en) * | 2000-12-21 | 2002-06-27 | 구자홍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KR20030059620A (en) * | 2002-01-03 | 2003-07-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
-
2007
- 2007-05-07 KR KR1020070043979A patent/KR1008981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4199A (en) * | 1999-06-22 | 2001-0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Indoor unit for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KR20020050771A (en) * | 2000-12-21 | 2002-06-27 | 구자홍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KR20030059620A (en) * | 2002-01-03 | 2003-07-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8739A (en) | 2008-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51507B2 (en) | Air conditioner | |
KR101814959B1 (en) | Air conditioner for camper car | |
JP3103144U (en) | Heat release par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KR100437678B1 (en) | All in one type usual habit and thermo airconditioner | |
KR102666196B1 (en) | 3-Purpose Ventilation and Dehumidifier | |
KR100898115B1 (en) | Ceiling air conditioner with cover member | |
KR100820886B1 (en) | Discharge Frame of Ceiling Air Conditioner | |
KR100829133B1 (en) | Structure of ceiling-type air conditioner to prevent cold leakage | |
KR100749656B1 (en) | Low noise outdoor unit | |
KR200156397Y1 (en) | Window type airconditioner | |
KR100829132B1 (en) | Air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768165B1 (en) | Drain panel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000040090A (en) | Increaser for condenser efficiency of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
KR100445340B1 (en) |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dew at blowing-grill | |
KR100874230B1 (en) | Condensate Collection Structure for Ceiling Air Conditioners | |
KR200178068Y1 (en) | Package air conditioner | |
KR100345084B1 (en) | Protective Cover For Room Air-Conditioner | |
KR200227901Y1 (en) | Outdoor unit for a package Air-Conditioner with measuring instrument | |
KR200272518Y1 (en) | Blower fixed structure of in door unit for an aricondition | |
KR200288354Y1 (en) | Combination structure for outside fan and inside adiabatic of a air conditioner | |
KR100269446B1 (en) |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d heating | |
KR100498366B1 (en) | Window type of integrated air-conditioner | |
KR100737548B1 (en) | Car air conditioners | |
KR200396503Y1 (en) | Ceiling Air-Conditioner | |
KR20100007019U (en) | Ceiling type air-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