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5022B1 - 휘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휘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022B1
KR100895022B1 KR1020020061585A KR20020061585A KR100895022B1 KR 100895022 B1 KR100895022 B1 KR 100895022B1 KR 1020020061585 A KR1020020061585 A KR 1020020061585A KR 20020061585 A KR20020061585 A KR 20020061585A KR 100895022 B1 KR100895022 B1 KR 10089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fluorescent lamp
transformer
input
bright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453A (ko
Inventor
강준길
조광섭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Priority to KR102002006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0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0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7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 램프를 채용한 백라이트 및 조명 기구의 휘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 장치의 승압 트랜스를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하여 구동되는 조명기구에서, 상기 조명기구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직접 스위칭하여 조명기구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량이 큰 조명기구나 다수의 형광램프를 채용한 백라이트에서, 대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휘도 조절 폭이 넓고, 전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점멸을 용이하게 한다.
조명기구, 백라이트, 전원장치, 휘도 조절, 정전류, 점멸

Description

휘도 조절 장치{THE DIMMING DEVIC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형광램프가 배치된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 회로의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의 형광램프 양단에서 양쪽 방향 스위칭으로 전류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는 회로의 개념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의 형광램프 양단에서 양쪽 방향 스위칭으로 전류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는 회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 감지 회로와 스위칭 회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 회로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형광램프 11 : 백라이트
12 : 인버터(전원 장치) 13 : 승압 트랜스
14 : 입력단 21 : 전류 감지 회로
22 : 비교기 23 : 정전류 및 휘도 조절 단자
24 : 펄스폭 변조신호 발생기 25 : 스위칭 회로
Rt : 스위칭 소자 병렬 저항 Rb, R1, R2, R3 : 바이어스 저항
본 발명은 형광램프를 채용한 LCD용 백라이트 및 각종 방전관 등의 광원을 채용한 조명기구의 휘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휘도 조절 장치는 주로 교류형 고전압을 인가하며, 수 kHz에서 수 MHz의 주파수로 구동되는 형광램프 및 각종 방전관을 채용하는 기구에 해당한다. 상기의 백라이트 및 조명기구는 사용자가 임의로 휘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종래의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 기능은, 형광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고, 귀환회로(feedback circuit)를 통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입력을 조정하여 형광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입력의 조정은 주로 전압, 구동 주파수, 그리고 구동 전압파의 듀티(duty) 비의 변화에 의한다.
그러나, 상기의 전원 공급 장치의 입력을 조정하는 방식은 대전력으로 구동되는 대면적 백라이트 전원 장치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즉, 종래의 소형 백라이트는 공급 전력이 작고, 상기의 작은 전력을 인버터의 입력단에서 용이하게 제어하였다.
도 3은 종래의 백라이트 구동 인버터의 휘도 조절 회로의 개념도이다.
인버터(12)를 통하여 고전압을 인가하여 형광램프(10)를 구동하고, 상기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21)하고, 감지된 신호가 귀환회로를 통하여 인버터의 입 력 조건(입력 전압, 입력 주파수, 입력 파형의 듀티비 등)을 변경하고, 새로운 입력 조건으로 램프가 구동된다. 상기 회로에서 사용자가 휘도 조절 단자(23)를 조정하면, 인버터의 구동 조건이 변화하여 백라이트(11)의 휘도가 변한다. 상기 회로에서 입력단(14)의 입력 조건은 인버터의 방식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귀환 회로를 통한 입력 조건을 변화하여 휘도 조절과 동시에 일정한 전류량이 유지된다.
그러나, 다수의 형광램프를 병렬 연결하여 단일 인버터로 구동하는 고전류 및 고전력이 요구되는 백라이트는 상기와 같은 귀환 회로를 채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입력 전압을 조정하는 경우는, 스위칭 전원 장치와 정전압 조정 장치 등이 사용되는데, 상기 전압 제어 회로 자체에 전력 소모가 발생하고, 상기 소모 전력은 인버터의 구동 전력량(램프의 수에 비례)에 비례하며, 상기 소모 전력은 회로의 열로 변환되어 안정적인 제어가 어렵다.
또한, 입력 전류의 초핑(chopping)에 의한 전류 제어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는, 스위칭 소자에서의 전력 소모와 초핑 주파수에 의한 트랜스의 기계적인 잡음, 그리고 고전압 스위칭의 초기 고전압에 의한 코로나 방전 등이 유발된다.
또한, 구동 주파수나 듀티비를 변화하여 입력 전류량을 제어하는 경우는, 주파수에 따른 인버터의 효율 변화로 저효율에 따른 회로 소자에 발열의 문제와 휘도의 조정 폭도 작으므로 대전력이 요구되는 백라이트 구동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형광램프를 채용한 대전력의 대면적 백라이트 또는 대전력용 조명기구일수록 입력 전원을 조정하는 방식의 채용이 어렵고, 가능하더라도 휘도 조정의 폭도 극히 작다는 점을 감안할 때, 귀환회로에 의한 입력조건 변화에 따른 휘도 조절 방식은 소형 백라이트나 혹은 형광램프를 개별 인버터로 구동하는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램프를 채용한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 기능과 정전류 구동 기능을 위한 자동 회로 장치로서, 상기 회로에 의한 전력 손실이 적고 트랜스의 진동이나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 휘도 조절과 정전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형광램프를 병렬 연결하여 구동하는 백라이트에서, 형광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일반적으로 승압 트랜스를 채용한 전원 공급 장치에서, 트랜스 2차측 코일양단에 형광램프를 연결하면, 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한다. 즉, 2차측의 형광램프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차단하면, 1차측의 입력 전류량과 입력 전력도 크게 줄어들며, 트랜스의 진동 및 잡음 등의 문제가 없다는 점을 본 발명이 착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착안점은, 승압 트랜스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량의 비는 각 코일의 감은 수에 반비례한다. 즉, 2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량은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량 보다 작기 때문에, 1차측의 고전류를 제어하는 것보다 2차측의 저전류를 직접 스위칭하여 전류의 흐름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다수의 형광램프가 배치된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 및 정전류 기능을 갖는 회로의 개념도로서, 형광램프(10)의 한쪽 전원선은 승압 트랜스(13)의 2차측 코일에 연결하고, 형광램프의 다른 한쪽 전원선은 스위칭 방식으로 전류량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형광램프의 어느 한쪽에서 전류 감지 회로(21)가 형광램프의 전류량을 감지하여 전압 신호로 교환되고, 상기 전압 신호는 비교기(22)에 입력되고, 비교기에서 휘도 조절 단자(23)로부터 입력되는 휘도 조절 전압과 비교하여 펄스폭 제어 신호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발생회로(24)에 입력되며, 상기 회로에서 듀티비의 변화 신호를 통하여 스위칭 회로(25)에서 스위칭 시간을 조정하여 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한다. 상기 휘도 조절 단자에 의하여 휘도가 조절되면, 상기 조절된 휘도에서 전류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b와 도 1c는 형광램프에 흐르는 양 방향의 전류를 스위칭하여 휘도 조절과 정전류 기능을 갖는 양 방향성 스위칭 회로(25)의 개념도이다.
도 1b는 하나의 승압 트랜스를 사용하며, 형광램프에 흐르는 양 방향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승압트랜스의 2차측 코일 중단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2 개의 전원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압 트랜스의 2차측 코일 양단 은 각각 형광램프 양단에 연결하고, 상기 2차측 코일 중단의 2 개의 분리된 전원선은 각각 스위칭 방식으로 양 방향 전류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한다.
도 1c는 형광램프에 흐르는 양 방향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두 개의 동일한 승압용 트랜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개의 트랜스의 각각의 2차측 코일 한쪽은 각각 형광램프에 연결하고, 2차측 코일 다른 한 쪽은 각각 스위칭 소자를 부착하여 양 방향의 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도 1b와 도 1c의 양방향 스위칭 방식은, 상기 도 1a의 단방향 스위칭에 의한 전류 제어 방식보다, 대전류를 제어하여 휘도의 조절폭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2는 전류 감지 회로(21)와 스위칭 회로(25)의 개념도이다. 도 2a-2c와 같이 여러 가지의 스위칭 방식이 가능하다.
도 2a는 NPN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예이다. 상기 회로에서 Rt는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내압을 낮추기 위한 저항이다.
도 2b는 PNP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예이다. 상기 회로에서 R1과 R2는 바이어스 저항이고, Rt는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내압을 낮추기 위한 저항이다. 스위칭 소자의 내압이 충분하면 Rt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 2c는 NPN 및 PNP 트랜지스터를 함께 사용한 예이다. R1, R2, R3는 바이어스 저항이고, Rt는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기 위한 저항이다.
상기 도 2에서 트랜지스터 소자이외에 FET, SCR, GTO 등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의 휘도 조절 기능을 채용한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12개의 형광램 프를 병렬 연결하여 제작된 대각 길이 17인치의 백라이트에서, 백라이트의 최고 면 휘도 12,000 nit에서 최저 휘도 3,000 nit의 넓은 휘도 조정 기능을 얻었으며, 상기의 경우에 인버터의 입력 전압 14V에서 입력 전류량은 3A에서 2A 이하의 전류량의 변화를 제어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류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과 정전류 유지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휘도 조절 및 전류 제어에 의한 전력 손실이 적고, 잡음 등의 문제점이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귀환 회로에 의한 입력 조건을 변화하여 전류량을 제어하는 방식과는 달리, 입력 조건의 변화없이 최적 효율을 갖는 입력 조건으로 구동되는 고효율의 전원장치가 보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단과 무관하게 형광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 제어하므로, 인버터의 종류나 형식에 무관하게 적용된다. 특히, 일반 전원(예를 들어, 110V 및 220V 교류 전원)을 직접 사용하는 백라이트의 구동 장치에도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휘도의 조절폭이 매우 넓고, 점멸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에 유용 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승압용 트랜스의 2차측 코일에 광원을 연결하여 교류형 고전압을 인가하는데, 상기 2차측 코일과 광원 사이에 스위칭 소자를 부착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ON-OFF 방식으로 광원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며,
    상기 승압용 트랜스는 트랜스 2차측 코일의 중단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전원선이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 2차측 코일 양단은 형광램프 양단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 2차측 코일 중단의 2 개의 전원선에 각각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여 형광램프 양단의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트랜지스터, FET, SCR 또는 GTO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조절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휘도 조절 단자, 광원에 흐르는 전류 감지기, 비교기, 펄스폭 변조 발생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휘도 조절 단자로부터 특정한 전압이 출력되고, 형광램프에 흐르는 전류 감지기로부터 특정 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휘도 조절 단자의 출력 전압과 전류 감지기의 출력 전압은 비교기에 입력되고,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 신호가 펄스폭 변조 발생기에 입력되고, 상기 펄스폭 변조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스위칭 소자에 입력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시간이 조정되어 형광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이 제어되고, 상기 전류량의 제어에 의하여 휘도가 조절되며, 상기 정해진 휘도에서 일정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조절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용 트랜스는 한 쌍의 트랜스를 사용하고, 상기 한 쌍의 트랜스 각각의 2차측 코일 한 쪽은 형광램프 양단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트랜스 2차측 코일 다른 쪽은 각각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여 형광램프 양단의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조절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다수의 형광램프를 병렬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조절 장치.
  7. 삭제
KR1020020061585A 2002-10-09 2002-10-09 휘도 조절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585A KR100895022B1 (ko) 2002-10-09 2002-10-09 휘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585A KR100895022B1 (ko) 2002-10-09 2002-10-09 휘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453A KR20040032453A (ko) 2004-04-17
KR100895022B1 true KR100895022B1 (ko) 2009-04-24

Family

ID=3733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5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022B1 (ko) 2002-10-09 2002-10-09 휘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035B1 (ko) * 2005-05-31 200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피드백을 이용한 휘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361279B1 (ko) * 2007-05-11 2014-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모드 휘도조절장치
KR100882709B1 (ko) * 2007-11-15 2009-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인버터
KR101040618B1 (ko) * 2010-08-31 2011-06-10 주식회사 티엠에스솔루션 선박용 차트 테이블 라이트
KR101034539B1 (ko) * 2010-08-31 2011-05-12 주식회사 티엠에스솔루션 선박용 차트 테이블 라이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131A (en) * 1997-11-27 2000-02-08 Okita; Masaya Backlight devic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KR20000038539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밝기 보상 회로
KR20020061834A (ko) * 2001-01-18 2002-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131A (en) * 1997-11-27 2000-02-08 Okita; Masaya Backlight devic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KR20000038539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밝기 보상 회로
KR20020061834A (ko) * 2001-01-18 2002-07-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453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444B1 (ko) 에너지 절약형 조도 조절기
JP4370901B2 (ja) Led点灯装置
US6969958B2 (en) Square wave drive system
KR101218157B1 (ko) 동작 시 트라이액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도 조정 가능 회로
KR101001241B1 (ko) 교류 led 조광장치 및 그에 의한 조광방법
US6856099B2 (en) Multi-lamp actuating facility
JP2006024511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895022B1 (ko) 휘도 조절 장치
JP2013030390A (ja) 電源装置ならびにこの電源装置を有する照明器具
US4970437A (en) Chopper for conventional ballast system
AU2006350423A1 (en) A circuit for driving light sources and related method
US7279853B2 (en) Fluorescent lamp dimmer control
US8324813B1 (en) Electronic ballast with frequency independent filament voltage control
JP2013012452A (ja) 照明器具用電源装置
KR20080050856A (ko) 광 발생장치
KR200200788Y1 (ko) 고효율 조광장치
KR101439899B1 (ko) 엘이디 조명 구동제어회로
KR100370230B1 (ko) 고효율 조광장치
JP7264748B2 (ja) 調光装置
CN110602829B (zh) 照明led驱动电路、装置及控制方法
JP2006351449A (ja) ランプ点灯装置におけるランプ電流検出回路
JP2009026466A (ja) 照明制御回路
KR200292350Y1 (ko) 조명 제어 장치
KR200357687Y1 (ko) 조광장치의 위상조절회로
KR20040013489A (ko) 조광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0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