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4965B1 -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세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세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65B1
KR100894965B1 KR1020070060325A KR20070060325A KR100894965B1 KR 100894965 B1 KR100894965 B1 KR 100894965B1 KR 1020070060325 A KR1020070060325 A KR 1020070060325A KR 20070060325 A KR20070060325 A KR 20070060325A KR 100894965 B1 KR100894965 B1 KR 10089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gateway server
service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860A (ko
Inventor
임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6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65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통신망간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종 통신망간 통합 세션관리에 있어서, 이종 통신망간 세션을 양방향으로 통합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종 통신망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의 세션이 단말기가 이동한 다른 이종 통신망에서도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통합, 이종, 통신망, 이동통신, 세션

Description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 세션 관리 방법{UNIVERSAL GATEWAY SYSTEM FOR MANAGING SESSION INFORMATION BETWEEN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통합 세션 관리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04, 108 : 게이트웨이 서버
112 : 홈게이트웨이 서버 114 : 통합 서비스 서버
116 :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
본 발명은 이종 통신망간 통합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 통신망간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화 산업의 발달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을 이종 통신망이라고 하며, 이 이종 통신망간을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하면서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이종 통신망간 세션이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위와 같은 다양한 이종 통신망간 세션관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이종 통신망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끊김 없는 서비스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이종 통신망에서는 통신망 식별체계, 접속 제어절차, 사용자 인증, 사용료 과금 체계가 상이하다 보니, 이종 통신망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는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세션유지가 불가능하여,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 및 통신망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하고,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의 세션을 종료한 후에 새로운 통신망에 접속하여 접속제어 절차에 따른 인증을 통하여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여 기존에 이용하던 서비스를 다시 선택하여야 하는 등, 서비스의 이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통신망의 이동에 따른 끊김 없는 서비스의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통신망간 통합 세션관리에 있어서, 이종 통신망간 세션을 양방향으로 통합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종 통신망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의 세션이 단말기가 이동한 다른 이종 통신망에서도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 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서, 이종 통신망내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관리하는 다수의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이종 통신망간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 해당 이종 통신망내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계한 통합 세션 관리를 통해 물리적인 통신망 변경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끊김 없는 서비스를 구현시키는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연속성 유지를 위해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의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 및 서비스 유지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통합 서비스 정보 및 특정 망전용 서비스 정보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 전송하는 통합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에서의 통합 세션 관리는,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에 탑재된 통합 세션관리 매니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통합 세션관리 클라이언트간 실시간 세션 매칭 및 세션 유지, 양방향 실시간 연동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 통신망내 다수의 게이트웨이 서버와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합 세션관리 방법으로서, (a)이종 통신망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통신망의 제1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 통합 세션 관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b)상기 요청을 수신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제1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단말기가 이동 위치되는 이종 통신망의 제2게이트웨이 서버로 통합 세션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 시키는 단계와, (c)상기 단말기에서 통합 세션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할 제2게이트웨이 서버로 통 합세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d)상기 세션 동기화 완료 시 상기 제2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 상기 단말에서의 서비스 계속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e)상기 서비스 계속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제2게이트웨이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응된 통합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f)상기 제2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통합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이전 수행되는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간 끊김없는 서비스를 위한 양방향 통합 세션 관리 기술을 탑재한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망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다수의 이종 통신망내 위치되는 게이트웨이 서버(104, 108)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홈 게이트웨이 서버(112) 및 통합 게이트웨이 서비스 서버(116), 기존 서비스 서버(118, 120)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서버(104, 108)는 CDMA, GSM, IMT2000, WiFi WiBro, HSDPA 등의 다양한 이종 통신망(102, 106)내 위치한 사업자 서버로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부터 상기 이종 통신망간 움직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종 통신망간을 이동하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상 기 서비스 이용에 따른 세션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가 끊김 없이 제공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 CDMA, GSM, IMT2000, WiFi, WiBro, HSDPA 등의 다양한 이종 통신망내 위치한 다수의 게이트웨이 서버(104, 108)를 통해 해당 통신망에서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본 발명에서는 이종 통신망간 이동 시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의 끊김 없는 이용을 위한 세션매핑, 세션 동기유지 등과 같은 양방향 세션관리 프로토콜이 탑재된다.
홈 게이트웨이 서버(112)는 댁내에 위치한 서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홈 게이트웨이 망(110)으로 접근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이용중인 해당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장 적합한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인지(예컨대, 처리 용량 혹은 무료 서비스 등을 통해 인지)하기 위해 서버(112) 자신과 그리고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통합 게이트웨이 서비스 서버(116)를 동시에 검색한다. 또한 최적화된 통합 세션 관리에 필요한 통합 세션 정보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함과 동시에 현재 접속중인 다수의 게이트웨이 서버(104, 108)중 임의의 게이트웨이 서버와 그리고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통합 게이트웨이 서비스 서버(116)로 동일하게 전송하여 통합 세션 정보를 공유시켜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서비스 서버(118, 120)는 각 이종 통신망에서 통신망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버로써, 본 발명에서는 통합 서비스 서버(116)에 의해 연동되어, 이종 통신망(102, 106)간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끊김 없는 서비스이용이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통합 게이트웨이 서비스 서버(116)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이종 통신망간 이동시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해 위 CDMA, GSM, IMT2000, WiFi, WiBro, HSDPA 등의 다양한 이종 통신망(102, 106, 110)내 위치한 게이트웨이 서버(104, 108, 112)와 연동하여 통합 세션 관리를 수행한다. 즉, 종래 기술과는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종 통신망간 이동시 각 통신망내 위치한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계하여 이종 통신망간 핸드오버(handover)시 통합 게이트웨이 서비스 서버(114)에 탑재된 통합 세션관리 매니저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탑재된 통합 세션관리 클라이언트간 실시간 세션 매핑 및 세션 동기유지 등의 양방향 실시간 연동 및 정보공유(동기 정보)을 통하여 핸드오버와 같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변경에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끊김 없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합 서비스 서버(11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부터의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 및 서비스 계속 요청에 따라 통합 서비스 정보 및 특정 망 전용 서비스 정보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이종 통신망간 끊김 없는 서비스 구현을 위한 통합 세션 관리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위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특정 A 통신망(102)에서 서비스 수신 중에 다른 이종 B 통신망(106)으로 이동하는 경우 통합 게이트웨이 서 버(11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A 통신망(102)과 이동할 B 통신망(106)의 각 게이트웨이 서버(104, 108)와 연동한 통한 세션 관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종 통신망간 이동에 관계없이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210)단계에서 현재 자신이 위치한 A 통신망(102)의 게이트웨이 서버(104)와 정상적인 세션을 유지하며, 서비스 수신 중, (212)단계에서 이종 B 통신망(106)의 게이트웨이 서버(108) 신호를 감지하여 서비스에 적합하거나 효율적인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B 통신망(106)으로의 이동을 결정하고, (214)단계에서 현재 접속중인 A 통신망(102)의 게이트웨이 서버(104)로 이종 B 통신망(106)으로의 이동을 요청하는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A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4)에서는 (216)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망 이동 요청 메시지에 따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 통합 세션관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통합 세션 관리 요청 메시지에는 기존, 신규 네트워크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정보와 사용 중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서는 (218)단계에서 통합 서비스 서버(114)로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합 서비스 서버(114)에서는 (220)단계에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 상기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에 따 른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통합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서는 (222)단계에서 A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4)로 통합 세션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broadcasting) 하게된다. 이때, 통합 세션 정보 메시지에는 기존, 신규 네트워크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사용 중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서는 게이트웨이 서버(104, 108)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세션을 업그레이드(upgrade)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224)단계에서 통합게이트웨이 서버(116)와 기존 A 통신망(102)내 게이트웨이 서버(104), 이종 B 통신망(106)내 게이트웨이 서버(108)와의 세션 정보 공유 및 동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통합 세션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내의 통합세션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업데이트(update) 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226)단계에서 통합 세션을 이용하여 B 통신망(106)의 게이트웨이 서버(108)로 접속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통합세션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업데이트된 통합 세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적응계층(Adaptation Layer)과 연동하여 현재 서비스 수신에는 지장 없이 사용자 계층의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제어 변경 등의 절차를 통한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어, B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8)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과의 통합 세션 접속에 성공한 경우, (228)단계에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 통합 세션 접속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서는 (230)단계에서 통 합 서비스 서버(114)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계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B 통신망(106)과 접속되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232)단계에서 A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4)로 A 통신망(102)에서의 서비스 중단 및 네트워크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A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4)는 (234)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연결 해제 및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며, 연결을 해제한다. 통합 서비스 서버(114)에서는 서비스 계속 요청 메시지에 따라 (236)단계에서 B 통신망 전용 서비스 정보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 전송하고,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서는 (238)단계에서 B 통신망 연동 세션 업그레이드 메시지를 B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8)로 전송하고, B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8)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B 통신망(106) 연동 세션 업그레이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B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8)의 세션을 유지하면서, B 통신망 게이트웨이 서버(108)를 통해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부터 수신한 세션으로 통합 세션 클라이언트에서 정상 업데이트를 완료함으로써, 통합세션 관리 모드가 아닌 일반 세션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A 통신망(102)에서 사용 중이던 서비스를 B 통신망(106)에서도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종 통신망간 통합 세션관리에 있어서, 이종 통신망간 세션을 양방향으로 통합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종 통신망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의 세션 이 단말기가 이동한 다른 이종 통신망에서도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종 통신망간 통합 세션관리에 있어서, 이종 통신망간 세션을 양방향으로 통합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종 통신망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의 세션이 단말기가 이동한 다른 이종 통신망에서도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서,
    이종 통신망내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관리하는 다수의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이종 통신망간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 해당 이종 통신망내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계한 통합 세션 관리를 통해 물리적인 통신망 변경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끊김 없는 서비스를 구현시키는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연속성 유지를 위해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의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 및 서비스 유지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통합 서비스 정보 및 특정 망전용 서비스 정보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 전송하는 통합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에서의 통합 세션 관리는,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에 탑재된 통합 세션관리 매니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통합 세션관리 클라이언트간 실시간 세션 매칭 및 세션 유지, 양방향 실시간 연동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통신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GSM, IMT2000, WiFi, WiBro 및 HSDPA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4. 이종 통신망내 다수의 게이트웨이 서버와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합 세션관리 방법으로서,
    (a)이종 통신망간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통신망의 제1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 통합 세션 관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b)상기 요청을 수신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가 상기 제1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단말기가 이동 위치되는 이종 통신망의 제2게이트웨이 서버로 통합 세션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 시키는 단계와,
    (c)상기 단말기에서 통합 세션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할 제2게이트웨이 서버로 통합세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d)상기 세션 동기화 완료 시 상기 제2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계속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e)상기 서비스 계속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제2게이트웨이 서버로 상기 단말기에 대응된 통합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f)상기 제2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통합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이전 수행되는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합 세션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통합 세션 정보는, 기존 통신망과 이동될 신규 이종 통신망의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전 수행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합 세션관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이종 통신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GSM, IMT2000, WiFi, WiBro 및 HSDPA의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양방향 통합 세션관리 방법.
KR1020070060325A 2007-06-20 2007-06-20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세션 관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9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325A KR100894965B1 (ko) 2007-06-20 2007-06-20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세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325A KR100894965B1 (ko) 2007-06-20 2007-06-20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세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60A KR20080111860A (ko) 2008-12-24
KR100894965B1 true KR100894965B1 (ko) 2009-04-24

Family

ID=4036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32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4965B1 (ko) 2007-06-20 2007-06-20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세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60B1 (ko) * 2009-10-01 2012-05-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오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544A (ko) * 2004-10-12 2006-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단절없는 핸드오버 제공 방법
KR20070055713A (ko) * 2005-11-28 200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탐지방법, 이를 구현하는 다중모드 단말 및 연동 서비스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544A (ko) * 2004-10-12 2006-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단절없는 핸드오버 제공 방법
KR20070055713A (ko) * 2005-11-28 200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탐지방법, 이를 구현하는 다중모드 단말 및 연동 서비스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60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8668B2 (en) Service handover control apparatus using an end-to-end service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EP1741232B1 (en) Wlan handover
KR1006059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랜간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023499B2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EP1665855B1 (en) Seamless handover in heterogeneous network
US8406222B2 (en) Control system of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03949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WI407806B (zh) 無線網路系統及其無線閘道器與無線端末裝置
JP2006502658A (ja) 異種ネットワーク間の垂直ハンドオーバにおけるQoSをサポー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10355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network access
WO2006080749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KR20120079875A (ko) 계층적 셀 구조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기지국 간의 연동 방법 및 장치
KR10054775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연속적인 데이터의 전송 방법
CN103039096A (zh) 用于分布式无线控制器系统中的移动客户端的分级控制信令
CN103037534A (zh) 一种移动终端点对点的传输数据方法以及相应的控制装置
US8238912B2 (en) Non-intrusive detection of enhanced capabilities at existing cellsites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JP2004072565A (ja) 無線lan通信方法、無線lan通信システムおよび当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無線端末、無線lan通信装置、通信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2007101B1 (en) A system with session transfer capability and related method
KR20090001304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EP2009948A2 (en) Client resource reservation in access networks for roaming
EP1830522A1 (en) Bridging end point device supporting inter access point communication
KR100894965B1 (ko) 이종 통신망간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양방향 통합세션 관리 방법
US80506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vertical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31841B1 (ko) 적응적 로밍 임계치 매개변수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86218A1 (en) Proxy Server For Home Network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4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41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