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7029B1 -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029B1
KR100897029B1 KR1020047002343A KR20047002343A KR100897029B1 KR 100897029 B1 KR100897029 B1 KR 100897029B1 KR 1020047002343 A KR1020047002343 A KR 1020047002343A KR 20047002343 A KR20047002343 A KR 20047002343A KR 100897029 B1 KR100897029 B1 KR 10089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fixing
support member
fixing part
arrang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152A (ko
Inventor
잘호프토마스
슈바르츠마르틴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1142835 external-priority patent/DE10142835C1/d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04003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0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서브어셈블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 및 지지 부재(2)와 연관되는 하나의 고정부는 소성 변형되어 서로 결합된다.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도어, 지지 부재, 도전체, 고정, 소성 변형

Description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MOTOR VEHICLE SUB-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 서브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서브어셈블리(도어 서브어셈블리) 및 제24항의 전제부에 따른 부품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서브어셈블리 또는 부품의 연결부는 평면 지지 부재 및 예를 들어 차량의 전기 부품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 상에 고정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conductor arrangement)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부재 또는 다른 지지 부재 상에 도전체를 고정하는 여러 상이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고정될 배선을 둘러싸 결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배선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클립 부재의 사용이 그 일 예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배선이 차량 도어의 건조한 공간(dry space)을 차량 도어의 습한 공간(wet space)과 격리하는 역할을 하는 도어 지지 부재(도어 내측 패널 또는 도어 모듈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경우, 많은 경우에 클립 부재와 연관되는 고정 개구부가 밀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독일특허 DE 200 14 701 U1에는 접착층에 의해 차량에 고정될 수 있는 자체접착식 전선 또는 광케이블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표면 영역은 그리스 및 오일이 충분히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서브어셈블리 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방법으로 도전체 배열 장치를 지지 부재 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서브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체 경로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 및 지지 부재의 연관되는 부분이 소성 변형되어 이들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도전체 배열 장치가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것은 대응 소재부를 재형상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연결부이다(재성형에 의한 결합).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도전체 배열 장치와 도전체 배열 장치를 지지하는 부재 사이의 연결부가 도전체 배열 장치의 일부분 및 지지 부재의 일부분을 일반적인 소성 변형을 함으로써 미리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도전체 배열 장치는 임의의 도전체 형상을 함으로써, 예를 들어 개별 전기적 도전체 및 다수의 전기적 도전체 모두는 지지부 상에 나란히 장착된다. 이로써 도전체 배열 장치는 특히 플렉시블 지지부 상에 박막(foil) 형태로 장착되는 납작한 도전체 또는 플렉시블 도전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특히 상이한 도전체 유형, 즉 전기적 도전체 및 광학적 도전체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를 임의의 차량 부분으로 의미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부재 상에 전기적 도전체 배열 장치가 고정될 수 있다.
소성 변형의 결과,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 및 지지 부재의 연관되는 부분은 바람직하게 확실한 체결 작용, 즉 하나의 고정부가 다른 고정부의 언더컷(undercut) 부분에 확실한 체결 작용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2개의 고정부는 바람직하게 변형될 수 있고, 따라서 2개의 고정부 모두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추가의 밀봉이 필요하지 않은 연결부가 형성되고, 따라서 차량의 건조한 공간을 습한 공간으로부터 격리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 부재 상에서 전기적 도전체 배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의 고정부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와 결합한다. 이것은 인장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신뢰적인 기계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그 강도 및 안정성은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의 변형성에 크게 좌우된다. 예를 들어 원하는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에 대하여 구리 도전체 경로가 충분히 두껍게 형성된다.
도전체 배열 장치의 도전체 품질에 관계없이 강도 및 강성을 보장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추가의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 연관된 지지 부재의 고정부, 및 추가 부재의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소성 변형되어 3개의 고정부가 서로 연결된다. 추가 부재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상적인 경우에 지지 부재의 고정부와 함께 강도의 일부분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서,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는 지지 부재의 고정부와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 사이에 장착되는 절연 박막이다. 이것은 고정 영역에 변형 소재가 필요없다는 장점을 가지며, 그 이유는 고정 강도 및 강성이 지지 부재와 추가 부재의 2개의 고정부 사이의 부재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 지지 부재의 연관되는 부분 및 추가 부재의 연관되는 부분은 소성 변형에 의한 확실한 결합, 즉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의 언더컷 부분에 확실하게 결합되고 다시 추가 부재의 고정부의 언더컷 부분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의 일 고정부에 의해 바람직하게 상호 연결된다.
추가 부재는 기능 장치(function unit)의 기계적인 부재로서 다중 기능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개선이다. 예를 들어 추가 부재는 케이블 고정을 위한 기능에 도어 부재, 바람직하게는 도어 내부 트림을 위한 고정 훅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추가 부재가 보우든 케이블(Bowden cable), 로드 링크장치(rod linkage) 또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로서 설계되거나 기능 장치의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전자부품 하우징을 위한 지지 부재나 고정 부재로서 설계되는 경우에는 추가의 시너지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변형에 따르면, 도전체 배열 장치와 지지 부재 사이에는 예를 들어 일측에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 및 타측의 지지 부재의 고정부 상에 가압 램(pressing ram)을 인가함으로써 스탬프된 요철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클린칭). 이로 인해 램과 협동하는 매트릭스는 받침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후속하는 방법 단계에서, 스탬프된 연결부 상에 추가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된 언더컷 부분을 확장시킬 수 있고 따라서 강도 및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따르면, 도전체 배열 장치는 스탬프된 리벳에 의해 지지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쪽의 도전체 배열 장치 및 다른 쪽의 지지 부재는 관통하는 스탬프된 리벳을 통해 이들의 고정부가 변형되어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스탬프된 리벳은 2개의 고정부 소재에 결합하지만 이들 2개의 고정부 소재를 직접 통과하지는 않는다.
스탬프된 리벳은 바람직하게 확장될 수 있어서 확장된 단부에 의해 상기 2개의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뒤에 결합한다.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는 한편으로는 도전체 배열 장치 중 하나의 도전체(도전체 경로 중 하나)를 통해 직접 형성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도전체 경로와 상이한 도전체 배열 장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금속제 지지 부재 상의 전기적 도전체 경로를 직접 고정하는 경우, 도전체 배열 장치는 적어도 고정 지점의 지지 부재로부터 절연되거나 지지 부재가 도전체 경로를 접지하도록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절연은 예를 들어 지지 부재의 표면을 페인팅하거나 별도의 밀봉재를 통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도전체 배열 장치의 도전 경로를 둘러싸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도전성 소재가 절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전기적인 도전 경로가 도전성 지지 부재 상에 고정되는 경우, 고정 영역에서 도전체 배열 장치의 추가적인 절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전체 배열 장치의 절연부가 고정에 사용된다. 절연부 자체 또는 추가 부재는 연결부의 원하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배열 장치는 지지 부재 상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고 도전체 배열 장치의 도전 경로 다음까지 연장되며 도전체 배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형성하거나 도전체 배열 장치의 지지부를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 웨브(fixing web)를 포함한다.
도전체 배열 장치와 지지 부재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는 차량의 서브어셈블리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도전체 배열 장치와 지지 부재 사이의 부품 간의 접속에도 사용될 수 있다. 부품의 대응 연결부는 청구범위 제24항의 특징에 따른다. 이 경우에 지지 부재는 도전체 배열 장치가 고정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서 도전체 배열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의 연결부를 차량 서브어셈블리의 외측, 예를 들어 지지 부재가 예를 들어 하우징부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가전제품이나 기계에서 도전체 어셈블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이미 전술한 본 발명의 장점이 달성되고 전술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는 별도의 고정 웨브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를 구비하여 다수의 고정 지점에서 차량의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도전체 배열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의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으로,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가 도전체 경로를 직접 통과하여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전체 경로를 차량의 지지 부재와 절연시키기 위한 3개의 상이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고정부가 도전체 배열 장치의 플라스틱 지지부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고정 지점에서 차량의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도전체 배열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 및 도 4c에 따른 도전체 배열 장치와 지지 부재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할 때의 방법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스탬프된 리벳이 도전체 배열 장치의 추가적인 고정 웨브에 결합됨으로써 스탬프된 리벳에 의해 다수의 고정 지점에서 차량의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스탬프된 리벳이 도전체 배열 장치의 플라스틱 지지부에 결합된, 도 5a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도전체 배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전체 배열 장치가 차량의 지지 부재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지점에 대한 3개의 상이한 개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전체 배열 장치가 차량의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 웨브가 링크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따른 실시예의 제1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에 따른 실시예의 제2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고정 지점에서 자동차의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스탬프된 리벳을 통해 고정 지점에서 자동차의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추가의 고정부가 사용됨으로써 다수의 고정 지점에서 자동차의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에 대한 2개의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b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d는 상기 배열에서 지지 부재의 고정부 및 추가의 부재가 서로 교환된, 도 10c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e 및 도 10f는 스탬프된 리벳 및 추가의 부재를 구비한 고정 지점을 갖는 도전체 배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자동차의 지지 부재에 용접됨으로써 연결되는, 도 1에 따른 도전체 배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예를 들어 도어 모듈 지지부 또는 도어 내측 패널과 같은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자동차 도어의 지지 부재(2) 상에 고정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전체 배열 장치는 플렉시블 지지부 몸체(10) 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도전체 경로(11)로 이루어지는 납작한 도전체이다. 플렉시블 지지부(1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서 도전체(11)를 완전히 감싼다.
납작한 도전체(1)의 다른 쪽 에지 상에는 도전체 경로(11)와 평행한 양측에 배열되고 도전체 경로(11)와 마찬가지로 금속으로 이루어지지만 도전체 경로(11)와 대면하여 전류나 신호를 전기적으로 전도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고정 지점(3)에서 단독으로 지지 부재(2) 상에 납작한 도전체(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웨브(12)가 배열된다.
고정 지점(3)의 형태는 도 1b에서 도전체 경로(11) 및 지지 부재(2)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및 도 1c에서 고정 지점(3)을 나타내는 부분단면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따르면, 고정 지점(3)은 한쪽의 고정 웨브(12) 및 다른 쪽의 지지 부재(2)서로 연결되는 소재부(고정부(13, 23))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13, 23) 각각은 한쪽의 고정 웨브(12) 및 다른 쪽의 지지 부재(2)의 소재가 변형된 기본적으로 자루 형상이다(pot-shaped). 이로 인해 고정 웨브(12)의 고정부(13)는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의 언더컷 부분 뒤에 결합된다.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고정부(13, 23)의 소성 변형은 본 실시예에서 고정 웨브(12) 상에 작용하고 이를 통해 지지 부재(2) 상에 작용하는 가압 램을 이용한 강제 결합(클린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램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지지 부재 아래에 장착되어 램의 받침대로서 작용을 하는 매트릭스와 협동한다. 스탬핑 공정 중에서 가압 램과 매트릭스의 상호 작용을 통해, 고정부(13, 23)는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확실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고정부(13, 23)는 강제 결합 또는 클린칭에 의해 이루어진, 확실한 결합의 스탬프된 연결부를 형성한다.
지지 부재(2)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강제 결합 공정 중에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고정부(13, 23)는 모두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아서 연관되는 고정 지점(3)은 추가의 밀봉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고정 지점(3)은 자동차 도어에서 습한 공간 및 건조한 공간을 격리함에 있어서 지지 부재(1)의 어떠한 기능도 손상시키지 않는다.
연결부의 원하는 안정성 및 하중 지지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서, 고정 웨브(12)는 또한 상이한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납작한 도전체(1)의 도전체 경로(11)보다 두껍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1c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며, 그 차이점은 고정 지점이 별도의 고정 웨브 상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납작한 도전체(1)의 도전체 경로(11) 상에 직접 제공되는 것이다.
금속제의 지지 부재(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제 결합 또는 클린칭에 의해 고정 지점(3)에서 스탬프된 연결부를 형성할 때 고정부(13, 23) 영역에서 한쪽의 연관되는 도전체 경로(11)와 다른 쪽의 금속제 지지 부재(2)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 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접촉은 도전체 경로(11)와 접지(지지 부재(12))가 이들의 고정 지점(13)을 통해 접촉되어야 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는, 고정을 위한 역할을 하는 외측 도전체 경로(11)와 지지 부재(2) 사이에도 적절한 절연이 필요하다. 이 경우, 연관되는 도전체 경로(11)는 지지 부재(2)로부터 절연되어 고정 지점(13)에서도 전기적인 접촉이 배제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예시를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따르면, 납작한 도전체(1)를 지지하도록 감싸는 플라스틱은 강제 결합 또는 클린칭에 의해 변형된 후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도전체 경로(11)와 지지 부재(2)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 포위부는 충분히 안정적이 되어야 하며, 따라서 파손에 충분히 강한 소재의 사용 및/또는 적절한 두께로 플라스틱 포위부로 만들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도 3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전체 경로(11)와 지지 부재(2) 사이에 절연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전체 경로(11)와 대면하는 지지 부재(2)의 표면 상에 예를 들어 페인팅에 의한 코팅이 제공된다.
도 3c에 따르면, 도전체 경로(11)와 지지 부재(2) 사이에 별도의 밀봉재(27)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이며, 납작한 도전체(1)가 지지 부재(2) 상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지점(3)을 형성하기 위해, 납작한 도전체(1)의 지지부(10)의 일부분(14)이 지지 부재(2)의 연관되는 부분(23)과 함께 변형된다. 따라서, 도전체 경로(11)의 지지부(10)의 고정부(14) 및 지지 부 재(2)의 연관되는 고정부(23)는 스탬프 결합 방식으로 서로 확실하게 결합된다.
도 4c에 강제 결합 또는 클린칭에 의해 이러한 종류의 스탬프 결합을 행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내었으며, 가열선(H)을 구비한 가압 램(S) 및 가열 장치(H)를 구비한 연관되는 매트릭스(M)를 포함한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지지부(10)의 고정부(14) 및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 상에 가압 램(S)이 받침대 역할을 하는 매트릭스(M)와 함께 작용함으로써, 확실한 체결의 스탬프된 요철 연결부가 형성됨으로써 고정부(14, 23)의 원하는 소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램(S) 및 매트릭스(M)는 선택적으로 배열되어, 가압 램(S)은 지지부(10)의 고정부(14) 상에 직접 작용하거나 반대로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 상에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가압 램(S) 및/또는 매트릭스(M)는 고정부(14, 23) 상에 작용하기 전에 가열 장치(H)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것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상에 작용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도시하고 설명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지지 부재(2) 상에 도전체 배열 장치(1)를 고정하기 위해서 한쪽의 도전체 배열 장치(1) 부분 및 다른 쪽의 지지 부재(2) 부분이 직접 소성 변형되어 서로 확실히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 경우에 추가의 고정 부재는 필요하지 않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리벳(4)이 각 고정 지점(3)에서 추가의 고정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리벳은 납작한 도전체(1)의 추가의 고정 웨브(12)의 각 고정부(13) 및 지지 부재(2)의 연관되는 고정부(23) 내에 삽입되어 그 하부(41)(리벳(4)의 헤드(40)로부터 멀리 떨어짐)가 벌어져서 고정부(13, 23) 내에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지점(3)의 영역에 관통공이 없어서 이 연결부 역시 습한 공간과 건조한 공간을 격리하도록 지지 부재(2)를 사용하는 경우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또는, 도전체 경로(11) 중 본래 신호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가 고정부(13)를 형성하도록 직접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절연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취할 수 있는 대응 방법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이다. 즉, 스탬프된 리벳(4)은 고정 지점(3)에서 각각이 납작한 도전체(1)의 플라스틱 지지부(10)의 고정부(14) 및 지지 부재(2)의 연관되는 고정부(23) 내에 결합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전술한 방식으로 도전체 배열 장치(1)가 지지 부재(2)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지점(3', 3", 3'")의 추가 개선 가능한 3가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c는 고정 지점(3'")의 상면 및 저면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 형상의 고정 지점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고정 지점(3', 3", 3'") 각각은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 표면을 가지며 연관되는 고정 지점의 벽에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연관되는 고정 지점의 형상은 고정 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압 램(S)의 단면 표면 영역 에 의해 상당한 범위로 결정된다(도 4c 참조).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임의의 형상의 가압 램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야 할 부분의 충분한 변형이 이루어져서 이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a는 플라스틱 지지부(10) 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평행한 도전체 경로(11)를 가진 납작한 도전체(1)의 형태인 도전체 배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고정 웨브(12)가 제공되어 자동차의 지지 부재(2)에 납작한 도전체(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 고정 웨브(12)는 적절한 고정 지점(도 1a 내지 도 7b에 나타냄)에 의해 자동차의 지지 부재(2)에 고정 웨브(1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웨브부(12a)를 갖는다. 이들 고정 지점은 도 8a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적절한 가압 램을 사용하여 고정 지점을 통해 이들이 최종적으로 결합되기 전의 납작한 도전체(1) 및 지지 부재(2)를 나타내었다.
고정 웨브(12)의 제2 웨브부(12b)는 제1 웨브부(12a) 옆까지 연장되고 이와 평행하며 납작한 도전체(1), 즉 플라스틱 지지부(10)에 고정 웨브(1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고정 웨브(12)는 제2 웨브부(12b)에 플라스틱 지지부(10)의 대응 돌출부(100)가 끼워지는 다수의 원형 구멍을 갖는다. 이로 인해 고정 웨브(12)와 납작한 도전체(1)의 플라스틱 지지부(10) 사이에는 확실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플라스틱 지지부(10)는 고정 웨브(12)를 플라스틱 지지부(10)에 연결하도록 하는 고정 웨브(12)의 제2 웨브부(12b) 뒤로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고정 웨브(12)의 제1 웨브부(12a)는 지지 부재(2) 상에 직접 놓 여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지점을 형성한 후, 이들 지점에 있는 고정 웨브(12)의 제1 웨브부(12a)는 지지 부재(2)의 대응 변형부에 직접 결합된다.
도 8b는 도 8a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며, 고정 웨브(12)는 제2 웨브부(12b)에 플라스틱 지지부(10)의 대응 형상 돌출부(100') 상에 끼워지는 다수의 직사각형 개구부(120')를 가져서 확실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c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웨브(12)의 제1 웨브부(12a)는 종 방향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부분(12aa, 12ab, 12ac...)으로 이루어진다. 도 8c에는 지지 부재(2) 상에 직접 놓이는 고정 웨브(12)의 제1 웨브부(12a) 영역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플라스틱 지지부(10)는 고정 웨브(12)의 제2 웨브부(12b) 아래로만 연장되고 그 옆에 놓이는 제1 웨브부(12a) 아래로는 연장되지 않는다.
도 9a는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차량 도어의 지지 부재(2), 예를 들어 도어 모듈 지지부 또는 도어 내측 패널 상에 고정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절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고정 지점(3)의 설계는 도 9a의 고정 지점(3)의 부분단면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9a에 따르면, 고정 지점(3)은 각각 한쪽의 고정 웨브(12)의 소재부(고정부(13, 23)) 및 다른 쪽의 지지 부재(2)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고정부(13, 23)는 각각이 한쪽의 고정 웨브(12)의 소재 및 다른 쪽의 지지 부재(2)를 변형시킨 기본적으로 주머니 형상이다. 이로 인해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는 고정 웨브(12)의 고정부(13)의 언더컷 부분 뒤에 결합된다.
도 9a에 나타낸 고정부(13, 23)의 소성 변형은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 상에 작용하고 이를 통해 고정 웨브(12) 상에 작용하는 가압 램을 이용한 강제 결합(클린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램은 지지 부재 아래에 장착되어 가압 램을 위한 받침대 역할을 하는 매트릭스와 협동한다. 가압 공정에서 가압 램이 매트릭스와 상호 작용을 함으로써, 고정부(13, 23)는 서로 확실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고정부(13, 23)는 강제 결합 또는 클린칭에 의해 이루어지는 확실한 체결을 형성한다. 추가의 공정에서는 결합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부(13, 23)는 언더컷 부분이 확장되도록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고정 지점(3)에 추가의 고정 수단으로서 스탬프된 리벳(4)이 제공된다. 따라서 리벳(4)은 지지 부재(2)의 고정부 및 납작한 도전체(1)의 추가적인 고정 웨브(12)의 연관되는 고정부(13) 내에 삽입되어 그 하부(41)(스탬프된 리벳(4)의 헤드(40)로부터 먼 쪽)가 벌어져, 고정부(13, 23) 내에서 확실한 체결 작용을 하여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 지점(3)의 영역에는 관통공이 없어서 이러한 결합은 습한 공간과 건조한 공간을 격리하도록 지지 부재(2)를 사용하는 경우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도전체 배열 장치(1)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지지부 몸체(10) 상에 배열되는 다수의 평행한 고전류 도전체 경로(11) 또는 신호 도전체 경로(11')로 이루어지는 납작한 도전체이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지지부(10)는 도전체(11, 11')를 완전히 감싼다. 지지 부재(2) 상의 연관되는 도전체 배열 장치(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지점(3') 외에, 특히 사전 고정 및 지지 부재(2)에 대한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31)가 또한 제공된다.
도 10a 및 도 10b의 개선 발명은 고정 지점에서 결합에 적절한 소재 특성을 갖는 추가의 고정 플레이트(5)를 나타낸다. 도 10a에서, 고정 지점(3')은 지지 부재(2), 도전체 배열 장치(1)의 플렉시블 지지부(10), 및 추가의 플레이트(5)로 형성된다. 한편, 도 10b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플렉시블 지지부 대신에 고정 웨브(12)가 사용된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납작한 도전체(1)의 중간에는 도전체 경로(11)와 평행한 양 측부에 고정 웨브(12)가 배열된다. 고정 웨브(12)는 도전체 경로(11)와 마찬가지로 금속제이지만 도전체 경로(11)와는 달리 전류나 신호의 전기적인 도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수의 고정 지점(3')에서 지지 부재(2) 상에 납작한 도전체(1)를 고정하기 위한 역할만을 한다.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결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추가의 부재(5)는 지지 부재(2) 상에 도전체 배열 장치(1)를 고정하는 기능 외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가의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사전 고정용 홀더, 기능 장치의 위치 결정, 또는 기어 장치의 지지 기능을 갖는다.
도 10a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플레이트(5)로 인해, 도 10b에 따라 제공된 바와 같이, 추가의 플레이트(5)가 지지 부재(2)와 짝을 이룸으로써 연결부의 필요한 강도가 보장되기 때문에 고정 웨브(12)가 필요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지지부(10)는 추가의 플레이트(5)와 지지 부재(2) 사이에서 가압된다.
도 10c 및 도 10d는 도 10b의 단면을 각각 나타낸다. 고정 지점(3')은 각각 지지 부재(2)의 고정 웨브(12) 및 추가 부재(5)의 고정부(13, 23, 51)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부(12, 23, 51)는 각각이 기본적으로 고정 웨브(12), 지지 부재, 및 추가 부재(5)의 소재가 변형된 자루 형상이다. 도 10c에 따르면, 추가 부재(5)의 고정부(51)는 고정 웨브(12)의 언더컷 부분 뒤쪽에 결합하고, 다시 지지 부재(2)의 언더컷 부분 뒤쪽에 결합한다.
도 10e 및 도 10f는 부품 간에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스탬프된 리벳이 사용된 도 9b와 유사한 도면이다. 추가 부재(5)를 사용함으로써 고정 시에 하중 지지 능력이 더욱 증대된다. 따라서 도 10e 및 도 10f는 상이한 결합 방향의 고정 지점(3')을 나타낸다. 즉, 하나는 (고정 웨브(12) 상의) 도전체 배열 장치 상에 추가 부재(5)가 장착되고(도 10e), 다른 하나는 지지 부재(2)가 장착된다(도 10f).
도 11은 다수의 도전체 경로(11) 및 고정 웨브(12)를 구비하고 용접 포인트(S)에 의해 자동차의 지지 부재(2) 상에 고정되는 납작한 도전체(1) 형태의 도전체 배열 장치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다. 납작한 도전체(1)의 플라스틱 지지부(10)는 고정 웨브(12) 아래로 연장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고정 웨브(12)가 지지 부재(2)에 직접 용접될 수 있도록 한다. 용접 포인트(S)를 형성하기 위한 용접 기술로는 초음파 용접 및 레이저빔 용접이 고려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라스틱 지지부 또는 플라스틱 케이싱에 장착되는 다수의 납작한 도전체 경로를 포함하는 소위 납작한 도전체 또는 박막형 도전체인 도전체 배열 장치(1)를 사용하는 복수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예를 들어 도전체 경로로 인쇄되는 플렉시블 도전체 플레이트(FPC), 적층 박막 도전체(FLC) 또는 사출 판형 도전체(ExFC)와 같은 다른 도전체 배열 장치 상에 사용될 수도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기술한 상기 배열은, 예를 들어 가전 제품, 전기 기기, 공구 또는 다른 장치 등 임의의 다른 장치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간의 연결부 설계는 장치 또는 기기와는 독립적이기 때문에, 도전체 배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가 고려된다.

Claims (25)

  1. 지지 부재(2); 및
    상기 지지 부재 상에 고정되어 차량의 전기 부품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 도전체 배열 장치(conductor arrangement);를 구비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 14) 및 상기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는 소성 변형되어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고정부(13, 14)가 상기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의 언더컷 부분(undercut section)에 결합되며,
    (a)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가,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도전체 경로(11)에 인접하여 연장되며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웨브(12)를 가지거나, 또는
    (b)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가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도전체 경로(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 23; 14, 23)들은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서로 결합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 및 상기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는 소성 변형되어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고정부(13)가 상기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 상기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 및 추가 부재(5)의 고정부(51)가 소성 변형되어 상기 3개의 고정부(13, 23, 51)가 서로 결합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재(5)는 도어 부재용 고정 훅으로서 추가로 형성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재(5)는 도어 내측 트림(trim)용 고정 훅으로서 추가로 형성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재(5)는 보우든 케이블(Bowden cable), 로드 링크장치(rod linkage) 또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로서 추가로 형성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재(5)는 전자부품 하우징용 지지 부재 또는 고정 부재로서 추가로 형성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는 다수의 고정 지점(3)에서 상기 지지 부재(2) 상에 고정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는 강제 결합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점(3)에서 상기 지지 부재(2) 상에 연결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는 스탬프된 리벳(stamped rivet)(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점(3)에서 상기 지지 부재(2) 상에 연결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된 리벳(4)은 상기 고정부 중 하나를 직접 관통하지 않고 고정 지점(3)에서 2개의 고정부(13, 23; 14, 23)에 결합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된 리벳(4)은 상기 고정부(13, 23; 14, 23) 중 적어도 하나의 뒤쪽에 결합하도록 벌어지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는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기다란 도전체 경로(11)를 포함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는 납작한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는 플렉시블 도전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4)는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의 지지부(10)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는 상기 지지 부재(2)와 절연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 상에 절연재가 제공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2) 상에는 절연재가 제공되는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23. 지지 부재(2) 및 상기 지지 부재(2) 상에 고정되어 차량의 전기 부품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 도전체 배열 장치(1)를 구비하는 부품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 14) 및 상기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는 소성 변형되어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고정부(13, 14)가 상기 지지 부재(2)의 고정부(23)의 언더컷 부분(undercut section)에 결합되며,
    (a)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가,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도전체 경로(11)에 인접하여 연장되며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웨브(12)를 가지거나, 또는
    (b)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3)가 상기 도전체 배열 장치(1)의 도전체 경로(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연결부.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항의 특징을 구비하는 부품의 연결부.
  25. 삭제
KR1020047002343A 2001-08-23 2002-08-23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897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1142835 DE10142835C1 (de) 2001-08-23 2001-08-23 Kraftfahrzeug-Baugruppe
DE10142835.9 2001-08-23
DE10238020.1 2002-08-20
DE10238020A DE10238020A1 (de) 2001-08-23 2002-08-20 Kraftfahrzeug-Baugruppe
PCT/DE2002/003158 WO2003018387A1 (de) 2001-08-23 2002-08-23 Kraftfajrzeug-baugrup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152A KR20040030152A (ko) 2004-04-08
KR100897029B1 true KR100897029B1 (ko) 2009-05-14

Family

ID=2601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3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7029B1 (ko) 2001-08-23 2002-08-23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52907B2 (ko)
EP (1) EP1420997B1 (ko)
JP (1) JP3944166B2 (ko)
KR (1) KR100897029B1 (ko)
BR (1) BR0212002A (ko)
DE (1) DE10238020A1 (ko)
MX (1) MXPA04001665A (ko)
WO (1) WO2003018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50B1 (ko) * 2008-01-14 2014-03-19 주식회사 종우실업 수동식 분사펌프
JP5183436B2 (ja) * 2008-11-21 2013-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能性パネルおよびその接合方法
US9705494B2 (en) * 2009-08-21 2017-07-11 Uusi, Llc Vehicle assemblies having fascia panels with capacitance sensors operative for detecting proximal objects
US10017977B2 (en) 2009-08-21 2018-07-10 Uusi, Llc Keyless entry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US9199608B2 (en) * 2009-08-21 2015-12-01 Uusi, Llc Keyless entry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US9845629B2 (en) 2009-08-21 2017-12-19 Uusi, Llc Vehicle keyless entry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US12320180B2 (en) 2009-08-21 2025-06-03 Uusi, Llc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10954709B2 (en) 2009-08-21 2021-03-23 Uusi, Llc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9051769B2 (en) 2009-08-21 2015-06-09 Uusi, Llc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11634937B2 (en) 2009-08-21 2023-04-25 Uusi, Llc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9575481B2 (en) 2009-08-21 2017-02-21 Uusi, Llc Fascia panel assembly having capacitance sensor operative for detecting objects
US9241415B2 (en) * 2013-05-10 2016-0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exible electrical circui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6530699B2 (ja) * 2015-11-27 2019-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パネル及び車両用配線構造
DE102022115259B3 (de) 2022-06-20 2023-11-23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kabelsatzes in einer elektrischen vorrichtung
USD1073985S1 (en) 2022-10-18 2025-05-06 Uusi, Llc Sensor weather se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19B1 (ko) 1996-06-17 2000-09-01 덴턴 마이클 죤 전기접속장치
EP1104720A1 (de) * 1999-12-01 2001-06-06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und Werkzeug zum Fixieren von Leitern auf einem Formträgerteil und Formträgertei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412A (en) * 1970-10-19 1972-10-03 Dake Corp Method and means for indicating tension
US4824164A (en) * 1987-11-25 1989-04-25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incorporated in automotive vehicle doors
JP2913951B2 (ja) 1991-09-26 1999-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ドア用ワイヤーハーネスの配索方法
KR100270634B1 (ko) 1991-11-27 2000-12-01 스튜어트 에드먼드 블래킷 패널 고정방법 및 패널 고정장치
US5369871A (en) 1992-12-18 1994-12-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Device for fixing bus bars to insulating board
JP2707937B2 (ja) 1992-12-18 1998-02-04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スバーと絶縁板の自動装着装置
US5479687A (en) * 1994-01-31 1996-01-02 Btm Corporation Apparatus for joining sheets of material
JPH1071901A (ja) * 1996-08-30 1998-03-17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車両の配線構造
EP0833063B1 (de) * 1996-09-11 2002-07-31 Richard Bergner GmbH & Co Stanzniet
US5929382A (en) * 1997-09-19 1999-07-27 Ut Automotive Dearborn, Inc. Wire harness assembly
JPH11195327A (ja) 1998-01-06 1999-07-21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1011A (ja) 1998-09-04 2000-03-21 Fukui Byora Co Ltd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板と補強板のかしめ締結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かしめ用ポンチ並びに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箱
JP2001039238A (ja) * 1999-07-29 2001-02-13 Yazaki Corp 自動車用フラット回路体配索構造
DE10028184A1 (de) * 2000-06-09 2002-03-07 Hirschmann Austria Gmbh Rankwe Vorrichtung zum Verbindung von elektrischen Leitern
DE20014701U1 (de) 2000-08-25 2000-11-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96450 Coburg Selbstklebendes elektrisches oder optisches Kabel
DE10155697A1 (de) 2000-11-15 2002-08-29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tür mit einer oder mehreren Leitungsverbindungen und ein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der Leitungsverbindungen
DE10124770C1 (de) * 2001-05-21 2002-10-1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Bauelementes mit einem eine Leiterstruktur aufweisenden Substr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19B1 (ko) 1996-06-17 2000-09-01 덴턴 마이클 죤 전기접속장치
EP1104720A1 (de) * 1999-12-01 2001-06-06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und Werkzeug zum Fixieren von Leitern auf einem Formträgerteil und Formträger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18387A1 (de) 2003-03-06
KR20040030152A (ko) 2004-04-08
BR0212002A (pt) 2004-09-28
JP3944166B2 (ja) 2007-07-11
EP1420997B1 (de) 2006-03-08
JP2005500201A (ja) 2005-01-06
EP1420997A1 (de) 2004-05-26
DE10238020A1 (de) 2004-03-04
MXPA04001665A (es) 2004-05-31
US7152907B2 (en) 2006-12-26
US20040239144A1 (en)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029B1 (ko) 자동차 서브어셈블리
KR101087403B1 (ko) 제어 모듈
JP5675933B2 (ja) 制御装置ハウジング
US6160708A (en) Control unit for a motor vehicle
US4824164A (en) Wire harness incorporated in automotive vehicle doors
US20140038474A1 (en)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JP4138804B2 (ja) 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
JPH01303709A (ja) 接触子を備えた電気品
JP4805729B2 (ja) 端子金具同士の固定方法及び端子金具
CN111433107B (zh) 机动车辆部件的电气设备
JPH10334960A (ja) 端子及び端子と電線との接続構造
JPH01307180A (ja) 回路体を有する車両用板状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板状成形体と電装品との接続構造
JP3311620B2 (ja) 電線接続構造
JPH1028575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取付構造
EP4184720A1 (en) Circuit element connection structure and circuit element connection structure unit
US20020100792A1 (en) Process for joining metals
USRE39272E1 (en) Controller for a motor vehicle
JP3949394B2 (ja) フラット回路体の接続構造及びフラット回路体の接続方法
JP2002315152A (ja) 自動車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25104449A (ja) 配線部材及び配線部材の製造方法
JPH02295199A (ja) ノイズ防止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3085152B2 (ja) 電気接続箱
JP2004023853A (ja) 回路体、該回路体の製造方法および該回路体を備えた自動車用電気接続箱
WO2017217204A1 (ja) 電気接続箱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6472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電気電子部材間の取り付け構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5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50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