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5521B1 -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521B1
KR100895521B1 KR1020070103258A KR20070103258A KR100895521B1 KR 100895521 B1 KR100895521 B1 KR 100895521B1 KR 1020070103258 A KR1020070103258 A KR 1020070103258A KR 20070103258 A KR20070103258 A KR 20070103258A KR 100895521 B1 KR100895521 B1 KR 10089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conductive film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 solution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755A (ko
Inventor
오상근
송경화
정다정
박준기
이동면
Original Assignee
(주)탑나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나노시스 filed Critical (주)탑나노시스
Priority to KR102007010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521B1/ko
Priority to US12/682,363 priority patent/US8815399B2/en
Priority to PCT/KR2008/005921 priority patent/WO2009048269A2/en
Priority to JP2010528804A priority patent/JP5390526B2/ja
Publication of KR2009003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5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05K1/097Inks comprising nanoparticles and specially adapted for being sintered at low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42Shape of an individual particle
    • H05K2201/026Nanotubes or nanowi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2Materials
    • H05K2201/0323Carb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681Mesh conductors, e.g. as a ground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4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spray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e.g. vapour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7Drying of printed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8Monolayer with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0Self-sustaining carbon mass or layer with impregnant or oth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리형 패턴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은 스프레이 코팅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리형 패턴을 가짐으로써 투과도 및 전도성이 매우 개선된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은 투명전극에 매우 적합한 투과도 및 면저항 특성을 갖고 있다.
스프레이 코팅, 고리형 패턴,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Description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Carbon nanotube conductive layer using spray coating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할 때 기질에 코팅되는 패턴의 모양을 조절하여 전도성 및 투과도 특성이 개선된 스프레이 패턴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CNT)는 하나의 탄소가 다른 탄소원자와 육각형 벌집무늬로 결합되어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고, 튜브의 직경이 나노미터 수준으로 극히 작아서 특유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전기적 선택성, 뛰어난 전계방출 특성을 가진다. 또한 감긴 형태에 따라 반도체의 성질을 띠며 직경에 따라 에너지갭이 달라지기 때문에 전자분야, 생명공학분야, 의약분야 등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탄소나노튜브가 갖는 전기적 성질은 현재 알려진 다른 소재들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획기적이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를 플라스틱이나 유리 기판에 얇은 도전막으로 형성하면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투과도와 전도성을 나타내므로 투명전극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은, 현재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FPD(Flat Panel Display), 터치패널 등의 투명전극으로 사용되고 있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전극의 대체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기판에 코팅된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은 금속 산화물 박막인 ITO 투명전극에 비해 외부충격이나 응력에도 안정하여 막을 접거나 휘었을 때도 전기적인 특성이 변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으로 연구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투명전극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분산된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일정한 기질에 코팅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코팅방법으로 스프레이코팅, 딥 코팅, 스핀코팅, 롤 코팅법 등이 알려져 있다. (US 7,118,693, US 7,060,241, US 6,988,925) 이러한 코팅 방법은 기존에 특정 기질에 코팅액을 입히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 뿐 만 아니라 다른 물질의 코팅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코팅 후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이 적합한 투과성과 전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의 종류를 선정하거나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를 넣는 방법 및 기질에 코팅되는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상술한 방법을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얻어진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이 만족할만한 투과도 및 전도성을 갖고 있지 못하여 개선의 여 지가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레이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기질에 일정한 모양의 패턴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투과도 및 전도성이 개선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리형 패턴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소나노튜브,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 및 분산하여 코팅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기질상에 상기 코팅 용액을 분사압력 0.05 내지 60kgf/cm2 에서 스프레이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레이 코팅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리형 패턴을 가짐으로써 투과도 및 전도성이 매우 개선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은 투명전극에 매우 적합한 투과도 및 면저항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스프레이 방법에 의한 패턴 형성은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여러 단계의 전처리를 요구하는 일반 패턴 방법과 달리 공정이 간단하여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투명전극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투명도전막은 투명전극의 특성인 투명성과 전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전도성 물질인 탄소나노튜브가 서로 끊어짐 없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전극의 기본적인 역할은 전기가 흐를 수 있어야 하므로 전기를 흐르게 하는 물질인 탄소나노튜브가 끊어짐 없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즉 넓은 면적에 전기가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전도성 물질인 탄소나노튜브가 전 면적에 걸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기질 전체를 전도성 물질로 도포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 방법에 따르면 전도성 향상에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투명전극의 또 다른 조건인 투과도 측면에서 특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둘째, 투과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기질 전체에 전도성 물질인 탄소나노튜브가 가능한 얇게 코팅되어 있거나 코팅 물질이 기질에 부분적으로 코팅되게 하여 빛의 투과성이 높아지게 해야 한다.
상술한 두가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이 코팅방식 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리형 패턴이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고리형 패턴은 광학현미경 또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확인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리형 패턴에 대하여 설명하면, 고리의 형상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환형 고리를 의미한다. 이 때 환은 가로 직경과 세로 직경이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은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스프레이 코팅 방법은 작은 입자들을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시켜 기질에 떨어뜨림으로써 입자의 증발을 유도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입자가 증발하면서 생기는 일정한 무늬의 패턴 즉 고리형 패턴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환형 고리 패턴 예를 들어, 그 패턴이 속이 빈 커피 링(coffee ring) 타입으로 얻어질 때 고 투과성과 낮은 면저항 값을 갖는 투명전극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커피 링은 어떤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액체가 증발하면서 남긴 패턴을 말한다. 그 모양이 마치 커피를 엎질렀을 때 생기는 원형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유래된 이름으로서, 이는 액체와 증발 속도가 다른 물질이 액체 방울에 혼합되어 있을 때 바깥가장자리 부분의 액체가 증발하면서 방물의 안쪽에 있는 액체가 그 빈 공간을 차지하면서 바깥으로 움직이면서 그 속에 포함되어 있던 입자들의 대부분이 액체 방물의 가장자리에 몰리면서 생기는 패턴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이 코팅시 코팅 용액의 분사 압력,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이 형성될 기질의 온도 등과 같은 인자를 조절하여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환형 고리 패턴 예를 들어 커피 링 패턴 모양을 얻을 수 있고 코팅된 전체 면에 서 탄소나노튜브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면서 투명성이 높은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 고리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리형 패턴이 이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은 복수개의 환형 고리 패턴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고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리끼리 서로 연결되어 겹침이 나타나고, 고리 내부에 채워진 면적 부분 B이 나타나지 않는다. 도 1에서 고리 내부에 채워진 면적 부분 B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위하여 추가한 부분이고, 본 발명의 고리형 패턴에서는 실제적으로 고리 내부가 B와 같이 모두 채워지지 않고 일부만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고리끼리 서로 연결되면서 고리 내부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일부 빈 공간 A을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전도성과 투과도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만약 고리형 패턴 내부에 겹친 다른 고리형 패턴 이외에 채워지는 면적이 많아지게 되면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투과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 고리형 패턴에서 상기 고리는,내부 일부만 채워지거나 또는 내부가 모두 채워지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d는 고리의 두께를 나타내고, b는 고리의 외경을 나타내며, b 및 d에 따라 고리 패턴의 크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에서 고리형 패턴의 크기는 스프레이 코팅시 사용되는 노즐, 분사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고리형 패턴의 직경 (외경) 0.1 ~ 120 μm 그리고 상기 고리 패턴 d의 두께는 0.01 ~ 5 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고리형 패턴의 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투명도전막의 면저항의 균일도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점과 같은 작은 고리에 의해 투과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고리 패턴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투명도전막을 구성하는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감소되어 투명도전막의 전도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환 고리형 패턴이 형성되고 이들 고리끼리의 겹침을 실제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리끼리 겹친 영역이외의 공간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리형 패턴의 두께가 약 3μm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리의 직경이 약 40μm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탄소나노튜브,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 및 분산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발형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제로는 탄소나노튜브를 물과 같은 용매에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 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트리톤 X(Triton X)(Sigma사), Tween20(Polyoxyethyelene Sorbitan Monooleate), CTAB(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분산제의 함량은 탄소나노튜브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1-5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1,2-디 클로로 벤젠(1,2-Dichlorobenzene),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톤, 그 혼합물 등을 사용하며, 용매의 함량은 탄소나노튜브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80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분산된 결과물을 코팅 용액으로 준비한다.
상기 코팅 용액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은 코팅 용액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이러한 코팅용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고리형 패턴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거나 끊어져 투명전극의 전도성이 저하되고,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리형 패턴의 고리 내부가 부분적으로 채워져 증발되는 시간이 오래 결려 패턴의 형상이 불규칙적으로 변화되면서 투명전극의 투과도를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어서, 기질상에 상기 코팅 용액을 스프레이 코팅하고, 이를 건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프레이 코팅은 일반적인 스프레이 코팅 장비와 초음파 분무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프레이 코팅에 사용되는 노즐의 형태는 일류체, 이류체, 이들의 혼합 노즐 등의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공정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발열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코팅 용액의 증발을 위해 코팅면의 아래, 위, 옆면 등에서 온도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기질을 가열시키는 온도는 가열처리된 기질 온도와 동일하며, 50~300 ℃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매의 효율적인 증발을 위하여 조절해야 하며 코팅되는 기질의 종류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만약 기질의 가열 온도가 너무 낮으면 용매의 증발이 느리게 일어나고 커피링 타입의 고리형 패턴이 깨어진다. 또한 가열온도가 300℃를 초과하면 용매의 증발 속도가 빨라지나 기질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기재는 유리, 폴리머 필름, 멤브레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평면 형태의 기재에는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 용액의 분사 압력은 0.05kgf/cm2 ~ 60kgf/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코팅용액의 분사 압력이 60kgf/cm2 보다 크면 분사된 방물이 기질에 닿을 때 고리형 패턴이 형성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불규칙한 형태로 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패턴이 서로 연결되지 못해서 투명전극 제조 후 면저항 값이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반면 스프레이 분사 압력이 0.05kgf/cm2 보다 낮으면, 분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생성되는 방울 입자가 커져 코팅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용액이 기질에 닿을 때 분사될 때의 압력이 유지 되도록 하기위해서는 분사되는 스프레이 노즐과 기질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안정적인 패턴 형성을 위해서 기질과 노즐사이의 거리를 최소 1~100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조과정에 따라 얻은 탄소나노튜브 도전막은 면저항이 20kΩ/□이하, 특히 10kΩ/□ 내지 20Ω/□이고, 투과도는 60% 이상, 특히 60-98%로 전도도와 투명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술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도전막은 ITO 투명 전극을 대체하여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투명 전극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 3.0mg과 SDS 분산제1.5mg을 증류수 200ml에 골고루 혼합하였다. 이를 초음파 분산기(bath sonicator Branson 5510 40kHz 135W)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분산시켜 코팅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기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고, 이를. 온도 70℃ 로 가열된 발열판 위에 두고 실험용 스프레이 장치(Anest Iwata W-100)를 준비하여 분산된 용액을 이용하여 준비된 기질에 스프레이 코팅을 실시하고 이를 건조하여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분사 압력은 5kgf/cm2로 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현미경(OLYMPUS BX51)을 이용하여 200배 확대하여 관찰하였고, 도 3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면저항 및 투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프레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패턴이 서로 겹쳐지면서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흐름이 가능해지며 내부가 일부 비어 있는 환 고리형 패턴으로 투과성이 높은 투명전극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 3.0mg과 SDS 분산제 1.5mg을 증류수 200ml를 교반하여 잘 혼합하였다. 이를 초음파 분산기(bath sonicator Branson 5510 40kHz 135W)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분산시켜 코팅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기질로 PET 필름을 사용하고, 이 필름을 온도 70℃의 발열판에 올려 가열하였다. 초음파 분무기(삼성전자)에 분산된 용액을 1kgf/cm2 압력으로 밀어 주면서 준비된 기질에 스프레이 코팅을 실시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현미경을 통해 200배 확대하여 관찰하고, 도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면저항 및 투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여 고리형 패턴을 확인하고, 실시예 1과 유사하게 고리 내부가 일부 채워지지 않은 환형고리 패턴이 겹쳐진 형태를 나타냈다.
비교예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 3.0mg과 SDS 분산제1.5mg 및 증류수 200ml를 교반하여 이를 골고루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초음파 분산기(bath sonicator Branson 5510 40kHz 135W)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분산시킨 후 코팅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기질로서 PET 필름을 사용하고, 이를 기질이 놓인 발열판의 온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70℃로 고정하였다. 실험용 스프레이 장치(Anest Iwata W-100)를 준비하여 분산된 용액을 이용하여 준비된 기질에 스프레이 코팅을 실시하여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코팅 용액의 분사 압력은 75kgf/cm2로 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200배 확대하여 관찰하였고, 그 사진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면저항 및 투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사 압력을 높였을 때 나타나는 코팅 패턴을 알 수 있는데, 분사 압력이 강하면 일정한 원모양 패턴이 아니라 불규칙적인 모양으로 패턴이 깨어져 나타난다. 그리고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부분이 보여 면저항값이 크게 높아지지는 않으나 속이 채워진 형태의 패턴으로 인 해 투과도값이 낮아진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을 형성하기 위한 스프레이 조건과 각각의 경우에 따라 실시하여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으로 된 투명전극의 면저항 및 투과도를 조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스프레이 조건 패턴 특징 투명전극 면저항 (Ω/□) 투명전극의 투과도 (%)
실시예 1 분사압력 5kgf/cm2 기질온도: 70℃ 고리형 패턴 700 84
실시예 2 분사 압력 1kgf/cm2 기질온도 70℃ 고리형 패턴 800 85
비교예 1 분사압력 75kgf/cm2 기질온도 70℃ 불규칙적 모양 800 75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2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은 고리형 패턴을 나타내며, 면저항이 우수하면서도 투과도 특성이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예 1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에서 고리형 패턴 대신 불규칙적 모양이 관찰되었고, 투명전극의 면저항 특성은 우수하지만 투과도 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11)

  1. 탄소나노튜브,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 및 분산하여 얻은 코팅 용액을 분사압력 0.05 내지 60kgf/cm2 에서 스프레이하고, 이를 건조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서로 연결된 복수의 고리형 패턴을 갖고 있고, 상기 고리의 두께가 0.1-5μm이고, 상기 고리의 직경이 10 ~ 120 μm인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가,
    내부 일부만 채워지거나 또는 내부가 모두 채워지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5. 탄소나노튜브,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 및 분산하여 코팅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기질상에 상기 코팅 용액을 분사압력 0.05 내지 60kgf/cm2 에서 스프레이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 용액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은 코팅 용액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이 50 내지 300℃로 가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함량은 탄소나노튜브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800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이 유리, 폴리머막, 세라믹필름으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1,2-디 클로로 벤젠(1,2-Dichlorobenzene),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용액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함량은 코팅 용액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KR1020070103258A 2007-10-12 2007-10-12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58A KR100895521B1 (ko) 2007-10-12 2007-10-12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제조방법
US12/682,363 US8815399B2 (en) 2007-10-12 2008-10-09 Carbon nanotube conductive layer using spray coating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PCT/KR2008/005921 WO2009048269A2 (en) 2007-10-12 2008-10-09 Carbon nanotube conductive layer using spray coating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2010528804A JP5390526B2 (ja) 2007-10-12 2008-10-09 スプレーコーティングを用い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導電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58A KR100895521B1 (ko) 2007-10-12 2007-10-12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755A KR20090037755A (ko) 2009-04-16
KR100895521B1 true KR100895521B1 (ko) 2009-04-30

Family

ID=4054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2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521B1 (ko) 2007-10-12 2007-10-12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5399B2 (ko)
JP (1) JP5390526B2 (ko)
KR (1) KR100895521B1 (ko)
WO (1) WO200904826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7456B2 (en) 2013-08-01 2017-04-11 Wap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coated graphi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6889B2 (ja) * 2008-06-04 2013-08-21 ソニー株式会社 光透過性導電体の製造方法
KR101356260B1 (ko) * 2009-10-06 2014-01-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전극기판의 제조방법
FR2961625A1 (fr) 2010-06-16 2011-12-23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films transparents conducteurs a base de nanotubes de carbone
FR2966062B1 (fr) 2010-10-13 2015-05-15 Thales Sa Procede de depot de nanoparticules sur une surface et appareil de depot de nanoparticules correspondant
KR101820483B1 (ko) * 2012-02-24 2018-01-1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저항발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가열장치 및 정착장치
CN105377449B (zh) * 2013-07-10 2018-09-04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涂膜形成方法、带透明导电膜的基材、器件和电子设备
WO2015083160A2 (en) * 2013-12-02 2015-06-11 Clearjet Ltd Process for controlling wettability features
JP6446736B2 (ja) * 2014-07-14 2019-01-09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FR3032362B1 (fr) * 2015-02-06 2020-05-29 Thales Procede de depot de nanoparticules et de microparticules carbonees oxydees
KR102624344B1 (ko) * 2015-08-27 2024-01-11 서레이 나노시스템즈 리미티드 저반사율 코팅, 및 기판을 코팅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423058B1 (ja) * 2017-08-25 2018-1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48A (ko) * 1999-02-26 1999-06-25 임지순 전계방출팁
WO2004052559A2 (en) * 2002-12-06 2004-06-24 Eikos, Inc. Optically transparent nanostructured electrical conductors
JP2006310154A (ja) 2005-04-28 2006-11-09 Bussan Nanotech Research Institute Inc 透明導電膜および透明導電膜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690A (ja) * 2003-01-30 2004-08-19 Takiron Co Ltd 制電性透明樹脂板
KR20060084666A (ko) * 2005-01-20 200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무건조를 이용한 입상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및 입상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948A (ko) * 1999-02-26 1999-06-25 임지순 전계방출팁
WO2004052559A2 (en) * 2002-12-06 2004-06-24 Eikos, Inc. Optically transparent nanostructured electrical conductors
JP2006310154A (ja) 2005-04-28 2006-11-09 Bussan Nanotech Research Institute Inc 透明導電膜および透明導電膜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7456B2 (en) 2013-08-01 2017-04-11 Wap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coated graph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90526B2 (ja) 2014-01-15
KR20090037755A (ko) 2009-04-16
WO2009048269A2 (en) 2009-04-16
US20100221531A1 (en) 2010-09-02
WO2009048269A3 (en) 2009-07-16
JP2011502034A (ja) 2011-01-20
US8815399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521B1 (ko)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투명도전막 및 그제조방법
KR101784140B1 (ko) 투명한 전도성 용도를 위한, 탄소 나노튜브-투명한 전도성 무기 나노입자 하이브리드 박막
JP5612767B2 (ja)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透明導電膜
KR101693774B1 (ko)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JP5290926B2 (ja) 導電性構造体を利用した導電性フィルム製造方法
KR20150085523A (ko) 그래핀 소재와 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한 막 형성용 조성물
JP2008159596A (ja) 粒子と混合し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からの増強した電界放出
JP2008130551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Varea et al. Electrospray as a suitable technique for manufacturing carbon-based devices
KR101925593B1 (ko) 이종 원소가 도핑된 탄소나노물질의 제조 방법
Ko et al. Highly conductive, transparent flexible films based on open ring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JP2005285344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と高分子を用いた電子放出源およびその製法
EP3294543B1 (en) Carbon nanotube based hybrid films for mechanical reinforcement of multilayered, transparent-conductive, laminar stacks
KR20210046327A (ko) 발열용 탄소나노분산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열체 제조방법
KR20160014409A (ko) 도전성 잉크 조성물, 도전체 및 전자 소자
KR100977410B1 (ko) 일액형 탄소나노튜브 바인더 혼합액을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계 방출 소자용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
TW202426576A (zh) 製造非均勻剛性桿網狀物的方法
JP201418695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5464A (ko)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Hao et al. Enhanced conductivity and color neutrality of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based on CNT/PEDOT: PSS composite with a layer-by-layer structure
KR101163733B1 (ko) 탄소 나노 튜브-수성 고분자 복합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서블 전계 방출 소자
KR20140142200A (ko) 전계방출용 에미터용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 이를 이용한 에미터 및 전계방출소자
Woo et al. Rapid transformation of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into superhydrophobic conductive films
JP2014146428A (ja) 透明導電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41740A (ja) 透明導電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