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153B1 - Blast Device - Google Patents
Blas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3153B1 KR100893153B1 KR1020080130895A KR20080130895A KR100893153B1 KR 100893153 B1 KR100893153 B1 KR 100893153B1 KR 1020080130895 A KR1020080130895 A KR 1020080130895A KR 20080130895 A KR20080130895 A KR 20080130895A KR 100893153 B1 KR100893153 B1 KR 1008931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material
- dust
- plate
- blast
- sepa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92—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by mechanical means, e.g. by screw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3—Removing abrasive powder out of the blast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와 설치면적이 감소되고 운반성과 집진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되, 일측에 연결되는 블라스트 호스를 통해 철강구조물을 블라스팅 작업하도록 수용되는 연소재를 분출하는 블라스트펌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되, 상측에 연결된 흡입호스를 통해 상기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상기 연소재가 진공장치에 의해 흡입되고 충돌 낙하되어 분진과 분리된 후 버킷엘리베이터의 하부에 적재되도록 배출시키는 오토덤프; 및 상기 블라스트펌프의 상측에 일체화된 케이스로 구비되되, 상기 버킷엘리베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연소재에서 재활용 가능한 크기를 갖는 연소재를 하측의 호퍼를 거쳐 상기 블라스트펌프로 공급되도록 선별분리하는 스크린선별기를 포함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유동홀로 연통되고 밀접하게 구획된 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분리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분리배출하는 필터부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라스트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that the number of parts and the installation area is reduced and the transportability and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remarkably improved, the blast ejecting the combustion material accommodated for blasting the steel structure through the blast hose connected to one side Pump;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that the combustion material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used in the blasting operation through the suction hos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is sucked by the vacuum device, collided and dropped to separate the dust and then loa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elevator Auto dump to discharge; And a screen selector provided as an integrated case on the upper side of the blast pump, and separating and separating the combustion material having a size recyclable from the combustion material supplied from the bucket elevator to the blast pump through a lower hopper. It provides a blasting apparatus comprising a separator having a separating portion, and a filter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space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ng portion and the flow hole and closely partitioned to suck and separate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screening sepa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키지 블라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선소 등에서 조선블록 등의 철강구조물의 도장작업 전 철강구조물의 표면에 고압의 공기와 함께 연소재를 분사하는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부품수와 설치면적이 감소되고 운반성과 집진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패키지 블라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e bla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device used in a blasting operation for injecting a combustion material with a high-pressure air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tructure before the painting operation of the steel structure such as shipbuilding block in the shipyard, par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e blasting apparatus which reduces the number and installation area, and significantly improves transportability and dust collect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사용되는 선발 블록과 같은 대형의 금속 구조물의 표면 도장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된 녹이나 오물, 이물질 등을 깨끗이 제거시키기 위해 블라스트장치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blasting apparatus is used to cleanly remove rust, dirt, foreign substances, etc. formed on the surface of a structure before performing a surface painting of a large metal structure such as a starter block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ship.
즉, 선박 건조과정 중 선체 표면에 대한 도장작업이 시행되기 이전에 선박 블록의 조인트 부와 같이 용접작업이 시행된 부위와 선체 표면에 대한 임시 방청을 위해 도포 된 shop primer의 표면에 발생된 오염물 및 녹 등의 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before the painting work on the hull surface during the ship construction process, the contaminant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welding primer applied for the temporary rust prevention on the surface of the hull surface and the welding work such as the joint part of the ship block and A blas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move this material such as rus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녹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라스트장치는 노즐을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스틸, 그릿 등의 연소재를 혼합하여 분사함으로써, 구조물 표면의 녹 등에 연소재가 부딪혀 제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lasting apparatus used to remove rust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method of injecting a high-pressure air through a nozzle to mix and spray a combustion material such as steel, grit, so that the combustion material is rusted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is made of a configuration that is knocked out.
더욱이, 상기 블라스트장치는 상기의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된 녹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연소재를 회수하여 재활용 가능한 연소재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Further, the blasting apparatus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recovering a combustion material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rust used in the blasting operation to separate and use the recyclable combustion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블라스트장치는 연소재를 고압으로 송출하는 블라스트펌프와 별도로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연소재를 회수하여 연소재와 분진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오토덤프와 분리된 상기 연소재를 재사용 가능한 크기만을 선별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세퍼레이터와 연결되어 선별된 상기 연소재의 녹, 분진 등의 이물질을 모으는 더스트컬렉터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blast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auto dump to separate the foreign materials such as the combustion material and dust by recovering the combustion material including the foreign material used in the blasting operation through a nozzl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last pump for sending the combustion material at high pressure. The main components include a separator that selects only the reusable size of the combusted material and a dust collector that collects foreign matters such as rust and dust of the combusted material selected and connected to the separator.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블라스트장치는 세퍼레이터를 제외한 기타 장치가 하측에 구비된 플레이트에 나열식으로 설치되어 비교적 큰 면적으로 설치면적에 제약을 받거나 화물차로 운반하는데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lasting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other devices except the separator are arranged in a row on a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are restricted from the installation area in a relatively large area, or are inconvenient to carry by a truck.
또한, 종래의 패키지 블라스트장치는 선별장치와 집진장치가 관체로 연결되어 선별장치에 발생하는 분진이 먼 거리를 이동함으로써, 분진제거가 원활하지 않아 재사용된 연소재에 분진이 많이 함유되어, 블라스팅 작업 후 구조물의 표면의 분진을 제거해야 하는 추가 공정이 수반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ckage blas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screening device and the dust collector by a tubular body, the dust generated in the screening device is moved a long distance, the dust removal is not smooth, containing a lot of dust in the reused combustion material, blasting operation There was a hassle that entailed an additional process that would later require removal of dust from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은 부품수와 설치면적이 감소되고 운반성과 집진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블라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sting apparatus in which the number of parts and the installation area are reduced and the transportability and dust collection efficiency are remarkably improved.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되, 일측에 연결되는 블라스트 호스를 통해 철강구조물을 블라스팅 작업하도록 수용되는 연소재를 분출하는 블라스트펌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되, 상측에 연결된 흡입호스를 통해 상기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상기 연소재가 진공장치에 의해 흡입되고 충돌 낙하되어 분진과 분리된 후 버킷엘리베이터의 하부에 적재되도록 배출시키는 오토덤프; 및 상기 블라스트펌프의 상측에 일체화된 케이스로 구비되되, 상기 버킷엘리베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연소재에서 재활용 가능한 크기를 갖는 연소재를 하측의 호퍼를 거쳐 상기 블라스트펌프로 공급되도록 선별분리하는 스크린선별기를 포함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유동홀로 연통되고 밀접하게 구획된 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분리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분리배출하는 필터부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라스트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last pump for ejecting the combustion material accommodated for blasting the steel structure through a blast hose connected to one side;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so that the combustion material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used in the blasting operation through the suction hos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is sucked by the vacuum device, collided and dropped to separate the dust and then loa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elevator Auto dump to discharge; And a screen selector provided as an integrated case on the upper side of the blast pump, and separating and separating the combustion material having a size recyclable from the combustion material supplied from the bucket elevator to the blast pump through a lower hopper. It provides a blasting apparatus comprising a separator having a separating portion, and a filter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space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ng portion and the flow hole and closely partitioned to suck and separate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screening separation.
여기서, 상기 필터부는 분리 낙하되는 상기 연소재 중의 분진이 공기의 유입홀에서 배출홀까지 송풍되어 유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에는 송풍경로 상에 분진발생을 돕는 분리플레이트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플레이트는 상기 분리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다른 각도로 하방 경사지고 중앙부에 통로홀을 형성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경사판 및 제2경사판과, 상기 제1경사판 및 제2경사판의 어느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로홀을 통해서 낙하되는 상기 연소재가 충돌되도록 배치되는 충돌판과, 상기 충돌판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충돌판에 임시 적재되는 상기 연소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스크린선별기는 유입구, 연소재배출구 및 이물질배출구가 형성되고 상이한 크기의 유입케이스와 분리배출케이스가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선별케이스와, 상기 선별케이스의 좌우 양단에 걸쳐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외면에 상이한 크기의 유입스크류와 분리배출스크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재를 상기 이물질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회전바와, 상기 분리배출스크류를 감싸며 상기 회전바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전면에 재활용 가능한 크기 이하의 상기 연소재를 선별하여 낙하시키는 분리홀이 형성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에는 상기 분리배출스크류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분리배출스크류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소재를 수용 및 배출을 반복하는 버킷부를 포함하는 버킷플레이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lter unit is disposed so that the dust in the combustion material to be separated and blown is blown into the discharge hole from the air inlet hole, the sepa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late for generating dust on the blowing path. . In addition, the separation plate is inclined downward at different angles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unit and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plate and a second inclined plate to form a passage hole in the central portion, either one of the first inclined plate and the second inclined plate. A collision pl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llision plate disposed to collide with the combustion material falling through the passage hole, and a control plat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end portion of the collision plate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material temporarily loaded on the collision pl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Furthermore, the screen selector is provided with a sorting case in which an inlet, a combustion ash outlet, and a foreign matter outlet are formed, and differently sized inlet cases and separate discharge cases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re rotated across left and right ends of the sorting case.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bar formed to move the combustion material flowing through the inlet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and the inlet screw and the separate discharge screw of a different size, and is provid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rotary bar surrounding the separation discharge screw.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comprises a screen formed with a separation hole for selecting and dropping the combustion material of the recyclable size or less on the front. And, the rotary bar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detached between the separation discharge screw, the base portion coupled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paration discharge screw,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se 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ucket plate further includes a bucket part for repeating the receiving and discharging of the combustion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through the above problem solving means.
첫째, 본 발명은 드럼식 형태의 일체화 케이스에 분리부와 필터부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일반적인 패키지 블라스트장치와 비교해 최소한의 설치면적과 함께 운반성이 용이해지며, 연결관설비가 생략되어 설비구축의 용이성과 설비구축에 따른 소요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되며, 선별과 집진이 최소 거리에서 진행되어 분진의 제거가 신속해져 분진제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art and the filter part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drum-type integrated case, so that the portability is easy to carry with a minimum installation area, and the connection pipe facility is omitted, compared to a general package blasting device. And the cost required to build the facility is reduced, and the screening and dust collection is carried out at a minimum distanc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st removal efficiency by the rapid removal of dust.
둘째, 경사판과 충돌판에 의해 호퍼 측으로 낙하되는 연소재를 가속시켜 충돌시키고 최소 거리에 설치된 송풍팬에 의해 흡입함으로써, 분진발생이 더욱 원활해지고, 신속하게 흡입배출하여 분진제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by accelerating and colliding the combustion material falling to the hopper side by the inclined plate and the collision plate and sucked by the blower fan installed in the minimum distance, the dust generation is more smooth, and the suction is discharged quickly and the dust removal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have.
셋째, 따라서, 분진이 최대한 제거된 순수한 연소재만을 투사하여 블라스팅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후 구조물 표면에 분진 등이 잔존하지 않아서 매우 청결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세척작업 등이 불필요하거나 기존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refore, the blasting is performed by projecting only pure combustible material from which dust is remov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re is no dus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after the work, so it is very clean, so additional cleaning work is unnecessary or the existing working time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It has an effect.
넷째, 본 발명은 버킷플레이트에 의해 회전바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연소재를 퍼담고 뿌리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분진발생을 최대화하여 분진제거를 더욱 원활하게 하며, 연소재의 이동성을 개선시키고, 볼트 등의 비교적 큰 이물질을 퍼담아 떨어뜨릴 경우에 상기 스크린에 낙하된 볼트 등의 이물질이 스크린을 진동시켜 스크린에 끼이는 먼지 등이 자동 탈거되므로 선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by repeating the process of embedding and sprinkling the combustion material while being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by the bucket plate, to maximize the generation of dust to more smoothly remove dust, improve the mobility of the combustion material, When a large foreign matter such as a bolt is dropped and dropped, foreign matters such as bolts dropped on the screen vibrate the screen, so that dust and the like stuck on the screen are automatically removed, thereby improving the sorting efficienc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트장치(100)는 120ton 가량의 연소재(abrasive)가 저장되고 연속투사장치(blast unit)에 의해 100ton 가량 연속적으로 투사할 수 있는 비교적 규모가 크고 무거운 중량을 가지고 있어 작업장의 상황에 맞추어 이동을 시켜 가면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플렉시블 관체에 조립되어 있는 분사노즐만을 들고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말한다.First, th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장치(100)는 블라스트펌프(110), 오토덤프(120), 진공장치(130), 버킷엘리베이터(140), 세퍼레이터(150) 및 호퍼(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상세히, 상기 블라스트장치(100)는 상기 블라스트펌프(110)의 탱크에 수용된 연소재를 블라스트호스(111)로 이송시켜 분사노즐로 조선블록 등의 철강구조물에 투사하여 제청작업을 행하며, 바닥에 떨어진 이물질이 포함된 연소재는 상기 진공장치(130)에 의해 흡입호스(121)로 회수하여 상기 오토덤프(120),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40) 및 상기 세퍼레이터(150)를 거쳐 상기 호퍼(160)에 저장되어 상기 블라스트펌프(110)에 자동공급함으로써, 연소재를 추가로 공급하지 않고 연속적인 블라스팅 작업이 가능하다.In detail, the
구체적으로, 상기 블라스트펌프(11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베이스플레이트(17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연 결되는 블라스트호스(111)를 통해 조선블록 등의 철강구조물을 블라스팅 작업하도록 수용되는 스틸그릿(steel grit)등의 연소재를 분출시킨다.Specifically, the
즉, 상기 블라스트펌프(110)는 상기 연소재가 저장되는 탱크와 에어콤프레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블라스트호스(111)로 이송되는 상기 연소재가 대형선박의 건조시 제작되는 조선블록 등의 철강구조물 표면에 블라스팅 작업되도록 고압으로 송출시킨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70)는 프레임 등으로 제작되고, 상기 블라스트펌프(110)와 후술하는 오토덤프(120), 버킷엘리베이터(140)가 그의 상측에 나열식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블라스트장치(100)의 운반이 편리하도록 한다.Here, the
또한, 상기 연소재는 스틸그릿 외에도 샌드, 스틸쇼트볼, 닉스(NIX), 컷 와이어(CUT WIRE)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material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steel grit, sand, steel shot ball, nicks (NIX), cut wire (CUT WIRE) and the like.
더욱이, 상기 연소재 분사방식의 블라스트장치(100)에 있어 상기 연소재를 공급하는 상기 블라스트펌프(110)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연소재를 이송시키는 블라스트호스(111)는 작업자의 작업 반경을 고려하여 충분히 긴 길이를 갖도록 여러 개의 블라스트호스(111)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각각의 블라스트호스(111)는 별도의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작업 시 고압의 연소재가 이송될 경우에도 연결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여 작업지연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70)의 상면 타측에는 오토덤프(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오토덤프(120)는 상측에 연결된 흡입호스(121)를 통해 상기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된 이물질을 포함한 상기 연소재가 흡입되고 충돌 된 후 자동 낙하되어 분진과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한 상기 연소재가 버킷엘리베이터(140)의 하부에 적재되도록 배출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흡입호스(121)는 상기 블라스팅 작업 후 바닥에 떨어진 철강구조물의 녹, 분진, 볼트 등의 이물질과 연소재가 이송되는 통로로 사용되며, 상기 오토덤프(120)의 상측에 연결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오토덤프(120)는 내부 상측에서 상기 흡입호스(121)의 단부로부터 토출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상기 연소재를 충돌에 의해 비산시켜 연소재와 분진을 분리한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오토덤프(120)는 상기 연소재를 상기 진공장치(130)에 의하여 진공으로 흡입하여 충돌시킨 후 자중에 의한 연소재의 하강과 분진의 흡입배출을 주기능으로 하는 것으로, 원통형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단 측벽에 수평으로 관통되어 고정된 연소재 흡입호스(121)와, 흡입호스(121)의 단부 전방에 수직으로 입설된 충돌플레이트(122)와, 내부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게 설치된 배출밸브(123)로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흡입호스(121)로부터 토출된 연소재에는 재사용이 가능한 연소재와 에어 블라스트에 의해 생성된 금속의 산화막 등의 각종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연소재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흡입호스(121)에 의해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충돌플레이트(122)에 부딪혀 비산되게 된다.Here, the combustion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또한, 이격되어 설치된 배출밸브(123)의 아래에는 연소재배출관(124)이 설치되어 있고, 대기는 3방향제어밸브(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압력관(미도시)으로 연 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combustion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오토덤프(120)에 의해 녹가루, 먼지 등의 분진이 상기 진공장치(130)로 흡입배출되며, 이물질을 포함한 연소재는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40)에 적재되도록 상기 연소재배출관(124)을 통해 상기 버킷엘리베이터의 하측 저장공간에 공급되도록 배출된다.Therefore, dust, such as rust, dust, and the like, is sucked and discharged into the
한편,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40)는 상기 오토덤프(1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소재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오토덤프(120)에서 배출되어 적재되는 연소재를 상기 블라스트펌프(11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세퍼레이터(150)에 공급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40) 장치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모터의 구동력을 전동체인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일방향으로 순환회전하도록 설치된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각 링크에 결합설치된 버킷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체인컨베이어를 따라 하부로 이동된 버켓에 상기 연소재가 퍼 담겨지고, 이와 같이 버킷에 퍼 담겨진 연소재는 상기 버킷이 구동 스프로킷이 있는 체인 컨베이어의 상단을 지나 다시 하방으로 진행되어 내려올 때 도립되어지는 버킷의 내부로부터 쏟아져 나와 상기 세퍼레이터(150)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한편, 상기 오토덤프(120)에 진공을 만들어 내부에 분진을 흡입하도록 상기 오토덤프(120)의 상면에 연통되게 결합된 진공연결관(131)으로 연결되는 진공장치(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진공장치(130)는 상기 오토덤프(120)의 내부에 발생하 는 분진을 신속히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by making a vacuum in the
여기서, 상기 진공장치(130)(vacuum recovery)는 자동차 생산 현장이나 대형 철공소, 중공업 플랜트, 혹은 조선소 등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비교적 크기가 작은 그릿이나 혹은 먼지, 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Here, the vacuum device 130 (vacuum recovery) is a device used in automobile production sites, large ironworks, heavy industry plants, shipyards, etc., refers to a device for treating foreign matter such as relatively small grit or dust, dust and the like. .
또한, 상기 진공장치(130)는 집진탱크(132)와, 그릿이나 먼지, 분진 등을 집진탱크(132) 내로 흡입시키는 송풍기(134)와, 송풍기(134)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사이클론(133)과, 상기 사이클론(133)과 상기 집진탱크(132)를 연결하는 분진이동관(136) 및 컨트롤패널(미도시)과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기(135) 등이 운반 가능하게 베이스(137)의 상면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오토덤프(120)의 내부 하측 밸브를 닫고 컨트롤패널을 조작하여 모터를 온(ON)시켜, 송풍기(134)를 가동시키게 되면, 상기 블라스팅 작업 장소의 바닥에 떨어진 이물질을 포함한 연소재가 상기 흡입호스(121)를 통해 상기 오토덤프(120)의 상측으로 운반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internal lower valve of the
한편, 상기 호퍼(160)는 후술하는 세퍼레이터(150)에서 낙하되는 재활용 가능한 연소재가 저장된 후 상기 블라스트펌프(110)의 탱크에 상기 연소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술한 블라스팅 작업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소재 분사 방식의 블라스트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연소재 분사방식의 블라스트장치(100)는 연소재 저장 호퍼(160)내에 존재하는 연소재가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한 후, 연소재 저장 호퍼(160) 하단에 위치한 연소재 투입량 조절 밸브의 조작에 따라 일정 비율로 압축공기와 혼합된 후, 기력수송 방식에 의해 연소재 분사노즐로 이송되어 조선블록 등의 철강구조물에 대한 제청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blast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uses a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라스트 펌프(110)의 상측에는 세퍼레이터(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세퍼레이터(150)는 일체화된 케이스로 구비되며, 상기 오토덤프(120)에서 배출된 상기 연소재를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4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연소재에서 재활용 가능한 크기를 갖는 연소재를 하측의 호퍼(160)를 거쳐 상기 블라스트펌프로 공급되도록 선별분리하는 스크린선별기를 포함하는 분리부(210)와, 상기 분리부(210)와 유동홀(151)로 연통되고 밀접하게 구획된 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분리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분리배출하는 필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the
즉, 상기 세퍼레이터(150)는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40)를 통해 공급된 상기 연소재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선별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는 상기 필터부(220)의 구성이 하나의 케이스에 포함된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분리부(210)는 원심력과 중력을 이용한 스크린 선별장치를 말하며, 상기 필터부(220)는 필터(221), 배출홀(222a), 송풍팬(222b), 모터(222c)를 갖는 배출부(222)로 구성되는 집진장치를 말한다.Here, the
또한, 상기 필터부(220)에는 펄스밸브(223)가 구비되어, 펄스밸브(223)에 에 어가 공급되면 펄스밸브의 내부의 다이아프램 밸브(미도시)가 열리고 닫히면서 에어가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어 필터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방식의 탈진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하여,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를 따로 설치할 때 필요한 연결관이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감소하므로 상기 블라스트장치(100)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상기 연결관이 차지하는 공간이 절약되어 설치면적이 감소하고, 비교적 작은 화물차로도 운반이 가능하게 되므로 운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since the connection pipe necessary for separately installing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트장치(110)는 드럼식 형태의 일체화 케이스에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일반적인 패키지 블라스트장치와 비교해 최소한의 설치면적과 함께 운반성이 용이해지며, 연결관설비가 생략되어 설비구축의 용이성과 설비구축에 따른 소요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되며, 선별과 집진이 최소 거리에서 진행되어 분진의 제거가 신속해져 분진제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the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150)는 별개의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가 상호간의 접촉면에 소통되는 유동홀(151)이 형성되고, 접촉면 외측을 용접하여 일체화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세퍼레이터(150)는 별개로 제작될 수 있는 상기 분리부(210)에 대응되는 기능을 갖는 선별장치와 상기 필터부(220)에 대응되는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의 각각의 접촉면에 유동홀(151)을 형성하고 결합되도록 용접함으로써, 간단히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유동홀(151)은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가 접촉되는 면에 그의 위치가 상호 일치되도록 천공하는데, 그의 방향, 개수, 면적, 모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즉, 상기 유동홀(151)은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가 접하는 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필터부(220)는 분리 낙하되는 상기 연소재 중의 분진이 공기의 유입홀(216)에서 배출홀(222a)까지 송풍되어 유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210)에는 송풍경로 상에 분진발생을 돕는 분리플레이트(2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20)에는 분리 낙하되는 상기 연소재의 분진을 상기 분리부(210)의 유입홀(216)에서 상기 필터부(220)의 배출홀(222a)까지 송풍시켜 분리하는 송풍팬(222b)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210)에는 송풍 경로 상에 분진발생을 돕는 분리플레이트(2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the
여기서, 상기 유입홀(216)과 상기 배출홀(222a)은 최단의 송풍경로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즉, 상기 세퍼레이터(150)는 상기 분리부(210)에서 회전에 의한 선별작업시, 낙하시 그리고 상기 분리플레이트(211)에 의한 충돌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필터부의 송풍팬(222b)의 작동에 따른 흡입력으로 상기 유입홀(216)에서 상기 유동홀(151)을 거쳐 상기 배출홀(222a)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흐름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필터(221)를 거쳐 분리되는 먼지는 하부에 적층되고, 맑은 공기는 상기 배출 홀(222a)를 통해서 배출되는 최소한의 거리를 이동하는 신속한 배출 구조를 갖는 것이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분리플레이트(211)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낙하되는 연소재와 충돌되어 상기 연소재에서 분진을 분리시키며, 이러한 분진을 상기 송풍팬(222b)이 작동되어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는 상호간에 밀착 배치됨으로써, 분진의 이동거리가 최소화 되므로, 분진제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부(222)가 상기 필터부(220)에 내장되어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더욱이, 상기 세퍼레이터(150)는 상기 분리부(210)의 일측에 상기 송풍팬(222b)이 구비되어 송풍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분리플레이트(211)는 상기 분리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에 다른 각도로 하방 경사지고 중앙부에 통로홀(212)을 형성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경사판(211a) 및 제2경사판(211b)과, 상기 제1경사판(211a) 및 제2경사판(211b)의 어느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로홀(212)을 통해서 낙하되는 상기 연소재가 충돌되도록 배치되는 충돌판(211d)과, 상기 충돌판(211d)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충돌판(211d)에 임시 적재되는 상기 연소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판(211e)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낙하되는 연소재는 상기 제1경사판(211a)과 제2경사판(211b)을 거쳐 상기 통로홀(212)을 통해서 낙하되고 상기 충돌판(211d)에 충돌되어 분진과 분리된 다. 이때, 상기 송풍팬에 의해 분리된 분진이 1차적으로 흡입배출된다. 이후, 상기 충돌판(211d)에 잠시 적재되는 상기 연소재는 상기 조절판(211e)의 높이를 넘기도록 쌓이게 되면 상기 조절판(211e)의 측부에 형성된 연소재배출구(213)을 통해서 하측의 상기 호퍼(160)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송풍팬(222b)에 의해 2차적으로 분진이 흡입배출된다.That is, the falling combustion material falls through the
이를 통하여, 상기 경사판(211a, 211b)과 상기 충돌판(211d)에 의해 상기 호퍼(160) 측으로 낙하되는 연소재를 가속시켜 충돌시키고 최소 거리에 설치된 송풍팬(222b)에 의해 흡입함으로써, 분진발생이 더욱 원활해지고, 신속하게 흡입배출하여 분진제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dust is generated by accelerating and colliding a combustion material falling toward th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판(215)을 상기 분리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통로홀(21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낙하되는 상기 연소재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호퍼(160)에 공급되는 연소재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the
한편,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선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reen sel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퍼레이터(150)의 분리부(210)는 유입구(214), 연소재배출구(213) 및 이물질배출구(215)가 형성되고 상이한 크기의 유입케이스(218a)와 분리배출케이스(218b)가 상호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선별케이스(218)와, 상기 선별케이스(218)의 좌우 양단에 걸쳐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외면에 상이한 크기의 유입스크류(217a)와 분리배출스크류(217b)가 상기 유입구(214)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재를 상기 이물질배출구(215)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회전바(217)와, 상기 분리배출스크류(217b)를 감싸며 상기 회전바(217)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전면에 재활용 가능한 크기 이하의 상기 연소재를 선별하여 낙하시키는 분리홀(219a)이 형성되는 스크린(2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the
즉, 상기 스크린선별기는 유입구(214)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연소재를 상기 유입스크류(217a)와 분리배출스크류(217b)를 통해 이동시키고 그물체(wire)나 원형 등의 형상을 타공한 판으로 구비되는 스크린(219)으로 상기 연소재의 크기에 따라 재활용가능한 연소재를 낙하시켜 선별할 수 있게한 장치로서, 상기 세퍼레이터(150)의 상기 분리부(210)에 구비되는데, 상기 스크린선별기를 상기 분리부(210)에 구비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선별기를 기타 집진장치와 결합시키거나, 일체화된 케이스에 상기 스크린선별기의 부품를 장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That is, the screen selector is moved to the combustion material flowing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회전바(217)는 모터(217c)에 체인(217d)으로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스크류(217a, 217b)는 상기 유입구(214) 측에서 상기 이물질배출구(215) 측으로 상기 연소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입구(214)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스크린(219)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리홀(219a)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등의 어떠한 형상도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기 분리홀(219a)은 상술한 재활용이 가능한 연소재의 크기가 조선블록의 블라스팅 작업의 경우에 지름이 6mm가 적절하므로, 그의 지름이 대략 6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따라서, 상기 스크린(219)을 통해 재활용 가능한 크기를 갖는 연소재와 상기 크기 이하의 연소재, 녹, 먼지 등이 낙하되고, 이 중에서 재활용 불가능한 크기의 연소재 및 녹, 먼지 등의 분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낙하되는 도중에 송풍구조에 의해 상기 필터부(220)로 흡입되어 배출된다.Therefore, a combustion material having a recyclable size and a combustion material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rust, dust, etc. are dropped through the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150)에서 상기 연소재가 분리되는 과정은 상기 버킷엘리베이터(140)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연소재는 상기 유입구(214)를 통해서 낙하 유입되고 모터(217c)와 체인(217d)에 의해 회전되는 유입스크류(217a), 분리배출스크류(217b)에 의해 상기 이물질배출구(215)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크린(219)을 통해 사용가능한 크기 이하의 연소재는 상기 분리부(210)의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고, 볼트 등의 크기가 큰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219)의 단부까지 이동하여 이물질배출구(215)를 통해 관체로 낙하되어 이물질수거함(미도시)에 수거되어 버려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ombustion material in the
이때,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의 동일한 위치에 천공된 상기 유동홀을 통해서 상술한 분리작업에서 발생하는 분진(예를 들어, 녹, 0.3mm 이하의연소재, 기타 먼지)이 상기 필터부(220)의 송풍팬(222b)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220) 측으로 흡입되고, 상기 필터부(220)에 구비된 필터(221)에 의해 걸려진 깨끗한 공기만이 상기 배출홀(222a)로 배출되고, 녹 등의 먼지는 하측에 저장된 후 버려진다.At this time, the dust generated in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operation through the flow hole drilled at the same position of the
여기서, 상기 필터부(220)의 하단부를 하방 호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먼지박스와 관체 등으로 연통되게 구비하여 상기 녹 등의 먼지가 낙하되어 자동적으로 먼지박스 등에 수집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먼지제거 작업이 배제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즉, 상기 분리부(210)의 내부는 상술한 연소재와 이물질의 분리작업시 상기 필터부(220)에 설치된 모터(222c)와 송풍팬(222b)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는 것이다.That is, the inside of the
따라서, 상기 분리부(210)와 상기 필터부(220)가 상호 밀착되어 상기 필터부(220)의 흡입효율이 향상되므로, 상기 분리부(210)의 선별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킷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bucket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217)에는 상기 분리배출스크류(217b)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분리배출스크류(217b)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베이스부(510)와, 상기 베이스부(5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217)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소재를 수용 및 배출을 반복하는 버킷부(520)를 포함하는 버킷플레이트(50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5 and 6, the
여기서, 상기 버킷플레이트(500)는 상기 회전바(217)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511)을 천공하고,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연소재의 유입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킷플레이트(500)의 착탈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또한, 상기 베이스부(510)는 상기 분리배출스크류(217b)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이동되는 연소재의 이동성을 보조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바(217)에 대략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버킷플레이트(500)는 상기 스크린(219)의 내부에 상기 분리배출스크류(217b)가 형성되면서 만들어진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버킷플레이트(500)는 상기 회전바(217)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바(217)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기 버킷부(520)는 상기 회전바(217)의 회전방향 측으로 형성된 수용홈(521)에 의해 원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소재를 퍼담거나 뿌릴 수 있는 수용 및 배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버킷플레이트(500)는 강판 등의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회전바(217)의 회전으로 상기 연소재를 수용 및 배출을 반복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버킷플레이트(500)는 상기 스크린(219)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연소재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분리부(210)의 회전바(217)에 버킷 형상의 버킷플레이트(500)가 더 구비됨으로써, 이동되는 상기 연소재의 이동이 개선되어 선별효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회전바(217)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소재를 퍼담아 뿌리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분진발생을 최대화하여 분진제거를 원활하게 하며, 볼트 등 의 비교적 큰 이물질을 퍼담아 낙하시킬 경우 상기 스크린(219)에 진동을 일으켜 스크린(219)에 끼이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탈거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cket-shaped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블라스트장치(100)는 분진이 최대한 제거된 순수한 연소재만을 투사하여 블라스팅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후 구조물 표면에 분진 등이 잔존하지 않아서 매우 청결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세척작업 등이 불필요하거나 기존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doing so,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장치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e carried out by a person having a modification, this modification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트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l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선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reen sel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킷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bucket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블라스트장치 110: 블라스트펌프100: blast device 110: blast pump
111: 블라스트호스 120: 오토덤프111: blast hose 120: autodump
121: 흡입호스 130: 진공장치121: suction hose 130: vacuum device
140: 버킷엘리베이터 150: 세퍼레이터140: bucket elevator 150: separator
160: 호퍼 170: 베이스플레이트160: hopper 170: base plate
210: 분리부 211: 분리플레이트210: separation unit 211: separation plate
213: 연소재배출구 214: 유입구213: combustion ash outlet 214: inlet
215: 이물질배출구 216:유입홀215: foreign substance outlet 216: inlet hole
217: 회전바 218: 케이스217: rotating bar 218: case
219: 스크린 220: 필터부219: screen 220: filter unit
221: 필터 222: 배출부221: filter 222: discharge part
222a: 배출홀 222b: 송풍팬222a:
500: 버킷플레이트 510: 베이스부500: bucket plate 510: base portion
520: 버킷부 521: 수용홈520: bucket portion 521: receiving groov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0895A KR100893153B1 (en) | 2008-12-22 | 2008-12-22 | Blas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0895A KR100893153B1 (en) | 2008-12-22 | 2008-12-22 | Blast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93153B1 true KR100893153B1 (en) | 2009-04-16 |
Family
ID=4075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08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153B1 (en) | 2008-12-22 | 2008-12-22 | Blas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315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6257A (en) * | 2017-10-13 | 2018-03-06 | 东莞市德亿塑胶机械有限公司 | Tunnel type rough selvedge processing machine |
KR101938852B1 (en) | 2018-01-09 | 2019-01-15 | (주)상진기공 | shot and air blast of separator |
CN111872860A (en) * | 2020-08-31 | 2020-11-03 | 成都蜀工机械制造有限公司 | Dust collector for shot blasting |
JP2023062489A (en) * | 2021-10-21 | 2023-05-08 | 株式会社マルテー大塚 | Multi-blast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6561U (en) | 1980-04-22 | 1981-11-21 | ||
US4984397A (en) | 1986-12-09 | 1991-01-15 | Ltc International B.V. | Abrasive blasting apparatus |
JP2001138241A (en) | 1999-11-08 | 2001-05-22 | Nissanki:Kk | Shot blasting device |
KR20060027393A (en) * | 2006-03-07 | 2006-03-27 | 비엔피엔지니어링(주) | Automatic ejector of packaged air blast unit |
-
2008
- 2008-12-22 KR KR1020080130895A patent/KR10089315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6561U (en) | 1980-04-22 | 1981-11-21 | ||
US4984397A (en) | 1986-12-09 | 1991-01-15 | Ltc International B.V. | Abrasive blasting apparatus |
JP2001138241A (en) | 1999-11-08 | 2001-05-22 | Nissanki:Kk | Shot blasting device |
KR20060027393A (en) * | 2006-03-07 | 2006-03-27 | 비엔피엔지니어링(주) | Automatic ejector of packaged air blast uni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56257A (en) * | 2017-10-13 | 2018-03-06 | 东莞市德亿塑胶机械有限公司 | Tunnel type rough selvedge processing machine |
CN107756257B (en) * | 2017-10-13 | 2024-05-24 | 东莞市德亿塑胶机械有限公司 | Tunnel type burr treatment machine |
KR101938852B1 (en) | 2018-01-09 | 2019-01-15 | (주)상진기공 | shot and air blast of separator |
CN111872860A (en) * | 2020-08-31 | 2020-11-03 | 成都蜀工机械制造有限公司 | Dust collector for shot blasting |
JP2023062489A (en) * | 2021-10-21 | 2023-05-08 | 株式会社マルテー大塚 | Multi-blas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48033B (en) | Aluminium plant electrolytic carbon residual anode surface pellet injecting and sandblast cleaning system | |
KR101928748B1 (en) | Shot Blast System with Continuance Belt Conveyor Type | |
KR100893153B1 (en) | Blast Device | |
CN201030515Y (en) | Shot blasting machine | |
KR101928700B1 (en) | Shot Blast System with Continuance Belt Conveyor Type | |
CN102001045B (en) | Crawler-type sand blasting cleaner | |
CN210678349U (en) | Steel construction through type shot-blasting machine | |
KR100789054B1 (en) | Eco-friendly Blast Device | |
KR101818490B1 (en) |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 |
CN201815959U (en) | Through type shot blast cleaning machine for bars | |
US4771579A (en) | Abrasive blast media recovery and cleaning for reuse | |
US896127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dular abrasive blasting and recovery system | |
JPH06296818A (en) | Dust collector | |
JP4562618B2 (en) | Empty can processing car | |
KR101887231B1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ulti filling ball | |
KR20120075900A (en) | Apparatus for removing body object matter of a ship | |
CN211992508U (en) | Sand blasting equipment for blasting sand on small parts | |
CN110846484B (en) | A kind of enhanced grinding equipment for processing bearing inner ring raceway | |
KR101052954B1 (en) | Paint Sculptur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 |
KR100829947B1 (en) | Fixing now removal device of electric dust collector | |
JP6509076B2 (en) | Blast equipment | |
KR101089388B1 (en) | Desorption device for dust collector filter equipped with blower | |
CN111021971B (en) | Pneumatic conveying and dust removal device for dry drilling coal dust in soft coal seams | |
CN114210561A (en) | Lift separation device | |
KR20140033742A (en) | Apparatus for removing body object matter of a sh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12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