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1972B1 - 액상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상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972B1
KR100891972B1 KR1020020053430A KR20020053430A KR100891972B1 KR 100891972 B1 KR100891972 B1 KR 100891972B1 KR 1020020053430 A KR1020020053430 A KR 1020020053430A KR 20020053430 A KR20020053430 A KR 20020053430A KR 100891972 B1 KR100891972 B1 KR 10089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oothpaste
liquid
sodium
weight
toothpas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851A (ko
Inventor
이훈상
안재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5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9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9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을 포함하여 저점도 액상치약의 보형성 및 분산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된 액상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상치약, 카제인 나트륨, 보형성, 분산안정성

Description

액상치약 조성물 {LIQUID TOOTHPAS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상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점도 액상치약의 보형성 및 분산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된 액상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상치약은 보형성(保型性) 및 유동성이 낮아 이를 균형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상기 보형성이 낮으면 깨끗하면서, 작고 유연한 플라스틱 병으로부터 분배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 액상치약의 보형성이 너무 강할 경우 유동성이 없는 치약 제재가 되며, 반면 보형성이 너무 약할 경우 물과 같이 흐르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액상치약의 보정성 및 유동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7004081호는 물과 습윤제의 비율로 액체 치아 세정겔이 낮은 온도에서 투명하며 지나치게 액체성이지 않고, 칫솔에 적용하였을 때 칫솔로 너무 빨리 또는 너무 깊게 가라않지 않는 액체 치아 세정겔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보형성 및 유동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형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액상치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보형성 및 유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분산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액상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액상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형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액상치약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액상치약에 종래 식품첨가물로 사용하고 있는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을 첨가한 결과, 저점도(10,000~100,000 cps) 액상치약의 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분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제인 나트륨은 아이스크림의 기포를 없애주는 역할을 하고,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는 분말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 중 분말크림류의 보호교질제로 사용하며, 소시지 제조시의 보수성 유지제, 도넛츠, 빵, 또는 비스킷의 보형성 유지, 청주를 만들 때의 청정제, 포도주를 제조할 때의 탈타닌의 목적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하며, 특히 건강보조식품이나 의약품 제조시에는 고단백식품 및 저나트륨식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액상치약 조성물에는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 치약성분 중 연마제 성분과 결합하여 미세한 셀을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보형성, 유동성, 및 분산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카제인 나트륨은 액상치약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며,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형성, 유동성, 및 분산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액상치약의 기본 물성인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액상치약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통상 사용하는 연마제, 습윤제, 약효제, 결합제, 기포제, 향료, 감미제, 색소제 등을 적당량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 메타인산염,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또는 지르코늄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연마제는 액상치약 조성물에 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제는 액상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베이스 성분으로 치약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다라 양치시 감미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습윤제로는 농글리세린(98%), 글리세린(85%), 솔비톨 수용액(70%), 비결정성 솔비톨 수용액(70%),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액상치약 조성물에 20 내지 7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액상치약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및 고화정도가 심하며, 7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치약 표면의 윤기가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약효제는 불화나트륨, 불화인산나트륨, 불화아민, 또는 불화주석 등의 수용성 불화물;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또는 산성피로인산나트륨; 양이온 계면활성제; 효소류; 염화나트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수용성 염, 아미노산카프론산, 알란토인, 또는 알란토인 유도체; 또는 비타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효제는 액상치약 조성물에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성분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용성 불화물은 치아 에나멜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치환반응하여 불화아파타이트를 형성하여 치아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이로부터 충치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및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은 치석 형성 억제에 효과적이며,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구강내 세균 살균에 효과적이고, 상기 효소류는 프라그 억제 및 제거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수용성염은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알란토인 유도체, 및 비타민류는 지혈작용을 한다.
상기 결합제는 고체인 분말 성분과 액체성분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제는 수용성 고분자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나무의 셀룰로오즈로부터 합성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나트륨, 해초류로부터 추출된 카라기난류, 또는 미생물의 대사로부터 얻어지는 잔탄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액상치약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분말 성분과 액체 성분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포제는 제품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세정작용을 도와주며, 기타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구강내 이물질이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기포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는 액상치약 조성물에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치아로부터 구강내 이물질을 박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향료, 감미제, 및 색소제는 치약의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적당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는 먹을 수 있는 식용 향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그 예로는 페파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세이지, 유칼립톨, 메틸살리시레이트, 또는 과일 추출물 등이 있다. 상기 감미제로는 삭카린나트륨이 주로 사용되며, 색소제로는 주로 식용 색소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치약 조성물은 성기 성분들 외에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혼합기에 글리세린 21 중량%, 솔비톨 45.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3 중량%, 잔탄껌 0.45 중량%, 삭카린나트륨 0.17 중량%, 안식향상 나트륨 0.10 중량%, 실리카 16 중량%,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7 중량%, 불화나트륨 0.22 중량%, Tween 60 0.6 중량%, Vit-B6 0.03 중량%, 향미제 1.0 중량%, 카제인 나트륨 0.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투입한 후, 진공상태에서 혼합하여 액상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의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액상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글리세린 21.00 21.00 21.00 21.00 21.00 23.9
솔비톨 45.50 45.50 45.50 45.50 45.50 33.6
폴리에틸렌글리콜 3.00 3.00 3.00 3.00 3.00 3.80
잔탄껌 0.45 0.45 0.40 0.38 0.45 0.20
삭카린나트륨 0.17 0.17 0.17 0.17 0.17 0.25
안식향상나트륨 0.10 0.10 0.10 0.10 0.10 -
실리카 16.00 16.00 16.00 16.00 16.00 12.1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70 1.70 1.70 1.70 1.70 0.5
Tego betain F50 - - - - - 0.72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
Na2Po3F - - - - - 1.10
Tween 60 0.60 0.60 0.60 0.60 0.60 -
Vit-B6 0.03 0.03 0.03 0.03 0.03 -
향미제 1.0 1.0 1.0 1.0 1.0 0.8
카제인 나트륨 0.10 0.30 5.00 7.00 - -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액상치약의 점도, 보형성, 유동성, 및 분산안정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ㄱ) 보형성 - 투명하고 깨끗하면서, 작고 유연한 플라스틱 병의 압출구(직경: 1.87 ㎜)부터 칫솔 위로 압출하였을 때, 칫솔 위의 형태 정도에 따라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관능검사는 남자 17명, 여자 13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 2 3 4 5
매우 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 좋음
ㄴ) 유동성 - 투명하면서 깨끗하고, 작고 유연한 플라스틱 병을 45 °각도로 눕혔을 때의 부드럽게 흐르는 상태를 유동성이 가장 좋은 상태로 하고, 전혀 흐르 지 않는 상태를 유동성이 없는 상태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
1 2 3 4 5
매우 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 좋음
ㄷ) 분산안정성 - 60 ℃의 경시 4 주 후에 저점도 액상치약의 액분리 유무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
액분리 약간의 액분리 양호 매우 양호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점도(25℃, 1,000 cps) 12 12 14 15 11 13
보형성 3.7 4.0 4.2 4.3 2.8 3.0
유동성 4.0 3.8 3.5 2.8 3.7 3.4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60℃ 경시 4 주후 점도 (25℃, 1,000 cps) 14 14 18 20 13 18
60℃ 경시 4 주후 보형성 3.6 3.9 4.1 4.3 3.0 3.3
60℃ 경시 4 주후 유동성 3.8 3.7 3.4 3.0 3.2 3.1
60℃ 경시 4 주후 분산안정성 ×
상기 표 5, 및 표 6을 통하여, 저점도 액상치약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카제인 나트륨을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액상치약이 카제인 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 내지 3의 액상치약과 비교하여 보형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을 통하여 카제인 나트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보형성은 좋아지나, 액상치약의 유동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0 ℃ 4 주 경시 후의 분산안정성에 있어서도 카제인 나트륨을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3의 액상치약이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액상치약 조성물은 저점도(10,000~100,000 cps) 액상치약의 보형성 및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분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액상 치약에 있어서,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 0.1 내지 5 중량% 및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 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연마제 1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10,000 내지 100,000 cps의 점도를 갖는 액상치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치약은 습윤제, 약효제, 결합제, 기포제, 향료, 감미제, 및 색소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액상치약.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가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및 지르코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액상치약.
KR1020020053430A 2002-09-05 2002-09-05 액상치약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89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30A KR100891972B1 (ko) 2002-09-05 2002-09-05 액상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30A KR100891972B1 (ko) 2002-09-05 2002-09-05 액상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51A KR20040021851A (ko) 2004-03-11
KR100891972B1 true KR100891972B1 (ko) 2009-04-08

Family

ID=3732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4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1972B1 (ko) 2002-09-05 2002-09-05 액상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14B1 (ko) * 2008-01-02 2015-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상 치약 조성물
KR200453712Y1 (ko) * 2010-09-20 2011-05-23 박순남 충격완화용 가드레일
CN103211716B (zh) * 2013-04-17 2015-04-15 柳州杨生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具有表面活性性能蛋白质作为清洁洗涤成分制造牙膏的方法
SG10201805232UA (en) 2013-06-18 2018-08-3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Oral composi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2317A (ja) * 1983-02-18 1984-08-31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EP0073210B1 (en) * 1981-03-04 1991-12-04 The University Of Melbourne Caries inhibition
US5130123A (en) * 1981-03-04 1992-07-14 The University Of Melbourne Dentifrice
KR950000135A (ko) * 1993-06-04 1995-01-03 최근선 미세캅셀화된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KR960000199A (ko) * 1994-06-29 1996-01-25 최무섭 투명 액상치약조성물
KR970014753A (ko) * 1995-09-19 1997-04-28 성재갑 액상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3210B1 (en) * 1981-03-04 1991-12-04 The University Of Melbourne Caries inhibition
US5130123A (en) * 1981-03-04 1992-07-14 The University Of Melbourne Dentifrice
JPS59152317A (ja) * 1983-02-18 1984-08-31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KR950000135A (ko) * 1993-06-04 1995-01-03 최근선 미세캅셀화된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KR960000199A (ko) * 1994-06-29 1996-01-25 최무섭 투명 액상치약조성물
KR970014753A (ko) * 1995-09-19 1997-04-28 성재갑 액상치약 조성물
KR100450372B1 (ko) * 1995-09-19 2006-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상치약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51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0530A (en) Oral care composition coated gum
US10933003B2 (en) Oral composition
CN113631143B (zh) 牙膏组合物
JP5233399B2 (ja) 口腔スプレー用組成物及び口腔用製剤
JP5527219B2 (ja) 練歯磨組成物
US6022528A (en) Oral compositions
KR100891972B1 (ko) 액상치약 조성물
KR20050114537A (ko) 알킬실란을 코팅처리한 탄산칼슘 및 인산일수소칼슘을연마제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898448B1 (ko) 액체 또는 액상의 구강용 조성물 및 설태 부착 억제제
WO2022102628A1 (ja) 口腔用組成物
KR100564231B1 (ko) 소프트 비드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900006826B1 (ko) 구강 위생 증진용 치약 조성물
JPH10236934A (ja) 口腔用組成物
KR102582065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502250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704685B1 (ko)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KR102207880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JP2020521792A (ja)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KR20070081613A (ko) 자몽 종자 추출물만을 방부제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AU2016426987B2 (en) Oral care composition having enhanced appearance and form
WO2022071593A1 (ja) 歯磨剤組成物
KR101507414B1 (ko) 액상 치약 조성물
KR20200027490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20190048099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20180131174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9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