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3205B1 - 급기가압 제연장치 - Google Patents

급기가압 제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05B1
KR100893205B1 KR1020070083944A KR20070083944A KR100893205B1 KR 100893205 B1 KR100893205 B1 KR 100893205B1 KR 1020070083944 A KR1020070083944 A KR 1020070083944A KR 20070083944 A KR20070083944 A KR 20070083944A KR 100893205 B1 KR100893205 B1 KR 10089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staircase
room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481A (ko
Inventor
윤명오
박재현
진병래
Original Assignee
윤명오
박재현
진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오, 박재현, 진병래 filed Critical 윤명오
Priority to KR102007008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속실(10)을 기준으로 일측 벽면에 비상용승강기(20)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 각각 계단실(30)로 연결되는 계단실도어(31) 및 주거공간인 거실(40)로 연결되는 거실도어(41)가 설치되며, 부속실(10) 내에 이 부속실(10)로의 에어공급을 위해 급기조절댐퍼(51)를 갖는 급기덕트(50)가 구비된 건물의 상기 부속실(10)과 계단실(30)에 급기 가압을 하여 이 부속실(10)과 계단실(30)로 연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최상층에서 급기덕트(50)와 계단실(30)이 서로 연통되도록 공유공간(60)이 마련되며, 이 계단실(30)로 노출된 급기덕트(50)에 계단실(30)로의 에어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5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건물의 화재 발생시 거주자가 부속실과 계단실을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단일 송풍기와 급기덕트 만을 이용하는 간단한 시설이어서 이에 따라 시설물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기존의 급기덕트가 없어지면서 그 설치 공간도 확보되는 등 전반적으로 비용절감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급기가압 제연장치, 부속실, 비상용승강기, 계단실, 급기덕트

Description

급기가압 제연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invading smoke by providing pressing air}
본 발명은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층 지하층을 갖는 고층 건물의 화재시 단일 송풍기와 급기덕트를 이용하여 동시에 비상승강장인 부속실과 계단실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기압도 일정하게 유지시켜 거주자가 이 부속실과 계단실을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나 고층건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실내 가구나 내장재 등의 연소로 인하여 대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많은 사상자가 생겨날 뿐 아니라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 작업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건물의 내부에 별도의 비상용승강기(1)를 설치하고 이 비상용승강기(1) 전방의 공간을 거주공간인 거실(3)과 격리시켜 거실도어(3a)로 차단시키며 계단실(5)로도 계단실도어(5a)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는 비상승강장인 부속실(7)을 따로 마련하고 있 다.
그리고, 이 계단실(5)과 부속실(7) 인접부에 각각 급기덕트(5b,7a)를 설치하고 이 급기덕트(5b,7a)를 통해 외부의 송풍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되 이 계단실(5)과 부속실(7)에 소정의 공압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거실(3)과의 압력 차이에 의해 거실(3)의 유독가스가 계단실(5)과 부속실(7)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거주자가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급기가압 제연장치는 부속실과 계단실에 각각 별도의 급기덕트와 송풍기를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복수의 급기덕트와 송풍기 설치에 따른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설치비용 및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승강장인 부속실과 계단실에 단일 송풍기와 급기덕트를 이용하여 동시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이곳의 기압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화재시 실내의 거주자가 이 부속실과 계단실을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기가압 제연장치는 건물의 부속실을 기준으로 일측 벽면에 비상용승강기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 각각 계단실로 연결되는 계단실도어 및 주거공간인 거실로 연결되는 거실도어가 설치되며, 부속실 내에 이 부속실로의 에어공급을 위해 급기조절댐퍼를 갖는 급기덕트가 구비되되, 상기 건물의 최상층에서 급기덕트와 계단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공유공간이 마련되고, 이 계단실로 노출된 급기덕트에 계단실로의 에어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가 구비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단실의 급기 과잉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이 계단실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댐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의 과잉 급기량을 외부로 배출시켜 부속실과 계단실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급기가압 제연장치는 부속실을 기준으로 일측 벽면에 비상용승강기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 각각 계단실로 연결되는 계단실도어 및 주거공간인 거실로 연결되는 거실도어가 설치되며, 부속실 내에 이 부속실로의 에어공급을 위해 급기조절댐퍼를 갖는 급기덕트가 구비되되, 상기 급기덕트와 계단실이 서로 벽면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건물 중간층에는 급기덕트에서 계단실로 연결되는 보조덕트가 마련되고, 이 보조덕트에 계단실로의 에어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댐퍼가 구비된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단실의 급기 과잉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이 계단실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댐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의 과잉 급기량을 외부로 배출시켜 부속실과 계단실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급기가압 제연장치는 비상승강장인 부속실과 계단실에 하나의 송풍기와 급기덕트를 이용하여 동시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기압도 일정하게 유지시켜 거주자가 이 부속실과 계단실을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송풍기와 급기덕트만을 이용하는 간단한 시설이어서 결과적으로 시설물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다른 하나의 급기덕트는 삭제할 수 있어 그 설치 공간도 확보되는 등 전반적으로 비용절감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장치는 부속실(10)을 기준으로 일측 벽면 내측에 비상용승강기(20)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계단실(30)로 연결되는 계단실도어(31) 및 주거공간인 거실(40)로 연결되는 거실도어(41)가 설치되며, 부속실(10)내에 이 부속실(10)로의 에어공급을 위해 급기조절댐퍼(51)를 갖는 급기덕트(50)가 구비된 건물의 상기 부속실(10)과 계단실(30)에 동시에 급기 가압을 하여 이 부속실(10)과 계단실(30)로 연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건물의 최상층에서 급기덕트(50)와 계단실(30)이 서로 연통되도록 공유공간(60)이 마련되며, 이 급기덕트(50)에 계단실(30)로의 에어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급기조절댐퍼(5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물의 최상층에는 상기 급기덕트(50)의 과잉 급기량을 외부로 배출시켜 부속실(10)과 계단실(30)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53)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급기조절댐퍼(53)는 건물의 최상층 이외에도 건물의 1층 정문으로 연통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50)와 계단실(30)이 서로 벽면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건물 중간층에는 급기덕트(50)에서 계단실(30)로 연결되는 보조덕트(70)가 마련되고, 이 보조덕트(70)에 계단실(30)로의 에어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댐퍼(7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계단실(30)에는 급기덕트(50)에서 공급된 급기의 과잉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이 계단실(30)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댐퍼(3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급기조절댐퍼(51,52,53)와 보조댐퍼(71) 및 압력제어댐퍼(32)는 부속실(10)과 계단실(30) 내의 적정 압력 이상으로 급기가 가압되는 경우 개방되어 과잉압을 외부로 배출시켜 지속적으로 적정 압력을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플랩형 댐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플랩형 댐퍼는 소위 기계식 댐퍼로서 복수의 플랩이 상하방으로 나 란히 배열되되 각각의 상단부가 플랩을 감싸고 있는 틀에 힌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플랩 자체의 하중 이상의 압력 세기 여하에 따라 플랩들이 힌지 회전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되어 있는 댐퍼를 말한다.
미 설명 부호 80은 급기덕트(50)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를 나타낸 것이고, 이 송풍기(80)는 건물의 지하층 또는 최상층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급기가압 제연장치는 건물의 화재 발생시 송풍기(80)를 가동시켜 급기덕트(50)로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이 급기덕트(50)의 에어압에 의해 급기조절댐퍼(51)가 개방되면서 부속실(10)로 에어가 공급되는 동시에 계단실(30)과 연통되는 급기조절댐퍼(52) 및 보조덕트(70)의 보조댐퍼(71)를 통해 계단실(30)로도 에어가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속실(10)과 계단실(30) 간에서 약간의 압력차를 갖도록 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부속실(10) 내의 압력을 대략 30파스칼(Pa)로 조절할 경우 계단실(30) 내의 압력은 대략 35파스칼(Pa)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압력 조절은 기계식 플랩댐퍼인 각 댐퍼(32,51,52,71)들의 플랩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계단실(30)에 적정압 이상의 과잉 압력이 걸릴 경우에는 압력제어댐퍼(32)를 통해 계단실(30)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고, 또한, 급기덕트(50)내에 과잉 급기량이 공급될 경우 이 과잉량이 급기조절댐퍼(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부속실(10)과 계단실(30)의 압력이 적정압으로 제어되어 거주자의 대피 가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장치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장치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최상층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중간층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상용승강기 3 : 거실
3a : 거실도어 5 : 계단실
5a : 계단실도어 5b : 급기덕트
7 : 부속실 7a : 급기덕트
10 : 부속실 20 : 비상용승강기
30 : 계단실 31 : 계단실도어
32 : 압력제어댐퍼 40 : 거실
41 : 거실도어 50 : 급기덕트
51,52,53 : 급기조절댐퍼 60 : 공유공간
70 : 보조덕트 71 : 보조댐퍼
80 : 송풍기

Claims (4)

  1. 건물의 부속실(10)을 기준으로 일측 벽면에 비상용승강기(20)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 각각 계단실(30)로 연결되는 계단실도어(31) 및 주거공간인 거실(40)로 연결되는 거실도어(41)가 설치되며, 부속실(10) 내에 이 부속실(10)로의 에어공급을 위해 급기조절댐퍼(51)를 갖는 급기덕트(50)가 구비되되, 상기 건물의 최상층에서 급기덕트(50)와 계단실(30)이 서로 연통되도록 공유공간(60)이 마련되고, 이 계단실(30)로 노출된 급기덕트(50)에 계단실(30)로의 에어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52)가 구비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단실(30)의 급기 과잉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이 계단실(30)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댐퍼(3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50)의 과잉 급기량을 외부로 배출시켜 부속실(10)과 계단실(30)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
  3. 부속실(10)을 기준으로 일측 벽면에 비상용승강기(20)가 마련되고, 그 인접부에 각각 계단실(30)로 연결되는 계단실도어(31) 및 주거공간인 거실(40)로 연결 되는 거실도어(41)가 설치되며, 부속실(10) 내에 이 부속실(10)로의 에어공급을 위해 급기조절댐퍼(51)를 갖는 급기덕트(50)가 구비되되, 상기 급기덕트(50)와 계단실(30)이 서로 벽면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건물 중간층에는 급기덕트(50)에서 계단실(30)로 연결되는 보조덕트(70)가 마련되고, 이 보조덕트(70)에 계단실(30)로의 에어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댐퍼(71)가 구비된 급기가압 제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단실(30)의 급기 과잉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이 계단실(30)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댐퍼(3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50)의 과잉 급기량을 외부로 배출시켜 부속실(10)과 계단실(30)의 급기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급기조절댐퍼(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장치.
KR1020070083944A 2007-08-21 2007-08-21 급기가압 제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44A KR100893205B1 (ko) 2007-08-21 2007-08-21 급기가압 제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944A KR100893205B1 (ko) 2007-08-21 2007-08-21 급기가압 제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481A KR20090019481A (ko) 2009-02-25
KR100893205B1 true KR100893205B1 (ko) 2009-04-16

Family

ID=4068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9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205B1 (ko) 2007-08-21 2007-08-21 급기가압 제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732B1 (ko) * 2010-06-25 2012-10-16 김동기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102404661B1 (ko) * 2020-09-11 2022-06-02 김용광 고층 건축물 계단실의 급기가압제연설비의 구조
KR102613188B1 (ko) * 2021-09-07 2023-12-13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KR102612594B1 (ko) * 2021-12-28 2023-12-12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221A (ja) 2001-07-09 2003-01-21 Taisei Corp 附室加圧排煙システム
JP2005040504A (ja) 2003-07-25 2005-02-17 Taisei Corp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200397886Y1 (ko) 2005-07-06 2005-10-10 (주)맨 텍 제연장치
KR200428408Y1 (ko) 2006-07-10 2006-10-16 원희섭 건축물 제연구역의 송풍라인 과압자동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221A (ja) 2001-07-09 2003-01-21 Taisei Corp 附室加圧排煙システム
JP2005040504A (ja) 2003-07-25 2005-02-17 Taisei Corp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200397886Y1 (ko) 2005-07-06 2005-10-10 (주)맨 텍 제연장치
KR200428408Y1 (ko) 2006-07-10 2006-10-16 원희섭 건축물 제연구역의 송풍라인 과압자동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481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894B1 (ko) 제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연방법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0893205B1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CA2739363A1 (en) High-rise building with a stairwell and an air supply shaft
KR100985894B1 (ko) 수직 통로 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수직통로에서의 연돌 효과 저감방법 및 장치
KR102248807B1 (ko)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JP2020010949A (ja) 加圧排煙システム
JP3567397B2 (ja) 排煙制御システム
KR20160131512A (ko)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KR20190070701A (ko) 제연 시스템
JP2000145176A (ja) 集合住宅建物
JP4117414B2 (ja) 高層建物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JP4055128B2 (ja) 加圧防煙システム
JP2000140141A (ja) 加圧防排煙設備における圧力調整機構
JP3390772B2 (ja) 非常用エレベーターの附室の加圧給気装置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JP3951699B2 (ja) 空調設備を利用した火災室の加圧排煙システム
JP2003185206A (ja) 火災室の加圧排煙システム
CN216409216U (zh) 加压送风系统及建筑
KR102602705B1 (ko) 복합모터의 복합댐퍼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204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40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