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3287B1 -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87B1
KR100893287B1 KR1020070079116A KR20070079116A KR100893287B1 KR 100893287 B1 KR100893287 B1 KR 100893287B1 KR 1020070079116 A KR1020070079116 A KR 1020070079116A KR 20070079116 A KR20070079116 A KR 20070079116A KR 100893287 B1 KR100893287 B1 KR 10089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drill
diameter
thrust load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4835A (en
Inventor
장동훈
강호성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87B1/en
Publication of KR2009001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8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8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 개의 단에 절삭날을 형성한 다단부에 의해 임플란트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은 늘리고 중심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줄임으로 인해 임플란트 드릴의 중심과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하여 절삭온도를 최소화하고, 절삭 시 절삭력을 각각의 절삭날로 분배하여 칩의 배출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다단부를 형성하여 절삭 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고, 한번의 드릴링 시술로 픽스츄어를 매립할 수 있는 매립홈을 만들어 줌과 동시에 시술 시간을 줄여 주며, 다단부와 선단부를 픽스츄어의 하단부 형상과 유사하도록 형성하여 픽스츄어의 하단부가 골과 접촉하는 영역을 넓힘으로써 초기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drill is increased by reducing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center of the implant drill by the multi-stage having the cutting edges formed at several stages, so that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cen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drill is constant. Recessed groove to minimize temperature rise by cutting the cutting edge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and distributing cutting force to each cutting edge so that the chip can be discharged smoothly. Dentistry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to increase the initial fixation force by increasing the initial fixing force by forming a multi-stage part and the tip part to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lower part of the fixture, thereby widening the area where the lower part of the fixture contacts the bone. It relates to an implant drill.

픽스츄어, 다단부, 트러스트 하중, 임플란트 드릴 Fixture, multi-stage, thrust load, implant drill

Description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A dental Implant Drill having a Multi-Step Structure}A dental implant drill having a multi-step structure

본 발명은 수 개의 단에 절삭날을 형성한 다단부에 의해 임플란트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은 늘리고 중심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줄임으로 인해 임플란트 드릴의 중심과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하여 절삭온도를 최소화하고, 절삭 시 절삭력을 각각의 절삭날로 분배하여 칩의 배출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다단부를 형성하여 절삭 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고, 한번의 드릴링 시술로 픽스츄어를 매립할 수 있는 매립홈을 만들어 줌과 동시에 시술 시간을 줄여 주며, 다단부와 선단부를 픽스츄어의 하단부 형상과 유사하도록 형성하여 픽스츄어의 하단부가 골과 접촉하는 영역을 넓힘으로써 초기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drill is increased by reducing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center of the implant drill by the multi-stage having the cutting edges formed at several stages, so that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cen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drill is constant. Recessed groove to minimize temperature rise by cutting the cutting edge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and distributing cutting force to each cutting edge so that the chip can be discharged smoothly. Dentistry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to increase the initial fixation force by increasing the initial fixing force by forming a multi-stage part and the tip part to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lower part of the fixture, thereby widening the area where the lower part of the fixture contacts the bone. It relates to an implant drill.

임플란트는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체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말하는 것으로서, 환자의 손상되거나 파손된 자연 치아 대신에 그 자리에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기술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that restores human tissue when the tissue is lost, but in the dentist, artificial teeth are used, and the technique of implanting the implant in place of the damaged or damaged natural tooth of the patient is now widely used. It is becoming.

인공치아 시술은, 인공치아를 매식하고자 하는 치조골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하여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픽스츄어를 끼운 상태에서 드라이버로써 돌려주면 픽스츄어의 나사부는 상기 홈에 나사를 형성하면서 매식되게 된다. 이렇게 치조골에 체결고정된 픽스츄어의 상단에 지대치(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치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In the artificial tooth treatment, a groove is formed by drilling a alveolar bone to be artificially implanted using a drill, and the screw part of the fixture is embedded while the screw is formed in the groove when the screw is rotated while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ill be. This is done by joining the abutment to the top of the fixture secured to the alveolar bone and then applying the final prosthesis to the abutment.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드릴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implant drill.

종래의 임플란트 드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선단날과 선단여유면으로 설계되어 일정한 회전에서 중심부와 외경부의 절삭속도가 다르다. 또한, 트러스트 하중이 임플란트 드릴의 중심부와 외경부에서 다르게 되어 절삭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치조골이 받는 열이 증가하게 되어 골세포가 괴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트러스트 하중이란 드릴링 시 드릴이 축방향(P)의 반대방향으로 받는 반작용으로서의 힘을 말한다. 한편, 선단날이 치조골과 접촉하는 면이 넓게 되어, 칩(chip)이 선단날의 길이수준으로 크게 발생하고 이러한 큰 칩으로 인해 칩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절삭온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implant drill is designed with a constant tip edge and a free end surface so that the cutting speed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is different at a constant rotation. In addition, the thrust load is different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implant drill to increase the cutting temperature, the heat received by the alveolar bon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ne cells necrosis. Here, the thrust load refers to the force as a reaction that the drill recei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xial direction P during drilling.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of the tip is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is wide, the chip (chip) occurs largely to the length level of the tip ed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ip is not discharged smoothly due to such a large chip to further increase the cutting temperature .

도 2는 종래의 다양한 직경의 임플란트 드릴로써 단계별로 매식홈을 확공시키기 위한 단계도이고, 도 3은 도 2의 드릴들에 의해 형성된 매식홈에 매식된 픽스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 is a step diagram for expanding a recessed groove step by step with conventional drills of various diameters,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xture embedded in the recessed groove formed by the drills of FIG. 2.

종래의 문제점인 치조골이 받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드릴로 먼저 매식홈을 형성한 후에 여러 단계로 직경이 큰 드릴을 이용하여 매식홈을 확공하도록 하나 트러스트 하중이 임플란트 드릴의 중심 과 외경에서 다르게 되어 절삭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여전히 있고, 드릴 시술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와, 다음 단계의 드릴을 사용할 때 바로 전 단계의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된 구멍의 중심과 일치 되도록 하는 것이 어려워 최초 의도한 바와 다른 위치에 최종 매식홈을 생성할 수 있어 시술상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최종 단계의 드릴의 형상으로 확공된 매식홈에 픽스츄어(7)를 매식한 후에 픽스츄어(7)의 하부에 틈(9)이 형성되어 픽스츄어의 하단부(71)가 치조골(6)과의 접촉면적이 작아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received by the alveolar bone, which is a conventional problem, as shown in FIG. There is still a problem of increasing the cutting temperature because the load is different from the cen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drill, the length of the drill procedure is long, and the center of the hole formed using the previous drill when using the next drill. Since it is difficult to match,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in the procedure because the final buried groove can be created i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ntended. Furthermore, as shown in FIG. 3, after the fixture 7 is embedded in the recessed groove enlarged in the shape of the drill in the final stage of FIG. 2, a gap 9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ture 7 to fix the fix. The lower end portion 71 of the chew has a problem in that the initial fixing force of the implant is lowered because the contact area with the alveolar bone 6 is sm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이 받을 수 있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 개의 단에 절삭날을 형성한 다단부에 의해 칩(chip)이 작은 형태로 발생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chip) is small by the multi-stage forming a cutting edge in several stages 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that the alveolar bone can receive It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that can be generated in a form and smoothly dischar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단부의 하단에서 다단부의 상단까지의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하나의 드릴에 여러 스텝의 드릴의 절삭날을 형성하여 한번의 드릴링으로 픽스츄어를 매식할 수 있는 매식홀을 만들 수 있고, 한번의 드릴링으로 매식홀을 만들 수 있어 매식홈의 중심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어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utting edge of a drill of several steps in one drill to form a wider diameter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multi-stage, and to form a hole for fixing the fixture in one drilling. It is possible to make a hole in a single drilling, and to provide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match the center of the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늘려 드릴의 전체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직경이 큰 단의 선단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선단각보다 크게, 직경이 큰 단의 여유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여유각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하여 치조골이 받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so that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entire drill is constant so that the tip angle of the end of the larg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tip angle of the end of the smaller diameter. The clearance angle of the step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to minimize the heat received by the alveolar bone by forming less than or equal to the clearance angle of the smaller diameter ste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릴의 중심부의 트러스트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시닝의 직경을 선단여유면의 직경과 동일 수준으로 형성하여 드릴링 시에 임플란트 드릴의 중심부와 외경부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하여 치조골이 받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 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thrust load of the center of the drill to form a diameter of the thinning to the same level as the diameter of the free end surface to ensure a constant thrust load received from the center and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drill during drilling 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received by the alveolar bone, it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식될 픽스츄어의 하단부 형상에 따라 다단부의 절삭날을 형성하여 매식홈에 매식된 픽스츄어의 하단부에서 골과 접촉하는 영역을 넓혀 초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utting edge of the multi-sta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to be implanted, so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bone at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embedded in the groov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initial fixing force. It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drill use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있어서, 자루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단부와, 상기 다단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된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드릴링 작업 동안에 배출되는 치조골의 칩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단부는, 치조골이 받을 수 있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치조골의 칩이 작은 형태로 발생되어 상기 홈을 통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은 축의 내측 방향으로 제1여유면이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제2여유면이 형성되며,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여유면의 일측에 절삭날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is extended in one end of the bag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And a multi-stage portion and a t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multi-stage portion,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groove so as to easily discharge chips of the alveolar bone discharged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to the outside. Chips of the alveolar bone are formed in a small form in order to minimize heat that can be received,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so that the chips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grooves. The second free surface is formed in the direction, the cutting edge is further included on one side of the first free surface to cut the alveolar bone It features.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다단부의 복수의 단은, 단의 직경이 축방향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한번의 드릴링으로 픽스츄어를 매식할 수 있는 매식홈을 형성할 수 있고, 임플란트의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tages of the multi-stag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stage is reduced in the axial direction once It is possible to form a groove for burying the fixture by drilling 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time of the implant can be shortened.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있어서, 직경이 큰 단의 선단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선단각보다 크게 형성하고, 직경이 큰 단의 여유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여유각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하여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높혀 전체 드릴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angle of the step having the larger diameter is formed larger than the tip angle of the step having the smaller diameter, The clearance angle of the large diameter stag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clearance angle of the smaller diameter stage, thereby increasing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so that the thrust load received from the entire drill can be made constant.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다단부의 복수의 단은, 상기 직경이 큰 단의 여유각이 상기 직경이 작은 단의 여유각 보다 1˚~5˚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tages of the multi-stage portion, the clearance angle of the large diameter stage is the diame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1˚ ~ 5˚ smaller than the clearance angle of the small stage.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홈이 형성되어 드릴링 시 중심부의 칩 배출과 드릴이 치조골로 원활히 진입되도록 하는 시닝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시닝은, 드릴의 중심에서 트러스트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시닝의 직경은 상기 선단여유면의 직경의 80%~10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portion, th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hip discharge of the center and the drill smoothly into the alveolar bone during drilling Further comprising a thinning to enter, the thin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thinning is formed of 80% ~ 100% of the diameter of the free end surface so as to reduce the thrust load at the center of the drill.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와 상기 다단부를 픽스츄어의 하단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매식홈 에 매식된 픽스츄어의 하단부가 치조골과 접촉하는 영역을 넓혀 초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and the multi-stage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hape of the lower part of the fixture buried in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initial fixing force by widen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치조골이 받을 수 있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 개의 단에 절삭날을 형성한 다단부에 의해 칩(chip)이 작은 형태로 발생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hip is generated in a small form by the multi-stage portion formed by cutting edges in several stages 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that the alveolar bone can receive smoothly discharged.

본 발명은, 선단부의 하단에서 다단부의 상단까지의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하나의 드릴에 여러 스텝의 드릴의 절삭날을 형성하여 한번의 드릴링으로 픽스츄어를 매식할 수 있는 매식홀을 만들 수 있고, 한번의 드릴링으로 매식홀을 만들 수 있어 구멍의 중심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어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from the lower end of the tip portion to the upper end of the multi-stage portion and forming a cutting edge of the drill of several steps in one drill to create a buried hole that can be buried fixture in one drilling In addition, the drilling hole can be made by one drilling, so the center of the hole does not need to coincide, so that the procedure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은,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늘려 드릴의 전체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직경이 큰 단의 선단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선단각보다 크게, 직경이 큰 단의 여유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여유각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하여 치조골이 받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thrust load received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and to make the thrust load received from the entire drill constant, the tip angle of the end of the larg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tip angle of the end of the small diameter, and the clearance angle of the end of the large diameter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heat received by the alveolar bone by forming the diameter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clearance angle of the small stage.

본 발명은, 드릴의 중심부의 트러스트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시닝의 직경을 선단여유면의 직경과 동일 수준으로 형성하여 드릴링 시에 임플란트 드릴의 중심부와 외경부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하여 치조골이 받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thrust load at the center of the drill, the diameter of the thinning is formed at the same level as the diameter of the tip free surface, so that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cen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drill during drilling is constant. The effect of minimizing thi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매식될 픽스츄어의 하단부 형상에 따라 다단부의 절삭날을 형성하여 매식홀에 매식된 픽스츄어의 하단부에서 골과 접촉하는 영역을 넓혀 초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utting edge of the multi-sta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to be implant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itial fixing force 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bone at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embedded in the hole.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100)은 생크부(1), 연장부(2), 다단부(3), 선단부(5)를 포함한다.4 to 5, the dental implant drill 100 using the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nk portion 1, an extension portion 2, a multi-stage portion 3, and a tip portion 5. .

상기 생크부(1)는 척(미도시)이 결합되는 척결합부(11)와 자루(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척결합부(11)는 척이 결합되는 척결합면(111)과 원주방향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된 척그루부(112)를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은 척이 척결합면(111)과 척그루부(112)에 끼워져 고정된다.The shank portion 1 is composed of a chuck coupling portion 11 and the bag 12 to which the chuck (not shown) is coupled. The chuck coupling portion 11 includes a chuck coupling surface 111 to which the chuck is coupled and a chuck groove portion 112 formed with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huck not shown is a chuck coupling surface 111 and a chuck groove portion ( 112) and fixed.

상기 연장부(2)는 자루(12)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연장형성되며 날개(21)와 홈(22)을 포함한다. 상기 날개(21)는 상기 연장부의 원주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날개가 형성된다. 상기 홈(22)은 상기 날개의 사이에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나선형으로 홈이 상기 연장부(2)의 일단에서 하기에 설명할 선단부(5)의 일단까지 연장 형성되어 드릴링 작업 동안에 배출되는 치조골의 칩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extension part 2 is enlarged and expanded at one end of the bag 12 and includes a wing 21 and a groove 22. The wing 21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pir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ings. The groove 22 is an alveolar bone which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preferably helically,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 to one end of the tip portion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tween the wings and discharged during drilling. The chip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다단부(3)는 상기 연장부(2)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단은 상기 날개(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구성에 있어 각각의 하나의 단(S)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하나의 단(S)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S)은 제1여유면(S1), 제2여유면(S2)을 포함한다. The multi-stage portion 3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tages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 toward the upper side. Since the plurality of stages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blade 21 and are similar in structure to each one stage S in the configuration thereof, one stage S will be described. The stage S includes a first free surface S1 and a second free surface S2.

상기 제1여유면(S1)은 상기 날개(21)에서 축(1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제1여유면(S1)의 일측에 치조골(6)을 절삭할 수 있는 절삭날(S1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여유면(S2)은 상기 제1여유면(S1)의 일단에서 축방향(P)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S)에서의 직경은 한쌍의 제2여유면(S2)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따라서, 각각의 단(S)의 제1여유면(S1)에 형성된 절삭날(S1a)에 의해 칩(chip)이 작은 형상으로 발생하여 상기 홈(22)을 통하여 매식홈(8)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절삭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free surface S1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haft 10 at the blade 21 and a cutting edge S1a capable of cutting the alveolar bone 6 on one side of the first free surface S1. ). In addition, the second free surface S2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P at one end of the first free surface S1 and the diameter at the end S is between the pair of second free surface S2. It is defined as distance. Therefore, a chip is generated in a small shape by the cutting edge S1a formed on the first free surface S1 of each end S, and smoothly out of the recess 8 through the groove 22. Since it is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utting temperatur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단부(3)는 축방향(P)으로 각각의 단(S)의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복수의 단을 가지고, 복수의 단에 의해 칩이 작은 형상으로 발생하여 절삭온도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한번의 드릴링으로 픽스츄어(7)를 매식할 수 있는 매식홈(8)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한번의 드릴링으로 매식홈(8)을 만들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여러 단계의 드릴을 이용하여 시술할 경우에 발생하는 매식홈(8)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문제를 해결하여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tage portion 3 has a plurality of stages formed so as to reduce the diameter of each stage (S) in the axial direction (P), the chip is small by a plurality of stages Since it can be generated in the shape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cutting temperature can be formed in the groove (8) for embedding the fixture (7) in one drilling, and also to form the groove (8) in one drilling Since it can be made by solving the problem of matching the center of the recess groove (8) generated when performing the procedure by using a conventional multi-stage drill can be easily per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선단각을 표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여유각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단은 3개의 단으로 형성된 다단부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단부가 3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tip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learance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illustrate a multi-stage part formed of three stages, but the multi-sta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ree stag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부(3)는 절삭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드릴(100)의 중심과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하도록 제1단(31)의 선단각(α1)이 제2단(32)의 선단각(α2)보다 크고, 제2단(32)의 선단각(α2)이 제3단(33)의 선단각(α3)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1단(31)의 여유각(β1)이 제2단(32)의 여유각(β2) 보다 작고, 제2단(32)의 여유각(β2)이 제3단(33)의 여유각(β3)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7 and 8, the multi-stage portion 3 to make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cen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100 in order to lower the cutting temperature The tip angle α 1 of the first end 31 is greater than the tip angle α 2 of the second end 32, and the tip angle α 2 of the second end 32 is the third end 33. of the tip angle (α 3) than, and so greatly form the first stage (31) relief angle (β 1) smaller than the clearance angle (β 2) of the second end 32, second end 32 of the The allowable angle β 2 is made smaller than the allowable angle β 3 of the third end 33.

상기 단(S)에서의 선단각은 제1여유면(S1)을 평행하게 하여 투상했을때 축(10)과 이루는 각을 말하는 것으로서 선단각의 크기는 트러스트 하중과 비례하다.The tip angle at the end S refers to an angle formed with the shaft 10 when the first free plane S1 is projected in parallel, and the magnitude of the tip angle is proportional to the thrust load.

상기 단(S)에서의 여유각은 제1여유면(S1)을 평행하게 하여 투상했을 때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여유각은 치조골과 절삭날과의 마찰을 결정하는 인자로 여유각이 크면 인선강도의 부족으로 칩핑(chipping)이 발생우려가 높고 매식홈(8)을 형성하기 위한 초기의 자리잡기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삼각형이나 오각형의 요철이 생기거나, 상하로 크게 진동을 일으켜 절삭효과가 없어지게 되고, 여유각이 적으면 여유면이 치조골에 닿아 절삭온도가 상승하게 된다.The clearance angle at the end S refers to an angle formed with the horizontal plane when the first clearance surface S1 is projected in parallel, and the clearance angle is a clearance factor that determines the friction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cutting edge. If this is larg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hipping due to lack of edge strength, and vibration occurs in the initial positioning process for forming the recessed groove 8, and thus triangular or pentagonal irregularities are generated, or vibration is greatly caused up and down. The cutting effect is lost, and if the clearance angle is small, the clearance surface contacts the alveolar bone and the cutting temperature is increased.

상기 선단각의 크기는 트러스트 하중과 비례하고, 상기 여유각의 크기는 트러스트 하중과 반비례하며, 상기 각각의 단에서의 직경은 트러스트 하중에 반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The magnitude of the tip angle is proportional to the thrust load, the magnitude of the clearance angl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rust load, and the diameter at each en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rust load. If this is expressed as an expression, it is as follows.

T = C1 * α/(β*D)T = C 1 * α / (β * D)

(T는 트러스트하중, C1 은 비례상수, α는 단에서의 선단각, β는 단에서의 여유각, D는 단에서의 직경)(T is the trust load, C 1 is the proportional constant, α is the tip angle at the stage, β is the clearance angle at the stage, D is the diameter at the stage)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31)의 직경(D1)이 제2단(32)의 직경(D2)보다 크므로 제1단(31)의 선단각(α1)이 제2단(32)의 선단각(α2)보다 크고, 제2단(32)의 선단각(α2)이 제3단(33)의 선단각(α3)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1단(31)의 여유각(β1)이 제2단(32)의 여유각(β2) 보다 작고, 제2단(32)의 여유각(β2)이 제3단(33)의 여유각(β3) 보다 작게 형성하여 드릴(100)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늘려 전체 드릴(100)이 받는 트러스트 하중이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의 단(S)은 각각의 절삭날(S1a)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을 제작하기 위한 변수를 줄이기 위해서 각각의 단의 여유각을 같게 하고 선단각에 의한 변수에 의하여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늘리도록 하거나, 각각의 단의 선단각을 같게 하고 여유각에 의한 변수에 의하여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늘리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referring to Equation 1, since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end 3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end 32, the tip angle α 1 of the first end 31 is increase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tage 32, tip angle (α 2) greater tha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tage 32, each of (α 2) the third stage 33 of the so formed larger than the angle (α 3), The clearance angle β 1 of the first stage 31 is smaller than the clearance angle β 2 of the second stage 32, and the clearance angle β 2 of the second stage 32 is the third stage 33. Each end S is formed at a cutting edge S1a so as to increase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100 by making it smaller than the clearance angle β 3 , so that the thrust load received by the entire drill 100 is constant. It is preferable to form to hav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variable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to equal the clearance angle of each step and to increase the thrust load received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by the variable by the tip angle, or This does not preclude equalizing the tip angle of the step and increasing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by the variable of the clearance ang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단부(3)는 드릴(100)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하중을 늘리기 위하여 제1단(31)의 여유각(β1)이 제2단(32)의 여유각(β2) 보다, 제2단(32)의 여유각(β2)이 제3단(33)의 여유각(β3) 보다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1˚~5˚작게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절삭속도에 기인한 것으로, 절삭속도는 트러스트 하중에 반비례하고, 절삭속도는 단에서의 직경에 비례하고 1분동안 회전수(rpm)에 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tage portion 3 has a clearance angle β 1 of the first end 31 to increase the thrust load receiv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100, the second end 32 ) relief angle (β 2 smaller) than, the angle (β 2 free of the second stage 32) is the third stage (angle than the relief angle (β 3) of 33), preferably of 1˚ ~ 5˚ It is suitable to form. This is due to the cutting speed, where the cutting spee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rust load, the cutting speed is proportional to the diameter at the end and proportional to the rpm for one minute. If this is expressed as an expression, it is as follows.

T = C2 /VT = C 2 / V

V = π* D * N /1000V = π * D * N / 1000

(T는 트러스트하중, C2 는 비례상수, V 는 절삭속도, D는 단의 직경, N 은 rpm) (T is the trust load, C 2 is the proportional constant, V is the cutting speed, D is the diameter of the stage, N is rpm)

따라서, 상기 수학식1과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rpm은 1000~1500으로 고정되어 있고,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100)의 직경은 6mm 미만이며, 단(S)의 직경이 커지면 절삭속도가 증가하여 드릴(100)의 외경에서의 트러스트 하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직경이 큰 단(S)의 트러스트 하중을 크게 하여 전체 드릴(100)의 중심 과 외경에서의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함으로 인해 절삭온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1단(31)의 여유각(β1)이 제2단(32)의 여유각(β2) 보다, 제2단(32)의 여유각(β2)이 제3단(33)의 여유각(β3) 보다 1˚~5˚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referring to Equation 1 and Equation 2, the rpm is fixed to 1000 ~ 1500, the diameter of the dental implant drill 100 is less than 6mm, the cutting speed is increased if the diameter of the step (S) is large As a result, the thrust loa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100 is reduced. Therefore, by increasing the thrust load of the large diameter (S) to make the thrust load at the cen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entire drill 100 constant, the clearance angle of the first end 31 to minimize the cutting temperature ( β 1 is greater than the clearance angle β 2 of the second end 32, and the clearance angle β 2 of the second end 32 is 1 ° to the clearance angle β 3 of the third end 33. It is preferable to form small 5 degrees.

한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서의 트러스트 하중 분포의 균일화를 위한 형상을 설계를 위한 식은 수학식1과 수학식2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quation for designing the shape for the uniformity of the thrust load distribution in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2).

T = C * α/(β* D * V)T = C * α / (β * D * V)

(T는 트러스트 하중, C 는 단위면적당 비절삭저항에 대한 비례상수, α는 단에서의 선단각, β는 단에서의 여유각, D는 단에서의 직경, V 는 절삭속도)(T is the thrust load, C is the proportional constant for the specific cutting resistance per unit area, α is the tip angle at the end, β is the clearance angle at the end, D is the diameter at the end, V is the cutting spe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의 저면도이다.Figure 6 is a bottom view of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선단부(5)는 상기 다단부(4)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선단여유면(51)과, 시닝(52)을 포함한다.4 to 6, the tip portion 5 extends from one end of the multi-stage portion 4, and includes a tip clearance surface 51 and a thinning 52.

상기 선단여유면(51)은 상기 다단부(3)의 하단에 형성된 단에서 축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일측에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는 선단날(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부(5)에 형성된 복수의 선단여유면(51)을 평행하게 투상하여 선단여유면(51) 사이의 각인 선단부의 선단각(α4)을 형성한다. 선단부의 선단각(α4)의 크기는 트러스트 하중과 비례하므로 선단부의 선단각(α4)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드릴(100)의 중심에서의 트러스트 하중을 적게 하여 드릴(100)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과 일정하게 형성하여 절삭온도를 최소화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ip free surface 51 is formed at an end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ulti-stage part 3 to be inclin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formed on the one end edge 511 for cutting the alveolar bone, the tip part 5 A plurality of tip free surfaces 51 formed in the projection are projected in parallel to form a tip angle α 4 of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s of each of the leading free surfaces 51. Since the tip angle α 4 of the tip portion is proportional to the thrust load, the tip angle α 4 of the tip portion is made small so that the thrust load at the center of the drill 100 is reduced so that the tip diameter α 4 is reduced. It is desirable to form the same as the load of the thrust load to minimize the cutting temperature.

상기 시닝(52)은 상기 선단날(511)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드릴링 시 칩 배출과 드릴(100)이 치조골(6)로 원활히 진입되도록 한다. The thinning 52 has a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tip blade 511 to allow the chip discharge and the drill 100 to smoothly enter the alveolar bone 6 when drilling.

한편, 상기 시닝(52)의 직경(D5)이 상기 선단여유면(51)의 직경(D4)보다 작을수록 드릴의 중심에서의 트러스트 하중은 드릴의 외경에서의 트러스트 하중보다 높아 절삭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상기 시닝(52)은, 드릴의 중심부의 트러스트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시닝(52)의 직경(D5)을 선단여유면(51)의 직경(D4)의 80%~100%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종래의 임플란트 드릴의 시닝(52)의 직경(D5)이 드릴의 선단여유면(51)의 직경(D4)보다 50% 미만으로 형성되어 드릴의 중심부의 트러스트 하중이 드릴의 외경에서의 트러스트 하중보다 높아 트러스트 하중의 불균등으로 인하여 절삭온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the diameter D5 of the thinning 5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4 of the tip free surface 51, the thrust load at the center of the drill is higher than the thrust loa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so that the cutting temperature is increased. , The thinning 52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ameter (D5) of the thinning (52) to 80% ~ 100% of the diameter (D4) of the free end surface 51 in order to reduce the thrust load of the center of the drill Do.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D5) of the thinning 52 of the conventional implant drill is formed to be less than 50% of the diameter (D4) of the tip marginal surface 51 of the drill so that the thrust load of the center of the dril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utting temperature is increased due to the inequality of the thrust load higher than the thrust load at the outer diame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단부(5)와 상기 다단부(3)를 픽스츄어(7)의 하단부(71)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매식홈(8)에 매식된 픽스츄어(7)의 하단부(71)가 치조골(6)과 접촉하는 영역을 넓혀 초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드릴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7)의 하단부(71)가 치조골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틈(9)이 생겨나 픽스츄어(7)와 골조직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고정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선단부(5)와 다단부(3)의 외주 프로파일을 픽스츄어(7)의 하단부(71)의 형상과 대략 유사하게 형성하면 매식홈(8)의 하단부 형상과 픽스츄어(7)의 하단부(71) 형상이 대략 일치하여 골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portion 5 and the multi-stage portion 3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71 of the fixture 7 to be embedded in the recess 8 The lower end part 71 of (7) can widen the area which contacts the alveolar bone 6, and can raise an initial fixation force. In the conventional drill, as shown in FIG. 3, a gap 9 is formed in which the lower end 71 of the fixture 7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xture 7 and the bone tissue, thereby reducing the fixing force. Although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when the outer periphery profile of the front end portion 5 and the multi-stage portion 3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71 of the fixture 7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 8 The lower end of the shape and the lower end 71 of the fixture 7 approximately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bone contact area can be widened,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의 사용상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ate of use of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의해 형성된 매식홈에 픽스츄어가 매식되기 전의 예시도, 도 10은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의해 형성된 매식홈에 픽스츄어가 매식된 후의 예시도이다.9 is an illustration before the fixture is implanted in the groove groove formed by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Figure 10 is an illustration after the fixture is implanted in the groove groove formed by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It is also.

도 4,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환자의 치조골에 매식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척에 장착된 드릴을 회전시켜 환자의 잇몸을 통과하여 치조골에 드릴을 접촉시켜 가압하면 드릴의 선단부는 치조골에 홈을 파기 시작하고, 다단부의 복수의 단에 포함된 절삭날에 의해 치조골을 단속적으로 절삭함으로 인해 절삭온도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트러스트 하중을 드릴의 중앙과 외경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인해 절삭온도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고, 절삭된 치조골의 칩들은 작은 형태로 발생하여 시닝과 홈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절삭온도를 더욱더 낮출 수 있어 치조골이 받을 수 있는 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4, 9 and 10, the operator rotates the drill mounted on the chuck to form a groove i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passes through the patient's gums, contacts the drill to the alveolar bone, and presses the tip of the drill. By cutting grooves in the alveolar bone and cutting the alveolar bone intermittently by the cutting edg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tages, the cutting temperature can be minimized and the thrust load can be kept constant at the center and outer diameter of the drill. The cutting temperature can be further minimized, and the chips of the cut alveolar bone are generated in a small form an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nning and grooves, so that the cutting temperature can be further lower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heat that the alveolar bone can receive. You can do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의 다단부와 선단부의 형상은 매식될 픽스츄어의 하단부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드릴링 작업에 의해 형성된 매식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을 빼내고 픽스츄어를 상기 매식홈에 매식하면 픽스츄어의 하단부가 치조골과 접촉하는 영역이 넓어져 초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multi-stage part and the tip of the implant d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imilarly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to be implanted to remove the implant d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cessed groove formed by the drilling operation and to fix the fixture to the recessed groove. By fasting, the area where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contacts the alveolar bone can be widened, thereby increasing the initial fixation forc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드릴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implant drill

도 2는 종래의 다양한 직경의 임플란트 드릴로써 단계별로 매식홈을 확공시키기 위한 단계도Figure 2 is a step for expanding the recess groove step by step with a conventional drill of various diameters

도 3은 도 2의 드릴들에 의해 형성된 매식홈에 매식된 픽스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xture embedded in a recess formed by the drills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의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의 저면도Figure 6 is a bottom view of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선단각을 표시한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tip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여유각을 표시한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earance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의해 형성된 매식홈에 픽스츄어가 매식되기 전의 예시도Figure 9 is an exemplary view before the fixture is embedded in the groove groove formed by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도 10은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에 의해 형성된 매식홈에 픽스츄어가 매식된 후의 예시도10 is an exemplary view after the fixture is implanted in the groove formed by the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생크부 2: 연장부 3: 다단부 5: 선단부 1: Shank part 2: Extension part 3: Multi-stage part 5: Tip part

6: 치조골 7: 픽스츄어 8: 매식홈 9: 틈 10: 축6: Alveolar bone 7: Fixture 8: Fed-out groove 9: Gap 10: Axis

11: 척결합부 12: 자루 21: 날개 22: 홈 51: 선단여유면 11: chuck coupling part 12: bag 21: wing 22: groove 51: tip margin

52: 시닝 100: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52: thinning 100: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111:척결합면 112: 척그루부 511: 선단날111: chuck coupling surface 112: chuck groove portion 511: tip blade

S: 단 S1: 제1여유면 S2: 제2여유면 S1a: 절삭날 S: where S1: first free surface S2: second free surface S1a: cutting edge

Claims (6)

자루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와,An extension portion enlarged in one end of the bag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단부와,A multistage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상기 다단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된 선단부를 포함하며,A t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multi-stage portion, 상기 연장부는,The extension portion, 드릴링 작업 동안에 배출되는 치조골의 칩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홈을 추가로 포함하고,It further comprises a groove to easily discharge the chip of the alveolar bone discharged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to the outside, 상기 다단부는,The multi-stage part, 치조골이 받을 수 있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치조골의 칩이 작은 형태로 발생되어 상기 홈을 통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고, 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that the alveolar bone can receive the chip of the alveolar bon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to be discharged smoothly through the groove, 상기 각각의 단은 축의 내측 방향으로 제1여유면이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제2여유면이 형성되며,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여유면의 일측에 절삭날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Each end has a first free surfac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shaft and a second free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cutting edge is further included on one side of the first free surface to cut the alveolar bone.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부의 복수의 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tages of the multistage portion, 단의 직경이 축방향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한번의 드릴링으로 픽스츄어를 매식할 수 있는 매식홈을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임플란트 드릴로 단계별로 매식홈을 확공시키는 것에 비해 임플란트의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The diameter of the stage is reduced in the axial direction to form a groove for burying the fixture with a single drilling, and the implantation time of the implant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step of expanding the groove for each stage with an implant drill of various diameters.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shorten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부의 복수의 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stages of the multistage portion, 직경이 큰 단의 선단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선단각 보다 크게 형성하고, 직경이 큰 단의 여유각은 직경이 작은 단의 여유각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하여 드릴의 외경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높혀 전체 드릴에서 받는 트러스트 하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The tip angle of the large diameter stage is formed larger than the tip angle of the small diameter stage, and the clearance angle of the large diameter stag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clearance angle of the small diameter stage to increase the thrust load received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ll.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ust load received from the entire drill can be made consta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부의 복수의 단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stages of the multi-stage portion, 상기 직경이 큰 단의 여유각이 상기 직경이 작은 단의 여유각 보다 1˚~5˚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rance angle of the large diameter stage is formed 1˚ ~ 5˚ smaller than the clearance angle of the small diameter st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ip portion, 상기 다단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축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선단여유면과, 상기 선단여유면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드릴링 시 중심부의 칩 배출과 드릴이 치조골로 원활히 진입되도록 하는 시닝을 추가로 포함하며,An end free surfac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ulti-stage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haft, and a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free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 thinning to allow the chip discharge and the drill to smoothly enter the alveolar bone during drilling. , 상기 시닝은,Said thinning, 드릴의 중심에서 트러스트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시닝의 직경은 상기 선단여유면의 직경의 80%~10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In order to reduce the thrust load at the center of the drill, the diameter of the thinning is a dental implant drill using a multi-st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from 80% to 100% of the diameter of the free end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선단부와 상기 다단부를 픽스츄어의 하단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매식홈에 매식된 픽스츄어의 하단부가 치조골과 접촉하는 영역을 넓혀 초기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multi-stage part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ture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ture embedded in the recess groove widen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so as to increase the initial fixing force. Implant Drills
KR1020070079116A 2007-08-07 2007-08-07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Active KR1008932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116A KR100893287B1 (en) 2007-08-07 2007-08-07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116A KR100893287B1 (en) 2007-08-07 2007-08-07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35A KR20090014835A (en) 2009-02-11
KR100893287B1 true KR100893287B1 (en) 2009-04-17

Family

ID=4068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116A Active KR100893287B1 (en) 2007-08-07 2007-08-07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28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384B1 (en) 2017-05-02 2017-06-14 김동섭 Prevent reuse of drill for implant placement
KR20190010996A (en) 2017-07-24 2019-02-01 (주)예스바이오테크 Drill for dental surgery
KR20220107398A (en) 2021-01-25 2022-08-02 (주)예스바이오테크 GPS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20220124378A (en) 2021-03-03 2022-09-14 (주)예스바이오테크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102576600B1 (en) 2022-05-27 2023-09-07 허채헌 Milling bur for implant and method for forming implant hol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85B1 (en) * 2010-04-01 2011-02-09 (주) 시원 Drill bit and drill with it
CN102946820B (en) * 2010-04-22 2015-04-29 尼尔生物技术有限公司 Drill bit and drill equipped with same
KR101466311B1 (en) * 2012-05-07 2014-12-02 주식회사 제노스 Bone obtaining drill for implant
DK3305447T3 (en) 2016-02-14 2023-07-03 Tec Spiral Entpr Tools Co Ltd STEP STRUCTURED SPIRAL DRILL
KR102239937B1 (en) * 2018-05-16 2021-04-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 surgery dri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0603A2 (en) 1998-05-27 1999-12-01 Gebr. Brasseler GmbH & Co. KG Dental drill
KR200323647Y1 (en) 2003-05-07 2003-08-19 (주)이비아이 Drill for implant surgery
KR100516630B1 (en) 1997-07-25 2005-09-22 시메트릭스 주식회사 Process for fabricating layered superlattice materials and abo3, type metal oxides and making electrionic devices including same without exposure to oxygen
US20070099150A1 (en) 2005-09-05 2007-05-03 Straumann Holding Ag Dental drill device with a stop 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630B1 (en) 1997-07-25 2005-09-22 시메트릭스 주식회사 Process for fabricating layered superlattice materials and abo3, type metal oxides and making electrionic devices including same without exposure to oxygen
EP0960603A2 (en) 1998-05-27 1999-12-01 Gebr. Brasseler GmbH & Co. KG Dental drill
KR200323647Y1 (en) 2003-05-07 2003-08-19 (주)이비아이 Drill for implant surgery
US20070099150A1 (en) 2005-09-05 2007-05-03 Straumann Holding Ag Dental drill device with a stop ele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384B1 (en) 2017-05-02 2017-06-14 김동섭 Prevent reuse of drill for implant placement
KR20190010996A (en) 2017-07-24 2019-02-01 (주)예스바이오테크 Drill for dental surgery
KR20220107398A (en) 2021-01-25 2022-08-02 (주)예스바이오테크 GPS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20220124378A (en) 2021-03-03 2022-09-14 (주)예스바이오테크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102576600B1 (en) 2022-05-27 2023-09-07 허채헌 Milling bur for implant and method for forming implant ho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35A (en)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287B1 (en)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KR100930911B1 (en) Dental implant drill using multi-stage structure
US12036090B2 (en) Drill for dental implant
ES2973784T3 (en) dental implant thread
US8864495B2 (en) Quick dental implant kit
EP0684798B1 (en) Securing element
CN105193513A (en) Dental Implant System
CN102470023B (en) Dental implant fixture
TW201315447A (en) Dental drill, drill set, and method of drilling alveolar bone
EP1911412B1 (en) Implant
US20140234800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JP2016503666A (en) Condensation implant
US20210282904A1 (en) One single drill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AU2004204267B2 (en) Bone implant and device for forming a socket for same
EP2967763A1 (en) Expandable dental implant
US20190151054A1 (en) Tool and method for forming a non-circular cavity in bone tissue and kit comprising the tool
KR200382442Y1 (en) Abutment Capable of Compensate for Implant Angle of Fixture
KR20220089297A (en) Implant fixture having fine grooves
JP2020533085A (en) How to make a dental prosthesis with an angled penetrating lumen
KR102093545B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2301190B1 (en) Double-cutting implant holder
EP3439575A1 (en) Tool and method for forming a non-circular cavity in bone tissue and kit comprising the tool
KR200308260Y1 (en) Dental fixture for maxillary molar regions
US20250228570A1 (en) Implant drill
JP7305283B2 (en) Implant fixture with tapered thread groove dep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