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6207B1 -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207B1
KR100896207B1 KR1020060007069A KR20060007069A KR100896207B1 KR 100896207 B1 KR100896207 B1 KR 100896207B1 KR 1020060007069 A KR1020060007069 A KR 1020060007069A KR 20060007069 A KR20060007069 A KR 20060007069A KR 100896207 B1 KR100896207 B1 KR 10089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relay mode
channel state
selec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527A (ko
Inventor
김도영
이학주
박동식
홍성권
박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07B1/ko
Priority to US11/657,415 priority patent/US8165521B2/en
Publication of KR2007007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008Constructional details of analysers, e.g. characterised by X-ray source, detector or optical system; Accessories therefor; Preparing specime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7Diffractometry using detectors, e.g. using a probe in a central position and one or more displaceable detectors in circumferential 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중계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 링크(기지국과 중계국 링크 및 중계국과 단말 링크)의 채널 상태(예 : 고유값(Eigen Value),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에러 확률(Probability Error))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된 채널 값들을 미리 정해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중계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호 링크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60007069
AF(Amplify and Forward)중계 방식, DF(Decode and Forward)중계 방식, 중계국, 고유 값(Eigen Value),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Description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ELAY MOD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Y RELAY STATION}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다중 링크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중계국의 각 중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OSI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링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중계링크의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중계국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정보 산출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표준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중계국 및 단말 사이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중계 모드를 선택하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중계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더 많은 통화량을 수용하기 위하여 반경이 매우 작은 셀들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현재의 무선망 설계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 중앙 집중적인 설계가 불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분산적으로 제어되고 구축되면서도, 새로운 기지국(Base station)의 추가와 같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이유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율적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이 요구된다.
상기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상기 자율적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를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Ad hoc 네트워크에서 적용된 기술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도입해야 한다. 상기의 대표적인 사례가 다중홉 릴레이 (Multi-hop relay)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으로서, 고정 기지국으로 구성된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 Ad hoc 네트워크에서 적용된 기술인 다중홉 릴레이 기법을 도입한 것이다.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Mobile station) 간에 하나의 직접 링크(direct link)로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신뢰도가 높은 무선 통신링크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은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선망 구성의 유연성(flexibility)이 낮아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의 변화가 심한 무선환경에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변의 여러 단말기 또는 중계국(Relay station)들을 이용하여 다중 홉 형태로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기법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다중 홉 릴레이 기법은 주변 환경변화에 대해 빠르게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중계국을 설치하여 상기 중계국을 통한 다중 홉 중계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중 홉 중계 경로를 이용하여 음영 지역과 같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의 단말들에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어, 셀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다중 링크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의 서비스 영역(101)에 포함되는 단말(110)은 상기 기지국(100)과 직접 링크로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110) 밖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120)은 중계국(130)을 통해 중계 링크로 연결된다.
즉,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단말들(110, 120)이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101)의 외곽에 위치하거나, 건물 등에 의해 차폐현상이 심한 음영지역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할 경우, 상기 중계기(13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들(110, 120)에 더욱 우수한 무선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다중 홉 릴레이 기법을 이용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지역에서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100)과 중계국(130) 및 단말 2(120) 사이에서 상/하향링크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지국(100)과 중계국(130) 사이의 BS-RS 링크와, 상기 중계국(130)과 단말2(120) 사이의 RS-MS 링크와 상기 기지국(100)과 단말1(110) 사이의 BS-MS 링크가 형성된다. 또한, 각 링크는 데이터 전송 경로의 종단에 따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로 구분되며, 상기 각 링크들(BS-RS링크, RS-MS링크, BS-MS링크)은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해 AF(Amplify and Forward)방식 또는 DF(Decode and Forward)방식의 중계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AF 방식과 DF 방식은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계층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중계국의 각 중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OSI 계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OSI 계층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의 OSI 계층을 나타낸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AF방식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물리층 매체 의존부(PMD : Physical Medium Dependent) 부계층 및 패킷 호 제어 프로토콜(PLCP : Packet Level Control Protocol) 부계층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수신된 신호를 단순히 증폭하여 중계한다.
다음으로 상기 DF방식은 상기 물리 계층뿐만 아니라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부 계층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수신된 신호를 복호 후 전달받은 프레임을 부호 및 변조과정을 거쳐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DF방식은 상기 BS-RS링크와 RS-MS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의 부호방식과는 다른 부호방식으로 부호화시켜 추가적인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각 링크(BS-RS링크, RS-MS링크, BS-MS링크)가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계국은 하나의 미리 지정된 중계 방식(예 : AF방식 또는 DF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중계한다.
만일, 상기 중계국이 상기 AF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BS-RS링크와 RS-MS링크의 채널 상태가 좋으면,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RS-MS 링크의 채널 상태가 좋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채널 상태가 좋은 BS-RS 링크와 동일한 변조 및 부호의 신호를 단순 증폭하여 중계하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중계 신호의 검출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BS-RS링크의 채널 상태가 좋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BS-RS 링크에서 왜곡된 신호를 단순 증폭하여 상기 단말로 중계하기 때문에 잡음이 증폭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중계 모드를 선택하여 중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중계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 사이의 고유 값(Eigen Value) 또는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에 따라 중계 모드를 선택하여 중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중계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각 안테나별로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 사이의 고유 값과 상호 정보량에 따라 중계 모드를 선택하여 중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중계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중계 링크들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된 채널 값들을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각 안테나별로 중계 링크들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된 채널 값들을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각 안테나별로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중계국 장치는,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중계 링크들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중계 링크들의 추정된 채널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중계모드 선택기와, 상기 선택된 중계모드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중계국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각 안테나별로 중계 링크들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중계 링크들의 추정된 채널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각 안테나별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중계모드 선택기와, 상기 선택된 중계모드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은 다중 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 모드는, AF(Amplify and Forward), DF(Decode and Forward), SDF(Selection Decode and Forward), IAF(Incremental Amplify and Forward) 등을 포함하며,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AF방식과 DF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중계 링크는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링크(BS-RS링크)와 중계국과 단말 사이의 링크(RS-MS링크)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은, 다중 안테나(Multi-Input Multi-Output)방식의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다른 다중 접속 방식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링크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301)은 단말(303)과 중계국(305)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311, 312단계). 상기 단말(303)은 상기 기지국(301)과 중계국(305)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313, 316단계).
상기 중계국(305)은 상기 기지국(301)의 하향링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상기 단말(303)로 중계하고(314단계), 상기 단말(303)의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301)으로 중계한다(315단계). 이때, 상기 중계국(305)은 상기 기지국(301)과 단말(303)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중계 링크(BS-RS링크, RS-MS링크)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여 각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중계 모드(AF방식 또는 DF방식)를 선택하여 상기 신호를 중계한다. 여기서, 상기 각 링크의 채널 상태는, 상기 중계국(305)이 다중 안테나를 구비하기 때 문에 각 안테나 사이의 고유 값(Eigen Value), 상기 고유 값에 따른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또는 에러 확률(Probability Error)에 따라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중계국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은 송신장치와 수신 장치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신 장치는, RF(Radio Frequency) 처리기(40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or)(403), 전송모드 처리기(405), 헤더추출기(407), 심볼 복사기(409), 스위치(411, 413, 421), CP(Cyclic Prefix)제거기(415),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417), 복호화기(419) 및 채널 정보 산출기(423), 중계모드 선택기(4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401)는 상기 기지국 또는 단말로부터 다중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3)는 상기 RF처리기(401)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전송모드 처리기(405)는 상기 기지국 또는 단말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모드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3)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를 재처리하여 헤더 추출기(407)와 심볼 복사기(409)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모드는, 다이버시티(Diversity),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빔포밍(Beam forming)을 포함한다.
상기 헤더 추출기(407)는 상기 전송모드 처리기(405)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헤더를 추출한다. 즉,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헤드 추출기(407)에서 추출한 헤더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예측함으로써 채널 예측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심볼 복사기(409)는 상기 전송모드 처리기(405)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의 전체 심볼을 복사한다.
제 1 스위치(411)는 상기 중계 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더 추출기(407)와 심볼 복사기(409)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다음 단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제 1 스위치(411)는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중계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중계 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더 추출기(407)의 출력신호를 CP제거기(415)에 연결한다. 이후, 상기 수신 신호의 중계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제 1 스위치(411)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심볼 복사기(409)에서 복사된 전체 수신 심볼을 제 2 스위치(413)로 전송한다.
상기 제 2 스위치(413)는 상기 중계 모드 선택기(425)에서 결정된 중계 모드에 따라 상기 심볼 복사기(409)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상기 CP제거기(415) 또는 전력 증폭기(427)로 전송한다. 즉, 상기 결정된 중계 모드가 AF 방식의 중계 모드인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413)는 상기 심볼 복사기(409)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기(427)로 전송한다. 반면에, 상기 결정된 중계 모드가 DF 방식의 중계 모드인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413)는 상기 심볼 복사기(409)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상기 CP제거기(415)로 전송한다.
상기 CP제거기(415)는 상기 제 1 스위치(411)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헤더 추출기(407)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제 2 스위치(413)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심볼 복사기(409)의 출력신호에 포함된 보호구간(Cyclic Prefix)을 제거한다.
상기 FFT연산기(417)는 상기 CP제거기(415)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419)는 상기 FFT연산기(417)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해당 변조 수준(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한다.
제 3 스위치(421)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호화기(419)에서 복호화된 신호를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 또는 상기 송신 장치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제 3 스위치(421)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계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복호화기(419)에서 복호된 헤더 정보를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DF 중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 3 스위치(421)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호화기(419)에서 복호된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는 상기 제 3 스위치(421)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복호화된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추정한다. 이후,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는 상기 추정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 링크(BS-RS링크, RS-MS링크)의 각 안테나별 고유 값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는 상기 추정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모드 처리기(405)와 상기 송신 장치의 전력 증폭기(42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로부터 제공받은 각 링크의 고유값들을 미리 정해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중계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 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각 링크의 고유 값을 이용하여 하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모드를 선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표준을 나타낸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 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산출된 각 링크의 고유 값(λBS-RS, λMS-RS)들이 상기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중계 모드를 AF방식으로 결정한다(703).
만일, 상기 각 링크의 고유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중계 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중계모드를 DF방식으로 결정한다(701).

또한,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송수신 장치의 스위치들(411, 413, 421, 429, 43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발생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수신신호의 중계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위치(411)와 제 3 스위치(42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상기 중계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결정된 중계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411)와 제 2 스위치(413)를 제어하기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는 AF방식 또는 DF방식에 따라 중계를 수행할 신호들을 해당 안테나별로 매핑시키기 위해 제 4 스위치(429)와 제 5 스위치(43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송신 장치는 전력 증폭기(427), 스위치(429, 43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33), RF처리기(435) 및 부호화기(437),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439), CP삽입기(441), 전송 모드 처리기(4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 증폭기(427)는 상기 중계모드가 AF방식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413)로부터 제공받은 각 안테나별 수신신호를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 4 스위치(429)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427)에서 증폭된 신호를 해당 안테나 경로로 매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부호화기(437)는 상기 중계모드가 DF방식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 3 스위치(421)로부터 제공받은 각 안테나별 복호화된 수신신호를 해당 변조 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IFFT연산기(439)는 상기 부호화기(437)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여 시간영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CP삽입기(441)는 무선 채널의 다중경로 페이딩 현상 때문에 발생하는 자기신호에 의한 잡음(Inter Symbol Interference)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IFFT연산기(439)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보호구간(Cyclic Prefix)을 삽입하여 출력한다.
상기 전송모드 처리기(443)는 상기 해당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CP삽입기(439)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모드는, 다이버시티(Diversity), 멀티플렉싱(Multiplexing), 빔포밍(Beam forming)을 포함한다.
상기 제 5 스위치(431)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4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송모드 처리기(44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해당 안테나 경로로 매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33)는 상기 제 4 스위치(429) 또는 제 5 스위치(431)로부터 제공받은 각 안테나별 디지털 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처리기(435)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33)로부터 제공받은 각 안테나별 기저대역 신호를 RF신호로 주파수 상향변환하여 상기 다중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고유값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 모드를 선택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는 상기 고유값 뿐만 아니라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에러 확률(Probability Error)을 산출하는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상호 정보량 또는 에러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정보 산출기(423)는 고유값 산출기(501), 상호 정보량 산출기(503), 에러 확률 산출기(5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유값 산출기(501)는 상기 복호된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된 채널 정보로부터 상기 고유값을 산출한다.
상기 상호 정보량 산출기(503)는 상기 산출된 고유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호 정보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상호 정보량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112006005194313-pat00001
여기서, 상기 IM은 상호 정보량을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7031222449-pat00002
은 단위행렬을 나타내며, 상기 E/MTM0는 수신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나타내고, 상기 MT는 송신 안테나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기지국에서 채널 상태를 알고 있을 경우,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HHH를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고유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05194313-pat00003
여기서, 상기 IM은 상호 정보량을 나타내고, 상기 E/MTM0는 수신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나타내며, 상기 MT는 송신 안테나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λm은 m번째 가장 큰 HHH의 고유 값을 나타내고, 상기 n은 상기 H에 대한 순위(rank)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고유 값을 이용하여 상호 정보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에러 확률 산출기(505)는 상기 제 3 스위치(421)로부터 제공받은 복호화된 헤더로부터 에러 확률 값을 산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중계 링크의 고유값을 이용하여 중계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계국은 601단계에서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각 수신신호의 헤더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추출된 수신신호들의 헤더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 링크(BS-RS링크, RS-MS링크)의 고유 값을 산출한다.
상기 고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중계국은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산출된 상기 중계 링크의 고유 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 값을 비교한다.
만일, 상기 각 링크의 고유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λBS- RS, λMS-RS ≥ 기준 값), 상기 중계국은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모드를 AF 모드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S-RS링크와 상기 MS-RS 링크의 고유 값이 모두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중계모드를 AF 모드를 선택한다(703).
상기 중계모드가 AF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중계국은 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 또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상기 605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각 링크의 채널상태에 따라 증폭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력 증폭된 신호를 기지국 또는 단말로 전송한다. 즉,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각 링크의 고유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λBS- RS, λMS- RS < 기준 값), 상기 중계국은 6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모드를 DF 모드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S-RS링크와 상기 MS-RS 링크의 고유 값들 중 하나의 고유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중계모드를 DF 모드를 선택한다(701).
상기 중계모드가 DF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중계국은 6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각 링크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해당 변조 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한다.
상기 각 링크의 수신신호들을 복호화한 후, 상기 중계국은 6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호화된 신호들의 중계를 수행할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부호화를 수행한다. 즉,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상기 RS-MS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결정된 변조 수준에 따라 부호 및 변조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상기 BS-RS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결정된 변조 수준에 따라 부호 및 변조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유값을 산출하여 상기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고유 값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또는 확률 에러(Probability Error)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는 다중 안테나를 구비하는 중계국에서 각 안테나별로 중계모드를 선택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일 안테나를 구비하는 중계국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채널상태에 따라 중계모드를 선택하여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 사이의 링크의 채널 상태(예 : 고유값(Eigen Value),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에러 확률(Probability Error))에 따라 중계모드를 선택하여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중계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호 링크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신신호의 헤더만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기 때문에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9)

  1. 무선 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중계국을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에 대한 고유 값(Eigen Value) 또는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을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된 고유 값 또는 상호 정보량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값 또는 상호 정보량을 추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헤더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헤더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값 또는 상호 정보량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고유 값 또는 상호 정보량을 기준 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고유 값을 이용하는 경우, 중계링크들의 고유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상호 정보량을 이용하는 경우, 중계링크들의 상호 정보량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호 정보량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복호 및 전송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값을 이용하는 경우, 중계링크들의 고유 값들이 모두 상기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상호 정보량을 이용하는 경우, 중계링크들의 상호 정보량들이 모두 상기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증폭 및 전송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드는, AF(Amplify and Forward), DF(Decode and Forward), SDF(Selection Decode and Forward), IAF(Incremental Amplify and Forwar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링크는,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링크와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릴레이(Relay) 방식의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각 안테나별로 중계 링크들의 채널 상태 값을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값들을 기준 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각 안테나별로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값은, 고유 값(Eigen Value),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에러 확률(Probability Erro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값을 추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각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헤더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헤더를 이용하여 상기 각 안테나별 중계 링크들의 채널 상태 값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값들을 상기 기준 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링크들의 채널 상태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링크들의 채널 상태 값들이 모두 상기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드는, AF(Amplify and Forward), DF(Decode and Forward), SDF(Selection Decode and Forward), IAF(Incremental Amplify and Forwar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중계국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중계 링크들의 고유 값(Eigen Value),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상태 값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중계 링크들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중계모드 선택기와,
    상기 선택된 중계모드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신호들의 헤더를 추출하는 헤더 추출기와,
    상기 수신신호들을 복사하여 저장하는 심볼 복사기와,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의 제어에 따라 헤더 추출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심볼 복사기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에 의해 상기 헤더 추출기 또는 심볼 복사기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는 FFT연산기와,
    상기 FFT연산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헤더 추출기와 상기 FFT연산기를 연결하고,
    상기 중계 모드로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심볼 복사기와 상기 송신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중계 모드로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심볼 복사기와 상기 FFT연산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삭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는, AF(Amplify and Forward), DF(Decode and Forward), SDF(Selection Decode and Forward), IAF(Incremental Amplify and Forwar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는,
    상기 중계 링크들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과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중계 링크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중계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중계 링크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들이 모두 상기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중계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중계 모드로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신호들의 전력의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중계 모드로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신호들을 부호화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는 IFFT연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는, 상기 중계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들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기는, 상기 중계 링크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들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중계국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각 안테나별로 중계 링크들의 채널 상태 값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중계 링크들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각 안테나별 중계 모드를 선택하는 중계모드 선택기와,
    상기 선택된 중계모드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수신신호들을 중계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과,
    상기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헤더를 추출하는 헤더 추출기와,
    상기 수신신호들을 복사하여 저장하는 심볼 복사기와,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의 제어에 따라 헤더 추출기의 출력신호와 상기 심볼 복사기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에 의해 상기 헤더 추출기 또는 심볼 복사기의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는 FFT연산기와,
    상기 FFT연산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계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헤더 추출기와 상기 FFT연산기를 연결하고,
    상기 중계 모드로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심볼 복사기와 상기 송신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중계 모드로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심볼 복사기와 상기 FFT연산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기는,
    상기 수신신호의 헤더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각 안테나별로 중계 링크들의 고유 값(Eigen Value), 상호 정보량(Mutual Information), 에러 확률(Probability Error) 중 어느 하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는, 각 안테나별로 AF(Amplify and Forward), DF(Decode and Forward), SDF(Selection Decode and Forward), IAF(Incremental Amplify and Forwar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드 선택기는,
    상기 각 안테나별로 중계 링크들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과 상기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중계 링크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상태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경우,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중계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중계 링크의 추정된 채널 상태 값들이 모두 상기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중계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중계 모드로 증폭 및 전송(AF : Amplify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신호들의 전력의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중계 모드로 복호 및 전송(DF : Decode and Forward) 방식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신호들을 부호화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는 IFFT연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07069A 2006-01-24 2006-01-24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96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069A KR100896207B1 (ko) 2006-01-24 2006-01-24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57,415 US8165521B2 (en) 2006-01-24 2007-01-24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relay mode of relay st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069A KR100896207B1 (ko) 2006-01-24 2006-01-24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527A KR20070077527A (ko) 2007-07-27
KR100896207B1 true KR100896207B1 (ko) 2009-05-12

Family

ID=3836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069A KR100896207B1 (ko) 2006-01-24 2006-01-24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5521B2 (ko)
KR (1) KR100896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5029B2 (ja) * 2006-08-21 2012-10-1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
JP4384151B2 (ja) * 2006-08-28 2009-12-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中継ノード、及び中継方法
US8027301B2 (en) 2007-01-24 2011-09-2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operative OFDMA and distributed MIMO relaying over dense wireless networks
KR100838356B1 (ko) * 2007-02-09 2008-06-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전송모드 선택 방법
WO2008109912A1 (en) * 2007-03-14 2008-09-18 The University Of Sydney Distributed turbo coding and relaying protocols
JP5266450B2 (ja) * 2007-08-27 2013-08-2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通信装置
US20090122744A1 (en) * 2007-11-09 2009-05-14 Alexander Maltsev Selective relaying for wireless networks
US8140107B1 (en) * 2008-01-04 2012-03-20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power control of wireless coverage areas
KR101497613B1 (ko) * 2008-01-14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이중 중계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 간섭채널 추정을 통한간섭제거 및 동기유지 장치 및 방법
US8995311B2 (en) 2008-02-25 2015-03-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lays in multi-user MIMO systems
JP4983979B2 (ja) * 2008-03-26 2012-07-2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中継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中継局装置
US9236933B2 (en) * 2008-05-23 2016-0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multi-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distributed MAC
CN102057715A (zh) * 2008-06-12 2011-05-11 夏普株式会社 中继装置、通信系统和中继方法
KR101507613B1 (ko) * 2008-08-11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동작 방법
WO2010018908A1 (en) * 2008-08-11 201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ng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729121A (zh) * 2008-10-23 201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中继方法及其中继站
KR101527977B1 (ko) 2008-10-27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동작 방법
KR101497929B1 (ko) 2008-11-03 201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중계기 기반의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
KR101075964B1 (ko) * 2009-02-02 2011-10-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EP2456271B1 (en) * 2009-07-15 2016-08-17 Fujitsu Limit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relay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042294B2 (en) * 2009-10-05 2015-05-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148699B1 (ko) * 2010-10-07 2012-05-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EP2458767A1 (en) 2010-11-25 2012-05-30 NTT DoCoMo, Inc.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20219076A1 (en) * 2011-02-25 2012-08-30 Jun Heo System and method of coded cooperation using amplify-and-forward scheme
JP5318299B2 (ja) 2011-03-04 201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中継補助装置
US9088351B2 (en) * 2011-03-17 2015-07-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hysical layer network coding using forward error correction codes
KR101223771B1 (ko) * 2011-06-07 2013-01-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계장치, 하이브리드 중계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중계방법
GB2497548B (en) * 2011-12-12 2014-04-30 Toshiba Res Europ Lt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GB2501932B (en) * 2012-05-11 2014-09-17 Toshiba Res Europ Ltd A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 method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relay selection
KR20140050764A (ko) * 2012-10-19 2014-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중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중계 장치
KR101877754B1 (ko) * 2012-11-26 2018-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송, 수신하는 방법 및 그 단말들
GB2514174B (en) * 2013-05-17 2015-12-02 Cambium Networks Ltd Improvements to adaptive modulation
EP3008941B1 (en) * 2013-06-13 2020-01-2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onfiguring a roaming mobile base station based upon its location
SG11201601077UA (en) 2013-08-21 2016-03-30 Aviat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repeaters
US9560573B2 (en) * 2014-10-0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Relay link communication
CN105337716B (zh) * 2015-09-30 2019-01-29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载波聚合下的资源协商和调度方法及装置
WO2017075489A1 (en) * 2015-10-30 2017-05-04 Kyocera Corporation Selection of decoding level at signal forwarding devices
CN106788661B (zh) * 2017-01-10 2019-10-18 华侨大学 一种全双工机会式中继的协议自适应切换安全传输方法
US10742305B2 (en) 2017-04-07 2020-08-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Output muting are active repeater systems
US12231215B2 (en) 2020-08-04 2025-02-18 Qualcomm Incorporated Forwarding a wireless signal using a digital repe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88A (ko) 2001-07-04 2003-01-14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개인 망 네트워크 시스템의 적응형 주파수 도약장치
US20050249159A1 (en) 2004-05-07 2005-11-10 Santosh Abraham Transmission mode and rate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09232A (ko) 2005-07-15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구성 방법과 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34408A (ko) * 2005-09-23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 다중분할방식 네트워크에서 협력적중계를 위한혼종 포워딩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945A (ja) * 2000-11-06 2002-05-17 Sony Corp 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080095121A1 (en) * 2002-05-14 2008-04-24 Shattil Steve J Carrier interferometry networks
EP1400062A2 (en) * 2001-06-28 2004-03-24 King's College London Electronic data communication system
JPWO2003032527A1 (ja) * 2001-10-04 2005-01-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制御装置、基地局、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プログラム、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7035677B2 (en) * 2003-01-21 2006-04-2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599443B2 (en) * 2004-09-13 2009-10-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balance maximum information rate with quality of service in a MIMO system
SE0403218D0 (sv) * 2004-12-30 2004-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communication-
WO2006090669A1 (ja) * 2005-02-22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方法、中継局装置および無線受信装置
CN101322327B (zh) * 2005-11-29 2012-11-1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在无线中继网络中中继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US20080137581A1 (en) * 2006-12-12 2008-06-12 Nokia Corporation Data forwarding techniques for wireless relay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88A (ko) 2001-07-04 2003-01-14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개인 망 네트워크 시스템의 적응형 주파수 도약장치
US20050249159A1 (en) 2004-05-07 2005-11-10 Santosh Abraham Transmission mode and rate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09232A (ko) 2005-07-15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구성 방법과 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34408A (ko) * 2005-09-23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 다중분할방식 네트워크에서 협력적중계를 위한혼종 포워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0934A1 (en) 2007-08-16
US8165521B2 (en) 2012-04-24
KR20070077527A (ko) 200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207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중계국의 중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734323B2 (ja) 通信中継装置、受信装置、通信中継方法及び受信方法
KR100930524B1 (ko) 다중 안테나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033208A1 (en) Selection of decoding level at signal forwarding devices
WO2009082311A1 (en) A node and a method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00005294A (ko) 파일럿-심벌-어시스티드 무선전화 통신_
KR20060132422A (ko) 다중 홉 릴레이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장치 및 방법
JP2011045048A (ja) 協調無線中継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クロストークキャンセル方法および中継局
JP2011151852A (ja) 無線通信装置
US20130010893A1 (en) X-MIMO Systems with Multi-Transmitters and Multi-Receivers
KR20080069753A (ko)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협력전송을 위한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947207B1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협력적 최대비율 전송장치및 방법
US20120015601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102084B1 (ko) 협력 중계 장치 및 협력 중계 방법과, 협력 중계 방식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KR101018571B1 (ko) 기회적 중계 기법을 이용한 협력 다이버시티 방법 및 협력 다이버시티 시스템
KR101478469B1 (ko) Ofdm 기반의 기지국 협력 통신을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4066B1 (ko) 프리 코딩을 통한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
KR101694065B1 (ko) 인접 기지국을 활용하는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
US9866301B2 (en)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for LSAS backhaul and the like
KR101922846B1 (ko) 협력적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직접 및 중계전송의 연계 방법
WO2009110835A2 (en) A communication unit and a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071803B1 (ko) 디코딩 후 전달 릴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05498B1 (ko)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화 장치 및방법
JP2007067726A (ja) 無線中継器、無線中継方法及び無線中継システム
KR20080073454A (ko)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양방향 전송을 위한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