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3400B1 -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400B1
KR100893400B1 KR1020090000136A KR20090000136A KR100893400B1 KR 100893400 B1 KR100893400 B1 KR 100893400B1 KR 1020090000136 A KR1020090000136 A KR 1020090000136A KR 20090000136 A KR20090000136 A KR 20090000136A KR 100893400 B1 KR100893400 B1 KR 10089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xing rod
manure
grooves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테크
Priority to KR102009000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4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부재의 파손시 파손 부분만 쉽게 분리 교체할 수 있는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에서 사용하는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1)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상측과 하측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되며, 돌기와 홈이 원주상에 교대로 설치되는 스프라인 타입의 구동체(3,4)와; 상기 프레임(2) 상단에 설치되며 상측 구동체(3)에 설치되는 스프로킷(6)과 체인(7)으로 연결되는 모터(5)와; 상기 상하측에 설치된 구동체(3,4)에 무한궤도 타입으로 설치되는 스크린조립체(10)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조립체(10)는 구동체(3,4)의 홈과 홈 사이의 거리(피치) 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크린고정봉(11)과, 스크린고정봉(11)의 양단부를 이웃하는 스크린고정봉(11)의 양단부에 고정하는 연결링크(12)들과, 상기 스크린조립체(10)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스크린고정봉(11)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3)과, 이들 고정홈(13)에 끼워지는 돌기(14)가 하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크린부재(15)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부재(15)는 2개의 스크린고정봉(11)을 단위로 구획하여 조립하되; 상기 스크린부재(15)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갈퀴(15a)를 형성한 것으로서, 스크린고정봉(11)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부재(15)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해당 스크린부재(15)만 쉽게 교환할 수 있어 유지가 쉽고 관리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스크린부재(15)에 형성된 갈퀴(15a)의 간격을 사용 용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 해서 협잡물 처리 능력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오수ㆍ분뇨, 축산폐수, 협잡물 처리장치, 스크린부재, 구동축, 걸림돌기

Description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Adulteration disposal device of waste water of livestock, sewage and urine}
본 발명은 오수(하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위부재의 파손시 파손 부분만 쉽게 분리 교체할 수 있는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의 유입탱크에는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여액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부유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협잡물을 걸러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협잡물 처리장치는 상향 경사지는 소정길이의 설치프레임을 좌,우 양측면 배치하고, 이 설치프레임의 상단부에 한 쌍의 구동체인이 연결된 모터를 장착시키고, 그 내측면 중앙부에 다수개의 빗살형 바로 이루어진 직사각 창살구조의 스크린을 형성시키며, 상기 스크린 정면부에, 일방향으로 회전 이송 안내되는 레이크를 장착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협잡물 처리장치는 비교적 큰 협잡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나, 크기가 작은 협잡물은 스크린을 구성하는 빗살형 바 사이의 틈으로 쉽게 통과하므로 거르는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그로 인해 여액의 후처리가 어려워지는 2차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레이크의 일부분이 파손되더라도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경제적인 부담도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협잡물 처리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단위부재의 파손시 파손 부분만 쉽게 분리 교체할 수 있는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상하측으로 스프라인 타입의 구동체를 설치하고, 이들에는 양단부가 링크로 연결되는 스크린고정봉을 무한궤도 타입으로 고정한 스크린조립체를 구동하되, 한조로 구성되는 2개의 스크린고정봉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갈퀴가 구비되거나 혹은 구비되지 않 은 스크린부재를 조립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를 사용할 경우 스크린고정봉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부재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해당 스크린부재만 쉽게 교환할 수 있어 유지가 쉽고 관리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재에 형성된 갈퀴의 간격을 사용 용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 해서 협잡물 처리 능력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에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되며, 돌기와 홈이 원주상에 교대로 설치되는 스프라인 타입의 구동체와; 상기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며 상단 구동체에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상하측에 설치된 구동체에 무한궤도 타입으로 설치되는 스크린조립체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조립체는 구동체의 홈과 홈 사이의 거리(피치) 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크린고정봉과, 스크린고정봉의 양단부를 이웃하는 스크린고정봉의 양단부에 고정하는 연결링크들과, 상기 스크린조립체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스크린고정봉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과, 이들 고정홈 에 끼워지는 돌기가 하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크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부재는 2개의 스크린고정봉을 단위로 구획하여 조립하되;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갈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조립체는 상측 구동체의 후방으로 프레임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는 2개의 가이드롤러에 안내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고정봉에 형성된 고정홈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삼각형으로 구성하고, 스크린부재에는 이에 대응하는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부재의 돌기 단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스크린조립체의 회전방향 쪽에 위치하는 스크린고정봉에 걸림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스크린고정봉에 용접 고정된 고정부재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부재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요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크린부재의 조립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의 유입탱크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2)을 배치하며, 이들 프레임(2)에는 상측과 하측에는 돌기와 홈이 원주상에 교대로 설치되는 스프라인 타입의 구동체(3,4)를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하고, 상단에 설치된 구동체(3)에는 프레임(2)의 상단에 설치되는 모터(5)에 의해 구동되게 스프로킷(6)을 설치하여 체인(7)으로 연결한다.
상기 프레임(2)의 상하측에 설치된 구동체(3,4)에는 스크린조립체(10)가 무한궤도 타입으로 설치되어 모터(5)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스크린조립체(10)는 상측 구동체(3)의 후방으로 프레임(2)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는 2개의 가이드롤러(8,9)에 안내된다. 이때 프레임(2)은 스크린조립체(10)의 양단부를 수용하는 ㄷ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들 가이드롤러(8,9)는 스크린조립체(10)의 텐션조절과 처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롤러(8,9) 중 스크린조립체(10)의 내면과 접하는 가이드롤러(8)는 스크린조립체(10)의 폭과 유사한 길이를 갖는 긴 구성이며, 스크린조립체(10)의 외면과 접하는 가이드롤러(9)는 스크린조립체(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짧은 구성이다.
상기 스크린조립체(10)는 구동체(3,4)의 홈과 홈 사이의 거리(피치)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크린고정봉(11)과, 스크린고정봉(11)의 양단부를 이웃하는 스크린고정봉(1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서 볼트로 고정하는 연결링크(12)들과, 상기 스크린조립체(10)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스크린고정봉(1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홈(13)과, 이들 각각의 고정홈(13)에 끼워지는 돌기(14)가 하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크린부재(15)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재(15)는 2개의 스크린고정봉(11)을 단위로 구획하여 조립한다.
이때 스크린부재(15)는 스크린조립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갈퀴(15a)가 형 성된 것과 형성되지 않은 것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크린고정봉(11)에 형성된 고정홈(13)은 단면상으로 볼 때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삼각형상으로 구성하고, 스크린부재(15)에는 이에 대응하는 돌기(14)를 형성하여 쉽게 조립될 수 있게 하였으며, 스크린부재(15)의 돌기(14) 단부에는 걸림턱(14a)을 형성하여 고정홈(13)에 걸림되게 함으로 해서 협잡물 등의 중량에 의해 스크린부재(15)가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홈(13)은 스크린고정봉(11)에 직접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런 구성은 가공이 어렵고 스크린고정봉(11)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고정홈(13)이 형성된 조립부재(16)를 스크린고정봉(11)에 용접 고정하여 구성토록 한다.
스크린부재(15)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갈퀴(15a)가 형성된 것과 형성되지 않은 것 2종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갈퀴(15a)가 있는 것을 연속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갈퀴(15a)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교대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패턴으로 조립하여 사용한다.
스크린부재(15)의 분해 조립은 도 5와 같이 구동체(3,4)에 스크린부재(15)가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가능하다.
즉, 스크린부재(15)의 파손 등으로 인해 교체코자 할 시에는 해당 스크린부재(15)가 구동체(3,4)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스크린부재(15)를 회전방향 쪽으로 타격하면 스크린고정봉(11)의 고정홈(13)에 끼워져 있는 스크린부재(15)에 형성된 돌기(14)가 분리되며, 조립은 상기와 반대로 스크린고정봉(11)의 고정홈(13)에 스 크린부재(15)의 돌기(1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반대방향으로 타격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부재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요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스크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도 5의 중요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2:프레임 3,4:구동체
10:스크린조립체 11:스크린고정봉
12:연결링크 13:고정홈
14:돌기 15:스크린부재
15a:갈퀴 16:고정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좌우 한 쌍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상측과 하측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되며, 돌기와 홈이 원주상에 교대로 설치되는 스프라인 타입의 구동체(3,4)와; 상기 프레임(2) 상단에 설치되며 상측 구동체(3)에 설치되는 스프로킷(6)과 체인(7)으로 연결되는 모터(5)와; 상기 상하측에 설치된 구동체(3,4)에 무한궤도 타입으로 설치되는 스크린조립체(10)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조립체(10)는 구동체(3,4)의 홈과 홈 사이의 거리(피치) 간격으로 배열되는 스크린고정봉(11)과, 스크린고정봉(11)의 양단부를 이웃하는 스크린고정봉(11)의 양단부에 고정하는 연결링크(12)들과, 상기 스크린조립체(10)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스크린고정봉(11)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3)과, 이들 고정홈(13)에 끼워지는 돌기(14)가 하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크린부재(15)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부재(15)는 2개의 스크린고정봉(11)을 단위로 구획하여 조립하되; 상기 스크린부재(15)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갈퀴(15a)를 형성한 통상의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고정봉(11)에 형성된 고정홈(13)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삼각형으로 구성하고, 스크린부재(15)에는 이에 대응하는 돌기(14)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부재(15)의 돌기(14) 단부에는 걸림턱(14a)을 형성하여 스크린조립체(10)의 회전방향 쪽에 위치하는 스크린고정봉(11)에 걸림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4. 삭제
KR1020090000136A 2009-01-02 2009-01-02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Active KR10089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136A KR100893400B1 (ko) 2009-01-02 2009-01-02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136A KR100893400B1 (ko) 2009-01-02 2009-01-02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400B1 true KR100893400B1 (ko) 2009-04-17

Family

ID=4075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136A Active KR100893400B1 (ko) 2009-01-02 2009-01-02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4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4547A (zh) * 2014-05-27 2014-08-06 重庆市三峡水务有限责任公司 一种氧化沟浮渣的清渣方法
KR102216780B1 (ko) * 2020-11-05 2021-02-17 주식회사 우성테크 회전식 스크레이퍼 및 버켓을 구비한 무빙스크린 장치
KR20230079590A (ko) 2021-11-29 2023-06-07 정순항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624U (ko) * 1990-05-25 1992-02-07
KR200359282Y1 (ko) 2004-05-29 2004-08-16 신영길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JP2007050330A (ja) 2005-08-17 2007-03-0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624U (ko) * 1990-05-25 1992-02-07
KR200359282Y1 (ko) 2004-05-29 2004-08-16 신영길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JP2007050330A (ja) 2005-08-17 2007-03-0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4547A (zh) * 2014-05-27 2014-08-06 重庆市三峡水务有限责任公司 一种氧化沟浮渣的清渣方法
CN103964547B (zh) * 2014-05-27 2015-04-01 重庆市三峡水务有限责任公司 一种氧化沟浮渣的清渣方法
KR102216780B1 (ko) * 2020-11-05 2021-02-17 주식회사 우성테크 회전식 스크레이퍼 및 버켓을 구비한 무빙스크린 장치
KR20230079590A (ko) 2021-11-29 2023-06-07 정순항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070B1 (ko) 수류 저항감소 구조를 갖는 회전식 제진기
KR101778733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0893400B1 (ko)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KR102371002B1 (ko)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레이크 구조를 가진 스크린
US7135109B2 (en) Filter screen assembly
KR101119517B1 (ko) 로터리 제진기
JP4909259B2 (ja) 篩レーキ
KR102044386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20200043899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07233B1 (ko) 슬러지 수집기용 가변 부시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KR101317408B1 (ko) 슬러지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KR101806319B1 (ko) 바스크린 타입 협잡물 제거장치용 갈퀴구조
KR101108067B1 (ko) 체인과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스크린장치
KR102040439B1 (ko) 하수처리장용 평면스크린
GB2407782A (en) A band screen assembly
KR101977568B1 (ko)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하수처리장용 평면스크린
KR101126198B1 (ko) 폐수정화장치용 무빙스크린기의 스크린판
US6994785B2 (en) Removable grid for filter element screens
KR102421343B1 (ko) 스크린패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부유물의 효율적 수거가 가능한 계단식 여과기용 고정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계단식 여과기
KR200453231Y1 (ko)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KR102384955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595046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20090093028A (ko) 회전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바스켓
CN210419299U (zh) 一种用于循环水的新型格栅
KR101467199B1 (ko) 링크체인청소수단을 갖춘 수처리시설의 슬러지수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