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380B1 - Board Bonding Device - Google Patents
Board Bond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0380B1 KR100890380B1 KR1020070126997A KR20070126997A KR100890380B1 KR 100890380 B1 KR100890380 B1 KR 100890380B1 KR 1020070126997 A KR1020070126997 A KR 1020070126997A KR 20070126997 A KR20070126997 A KR 20070126997A KR 100890380 B1 KR100890380 B1 KR 100890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substrate
- cover
- alignment
- side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61—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the process chamb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는 제1 덮개, 제1 덮개로부터 돌출되는 제1 측벽을 구비하는 제1 챔버;상기 제1 챔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챔버의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제1 정반;상기 제1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덮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챔버와 함께 합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챔버;상기 합착공간에서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이격되는 제2 정반;상기 합착공간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측벽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측벽을 이동시켜, 상기 제2 기판에 대한 상기 제1 기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및 상기 제1 챔버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 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함으로써, 합착공간의 진공배기에 따른 챔버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두 기판 간 정렬상태를 유지하여 합착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두 기판 간 재정렬에 따라 소비되는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hamber having a first cover, a first side wall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chamber A first surface plate supporting a first substrate, the first plate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first cha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ver;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ver with the first side wall interposed therebetween, A second chamber configured to form a bonding space with the second substrate; supporting the second substrate in the bonding sp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hamber; disposed outside the bonding space to support the first sidewall; An alignment unit for moving the first sidewall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first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bstrate; and an elevating unit supporting the first chamber and elevating the first chamber toward the second chamber side. By providing;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chamber in accordance with the between the vacuum exhaust, it may proceed with the cementation process to maintain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substrate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ocess time to be consumed in accordance with the rearranged between two substrat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기판을 합착하는 기판합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for bonding two substrates.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되어 왔다. 이에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그 일부는 이미 실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information society has developed,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has increased in various forms. Recently,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an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have been studied, and some of them are already widely used in real life.
그 중 LCD의 경우에는 CRT(Cathode Ray Tube)에 비하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특징에 따른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장치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LCDs are being used for mobile image display devices because of their excellent image quality compared to CRT (Cathode Ray Tube) and the advantages of light weight, thinness, and low power consumption.
이러한, LCD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과 형광체가 도포된 CF(Color filter) 기판 사이에 액정(Liquid Crystal)을 주입하여 형 성된다. 두 기판의 외주면에는 액정 물질을 누출을 막기 위한 봉인재(Sealer)가 구비되며, 두 기판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두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재(Spacer)가 배치된다.The LCD is formed by injecting a liquid crystal between a TFT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on which an electrode is formed and a CF (Color filter) substrate coated with phosphors. Sealer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wo substrates to prevent leakage of the liquid crystal material, and a spacer is dispos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two substrat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일반적으로 기판합착공정은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제2 챔버와 제1 챔버로 구성되는 기판합착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며, 이러한 기판합착장치에 대한 선행한 기술은 (주)후지쯔에 의하여 출원된 국제공개번호 "WO 2004/097509", "접합기판제조장치", (주)신에츠 엔지니어링에 의하여 출원된 국제공개번호 "WO 2003/091970", "플랫 패널용 기판의 접합 장치"등에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the substrate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by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chamber and a first chamber capable of forming an interior in a vacuum state, and the prior art for such substrate bonding apparatus is applied by Fujitsu Co., Ltd.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4/097509", "Joint Substrate Manufacturing Apparatus",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3/091970" filed by Shin-Etsu Engineering Co., Ltd. .
이러한 기판합착장치는 기판의 합착 시 진공 분위기로 조성하여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여러 주요 요소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들 중 하나의 주요 요소로 기판의 간격을 유지하고, 두 기판의 정렬이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합착을 하는 것이 있다.Such substrate bonding apparatuses are most often processed in a vacuum atmosphere when the substrates are bonded, and are affected by various main factors. One main element of these is to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substrates and to keep the alignment of the two substrates together to bond them together.
이러한 공정은 두 기판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여러 차례의 정렬을 실시하는 것이 선행되며, 이후 두 기판의 간격이 미세하게 정렬되도록 정반을 이동시켜 합착을 실시하게 된다.This process is preceded by a plurality of alignments to maintain a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two substrates, and then by moving the surface plate to finely align the spacing of the two substrates to perform the bonding.
종래의 합착장치는 정렬 후 합착을 위해 두 기판을 미세근접 시킬 경우, 정반에 유동이 발생함에 따라 어느 한 기판이 틀어져 정렬도가 저하되어 불량 패널이 제작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bonding apparatus, when two substrates are micro-adjacent for bonding after alignment, any one substrate is twisted due to flow on the surface plate, resulting in poor alignment due to poor alignment.
또한, 종래의 기판합착장치는 합착공간의 진공배기에 따른 챔버의 변형으로 인한 두 기판 간 정렬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최근 기판의 대면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ubstrate bond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substrates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chamber due to the vacuum exhaust of the bonding space is misaligned. This problem is getting worse as the size of the substrate increases.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합착공간의 진공배기 시, 두 기판의 정렬을 유지되도록 한 기판합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wo substrates during vacuum exhaust of the bond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는 제1 덮개, 제1 덮개로부터 돌출되는 제1 측벽을 구비하는 제1 챔버;상기 제1 챔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챔버의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제1 정반;상기 제1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덮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챔버와 함께 합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챔버;상기 합착공간에서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이격되는 제2 정반;상기 합착공간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측벽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측벽을 이동시켜, 상기 제2 기판에 대한 상기 제1 기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정렬부;및 상기 제1 챔버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 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한다.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mber having a first cover, a first side wall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disposed inside the first chamber to support the first substrate, the first A first surface plate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ver; a second chamber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ver with the first side wall therebetween, and forming a bonding space together with the first chamber; A second surface plate supporting the second substrate in the bonding sp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hamber; disposed outside the bonding space, supporting the first sidewall, and moving the first sidewall, And an alignment unit for aligning a position of the first substrate with respect to a second substrate; and an elevation unit supporting the first chamber and elevating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side.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덮개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1 측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기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idewall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over, and the first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erme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first sidewall.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챔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기밀부재를 더 구비 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erme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chamber.
상기 제2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챔버가 고정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rame disposed outside the second chamber, the second chamber is fixed.
상기 제2 챔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정반에 고정되는 정반지지축을 더 구비할 수 있다.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hamber, and one side may be fix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side may further include a surface support shaft fixed through the through hole to the second surface plate.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정반지지축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rface support shaft.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2 덮개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A third hermetic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rame and the second cover.
상기 제2 챔버는 제2 덮개와, 제2 덮개로부터 상기 제1 챔버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정반은 상기 제2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덮개와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may include a second cover and a second sidewall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ver toward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surface plate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idewall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ver. .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간 평행도 및 정렬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parallelism and an alignment posi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상기 정렬부는, 상기 합착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제1 측벽을 지지하는 지지핀;상기 지지핀이 결합되는 스크류;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핀을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왕복시키는 회전모터;및 상기 스크류와 이격되어 상기 스크류와 나란한 축방향을 가지며, 상기 지지핀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핀의 왕복을 가이드하는 왕복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The alignment unit, a support pin for supporting the first side wall at the outside of the bonding space; a screw coupled to the support pin; a rotat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to reciprocate the support pi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And And a reciprocating rail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w and has an axial direction parallel to the screw, supports the support pin and guides the reciprocation of the support pin.
상기 정렬부는, 일측면에 상기 스크류, 상기 회전모터 및 상기 왕복레일이 설치되며, 타측면에 교차레일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및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교차레일홈이 맞물려 상기 베이스가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과 교차되는 축방향으로 왕복되도록 하는 교차레일;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alignment unit, the screw, the rotating motor and the reciprocating rail is installed on one side, the base on which the cross rail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axial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the cross rail And a cross rail for engaging the groove to reciprocate in the axi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상기 정렬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정렬부는,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이 상기 제1 기판의 반입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정렬부와, 상기 스크류의 축방향이 상기 제1 기판의 반입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정렬부로 구분될 수 있다.The alignment portion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alignment portions may include a first alignment portion in which an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is disposed in a carrying direction of the first substrate, and an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intersects with a carrying direction of the first substrate.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alignment portion disposed in the direction.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정렬부를 지지하는 승강판;상기 승강판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챔버 측으로 승강되는 신축실린더;및 상기 신축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펌프;을 구비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 lifting plate suppor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alignment unit; a lifting cylinder supporting the lifting plate and lifting up and down toward the second chamber; and a pump provided to drive the expansion cylinder. have.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승강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부에 의한 상기 제1 측벽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덮개의 이동을 구름지지하는 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A roller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lifting plate, and supports a movement of the first cover as the first side wall moves by the alignment unit.
상기 제1 정반과 상기 제2 정반은, 상기 제1 척과 상기 제2 척의 평편도를 조절하는 평편도 조절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plate and the second surfac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flatness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flatness of the first chuck and the second chuck.
본 발명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는 합착공간의 진공배기 시, 두 기판 간 정렬상태를 유지하여 합착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두 기판 간 재정렬에 따라 소비되 는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cuum exhaust of the bonding space, the bon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substrat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process time consumed according to the rearrangement between the two substrat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는 두 기판 간 정렬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합착공정이 진행되므로, 양질의 합착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bonding process proceeds in a state in which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substrates is maintain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 high-quality bonding pane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 중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기판합착장치(100)는 제1 챔버(110), 제2 챔버(120), 승강부(130), 감지부(140), 정렬부(160) 및 프레임(170)을 구비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2, the
제1 챔버(110)와 제2 챔버(120)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합착공간(101)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챔버(110)는 하부챔버이며, 제2 챔버(120)는 상부챔버일 수 있다. 제1 챔버(110)는 승강부(130)에 의해 제2 챔버(120) 측으로 승강되도록 구비된다. 승강부(130)는 제1 챔버(110)를 제2 챔버(120) 측방향(이하, 'z축방향'이라 함.)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합착공간(101)을 밀폐시킨다.The
제1 챔버(110)는 제1 덮개(110a)와, 제1 덮개(110a)로부터 돌출되는 제1 측벽(110b)을 구비한다. 제1 챔버(110)는 내측에 제1 기판(1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정반(111)을 구비한다. 이때, 제1 정반(111)은 제1 측벽(110b)에 고정되며, 제1 덮개(110a)로부터 이격된다.The
제1 측벽(110b)은 제1 덮개(110a)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챔버(110)는 제1 덮개(110a)와 제1 측벽(11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링(O-ring)과 같은 제1 기밀부재(113)를 더 구비한다. 제1 기밀부재(113)는 제1 측벽(110b)이 제1 덮개(110a)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합착공간(101)의 기밀을 유지시킨다.The
여기서,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제1 덮개(110a)와 제1 측벽(110b)이 분리되고, 제1 덮개(110a)와 제1 측벽(110b) 사이에 제1 기밀부재(103)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 덮개(110a)와 제1 측벽(110b)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1 and 2, the
한편, 기판합착장치는 제1 챔버(110)와 제2 챔버(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링과 같은 제2 기밀부재(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기밀부재(103)는 제1 챔버(110)의 상승시, 제1 챔버(110)와 제2 챔버(120)가 각각 접촉되어, 합착공간(101)이 밀폐되도록 한다. 또한, 제2 기밀부재(102)는 합착공간(101)의 진공배기시, 합착공간(101)의 기밀을 유지시킨다.Meanwhile,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제2 챔버(120)는 제2 덮개(120a)와, 제2 덮개(120a)로부터 제1 챔버(110)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측벽(120b)을 구비한다. 제2 챔버(120)는 내측에 제2 기판(2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정반(121)을 구비한다. The
프레임(170)은 제2 챔버(120)의 외부에 배치되며, 승강되는 제1 챔버(110)에 대해 제2 챔버(120)가 고정위치를 갖도록 제2 챔버(120)가 결합된다. The
이때, 기판합착장치(100)는 일측이 프레임(170)에 결합되며, 타측이 제2 챔 버(120)를 관통하는 정반지지축(151)을 더 구비한다. 정반지지축(151)은 제2 정반(121)이 제2 챔버(120)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정반(121)을 지지한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제2 챔버(120)에는 정반지지축(151)이 관통되는 관통홀(151a)이 형성된다. 관통홀(151a)은 직경이 정반지지축(151)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합착공간(101)의 진공배기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제2 챔버(120)의 변형으로부터 제2 정반(121)의 지지상태를 유지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정렬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hrough-
기판합착장치(100)는 제2 챔버(120)와 프레임(17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밀부재(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기밀부재(153)는, 관통홀(151a)의 직경이 정반지지축(1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151a)과 정반지지축(151) 간 틈새로부터 합착공간(101)의 기밀을 유지시킨다.The
제3 기밀부재(15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정반지지축(151)과 각각 동축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제3 기밀부재(153)는 하나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정반지지축(151)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기밀부재(153)는 벨로우즈(bellows)로 채택될 수 있다.The third
여기서, 상술된 설명에서는 제2 정반(121)이 정반지지축(151)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챔버(120)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2 정반(121)은 제2 측벽(120b)에 고정될 수 있다. Her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합착장치(100a)는 제2 정반(121)이 제2 측벽(120b)에 고정되 며, 제2 정반(121)은 제2 덮개(120a)로부터 이격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n the
이에 따라, 상술된 기판합착장치(100)의 정반지지축(151), 관통홀(151a) 및 제3 기밀부재(153)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정반지지축(151)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170)이 생략되므로, 장비의 규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이는, 제2 정반(121)을 제2 덮개(120a)로부터 이격 지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술된 기판합착장치(100)와 그 구성과 작용은 서로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This i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정반(111)과 제2 정반(121)은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각각 부착시키기 위한 제1 척(111b), 제1 척 고정판(111a), 제2 척(121b) 및 제2 척 고정판(12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척(111b)과 제2 척(121b)은 정전척(ESC;Electrostatic Chuck), 진공 흡착척, 점착척 중 어느 하나로 채택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이때, 제1 정반(111)과 제1 척 고정판(111a)의 사이, 제2 정반(121)과 제2 척 고정판(121a)의 사이에는 평편도조절유닛(105)이 구비될 수 있다. 평편도조절유닛(105)은 제1, 2 정반(111, 121)에 대한 제1, 2 척 고정판(111a, 121a)의 평편도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제1, 2 기판(10, 20)의 평편도를 조절한다. In this case, a
한편, 제1 기판(10)에는 복수 개의 정렬마크(11)가 구비되고, 제2 기판(20)에는 제1 기판(10)의 정렬마크(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홀(21)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감지부(140)는 제1 기판(10)의 정렬마크(11)와 제2 기판(20)의 정렬홀(21)을 이용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정렬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감지부(140)는 정렬마크(11)를 촬영하는 카메라(141)와, 카메라(141)가 정렬마크(11)를 촬영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1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41)와 조명장치(143)는 정렬마크(11)와 정렬홈(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제2 챔버(120)에는 제2 챔버(120) 및 제2 정반(121)을 관통하고, 제2 정반(121)에 의해 지지되는 제2 기판(20)의 정렬홀(21)과 연통되는 촬영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110)에는 제1 챔버(110) 및 제1 정반(111)을 관통하며, 제1 정반(111)에 지지되는 제1 기판(10)의 정렬마크(11)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홀(14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촬영홀(141a)과 조명홀(143a)은 카메라(141)와 조명장치(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러한, 감지부(140)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평행도, 제2 기판(20)과 제2 기판(20)의 위치정렬 여부를 측정한다. The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평행도는 각 카메라(141)로부터 촬영되는 정렬마크(11)의 선명도, 또는 정렬마크(11)를 촬영하는 각 카메라(141)의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The parallelism of the
또한, 제2 기판(20)과 제2 기판(20)의 위치정렬 여부는 제1 정반(111)에 지지되는 제1 기판(10)의 정렬마크(11)가, 제2 정반(121)에 지지되는 제2 기판(20)의 정렬홀(21)의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촬영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술된 설명에서는 각 카메라(141)로부터 촬영되는 정렬마크(11)의 선명도, 또는 카메라(141)의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평행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 예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간격을 감지할 수 있는 간격감지센서(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평행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간격감지센서(미도시)로는 비접촉센서인 광센서, 초음파센서, 자기센서 중 어느 하나로 채택될 수 있다.Her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arallelism of the
한편, 승강부(130)는 제1 챔버(110)와 정렬부(160)을 지지하는 승강판(135)과, 승강판(135)을 지지하며 승강되는 신축실린더(131)와, 신축실린더(131)에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133)를 구비한다. 신축실린더(131)는 유압실린더로 채택될 수 있으며, 펌프(133)는 유압펌프모터로 채택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vating
신축실린더(131) 및 펌프(133)는 감지부(140)에 의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평행도 측정결과에 따라,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신축실린더(131) 및 펌프(133)는 승강판(135)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다. 복수 개의 신축실린더(131) 및 펌프(133)는 승강판(135)의 각 테두리부를 개별 승강시킬 수 있다.The
한편, 정렬부(160)는 감지부(140)에 의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위치정렬 여부에 따라,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정렬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정렬부(160)는합착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측벽(110b)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Meanwhil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의 정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렬부(160)는 합착공간(101)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측벽(110b)을 지지하는 지지핀(161)을 구비한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alignment portion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또한, 정렬부(160)는 제1 기판(10)의 반입방향(이하, 'x축방향'이라 함.) 또는, 제1 기판(10)의 반입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하, 'y축방향'이라 함.)으로 마련되는 왕복레일(163a)과, 왕복레일(163a)과 이격되며 왕복레일(163a)과 나란한 축방향을 가지는 스크류(163b)와, 스크류(163b)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3c)를 구비한다. 이러한, 왕복레일(163a), 스크류(163b) 및 구동모터(163c)는 지지핀(161)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왕복시킨다. In addition, the
왕복레일(163a)은 구동모터(163c) 및 스크류(163b)에 의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왕복되는 지지핀(161)의 왕복을 가이드 하며, 구동모터(163c) 및 스크류(163b)의 구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진동으로부터 지지핀(161)이 안정적으로 왕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왕복레일(163a)는 스크류(163b)와 함께, 제1 측벽(110b)의 하중으로부터 지지핀(161)을 지지한다.The
지지핀(161)은 스크류(163b)가 회전됨에 따라,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왕복되도록 스크류(163b)에 나사 결합된다. 즉, 지지핀(161)은 일측부에 왕복레일(163a)이 결합되는 왕복레일홈(161a)과, 스크류(163b)에 나사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체결공(161b)이 형성되어, 스크류(163b)의 회전에 따라 왕복된다. The
여기서, 상술된 설명에서는 지지핀(161)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왕복레일(163a), 스크류(163b) 및 구동모터(163c)를 구비하는 엘엠가이드의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지지핀(161)을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며, 지지핀(161)이 제1 측벽(110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왕복시킬 수 있는, 모든 선형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Here, in the above description, as a means for linearly moving the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부(160)는 측벽(110)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정렬부(160)는 제1 측벽(110b)을 왕복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1 정렬부(160a)와, 제2 정렬부(160b)로 구분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제1 정렬부(160a)는 제1 측벽(110b)을 x축방향으로 왕복시키며, 제2 정렬부(160b)는 제1 측벽(110b)을 y축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다. 즉, 제1 정렬부(160a)는 지지핀(161)을 x축방향으로 왕복시키며, 제2 정렬부(160b)는 지지핀(161)을 y축방향으로 왕복시킨다. The
이때, 제1 정렬부(160a)와 제2 정렬부(160b) 중 어느 하나의 정렬부(160)가 구동되어, 지지핀(161)이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될 때, 구동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정렬부(160)는 구동되는 정렬부(160)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any one of the
따라서, 각 정렬부(160)는 지지핀(161)의 왕복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교차레일(165a)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정렬부(160)의 베이스(165)에는 교차레일홈(165b)이 형성 될 수 있다.Accordingly, each of the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덮개(110a)와 승강판(135)의 사이에는 롤러(roller;115)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115)는 제1 덮개(110a)를 지지하며, 정렬부(160)에 의해 제1 측벽(110b)이 왕복됨에 따라, 제1 덮개(110a)를 이동시킨다. 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a
롤러(115)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제1 정렬부(160a)와 제2 정렬부(160b)에 의 한 제1 측벽(110b)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1 덮개(110a)를 이동시키도록 제1 롤러(115a)와, 제2 롤러(115b)로 구분될 수 있다. The
복수개의 롤러(115)는 각각 개별 승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롤러(115a)와 제2 롤러(115b) 중 어느 하나의 롤러(115)가 구동되어, 제1 덮개(110a)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될 때, 구동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롤러(115)는 제1 덮개(110a)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판합착장치(100)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합착을 위해, 합착공간(101)을 진공분위기로 형성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와, 감지부(140)로부터 측정된 두 기판(10, 20)의 정렬상태에 따라 펌프(133)와, 정렬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6,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1에 표기된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작동도이다.5, 6, and 7 are enlarged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rtion shown in FIG. 1 is enlarged.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대기상태에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이하, '두 기판'이라 함.)은 개방된 합착공간(101)으로 반입되며, 두 기판(10, 20)은 제1 정반(111)과 제2 정반(121)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즉, 두 기판(10, 20)은 합착공간(101)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지지된다. 이때, 두 기판(10, 20)은 평편도조절유닛(105)에 의해 제1, 2 정반(111, 121)에 대한 평편도가 조절된다.First, referring to FIG. 5, in the standby state, the
제1 기판(10)은 제1 정반(111)이 제1 측벽(110b)에 결합되므로, 제1 챔버(11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2 기판(20)은 제2 정반(121)이 제2 챔버(120)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므로, 제2 챔버(12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합착공간(101)에서 두 기판(10, 20)이 서로 대향되도록 지지되면, 승강부(130)는 신축실린더(131)를 상승시킨다. 신축실린더(131)가 상승됨에 따라, 신축실린더(131)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판(135)과, 승강판(135)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덮개(110a) 및 정렬부(160)도 함께 상승된다. 즉, 신축실린더(131)가 상승됨에 따라 제1 챔버(110)는 제2 챔버(120) 측으로 상승된다. When the two
이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 챔버(110)가 상승됨에 따라, 두 기판(10, 20)이은 서로 근접된다. 두 기판(10, 20)이 근접되면, 감지부(140)는 두 기판(10, 20)의 정렬상태 즉, 두 기판(10, 20)의 평행도와, 두 기판(10, 20)의 위치정렬 여부를 측정한다. 다시 말해, 조명장치(143)는 조명홀(143a)을 통해 정렬마크(11)로 조명을 제공하며, 카메라(141)는 촬영홀(141a)을 통해, 정렬마크(11)를 촬영한다. 6, as the
먼저, 감지부(140)는 두 기판(10, 20)의 평행도를 측정한다. 두 기판(10, 20)의 간격이 평행한 경우, 각 정렬마크(11)는 각 카메라(141)에 의해 선명하게 촬영된다. First, the
반면, 두 기판(10, 20)의 간격이 평행하지 않을 경우, 복수 개의 카메라(141) 중, 어느 카메라(141)는 초점이 정확하게 맺히지 않아 해당 정렬마크(11)가 흐리게 촬영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정렬마크(11)가 위치하는 측에 구비되는 해당 펌프(133)를 제어하며, 신축실린더(131)는 승강판(135)을 해당 정렬마크(11)가 선명하게 촬영되는 위치로 승강시킨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정렬마크(11)가 위치하는 카메라(141)의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해당 정렬마크(11)가 선명하게 촬영되는 초점거리를 얻을 수 있다. 즉, 해당 정렬마크(11)가 흐리게 촬영된 초점거리와, 해당 정렬마크(11)가 선명하게 촬영된 초점거리를 비교하여, 제1 정반(111)의 간격조절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해당 펌프(133)를 제어하며, 신축실린더(131)는 승강판(135)을 간격조절거리만큼 승강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adjust the focal length of the
이와 같이, 감지부(140)는 두 기판(10, 20)의 평행도를 측정하며, 각 신축실린더(131) 및 펌프(133)는 승강판(135)의 각 테두리부를 개별 승강시킴으로써, 제1 기판(10)에 대한 제2 기판(20)의 간격을 조절하여, 두 기판(10, 20) 간 평행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어, 도 7을 참조하면, 감지부(140)는 두 기판(10, 20)의 위치정렬 여부를 측정한다. 두 기판(10, 20)이 정렬위치에 정렬되어 있을 경우, 각 정렬마크(11)는 각 정렬홀(21)의 내부에 위치하여, 각 카메라(141)는 정렬마크(11)를 촬영할 수 있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7, the
반면, 두 기판(10, 20)이 정렬위치에 벗어나 있을 경우, 각 정렬마크(11)는 각 정렬홀(21)의 내부에서 벗어나, 각 카메라(141)는 정렬마크(11)의 일부만을 촬영하거나, 정렬마크(11)를 촬영하지 못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wo
제어부(미도시)는 정렬부(160)를 제어하여, 정렬홀(21)의 내부에 정렬마크(11)가 위치하도록 제1 측벽(110b)을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제어부(미도시)는 제1 정렬부(160a)를 제어하여, 지지핀(161)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정렬부(160b)를 제어하여, 지지핀(161)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he
지지핀(161)의 이동에 따라, 제1 측벽(110b)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측벽(110b)에 결합되는 제1 정반(111)에 의해 지지되는 제1 기판(20)의 위치도 함께 이동된다. As the
이때, 제1 정렬부(160a)에 의해 지지핀이 x축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제2 정렬부(160b)는 교차레일(165a)을 따라, x축방향으로 연동된다. 또한, 제2 정렬부(160b)에 의해 지지핀(161)이 y축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제2 정렬부(160b)는 교차레일(165a)을 따라, y축방향으로 연동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pin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여기서, 두 기판(10, 20) 간 정렬을 위해 제1 측벽(110b)이 수 ㎛ 단위로 이동된다면, 제1 측벽(110b)이 제1 기밀부재(113)에 접촉되더라고, 합착공간(101)이 대기압 상태이므로, 제1 측벽(110b)은 슬립(slip)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 두 기판(10, 20) 간 정렬을 위해 제1 측벽(110b)이 ㎛ 단위를 넘어 이동되어야 한다면, 제1 측벽(110b)과 제1 기밀부재(113)의 접촉면에 윤활유를 도포하여 제1 측벽(110b)의 이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if the
또한, 상술된 설명에서는, 두 기판(10, 20)의 위치정렬시, 정렬부(160)에 의해 제1 측벽(110b)만이 왕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1 측벽(110b)의 왕복에 따라, 제1 덮개(110a)도 함께 왕복될 수 있다. 제1 측벽(110b) 의 왕복에 따라, 제1 덮개(110a)가 함께 왕복될 경우, 롤러(115)는 제1 덮개(110a)의 왕복을 돕는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only the
또한, 상술된 설명에서는, 두 기판(10, 20) 간 평행도를 조절한 후, 두 기판(10, 20) 간 위치를 정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순서는 서로 바뀌어, 두 기판(10, 20) 간 위치를 정렬한 후, 두 기판(10, 20) 간 평행도를 조절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after adjusting the parallelism between the two
이와 같이, 감지부(140)는 두 기판(10, 20)의 위치정렬 여부를 측정하고, 각 정렬부(160)는제1 측벽(110b)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기판(20)에 대한 제1 기판(10)의 위치를 조절하여, 두 기판(10, 20) 간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As such, th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의 작동 중, 합착공간의 진공배기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두 기판(10, 20) 간 정렬을 마치면, 제1 챔버(110)는 제2 챔버(120) 측으로 상승되며, 제1 챔버(110)가 상승됨에 따라, 제2 기밀부재(103)는 제2 챔버(120)에 접촉되며 합착공간(101)은 밀폐된다. 8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a vacuum exhaust state of the bonding spa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when the alignment between the two
합착공간(101)이 밀폐되면, 합착공간(101)의 진공배기를 수행하며, 진공배기가 수행됨에 따라 합착공간(101)은 진공분위기로 전환된다. 이때, 합착공간(101)의 진공배기에 따라, 제1 덮개(110a)와 제2 덮개(110b)는 중앙부가 합착공간(101) 측으로 휘어지며 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제1 기판(10)은 제1 덮개(110a)로부터 이격 지지되고, 제2 기판(20)은 제2 덮개(120a)로부터 이격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두 기판(10, 20)은 진 공배기에 따른 제1 덮개(110a)와 제2 덮개(120a)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두 기판(10, 20) 간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합착공간(101)이 진공분위기로 전환되면,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으로 자유낙하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이 합착된다.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합착장치(100)는 진공배기에 따른 제1, 2 챔버(110, 120)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두 기판(10, 20) 간 정렬상태를 유지하여 합착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 중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의 정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alignment portion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6,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1에 표기된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작동도이다.5, 6, and 7 are enlarged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rtion shown in FIG. 1 is enlarg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합착장치의 작동 중, 합착공간의 진공배기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8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a vacuum exhaust state of the bonding spa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ubstrat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기판합착장치 110 : 제1 챔버100: substrate bonding apparatus 110: the first chamber
120 : 제2 챔버 130 : 승강부 120: second chamber 130: elevating unit
140 : 감지부 151 : 정반지지축 140: detecting unit 151: surface support shaft
160 : 정렬부160: alignment unit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997A KR100890380B1 (en) | 2007-12-07 | 2007-12-07 | Board Bond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997A KR100890380B1 (en) | 2007-12-07 | 2007-12-07 | Board Bond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90380B1 true KR100890380B1 (en) | 2009-03-25 |
Family
ID=4069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69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0380B1 (en) | 2007-12-07 | 2007-12-07 | Board Bond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038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6573A (en) * | 2009-09-22 | 2018-03-12 | 에베 그룹 에. 탈너 게엠베하 | Device for aligning two substrates |
KR20210023403A (en) * | 2019-08-23 | 2021-03-04 | 주식회사 톱텍 | Bonding device for window |
KR20210034294A (en)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톱텍 | Bonding device for window |
CN114505817A (en) * | 2022-03-11 | 2022-05-17 | 深圳市凯威达电子有限公司 | Production of intelligence illumination driver chip is with grafting device that can pinpoi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4082A (en) * | 2002-07-01 | 2004-01-13 |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인더스트리즈 | Wafer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040043455A (en) * | 2002-11-18 | 2004-05-2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substrates bon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
KR20060108120A (en) * | 2005-04-12 | 2006-10-17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Board Bonder |
KR20060121751A (en) * | 2005-05-25 | 2006-11-29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 Board Assembly Device and Board Assembly Method |
-
2007
- 2007-12-07 KR KR1020070126997A patent/KR1008903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4082A (en) * | 2002-07-01 | 2004-01-13 |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인더스트리즈 | Wafer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040043455A (en) * | 2002-11-18 | 2004-05-2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substrates bon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
KR20060108120A (en) * | 2005-04-12 | 2006-10-17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Board Bonder |
KR20060121751A (en) * | 2005-05-25 | 2006-11-29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 Board Assembly Device and Board Assembly Method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6573A (en) * | 2009-09-22 | 2018-03-12 | 에베 그룹 에. 탈너 게엠베하 | Device for aligning two substrates |
KR101841377B1 (en) * | 2009-09-22 | 2018-03-22 | 에베 그룹 에. 탈너 게엠베하 | Device for aligning two substrates |
KR101986058B1 (en) * | 2009-09-22 | 2019-06-04 | 에베 그룹 에. 탈너 게엠베하 | Device for aligning two substrates |
US10388545B2 (en) | 2009-09-22 | 2019-08-20 | Ev Group E. Thallner Gmbh | Device for alignment of two substrates |
US11361980B2 (en) | 2009-09-22 | 2022-06-14 | Ev Group E. Thallner Gmbh | Device for alignment of two substrates |
US12027383B2 (en) | 2009-09-22 | 2024-07-02 | Ev Group E. Thallner Gmbh | Device for alignment of two substrates |
KR20210023403A (en) * | 2019-08-23 | 2021-03-04 | 주식회사 톱텍 | Bonding device for window |
KR102750594B1 (en) * | 2019-08-23 | 2025-01-08 | 주식회사 톱텍 | Bonding device for window |
KR20210034294A (en)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톱텍 | Bonding device for window |
KR102750595B1 (en) | 2019-09-20 | 2025-01-08 | 주식회사 톱텍 | Bonding device for window |
CN114505817A (en) * | 2022-03-11 | 2022-05-17 | 深圳市凯威达电子有限公司 | Production of intelligence illumination driver chip is with grafting device that can pinpoint |
CN114505817B (en) * | 2022-03-11 | 2024-04-19 | 深圳市凯威达电子有限公司 | Intelligent lighting drive chip production is with grafting device that can pinpoi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1063B1 (en) | Apparatus for joining of substrate | |
KR101367661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substrates having adjusting unit for parallel chuck and horizontal chuck | |
KR101378072B1 (en) | A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trates | |
KR100994497B1 (en) | Substrate Bonding Device and Substrate Bonding Method Using The Same | |
TW200914920A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nded substrate | |
KR100890380B1 (en) | Board Bonding Device | |
JP2004170975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2229471A (en) | Substrate superposition equipment | |
KR100931609B1 (en) | Board Bonding Device | |
KR100994494B1 (en) | Board Bonding Device | |
KR20110079024A (en) | Array test device | |
JP7113861B2 (en) | Mask mounting device, film forming device, mask mounting method, film forming method,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1763619B1 (en) | Array Test Device | |
JP4589270B2 (en) | Substrate bond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 |
KR102799462B1 (en) | Display device and panel bond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CN108582944A (en) | A kind of production method of abutted equipment and display module | |
KR20140146441A (en) | A Automatic Aligning Apparatus for Thin-film Deposition Device | |
KR100915699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substrates | |
KR20090129755A (en) | Board Bonding Device | |
KR101807195B1 (en) | Array test apparatus | |
TWI351901B (en) | Apparatus for attaching substrate, alignment contr | |
KR100931602B1 (en) | Board Bonding Device | |
CN101197252B (en) | Apparatus for attaching substrates and gap control unit thereof | |
JP2007121639A (en) | Panel alignment system | |
KR20060108119A (en) | Board Bo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