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3225B1 -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25B1
KR100893225B1 KR1020060068821A KR20060068821A KR100893225B1 KR 100893225 B1 KR100893225 B1 KR 100893225B1 KR 1020060068821 A KR1020060068821 A KR 1020060068821A KR 20060068821 A KR20060068821 A KR 20060068821A KR 100893225 B1 KR100893225 B1 KR 10089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s
tab
connection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350A (ko
Inventor
장준환
최병진
이향목
정현철
손정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6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다수의 전극 판들을 적층하고 이들의 전극 탭들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각각의 전극 판에는 이들을 병렬 방식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극 판 및 음극 판에는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 이외에 전극리드에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과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동일 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그러한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동일 규격 대비 높은 용량을 가질 수 있고, 낙하 또는 외부충격 인가시 이동이 억제되어 내부 단락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Capacitance and Safety}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전지에서 양극 탭들이 밀집된 형태로 결합되어 양극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내부 상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차전지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의 조립 이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은 도 4의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의 전극간 연결용 탭들을 연결하기 위한 리벳의 사시도이고, 도 6b 및 6c는 그것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식도 및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이차전지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조립 이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용량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다수의 전극 판들을 적층하고 이들의 전극 탭들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각각의 전극 판에는 이들을 병렬 방식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극 판 및 음극 판에는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 이외에 전극리드에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과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동일 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의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 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 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용, 적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전극조립체(30), 전극조립체(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40, 50), 전극 탭들(40, 50)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60, 70),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들(40, 50)은 전극조립체(30)의 각 전극 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전극리드(60, 70)는 각 전극 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개의 전극 탭들(40, 50)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2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극리드(60, 70)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필름(80)이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20)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은 적층형 전극조립체(30)의 경우, 다수의 양극 탭들(40)과 다수의 음극 탭들(50)이 전극리드(60, 7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20) 내부 상단은 전극조립체(3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이차전지에서 양극 탭들이 밀집된 형태로 결합되어 양극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내부 상단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이차전지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30)의 양극 집전체(4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 탭들(40)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용착부의 형태로 양극리드(60)에 연결된다. 그러한 양극리드(60)는 양극 탭 용착부가 연결되어 있는 대향 단부(61)가 노출된 상태로 전지케이스(20)에 의해 밀봉된다. 다수의 양극 탭들(40)이 일체로 결합되어 용착부를 형성함으로 인해, 전지케이스(20)의 내부 상단은 전극조립체(30)의 상단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용착부의 양극 탭들(40)은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의 결합부위를 V-포밍(V-forming) 부위로 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V-포밍 부위는 전지의 용량과 안전성 측면에서 다수의 문제 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전지의 용량은 실질적으로 전극조립체(30)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바, V-포밍 부위의 존재는 전지케이스(20)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30)의 크기를 제한하므로, 전지의 용량 감소를 초래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30)의 상단면과 절연필름(80) 사이의 거리(L1)가 매우 크며, 그러한 거리만큼 전극조립체(30)의 크기 감소가 불가피하다.
또한, 전지가 그것의 상단, 즉 양극리드(60) 쪽으로 낙하되거나 전지의 상단에 물리적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전극조립체(30)가 전지케이스(20)의 내면 상단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단이 짓 눌려져서, 전극조립체(30)의 음극이 양극 탭(42) 또는 양극리드(61)와 접촉되어 내부 단락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지의 안전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러한 V-포밍 부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2-141055호에서는 적층형 전극조립체에서 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탭들을 각 전극 판의 일측에 형성하여 케이스 내부에서 상호 접속시키고,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일부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리드를 상기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이 아닌 소정부위에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케이스 내부에서 전극리드의 절곡을 위한 공간과 탭들의 연결을 위한 공간이 별도로 요구되어 불필요한 사공간(dead space)을 형성함으로써 전지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역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동일 규격 대비 높은 용량을 가지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하 또는 외부충격 인가시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이동이 억제되어 내부 단락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다수의 전극 판들을 적층하고 이들의 전극 탭들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각각의 전극 판에는 이들을 병렬 방식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극 판 및 음극 판에는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 이외에 전극리드에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과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동일 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에서는, 전극간 연결용 탭들 및 전극리드와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각각 상호 접속되어 전극조립체의 동일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이들의 형성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전지케이스의 동일 규격 대비 용량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접속부가 형성된 측면까지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이동이 억제되어 낙하 또는 외부 충격 등과 같은 외력의 인가시 더욱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다수의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스택형 구조와 스택/폴딩형 구조를 들 수 있다.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0082058호, 제2001-0082059호 및 제2001-008206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본 발명의 내용에 참조로서 합체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극 판들 중에서 둘 이상의 양극 판, 및 둘 이상의 음극 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양극 판과 음극 판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둘 이상의 양극 판 및 음극 판에 각각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들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며,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들의 밀착시 부피가 증가되어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간 연결용 탭 및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양극 판과 음극 판을 하나씩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전극리드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므로 전극간 연결용 탭들에 비해 다소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극리드가 연결되는 전극 판의 일변을 상단 변 및/또는 하단 변으로 나타낸다. 이때, 상기 상단 변 및 하단 변은 각각의 전극 판에서 대향하는 양변을 의미하지만, 상기 전극 판이 변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양극 판과 음극 판의 상단 변에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은 상단 변 중 양측 모서리 부근에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양극 판에 형성된 전극리드 연결용 탭(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과 음극 판에 형성된 전극리드 연결용 탭(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은, 전극리드를 연결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단 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에서, 전극간 연결용 탭은 그것과 동일변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리드 연결용 탭과 인접한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이 상대적으로 양극 판의 상단 변 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이 상대적으로 음극 판의 상단 변 좌측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양극 판에 형성된 전극간 연결용 탭(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은 양극 판의 상단 변 중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음극 판에 형성된 전극간 연결용 탭(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은 음극 판의 상단 변 중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는 전극간 연결용 탭들의 연결 작업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양극 판과 음극 판의 상단 변과 하단 변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은 상단 변과 하단 변 중 대각선 위치의 두 모서리 부근에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이 양극 판의 상단 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이 음극 판의 하단 변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은 양극 판의 상단 변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은 음극 판의 하단 변 좌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간 연결용 탭들간 및 전극리드 연결용 탭과 전극리드간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들은 용접, 솔더링, 기계적 체결부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탭들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 구조의 리벳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리벳은 수직 단면상 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테이퍼되어 있는 구조로서, 중공형의 내부에 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탭들의 적층 방향으로 압축하여 기계적 체결과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벳은 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면(A)의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상기 단부면에 대향하는 단부면(대향 단부면: B) 의 형상이 상대적으로 더욱 납작한 타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단부면(A)의 장축과 대향 단부면(B)의 장축이 대략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타원의 단축에 대한 수직 단면 형상이 테이퍼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리벳은, 단축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단부면(A) 방향으로 다수의 전극간 연결용 탭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집속시킬 수 있고, 단축 방향으로 압축하여 안정적으로 기계적 고정 및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리벳은 상기와 같은 효과 이외에, 예를 들어, 전기적 접속을 위한 용접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전극간 연결용 탭은 가능하면 작은 구조로 제조하는 것이 전지의 내부공간 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한 반면에, 용접 등을 행할 때 용접 부위가 전극 활물질에 근접함으로 인해, 전극 활물질의 열화, 내부단락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상기 리벳을 사용하면, 그러한 고열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극조립체는 단락의 방지를 위해 양극 및 음극보다 큰 크기의 분리막을 사용하므로,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은 양극 및 음극보다 길게 연장된 분리막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감싸이게 된다. 따라서, 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상호 연결된 부위는 절곡되어 전극조립체의 측면 상에 밀착되더라도 단락이 유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들의 연결부위에서 이러한 절곡 및 밀착에 따른 단락의 가능성을 더욱 낮추기 위하여, 전극조립체의 분리막 크기를 통상의 전극조립체에서 보다 더욱 크게 하거나, 절연 필름 등의 절연성 부재로 상기 전 극간 연결용 탭들의 연결부위를 미리 도포한 후 절곡하여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특히, 상기의 바람직한 구조의 예에서처럼, 리벳을 사용하여 전극간 연결용 탭들을 연결할 경우, 상기 리벳의 외면에 절연성 부재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전극간 연결용 탭들의 연결부위 및 전극리드 연결용 탭과 전극리드의 연결부위는 각각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전체적으로 사공간(dead space)이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사공간을 최소화하여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가 완성될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측면이 각각 전지케이스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외력의 인가시에도 전극조립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리튬 전해액이 겔의 형태로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이른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특히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차전지(600)는,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30, 131, 132 ...) 및 음극 탭들(140, 141, 142 ...)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101)과 음극 탭(102)이 각각 양극리드(300)와 음극리드(301)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조립체(100) 및, 이러한 전극조립체(100)를 수용할 수 있는 전지케이스(200)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조립체(100)는 그것의 최상층에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101)과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양극 판과 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102)과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1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음극 판을 각각 하나씩 포함하고 있다. 전극조립체의 구체적인 구조는 그것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5에서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00)는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101)과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양극 판(110)과 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102)과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1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음극 판(120), 및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31, 132 ...)만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 판들(111, 112 ...)과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들(141, 142)만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음극 판들(121, 122)을, 분리막(15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조된다.
하나의 양극 판(110)에서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101)은 양극 판(110)의 상단 변 좌측에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음극 판(120)에서 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102)은 음극 판(120)의 상단 변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30, 131, 132 ...)은 양극 판들(110, 111, 112 ...)의 각 상단 변에서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들(140, 141, 142, ..)은 음극 판들(120, 121, 122 ...)의 각 상단 변에서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30, 131, 132 ...) 및 음극 탭들(140, 141, 142 ...)간 및,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101) 및 음극 탭(102)과 전극리드(300, 301)간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작업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31, 132 ...)과 음극 탭들(141, 142 ...)은 각각 리벳(40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전극조립체의 상단면(160)에 밀착된다. 이때, 전도성의 금속소재인 리벳(400)이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31, 132 ...)과 음극 탭들(141, 142 ...)에 연결된 상태로 전극조립체(100)의 상단면(160)과 접속되어 단락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벳(400)을 절연성 필름(500)으로 감싼 상태에서 상단면(160)으로 밀착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는 리벳(400)의 장착된 형상을 투시도로서 나타내었다.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31, 132 ...)과 음극 탭들(141, 142 ...)을 상호 연결하는 리벳(400)의 구조는 그것의 사시도와 상측 모식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 6a 내지 6c에서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리벳(500)은 중공의 원통형 구조로서, 중공 의 타원구조로 이루어진 상단면(510)과 중공의 원형구조로 이루어진 하단면(520)을 포함한다. 이때, 하단면(520)의 장축(R1)은 상단면(510)의 장축(r1)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정도이다. 반면에, 상단면(510)의 단축(r2)은 하단면(520)의 단축(R2) 보다 훨씬 작으므로, 전체적인 형상에서 리벳(500)은 단축 기준으로 하향 테이퍼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6a의 수직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 6c에서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c를 보면, 리벳(500)은 상단면(510)의 단축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상 테이퍼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140, 141, 142 ...)은 리벳(5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리벳(500)을 화살표 방향으로 압축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 및 연결된다. 리벳(500)은 가변성을 가진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니켈, 구리, 납 등이나 이들의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c에서와 같이 그것의 중공 내부에 양극 탭들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면을 압축하면, 압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00)가 전지케이스(200)의 수납부(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101)과 음극 탭(102)이 절곡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전지케이스(200)의 상단 밀착부위에 곧 바로 위치할 수 있도록, 두 전극 탭들(101, 130; 102, 1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양극 판(110)과 음극 판(120)은 전극조립체(100)의 최상층에 위치한다.
도 7에는 도 4의 이차전지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 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차전지(600)는, 전극조립체(100)의 상단면과 절연필름(320) 사이의 거리(L2)를 크게 줄임으로써, 전지케이스(200)의 동일 규격 대비 전극조립체(100) 크기를 더욱 크게 하여 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600)는 전극조립체(100)가 전지케이스(20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을 만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낙하 및 외부충격시 단락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조립 이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700)는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701)과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7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양극 판(710)과 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702)과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7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음극 판(720), 및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731, 732 ...)만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 판들(711, 712 ...)과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들(741, 742)만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음극 판들(721, 722)을, 분리막(75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조된다.
하나의 양극 판(710)에서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701)은 양극 판(710)의 하단 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음극 판(720)에서 전극리드 연결용 음극 탭(702)은 음극 판(720)의 상단 변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730, 731, 732 ...)은 양극 판들(710, 711, 712 ...)의 각 하단 변에서 좌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간 연결용 음극 탭들(740, 741, 742, ..)은 음극 판들(720, 721, 722 ...)의 각 상단 변에서 우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간 연결용 양극 탭들(730, 731, 732 ...) 및 음극 탭들(740, 741, 742 ...)간 및, 전극리드 연결용 양극 탭(701) 및 음극 탭(702)과 전극리드(300, 301)간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작업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극 활물질로서 LiCoO2 95 중량%, Super-P(도전제) 2.5 중량% 및 PVdF(결합제) 2.5 중량%를 용제인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고, 음극 활물질로서 인조흑연 95 중량%, Super-P(도전제) 1 중량% 및 PVdF(결합제) 4 중량%를 용제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여, 알루미늄 호일과 구리 호일에 각각 도포하였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과 구리 호일을, 도 5에서와 같이, 일측에서 하나의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판과, 일측에서 두 개의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한 개의 판으로 각각 절단하여 양극 판과 음극 판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분리막으로 셀가드TM(TONEN)를 사용하여, 상기 두 개의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양극 판과 음극 판을 최외측으로 하고 나머지 양극 판과 음극 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극조립체를, 도 4에서와 같이,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장착한 후,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지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일측에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양극 판과 음극 판을 이용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이를 도 1에서와 같은 구조로 전지케이스에 장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지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각각 20 개의 제조된 전지들을 대상으로, 1.5 m의 높이에서 전지의 전극리드 돌출 방향으로 전지 낙하 실험을 50 회 반복하여 수행한 후, 단락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6052373662-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지들은 전면 낙하 실험에서 20 개 전지 모두에서 단락이 유발되지 않았다. 즉, 전지케이스 내면과 전극조립체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전지의 낙하시 전극조립체의 이동에 의한 단락이 유발되지 않았다. 반면에, 비교예 1의 전지들은 다수의 전지들에서 단락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지의 용량 측면에서, 동일한 크기의 전지케이스를 사용하였을 때, 실시예 1의 전지는 비교예 1의 전지와 비교하여 활물질이 도포되는 전극 판의 크기를 대략 10% 정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그만큼 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동일 규격 대비 높은 용량을 가질 수 있고, 전지의 낙하 또는 외부충격 인가시 이동이 억제되어 내부 단락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다수의 전극 판들을 적층하고 이들의 전극 탭들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각각의 전극 판에는 이들을 병렬 방식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극 판 및 음극 판에는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 이외에 전극리드에 연결하기 위한 탭(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과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동일 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들은 그것들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 구조의 리벳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극 판들 중 하나의 양극 판 및 음극 판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양극 판과 음극 판의 상단 변에서 함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은 상기 상단 변 중 양측 모서리 부근에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은 그것과 동일변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리드 연결용 탭과 인접한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 연결용 탭은 양극 판과 음극 판의 상단 변과 하단 변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은 상기 상단 변과 하단 변 중 대각선 위치의 두 모서리 부근에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은 수직 단면상으로 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테이퍼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극간 연결용 탭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탭들의 적층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간 연결 탭들의 연결 후, 절연성 부재로 상기 탭 연결부위를 도포한 뒤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부재로서의 절연성 필름으로 탭 연결부위를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60068821A 2006-07-24 2006-07-24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Active KR10089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21A KR100893225B1 (ko) 2006-07-24 2006-07-24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21A KR100893225B1 (ko) 2006-07-24 2006-07-24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350A KR20080009350A (ko) 2008-01-29
KR100893225B1 true KR100893225B1 (ko) 2009-04-16

Family

ID=3922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821A Active KR100893225B1 (ko) 2006-07-24 2006-07-24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993A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90187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9568B1 (en) 2009-09-16 2012-05-3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741471B2 (en) 2011-03-09 2014-06-0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333913B1 (ko) * 2012-01-25 2013-11-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각형 리튬형 전지롤 구조체
KR101911433B1 (ko) 2012-12-14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전지
US9685649B2 (en) 2013-09-25 2017-06-20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L3349286T3 (pl) 2016-07-12 2020-06-29 Lg Chem, Ltd. Zespół elektrody zawierający płytki elektrod ze sprzęgniętymi, utworzonymi na nich dodatkowymi zaczepami
KR102098096B1 (ko) * 2016-11-14 2020-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탭과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83703B1 (ko) 2017-03-17 2017-10-11 주식회사 리베스트 보강 탭 결합 구조 및 전극 리드 굽힘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WO2019066123A1 (ko) * 2017-09-26 2019-04-04 주식회사 리베스트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전력공급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미용 기기
CN111386625A (zh) 2017-11-21 2020-07-07 理百思特有限公司 具有设置为最外面电极的负电极的电极组件及包括其的锂离子二次电池
WO2019103467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베스트 최외곽 전극이 음극으로 배치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WO2024128705A1 (ko) * 2022-12-12 2024-06-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집합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405A (ko) * 1999-04-16 2000-11-15 김순택 집전체와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이차전지
KR20010017194A (ko) * 1999-08-09 2001-03-05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JP2004241328A (ja) 2003-02-07 2004-08-26 Mitsubishi Chemicals Corp 平板積層型電池及び平板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KR20070120210A (ko) * 2006-06-19 2007-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및 용량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405A (ko) * 1999-04-16 2000-11-15 김순택 집전체와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이차전지
KR20010017194A (ko) * 1999-08-09 2001-03-05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JP2004241328A (ja) 2003-02-07 2004-08-26 Mitsubishi Chemicals Corp 平板積層型電池及び平板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KR20070120210A (ko) * 2006-06-19 2007-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및 용량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993A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5046692A1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587323B1 (ko) * 2013-09-25 2016-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90187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KR102377843B1 (ko) * 2015-01-21 2022-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350A (ko) 200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225B1 (ko)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100866767B1 (ko)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KR100873308B1 (ko) 두 개 이상의 유닛 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고용량 전지셀
KR100922441B1 (ko) 전지케이스의 전극조립체 수납부 변형에 의해 안전성이향상된 이차전지
JP5846932B2 (ja) 結合部で電極タブの大きさが同一の電極組立体を有する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KR100905390B1 (ko) 전극조립체의 내부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379957B1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101125592B1 (ko) 수명 특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고용량 전지셀
KR101395016B1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CN101411005B (zh) 安全性改善的二次电池
KR100846071B1 (ko) 신규한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및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화학 셀
US8568929B2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eparators having crossing pores and rechargeable battery
EP3486967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KR100858790B1 (ko) 고용량 및 우수한 안전성의 이차전지
KR20080017264A (ko) 향상된 안전성과 우수한 제조 공정성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8027894A (ja) タブ−リード結合部の電極間抵抗差を最小化した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化学セル
KR20160023038A (ko) 냉각 성능이 개선된 전지셀
KR100871345B1 (ko) 안전성 및 용량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101345349B1 (ko)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KR101154872B1 (ko)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KR100882489B1 (ko) 열수축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방지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셀
KR100877811B1 (ko) 양측 하단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KR100858789B1 (ko) 분리막의 열융착에 의해 형성된 댐핑부를 포함하고 있는향상된 안전성의 전기화학 셀
KR101333913B1 (ko) 각형 리튬형 전지롤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