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9882B1 - 접힘가능 장치 - Google Patents

접힘가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882B1
KR100889882B1 KR1020067025442A KR20067025442A KR100889882B1 KR 100889882 B1 KR100889882 B1 KR 100889882B1 KR 1020067025442 A KR1020067025442 A KR 1020067025442A KR 20067025442 A KR20067025442 A KR 20067025442A KR 100889882 B1 KR100889882 B1 KR 10088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
frame
open
user interface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403A (ko
Inventor
파시 켐피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702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8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8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서로와의 관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a), 제2 프레임부(1b) 및 제3 프레임부(1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2 프레임부(1b)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개방 구조(2), 및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3 프레임부(1c)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2 개방 구조(2)를 포함한다. 제1, 제2, 제3 프레임부들은 상기 장치가 적어도 폐쇄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부들(1)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위에 및/또는 서로의 안에 있고,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부(1b)가 상기 제1 개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고, 상기 제3 프레임부(1c)는 상기 제2 개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는 두 가지 위치들을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들(1)은 서로에 접하여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힘가능 장치{A foldable device}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1항의 도입부에 따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서로와의 관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3개의 프레임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13항의 도입부에 따른 방법 및 첨부된 청구항 17항의 도입부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및 PDA 장치들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소형 장치들의 사용은 그 장치에 부가되는 기능들과 함께 더욱 다목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이것은 그 장치들의 사용 및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종류의 도전들을 초래하였다. 부가적으로, 사용자들은 그들의 매일의 사용을 위한 사용하기 쉽고 다목적으로 쓰이는 솔루션들을 원하고 있다.
사용자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그 중에서도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장치의 기능들 간의 차이 때문에, 한 가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반드시 다른 기능들을 사용하는 최선의 솔루션이 되는 것은 아니다. 몇 가지 알려진 장치 솔루션들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사용되어 왔고, 그에 의해서 사용자는 그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키아 커뮤니케이터(Nokia Communicator)에는, 예를 들어 전화 통화들 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들에 대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더욱 다목적으로 쓰이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하기 위한 더욱 광범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다. 더 큰 디스플레이 및 더 다목적으로 쓰이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더욱 광범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 장치를 "개방"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특허출원 WO 03/054672는 두 개의 접힘가능한(foldable) 윙들이 장치의 프레임부의 반대 면들 상에 부착된 전화기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그 윙들은 프레임부에 대해 서로의 상부에, 프레임부의 양쪽 사이드들에 개방되게 접힌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부분들이 버튼 및 디스플레이들과 같이 상기 윙들 및 프레임부에 놓이도록 제안된다.
더 컴팩트하거나 광범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알려진 구조들에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구조들은 디스플레이나 키패드들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들에서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될 수 없다. 이 때문에, 몇 가지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들이 전형적으로 그 장치들에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폐쇄 위치에서 작고 쉽게 휴대가능하고 개방될 때 다목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 상황들에서 부분적으로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주로 독립항 1항의 특징부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주로 독립항 13항의 특징부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로 독립항 17항의 특징부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몇몇 이득이 되는 실시예들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서로와의 관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3개의 프레임부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그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장치의 프레임부들이 서로의 위에 그리고/또는 서로의 안에 있고, 그 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부들이 서로에 접하도록 놓는 방식으로 서로에 부착된다. 프레임부들은 서로로부터 짧은 거리 내에 놓일 수 있고 또는 그것들은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
본 장치의 실시예에서, 프레임부들의 제2 및 제3 부분은, 장치가 폐쇄될 때 제3 부분이 제1 부분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부분이 제1 부분 하부, 즉 제3 부분보다 제1 부분의 반대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부분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프레임부들은 그 장치가 개방될 때 서로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를 개방할 때, 그 부분들은 세잎 클로버를 상기시키는 방식으로 서로에 접하도록 놓인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된 그리고/또는 폐쇄된 프레임부들은 예를 들어 자석들과 같은 고정 수단(locking means)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들의 위치는 위치 탐지 수단에 의해서 탐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부 및 제3 프레임부는 힌지(hinge) 구조들에 의해서 그 힌지 구조의 축선들 간의 각도가 120˚인 방식으로 제1 프레임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의 개방 방향들 간의 각도는 60˚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부들은 폐쇄된 형태로 서로의 상부에 놓이는 사이드들이 실질적으로 그들의 형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균일하다. 따라서, 폐쇄된 장치의 외형은 실질적으로 단지 한 부분만의 형태에 대응된다.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는 구조들은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프로세싱은 일 부분에서 실행되고, 예를 들어 배터리와 같은 파워 서플라이 시스템은 제2 부분에 위치된다. 요구되는 전력은 제2 부분으로부터 개방 구조의 일부 그리고/또는 플렉시블(flexible) 리드 구조일 수도 있는 적절한 리드(lead) 구조들을 거쳐서 다른 부분들로 이동된다. 기타 신호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다양한 부분들 간에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프레임부들은 개방될 때 키패드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들은 개방될 때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에 액추에이터들이 있고, 그것에 의해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상술된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하는 표면이 눈에 보이게(visible) 남아있는 방식으로 개방된다.
본 발명은 폐쇄될 때 작고 휴대하기 쉬운 작은 장치에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 조합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는 소형 전화기에서의 사용자 친화적인 쿼티-키보드(qwerty-keyboard)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들로써 두 개의 디스플레이 또는 심지어 세 개의 디스플레이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그 부분의 양 사이드에 있는 하나 이상의 부분들에 액추에이터들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장치의 제어에 직접 관련된 것들보다는 다른 목적들을 위하여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의 표면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다양한 데코레이션, 게임 및 퍼스널라이징(personalizing)에 연결된 다른 솔루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장치의 기능의 사용 및 장치의 구조의 위치가 서로에게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의 기능들은, 그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고, 장치를 개방함으로써 더욱 다목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전화기의 일 부분이 개방되었을 때 전화기 상에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 장치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개방함으로써 활성화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 장치를 개방 그리고/또는 폐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그리고/또는 키패드들은 온 또는 오프로 그리고/또는 눈에 보이게 또는 숨겨지게 된다. 장치를 개방 그리고/또는 폐쇄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본질적으로 그 장치 및, 예를 들어 전화 통화, 기록, 판독, 플레잉(playing), 즉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장치로 할 수 있는 것에 연결될 수도 있는 그것의 사용 어플리케이션들에 달려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은, 예를 들어 휴대용 소형 장치들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장치는 이동 전화기, PDA, 통신 장치 그리고/또는 게임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장치를 옮길 때와 같이 그 장치의 사이즈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때때로 예를 들어, 기능들을 지시하고 그리고/또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대상물들에 적절하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접힘가능 구조는 또한 그 장치가 사용 위치 내로 개방되지 않을 때 그 장치의 수단을 위한 보호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그리고/또는 카메라 목적물은 운송 동안에 보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원리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개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교차 방향에서 도 2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방에 연결된 몇몇 상태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개방 위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폐쇄 위치에서 도 10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개방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폐쇄 위치에서 도 12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7은 다양한 위치들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어 원리를 플로우차트로써 나타낸다.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방에 연결된 몇몇 상태들을 나타낸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세부사항들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조 및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특성들을 강조하기 위하여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명세서에서, 개방 장치의 개념은 주로 장치의 기계적 구조가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부들이 서로에게 접하여 위치되는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언급한다. 이와 대응되게, 폐쇄 장치의 개념은 주로 장치의 프레임부들이 실질적으로 서로의 상부에 또는 서로의 안에 위치되는 것을 언급한다. 장치의 기능들은 케이스-특정적으로 그 장치가 개방되는지 폐쇄되는지에 무관하게 온 또는 오프될 수도 있다.
도 1은 장치가 개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구조를 나타낸다. 장치는 서로와의 관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세 개의 프레임부들(1)을 포함하고, 그 부분들 중 제2 부분(1b) 및 제3 부분(1c)은 힌지들(hinges)(2) 또는 개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하는 구조들에 의해서 제1 부분(1a)에 연결된다.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제2 부분(1b) 및 제3 부분(1c)은 힌지 구조들(2)에 의해서 힌지 구조들의 축선들 간의 각도가 120°인 방식으로 제1 부분(1a)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부분(1b) 및 제3 부분(1c)의 개방 방향들 간의 각도는 60°이다. 모든 세 개의 프레임부들(1)은 장치가 개방될 때 서로에 연결된다.
도 1에 따른 예시에서, 일 프레임부(1)는 몇몇 버튼들(4) 뿐만 아니라 장치의 디스플레이(3)를 포함하고, 다른 두 부분들에는 키패드(5), 이 경우에는 쿼티-키패드(qwerty-keypad)가 배치된다. 키패드(5)는 또한 몇몇 다른 타입일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그 키들의 배치는 제공되는 것과 다를 수도 있다. 또한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의 프레임부들(1)에 액추에이터들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들(3)이 두 개의 프레임부들(1)에 배치되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들(3)은 세 개의 부분들(1)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들(3)에 덧붙여, 장치의 프레임부들(1)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들은, 그 중에서도, 키패드들(5), 버튼들(4), 확성기들 및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소스들, 컨트롤러들, 송신기들, 수신기들, 메모리들, 커넥터들과 같은 장치의 동작에 연결되는 구조들은 어플리케이션-특정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들(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와 같은 대응되는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폐쇄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프레임부들(1)은 다발(bunch)를 형성함으로써 서로의 상부에 있다. 다발과 같은 장치의 프레임부들(1)의 배치는 도 3에서 더욱 설명적인 방식으로 보여질 수 있고, 이는 방향 X로부터 보여지는 교차 방향에서의 도 2에 따른 상황을 제공한다. 예시에서, 제3 프레임부(1c)는 제1 프레임부(1a)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제2 프레임부(1b)는 제1 프레임부의 하부, 즉 제3 프레임부로부터 반대 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의해 형성되는 일련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방 및 폐쇄에 연결되는 상태들을 나타낸다. 일련의 도면들에서, 도 5는 방향 X로부터 보여지는 도 4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6, 7과 도 8, 9의 쌍도 이와 같다. 명확성을 위해서, 다른 도면들과 다른 부가적인 참조들은 프레임부들(1)의 표면들을 특정하기 위하여 도면 순서로 사용된다. 도 4, 6 및 8에서 제1 프레임부(1a)의 제1 표면은 A1으로 표시되고, 제2 표면은 A2로 표시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프레임부(1b)의 제1 표면은 B1으로 표시되고, 제2 표면은 B2로 표시되며, 제3 프레임부(1c)의 제1 표면은 C1으로 표시되고, 제2 표면은 C2로 표시된다.
도면 쌍인 도 4, 5에서, 장치는 폐쇄되고, 그 경우에 제3 프레임부(1c)의 제1 표면(C1)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도 4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보여진다).
도 6, 7에서 두 개의 다른 프레임부들(1a, 1b)은 제3 프레임부(1c) 하단으로부터 제3 부분에 접하여, 제3 부분(1c)의 제1 표면(C1) 및 제2 부분(1b)의 제2 표면(B2)이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 접혀진다. 제2 프레임부(1b) 및 제1 프레임부(1a)는 제1 표면들(B1 및 A1)이 서로 반대에 있는 방식으로 서로의 상부에 있다.
다음으로, 제2 프레임부(1b)는 제1 프레임부(1a)의 상부에서부터 도 8 및 9에서 보여질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부분(1a)의 제1 표면(A1), 제2 부분(1b)의 제1 표면(B1) 및 제3 부분(1c)의 제1 표면(C1)은 눈에 보일 수 있다. 예시에서, 모든 세 개의 프레임부들(1a, 1b, 1c)은 그들의 제1 표면들(1a, 1b, 1c)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평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접하여 놓인다. 모든 세 개의 프레임부들(1a, 1b, 1c)은 예시에서 두껍고, 그 경우에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두꺼운 구조는 개방된 장치로 형성된다. 그러나, 만약 필요하다면, 그들의 두께에서 상이한 그리고/또는 그들의 표면 프로파일에서 변동이 있는 다양한 프레임부들(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공된 실시예들에서, 프레임부들(1)은 폐쇄된 형태로 서로의 상부에 놓인 면들이 실질적으로 그들의 형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식으로 균일하다. 따라서, 장치의 외형은 도 2 및 도 4에서 찾아질 수 있는 것처럼, 실질적으로 단일 프레임부(1)의 형태에 대응된다. 예시에서, 장치의 두께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에서 찾아질 수 있는 것처럼, 오버랩된 부분들(1)의 결합된 두께에 대응된다.
또한 다른 프레임부들보다 다양한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프레임부들(1)은 전체적으로 그 장치의 폐쇄된 형태에서 서로의 상부에 놓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 및 11은 그러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시에서, 장치의 프레임부들(1b) 중 하나는 두 개의 다른 프레임부들(1a, 1c)보다 그 면적에서 더 크다. 도 10에서 개방된 구조가 제공되고, 도 11에서 폐쇄된 구조가 제공된다. 그 도면들로부터 찾아질 수 있는 것처럼, 이 예시에서, 제2 프레임부(1b)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들(4)의 부분은, 장치가 개방된 때 및 장치가 폐쇄된 때 모두 사용자에 의해서 도달될 수 있다.
상기 제공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힌지 구조와 같은 개방 구조들(2)의 축선들 간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120°이고, 이는 도 6에 표시되어 있다. 힌지 구조들(2) 간의 문제되는 각도의 크기는, 그 중에서도, 도 1 및 도 2에서 상술된 실시 예를 가능하게 하고, 여기서 폐쇄된 장치의 외형은 실질적으로 개개의 프레임부(1)의 형태에 대응된다. 도 12 및 도 13은 힌지 구조들 간의 각도가 120°가 아닌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문제되는 구조의 프레임부들(1)은 장치가 개방된 때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서로에 연결된다. 장치를 페쇄할 때, 프레임부들(1)은 도 1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서로의 상부에 놓인다. 도 12 및 13에 따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레임부(1b)는 다른 프레임부들(1a, 1c)보다 더 크고, 그 경우에 장치가 폐쇄될 때 이런 가장 큰 프레임부의 표면 중 몇몇은 그것의 상부에 놓인 다른 프레임부들의 배경 위로 보일 수 있게 남는다. 도 12 및 13에 나타난 것처럼, 이런 종류의 영역에 놓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들(4)은 장치가 개방된 때 및 장치가 폐쇄된 때 모두 사용자에 의해서 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구조와 같은 개방 구조들(2)의 축선들 간의 각도의 크기는 어플리케이션에 크게 의존하여 변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도의 크기는 70° 내지 170°일 수 있다. 몇 가지 실시예들에서, 각도의 크기는 100° 내지 140°이다. 따라서, 제2 프레임부(1b) 및 제3 프레임부(1c)의 개방 방향들 간의 각도는 40° 내지 80°이다. 힌지 구조들(2)의 축선들 간의 각도가 실질적으로 120°일 때, 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제공된 방식으로 대칭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예시들에서 프레임부들(1)은 힌지 구조들(2)과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부들(1)을 연결하기 위해서 다른 종류들의 개방 구조들(2)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여기서 제1 개방 장치(2)는 힌지 구조이고 제2 개방 구조는 슬라이드 구조이다. 제공된 슬라이드 구조(2)는 프 레임부(1c)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4에서 장치는 폐쇄된 위치에 있고, 그 경우에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5에서 그 장치는 중간-위치(mid-position)에 제공되고, 힌지 구조(2)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프레임부들(1a, 1b)은 서로에 접하도록 놓였다. 도 16에서 제1 프레임부(1a) 내의 제3 프레임부(1c)는 제1 프레임부(1a) 밖으로 일부분 슬라이드 되었다. 도 17은 개방 위치에 있는 장치를 나타내고, 그 경우에 모든 세 개의 프레임부들(1a, 1b, 1c)은 서로의 근처에 놓인다. 예를 들어 제3 프레임부(1c)를 슬라이딩함으로써 먼저 개방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제공된 것과 다른 순서로 장치를 개방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가능하다. 개방 구조(2)가 또한 몇 가지 상이한 방법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구조는 서로의 상부에 또는 서로의 내에 프레임부들(1)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공된 예시들에서 버튼들(4)은 프레임부들(1)의 주 표면들 상에 배치된다. 다른 수단 뿐만 아니라 버튼들(4)도 또한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버튼들(4)의 일 부분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들(1)의 사이드 표면상에 놓인다. 따라서, 버튼들(4)은 그 장치가 폐쇄된다고 할지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그리고/또는 폐쇄 프레임부들(1)은 예를 들어 도 3, 5, 7 및 도 9에 나타난 자석들과 같은 고정 수단(6)으로 서로에 고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들(1)의 위치는 위치 탐지 수단에 의해서 탐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6) 및 위치 탐지 수단은 복합-구조(compound-structured)로 되고, 그 경우에 구조를 고정하고 동일한 수단을 가진 구조의 부분들의 상호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위치 데이터는 몇 가지 상이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장치를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개방함으로써 활성화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치, 디스플레이들(3) 그리고/또는 키패드들(4, 5)을 개방함으로써 온(on) 그리고/또는 개방이 제어된다. 이와 대응되게, 장치를 폐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들(3) 그리고/또는 키패드들(4, 5)이 오프(off) 그리고/또는 숨김으로 제어된다. 장치를 개방 그리고/또는 폐쇄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본질적으로 그 장치 및 그것의 사용 어플리케이션들에 달려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전화 통화, 기록, 판독, 플레잉(playing), 즉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장치를 가지고 하기를 원하는 것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의 전화 통화 기능들은, 폐쇄된 장치의 하나의 프레임부(1)가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서 제공된 위치로와 같이 개방될 때 온으로 활성화된다. 더욱이, 모든 세 개의 프레임부들(1)이 한 평면상에 있는 방식으로 장치를 전체적으로 개방할 때,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디폴트(default) 기능들에 의해서 특정되는 기능들일 수도 있는 다른 기능들이 활성화된다.
또한, 장치의 추정되는 사용 방향은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되는 일 실시예에 있을 수 있고, 이런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세팅들은 사용 방향의 요구들에 대응되도록 변경된다. 이런 종류의 변화가능한 값들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 상에 제공되는 데이터의 시각 방향 및 액추에이터들의 제어 방향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프레임부들(1)의 상호 위치에 기초한 제어 원리를 나타낸다. 문제의 예시에서, 상이한 프레임부들(1)의 상호 위치는 개방 구조들(2)의 상태를 기초로 결정된다. 먼저, 제1 개방 구조(2)가 개방되는지 여부, 즉 제1 및 제3 프레임부들(1)의 표면이 분리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개방 구조(2)가 개방되는지 여부, 즉 제1 및 제2 프레임부들(1)이 분리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두 개방 구조들(2) 모두가 폐쇄된다면, 폐쇄 장치의 세팅들이 그 예시에서 사용된다. 제1 개방 구조(2)가 폐쇄되고, 제2 개방 구조가 개방될 때, 반-개방된 장치의 제1 세팅들이 사용된다. 이와 대응되게, 제1 개방 구조(2)가 개방되고 제2 개방 구조가 폐쇄될 때, 반-개방된 장치의 제2 세팅들이 사용된다. 두 개방 구조들(2) 모두가 개방될 때, 개방 장치의 세팅들이 이 예시에서 사용된다. 세팅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개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성들과 같은, 장치의 몇몇 상이한 속성들에 관련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몇몇 상이한 방식으로 변경되고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개방 구조들(2)은 어떤 방식으로 놓이도록 제공되는 예시에 있다. 개방 구조들(2)의 배치를 예시들에서보다 프레임부들(1)의 상이한 면들 위로 변경함으로써, 그 중에서도, 개방 및 폐쇄 구조의 전이 형태들의 외형 뿐만 아니라 접힘 순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부(1b) 및 제3 프레임부(1c)는, 장치의 폐쇄된 위치에서 제2 및 제3 프레임부들이 서로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프레임부(1a)에 연결된다. 문제의 실시예의 동작은 도 19 내지 도 24에 제공된다. 개방 구조들은 그 도면들에 제공되지 않으나, 제1 프레임부(1a) 및 제3 프레임부(1c)는 개방 구조로 서로에 연결되고, 이는 장치가 폐쇄될 때 제1 및 제3 프레임부들 간에 제2 프레임부(1b)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외형은, 예를 들어, 몇몇 경우들에서 장치의 사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양한 방식들로 상기 제공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연결하여 개시되는 모드들 및 구조들을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의 청구항들에 제공되는 발명적 특징들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서로와의 관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a), 제2 프레임부(1b), 및 제3 프레임부(1c),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2 프레임부(1b)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개방 구조(2), 및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3 프레임부(1c)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2 개방 구조(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프레임부들은 상기 장치가 적어도
    폐쇄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부들(1)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상부에 또는 서로의 내부에 있고,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부(1b)가 상기 제1 개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고, 상기 제3 프레임부(1c)는 상기 제2 개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는 두 가지 위치들을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프레임부(1b) 및 상기 제3 프레임부(1c)는, 상기 제3 프레임부(1c)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2 프레임부(1b)의 사이드 및 상기 제2 프레임부(1b)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사이드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실제적인 물리적 접촉이 없이 서로 접하는 거리에 있는 방식으로, 서로의 부근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부(1b) 및 제3 프레임부(1c)는 개방 방향들을 가지고, 상기 개방 방향들 간의 각도는 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구조(2)는 상기 제2 프레임부(1b)를 상기 제1 프레임부(1a)에 회전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개방 구조(2)는 상기 제3 프레임부(1c)를 상기 제1 프레임부(1a)에 회전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개방 구조(2)의 회전축과 상기 제2 개방 구조의 회전축 간의 각도는 7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들(1)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위치 탐지 수단(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들(1)의 상호 위치를 상기 장치의 제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제1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제1 표면(C1)은 상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제1 프레임부(1a)의 제1 표면(A1), 상기 제2 프레임부(1b)의 제1 표면(B1) 및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상기 제1 표면(C1)은 상기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들(1)은 디스플레이(3), 터치 스크린, 키패드(5), 버튼(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프레임부들(1)은 상기 장치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제1 표면(C1)은 적어도 상기 장치가 제1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 통신 장치, 통신 장치, 컴퓨터, 카메라, 게임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서로와의 관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a), 제2 프레임부(1b), 및 제3 프레임부(1c),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2 프레임부(1b)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개방 구조(2), 및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3 프레임부(1c)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2 개방 구조(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프레임부들은 상기 장치가 적어도
    폐쇄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부들(1)이 실질적으로 서로의 상부에 또는 서로의 내부에 있고,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부(1b)가 상기 제1 개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고, 상기 제3 프레임부(1c)는 상기 제2 개방 구조(2)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는 두 가지 위치들을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프레임부(1b) 및 상기 제3 프레임부(1c)는, 상기 제3 프레임부(1c)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2 프레임부(1b)의 사이드 및 상기 제2 프레임부(1b)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사이드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실제적인 물리적 접촉이 없이 서로 접하는 거리에 있는 방식으로, 서로의 부근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그 경우에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탐지하고 탐지된 상기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위치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이 온 또는 오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통화, 기록, 판독,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들(1)은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들의 상태는, 상기 장치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제1 표면(C1)의 상기 액추에이터들이 활성화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상기 제1 프레임부(1a)의 제1 표면(A1), 상기 제2 프레임부(1b)의 제1 표면(B1) 및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상기 제1 표면(C1)의 상기 액추에이터들이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7.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서로와의 관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a), 제2 프레임부(1b), 및 제3 프레임부(1c),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2 프레임부(1b)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개방 구조(2), 및
    상기 제1 프레임부(1a)를 상기 제3 프레임부(1c)에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2 개방 구조(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프레임부들은 상기 장치가 적어도
    폐쇄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부들(1)이 실질적으로 서로의 상부에 또는 서로의 내부에 있고,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부(1b)는 상기 제1 개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고, 상기 제3 프레임부(1c)는 상기 제2 개방 구조(2)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a)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이동되는 두 가지 위치들을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개방된 제2 위치에서,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프레임부(1b) 및 상기 제3 프레임부(1c)는, 상기 제3 프레임부(1c)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2 프레임부(1b)의 사이드 및 상기 제2 프레임부(1b)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사이드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실제적인 물리적 접촉이 없이 서로 접하는 거리에 있는 방식으로, 서로의 부근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그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지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탐지하는 단계,
    탐지된 상기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변경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들을 온 또는 오프로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통화, 기록, 판독,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프레임부들(1)은 액추에이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제1 표면(C1)의 상기 액추에이터들이 활성화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상기 제1 프레임부(1a)의 제1 표면(A1), 상기 제2 프레임부(1b)의 제1 표면(B1) 및 상기 제3 프레임부(1c)의 상기 제1 표면(C1)의 상기 액추에이터들이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들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7025442A 2004-06-01 2005-05-27 접힘가능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8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442A KR100889882B1 (ko) 2004-06-01 2005-05-27 접힘가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45203 2004-06-01
KR1020067025442A KR100889882B1 (ko) 2004-06-01 2005-05-27 접힘가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403A KR20070017403A (ko) 2007-02-09
KR100889882B1 true KR100889882B1 (ko) 2009-03-24

Family

ID=4134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4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9882B1 (ko) 2004-06-01 2005-05-27 접힘가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8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55A (ko) * 2000-05-01 2001-11-16 권용순 이동 단말기
KR20020042290A (ko) * 2000-11-30 2002-06-05 오순봉 휴대용 키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55A (ko) * 2000-05-01 2001-11-16 권용순 이동 단말기
KR20020042290A (ko) * 2000-11-30 2002-06-05 오순봉 휴대용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403A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6711B1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chambers accommodating a dynamic flexi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systems
KR101841570B1 (ko) 듀얼디스플레이 접이식단말기
CN100496058C (zh) 具有可枢转的显示元件的移动电子装置
EP1858235B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gle detection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CN101422021B (zh) 可延伸的移动电子设备
RU100690U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складную конфигурацию
EP2031838B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4517551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CN100462893C (zh) 可折叠的设备
EP231405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open channel hinge assembly
US2010005266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ll sensor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KR100754605B1 (ko) 폴딩형 키패드를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JP2009278411A (ja) 携帯装置
KR101048031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13280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89882B1 (ko) 접힘가능 장치
US7567237B2 (en) Opening and closing of a user interface element
CA2688923C (en) Multiple-fo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086793A (ja) 携帯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HK1102849B (en) A foldable device
KR1006518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78066B1 (ko) 게임이 편리한 바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50108644A (ko) 기능모드 자동인식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