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5066B1 -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066B1
KR100895066B1 KR1020080088565A KR20080088565A KR100895066B1 KR 100895066 B1 KR100895066 B1 KR 100895066B1 KR 1020080088565 A KR1020080088565 A KR 1020080088565A KR 20080088565 A KR20080088565 A KR 20080088565A KR 100895066 B1 KR100895066 B1 KR 10089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lard
flange
buried
long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권섭
윤기수
조면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to KR102008008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0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어 차량의 갑작스런 보도진입을 물리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볼라드(Bollard)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지중에 매립되는 것으로 상부에 제1플랜지(21)가 형성된 매립구(20)가 구비되고, 매립구(20)의 직상방에는 상부에 돌출구(32)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2플랜지(31)가 형성된 연결지주(30)가 볼트(35)를 매개로 매립구(20)의 제1플랜지(21)에 결합되며, 연결지주(30)의 직상방에는 하부에 인입구(42)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에 삽입구(41)가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적층구(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최상위 적층구(40)의 직상방에는 중앙에 구멍(51)을 갖는 갓머리부(50)가 적층구(40)와 함께 결합되되, 장볼트(60)가 갓머리부(50)의 구멍(51)에 삽입되어 장볼트(60)의 선단에 너트(61)로 조임되고, 장볼트(60)의 말단은 상기 연결지주(30) 내주면에 방사상의 제2리브(34)의 지지를 받는 지지공(33)에 삽입되어 너트(61)로 조임됨으로써, 차량의 충격을 순간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볼라드, 충격흡수, 다단식

Description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Multistage bollard for shock absorbing}
본 발명은 통상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어 차량의 갑작스런 보도진입을 물리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볼라드(Bollar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 미숙으로 차량이 보도로 진입하는 순간, 위험한 상황이 초래했음을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림과 동시에 볼라드에 부딪치는 차량도 손상되지 않도록 한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차량의 무분별한 보도난입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함은 물론, 인구밀집이 많은 공원이나 광장 및 상업지구의 보도 경계에 주정차를 근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볼라드는 주로 석재 또는 철재로 제작되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서 돌출된 기둥 형태로써, 차도와 보도의 경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경도가 우수한 볼라드 재질의 특성과 견고한 고정 시공으로 인해, 운전 미숙을 비롯한 간단한 실수로 차량이 볼라드에 부딪치게 되면, 차량에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보행자의 경우에도 보행중 실수로 볼라드에 부딪치는 경우 타박상은 물론 뼈가 골절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차량의 갑작스런 보도진입 방지는 물론 인구밀집 지역의 주정차 단속을 위한 볼라드의 설치목적을 헤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차량이 볼라드에 부딪치는 순간 볼라드에 가해지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음은 물론, 볼라드에 보행자가 실수로 부딪치더라도 보행자에게 상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한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지중에 매립되는 것으로 상부에 제1플랜지(21)가 형성된 매립구(20)가 구비되고, 매립구(20)의 직상방에는 상부에 돌출구(32)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2플랜지(31)가 형성된 연결지주(30)가 볼트(35)를 매개로 매립구(20)의 제1플랜지(21)에 결합되며, 연결지주(30)의 직상방에는 하부에 인입구(42)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에 삽입구(41)가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적층구(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최상위 적층구(40)의 직상방에는 중앙에 구멍(51)을 갖는 갓머리부(50)가 적층구(40)와 함께 결합되되, 장볼트(60)가 갓머리부(50)의 구멍(51)에 삽입되어 장볼트(60)의 선단에 너트(61)로 조임되고, 장볼트(60)의 말단은 상기 연결지주(30) 내주면에 방사상의 제2리브(34)의 지지를 받는 지지공(33)에 삽입되어 너트(61)로 조임됨으로써, 차량의 충격을 순간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매립구(20)의 내부 중앙에는 방사상의 제1리브(24)의 지지를 받는 물수평계(23)가 설치되어 매립구(20)의 지중 안치시에 지면에 맞는 매립구(20)의 수평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매립구(20)의 외주면에는 유입구(22)를 형성하여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매립구(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양생과정에서 콘크리트가 매립구(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통하면, 혹여 발생하게 되는 차량의 갑작스런 보도진입시에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볼라드에 부딪치는 차량의 손상도 예방할 수 있는데다, 사고이후 볼라드를 다시 설치하는 과정에서 간단하게 장볼트만 교체해 주는 방식으로, 사고수습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볼라드(10)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 사시도로서, 차도와 보도의 경계에 갑자스런 차량의 보도진입을 방지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인구밀집 지역에서 주정차를 방지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확보하기 위한 볼라드(10)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1에서 보듯이 주로 석재(또는 철재)로 제작된 볼라드(10)는 그 재질의 특성상 우수한 경도로 인해, 차량이 부딪치면 차량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보행자가 부딪치면 보행자에게 타박상 내지 골절상의 상해를 입히기도 한다.
한편, 차량의 갑작스런 보도진입시, 이를 방지한 볼라드(10)는 도 1에서와 같이 기울어 지거나 또는 지면에서 완전 이탈되기도 한다. 이렇게 비상사태가 진압되면 쓰러지거나 기울어진 볼라드(10)를 다시 지중에 매립하여 입설하기 위해 지면을 터파기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작업이 진행되는 바, 이는 볼라드(10)의 목적을 생각해 볼때, 너무 과다하고 불필요한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볼라드의 목적을 수행함은 물론, 유사시 차량의 보도진입과정에서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을 막아선 볼라드의 재설치시에 간편한 시공이 이루어지게 할 뿐 아니라, 볼라드에 부딪친 차량 또한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한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단면도이다.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볼라드의 최하부에는 상부에 제1플랜지(21)가 형성된 매립구(20)가 구비되고, 매립구(20)의 직상방에는 하부에 제2플랜지(31)가 형성된 연결지주(30)가 볼트(35)를 매개로 매립구(20)의 제1플랜지(21)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지주(30)의 직상방에는 하부에 인입구(42)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에 삽입구(41)가 돌출 형성된 적층구(40)가 결합되되, 적층구(40)의 인입구(42)가 연결지주(3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구(32)에 외삽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적층구(40)의 삽입구(41)는 그 외경크기가 인입구(42)의 외경크기 보다 작도록 형성하여, 동일한 구성을 갖는 다수개의 적층구(40)가 다단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다단으로 적층된 최상위의 적층구(40)의 직상방에는 중앙에 구멍(51)이 형성된 갓머리부(50)가 안치된다.
상기 갓머리부(50)는 연결지주(30)위에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의 적층구(40)와 함께 장볼트(60)와 너트(61)를 통해 구부러지기 쉬운 탄력적인 상태로 결합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갓머리부(50)의 구멍(51)에 삽입된 장볼트(60)의 선단과 말단은 각각 너트(61)가 체결되는바, 첫번째 너트(61)는 갓머리부(50)의 상부에 놓이게 되고, 두번째 너트(61)는 연결지주(30)의 내부에 놓이게 되면서 장볼트(60)와 견고하게 체결되어 다단의 적층구(40)와 갓머리부(50)가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럼, 연결지주(30) 내부에 놓이게 되는 너트(61)와 장볼트(60)의 결합방식을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주(30)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로서, 도 4에서 보듯이 연결지주(30) 내주면에는 방사상의 제2리브(34)가 형성되고, 제2리브(34)들이 만나는 중앙에는 지지공(33)이 형성되는데, 바로 이 지지공(33)에 장볼트(60)가 삽입된 후 지지공(33)의 직하방에서 너트(61)가 장볼트(60)와 체결되면서 다단의 적층구(40)와 갓머리부(50)가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구(20)를 설명하기 위한 매립 사시도로서, 매립구(20)는 연결지주(30)와 볼트(35)를 통해 제1플랜지(21)와 제2플랜지(31)가 대면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 매립구(20)는 볼라드의 견고한 입설을 위해 지중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먼저 지면을 터파기 한후 매립구(20)를 안치시키되, 매립구(20)의 제1플랜지(21)와 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지면과 제1플랜지(21)와의 수평성이 곧 볼라드의 수직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볼라드가 수직하게 설치되기 위해서는 매립구(20)의 제1플랜지(21)와 지면이 수평을 이루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목적을 이루고자 도 5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매립구(20)의 중앙에 방사상의 제1리브(24)의 지지를 받는 물수평계(23)를 설치하여 공사 현장에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지면과 수평한 매립구(20)를 안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매립구(20)의 외주면에는 유입구(22)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매립구(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양생과정에서 콘크리트가 매립구(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결합 사시도로서, 이처럼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차량의 충격을 포함한 외력 발생시에 연성(延性)이 좋은 장볼트(60)가 휘어지면서 수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적층구(40)가 수직도를 벗어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충격에 따른 차량의 손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볼라드에 충격을 가한 주체가 보행자라 할지라도 보행자의 타박상 내지 골절상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라드가 기울어지면 종래에는 터파기를 다시하여 볼라드를 다시 매립 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단식 적층구조 하에서는 휘어진 장볼트(60)만 간단하게 교체하면 됨으로써, 재시공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는 주물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수 있는 바, 도 6에서와 같이, 연결지주(30) 및 적층구(40)에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명칭을 포함한 상징물 등을 천공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연결지주(30) 및 적층구(40) 내부에 전등을 구성함으로써, 거리의 조명등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설치도로서, 적층구(40)는 얼마든지 다단식으로 적층할 수 있는바, 볼라드가 설치되는 지역의 공간 디자인에 맞추어 다양한 높이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시의 미관을 더욱 수려하게 꾸밀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주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구를 설명하기 위한 매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의 설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라드
20 : 매립구
21 : 제1플랜지
22 : 유입구
23 : 물수평계
24 : 제1리브
30 : 연결지주
31 : 제2플랜지
32 : 돌출구
33 : 지지공
34 : 제2리브
35 : 볼트
40 : 적층구
41 : 삽입구
42 : 인입구
50 : 갓머리부
51 : 구멍
60 : 장볼트
61 : 너트

Claims (3)

  1. 상부에 제1플랜지(21)를 갖는 매립구(20)가 형성되되, 매립구(20)의 외주면에는 유입구(22)가 형성되어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매립구(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매립구(20)의 내부 중앙에는 방사상의 제1리브(24)의 지지를 받는 물수평계(23)가 설치되어 매립구(20)의 지중 안치시에 수평시공이 용이하게 되며, 매립구(20)의 직상방에는 상부에 돌출구(32)가 형성되고 하부에 제2플랜지(31)가 형성된 연결지주(30)가 볼트(35)를 매개로 매립구(20)의 제1플랜지(21)에 결합되며,
    연결지주(30)의 직상방에는 하부에 인입구(42)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에 삽입구(41)가 돌출 형성된 다수의 적층구(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최상위 적층구(40)의 직상방에는 중앙에 구멍(51)을 갖는 갓머리부(50)가 적층구(40)와 함께 결합되되, 장볼트(60)가 갓머리부(50)의 구멍(51)에 삽입되어 장볼트(60)의 선단에 너트(61)로 조임되고, 장볼트(60)의 말단은 상기 연결지주(30) 내주면에 방사상의 제2리브(34)의 지지를 받는 지지공(33)에 삽입되어 너트(61)로 조임됨으로써, 차량의 충격을 순간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2. 삭제
  3. 삭제
KR1020080088565A 2008-09-09 2008-09-09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65A KR100895066B1 (ko) 2008-09-09 2008-09-09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65A KR100895066B1 (ko) 2008-09-09 2008-09-09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066B1 true KR100895066B1 (ko) 2009-05-04

Family

ID=4086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5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066B1 (ko) 2008-09-09 2008-09-09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080B1 (ko) 2009-12-30 2011-12-07 주식회사 프레코 볼라드
KR101850872B1 (ko) * 2017-09-11 2018-04-2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트랜스포머 볼라드
KR20210036646A (ko)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세이프업 충격완화용 볼라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085U (ja) * 1994-10-12 1995-04-18 中部工機株式会社 道路用安全柵支柱
JPH08199518A (ja) * 1995-01-24 1996-08-06 Hoei Kenzai Kogyo Kk 野外用ポール
KR19990014525A (ko) * 1998-11-19 1999-02-25 김복성 자동차도로의 중앙분리대 장치
KR100853099B1 (ko) * 2005-09-07 2008-08-1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085U (ja) * 1994-10-12 1995-04-18 中部工機株式会社 道路用安全柵支柱
JPH08199518A (ja) * 1995-01-24 1996-08-06 Hoei Kenzai Kogyo Kk 野外用ポール
KR19990014525A (ko) * 1998-11-19 1999-02-25 김복성 자동차도로의 중앙분리대 장치
KR100853099B1 (ko) * 2005-09-07 2008-08-19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가로등 기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080B1 (ko) 2009-12-30 2011-12-07 주식회사 프레코 볼라드
KR101850872B1 (ko) * 2017-09-11 2018-04-2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트랜스포머 볼라드
KR20210036646A (ko)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세이프업 충격완화용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056B2 (ja) 衝撃吸収用道路防護柵
KR101066918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100895066B1 (ko) 충격흡수용 다단식 볼라드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20190122110A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EP3724401B1 (en) Kinetic energy absorbing barrier structure
KR101356110B1 (ko)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 포스트 설치구조
CN106677099A (zh) 单波束钢防撞护栏
KR200467526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100686698B1 (ko) 도로 방호 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JP7080495B2 (ja) 車止め
KR20080093753A (ko) 지주대에 장착되는 충격 완화용 보호구
KR20120001920U (ko) 도로 가드레일 결합형 보조가드레일지주
KR200412254Y1 (ko) 주차방지구
JP6929727B2 (ja) 多段樹脂製マウントブロック及び車線区分柵
KR200329941Y1 (ko) 도로 교통 표지판의 충격흡수 받침틀 구조
KR200453629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10051538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JP2007297897A (ja) 支柱構造体
KR102155784B1 (ko) 포스트 분리 타입의 파손 방지형 안전 표시 삼각콘
AU2014100393A4 (en) Energy Dissipating Bollard
WO2024220000A1 (ru) Дорожное сигнальное оград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351165Y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KR200445604Y1 (ko) 자동차 진입방지용 보호기둥.
KR200351163Y1 (ko) 도로용 보도 진입방지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