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460B1 - Pulse Period Modulator and Method - Google Patents
Pulse Period Modulator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8460B1 KR100888460B1 KR1020070103035A KR20070103035A KR100888460B1 KR 100888460 B1 KR100888460 B1 KR 100888460B1 KR 1020070103035 A KR1020070103035 A KR 1020070103035A KR 20070103035 A KR20070103035 A KR 20070103035A KR 100888460 B1 KR100888460 B1 KR 1008884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se
- pulse period
- modulation
- period
- digital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9—Receiver details
- H04L7/0087—Preprocessing of received signal for synchronisation, e.g. by code conversion, pulse generation or 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 주기 변조 장치 및 방식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입력 데이터에 따라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N(2 ≤ N) 개의 T 주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코드 발생기와, 상기 디지털 신호에 동기를 맞추어 펄스 생성을 지시하는 제어기와, 상기 지시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ulse period modulation device and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de generator for outputting N (2 < N) T period digital signals whose period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input data, a controller for instructing pulse gener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igital signal, an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And 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ulse, the pulse generator outputting the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본 발명은 변조율 및 전송 속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른 변조방식과 혼합이 용이하고, 복조가 용이하여 UWB 통신 방식, 고속 송수신 방식 또는 거리측정 시스템에 널리 사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high modulation rate and transmission speed but also easy to mix with other modulation schemes in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easy to demodulate, and thus is widely used in UWB communication, high-spe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r distance measurement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펄스 주기 변조 장치 및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할 데이터의 값에 따라 소정의 방식으로 일정하게 주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여 UWB 통신 방식, 고속 송수신 방식 또는 거리측정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펄스 주기 변조 장치 및 방식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는 원거리 전송, 다량의 정보 전송, 정보 보안, 안테나 소형화, 혼신 방지 및 노이즈 방지를 위하여 변조되어 전송된다. 크게 변조는 음성신호를 반송파에 합성시켜 전송에 유리한 주파수 군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변조,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 0 또는 1에 대하여 정해진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변조, 아날로그 신호를 펄스로 분할하여 불연속적인 디지털 파형 변환하는 펄스 변조가 있다.In general, baseband digital signals are modulated and transmitted for long distance transmission,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information security, antenna miniaturization, interference prevention, and noise prevention. Large modulation is analog modulation that synthesizes a voice signal into a carrier wave and converts it into a frequency group favorable for transmission, digital modulation that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type to a baseband
아날로그 변조는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진폭 변조 (Amplitude Modulation, AM),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FM),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위상 변조(Phase Modulation, PM)가 있다. Analog modulation includes Amplitude Modulation (AM) to change the amplitude of the signal, Frequency Modulation (FM) to change the frequency of the signal, and Phase Modulation (PM) to change the phase of the signal.
그리고, 디지털 변조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진폭이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주파수가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위상이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편이 변조(Phase Shift Keying, PSK), 진폭 및 위상이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가 있다. Digital modulation includes amplitude shift keying (ASK) for outputting signals with different amplitudes according to digital signals, frequency shift keying (FSK) for outputting signals with different frequencies, and signals with different phases. Phase Shift Keying (PSK) to output,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to output signals with different amplitudes and phases.
또한, 펄스 변조에는 아날로그 신호파의 진폭에 비례해 반송파인 펄스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펄스 진폭 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아날로그 신호파의 진폭에 비례해 반송파인 펄스파의 폭을 변화시키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아날로그 신호파의 진폭에 비례해 반송파인 펄스파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펄스 위치 변조(Pulse Position Modulation, PPM),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비트단위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변환하는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가 있다. In addition,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that changes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pulse in proportion to the amplitude of the analog signal wave, and pulses that change the width of the pulse wave that is the carrier wave in proportion to the amplitude of the analog signal wave. Pulse Width Modulation (PWM), Pulse Position Modulation (PPM)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pulse wave as a carrier wave in proportion to the amplitude of the analog signal wave, and digitally samples the amplitude of the analog data signal There is pulse code modulation (PCM) to convert.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변조 방식은 고정된 하나의 방식 이외에 다른 변조 방식을 혼용하기가 어렵고, 혼용하려면 변복조 알고리즘 및/또는 장치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The above-described modul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ix other modulation schemes in addition to the fixed one scheme, and to mix them,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algorithm and / or apparatus are complicated.
본 발명은 송신할 데이터의 값에 따라 소정의 방식으로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두 개 이상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주기 변조를 적용하여 변조율 및 전송 속도가 높고, 다른 변조방식과 혼합이 용이한 펄스 주기 변조 장치 및 방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pulse period modulation that outputs two or more pulses whose period increases or decreas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value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us has a high modulation rate and transmission speed, and easy to mix with other modulation schem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iodic modulation device and metho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장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N(2 ≤ N) 개의 T 주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코드 발생기와, 상기 디지털 신호에 동기를 맞추어 펄스 생성을 지시하는 제어기와, 상기 지시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ulse period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de generator for outputting N (2? N) T period digital signals whose period increases or decreases in accordance with input data, an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igital signals. And 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uls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and outputting the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여기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0 또는 1인 디지털 데이터이며, 상기 코드 발생기는, 상기 입력 데이터가 0이면 펄스 주기가 T 이상 NT 이하의 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증가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가 1이면 펄스 주기가 NT 이하 T 이상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감소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Here, the input data is digital data of 0 or 1, and the code generator outputs a digital signal in which a pulse period increases in a predetermined unit in a range of T or more and NT or less when the input data is 0, and the input data is If it is 1, it outputs a digital signal whose pulse period decreases by a fixed unit in the T or less range.
또는, 상기 입력 데이터는 0 또는 1인 디지털 데이터이며, 상기 코드 발생기는, 상기 입력 데이터가 0이면 펄스 주기가 NT 이하 T 이상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감소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펄스 주기가 T 이상 NT 이하의 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증가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input data is digital data of 0 or 1, and when the input data is 0, the code generator outputs a digital signal in which a pulse period decreases in a predetermined unit in a range of T or less than NT, and the pulse period is T It can also be set to output a digital signal which increases in a predetermined unit in the range of NT or less.
또한, 상기 T는 송수신용 주파수 최대값의 역수 이상 송수신용 주파수 최소값의 역수 이하이어야 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지털 신호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폴링 에지(Falling Edge)를 검출하는 동기부와, 상기 라이징 에지 또는 상기 폴링 에지에 동기하여 상기 펄스 발생기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부The T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ciprocal of the maximum frequenc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synchronizer configured to detect a rising edge or a falling edge of the digital signal; A control unit instructing an operation of the pulse generato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r the falling edge
로 구성된다. It consists of.
그리고, 펄스는 디지털 신호당 할당되는 개수, 주파수, 진폭(Amplitude) 및 파형을 고려하여 생성되며, 상기 펄스 발생기는 펄스 주기 변조 및 펄스 진폭 변조 방식으로 상기 펄스를 변조하거나, 펄스 주기 변조 및 위상 변조 방식으로 상기 펄스를 변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lse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frequency, amplitude, and waveform allocated to each digital signal, and the pulse generator modulates the pulse by pulse period modulation and pulse amplitude modulation, or pulse period modulation and phase modulation. The pulse can be modulated in a manner.
또는, 펄스 발생기는 펄스 주기 변조 및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상기 펄스를 변조하거나, 펄스 주기 변조 및 CDMA 변조 방식으로 상기 펄스를 변조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ulse generator may modulate the pulse by pulse period modulation and frequency modulation, or may modulate the pulse by pulse period modulation and CDMA modulation.
그리고,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는 고속 데이터 송수신, UWB, Ranging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방식에 사용되며,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는 코히런트 방식, 반 코히런트 방식, 넌 코히런트 방식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복조된다. In addition, the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is used in a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a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WB, Ranging system, the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is demodulated in a method including a coherent method, a semi-coherent method, a non-coherent method do.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a) 입력 데이터에 따라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N (2 ≤ N)개의 T 주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b) 상기 디지털 신호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폴링 에지(Falling Edge)를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라이징 에지 또는 상기 폴링 에지에 동기하여 펄스 주기 변조된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하는 펄스 주기 변조 방식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outputting N (2 ≤ N) T period digital signal whose period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data, and (b) a rising edge of the digital signal Or detecting a falling edge, and (c) generating a pulse period modulated puls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r the falling edge. This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T는 송수신용 주파수 최대값의 역수 이상 송수신용 주파수 최소값의 역수 이하이며,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가 0이면 펄스 주기가 T 이상 NT 이하의 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증가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며,상기 입력 데이터가 1이면 펄스 주기가 NT 이하 T 이상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감소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 데이터가 0이면 펄스 주기가 NT 이하 T 이상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감소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가 1이면 펄스 주기가 T 이상 NT 이하의 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증가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Here, in step (a), 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ciprocal of the maximum frequency of transmission / reception and the frequency of the minimum frequency of transmission / reception. Outputs a digital signal increasing in a predetermined unit, and outputs a digital signal in which the pulse period decreases in a predetermined unit in a range of NT or less T when the input data is 1, or when the input data is 0, a pulse period is NT or less T A digital signal that decreases by a predetermined unit in an abnormal range is output. When the input data is 1, a digital signal that increases in a constant unit in a pulse period of T or more and NT or less is output.
그리고, 상기 (c)단계는 (c-1) 상기 펄스의 형상 및 혼합 변조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라이징 에지 또는 상기 폴링 에지에 동기하여 상기 형상 및 상기 혼합 변조방식의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Step (c) includes (c-1) determining the shape and the mixed modulation scheme of the pulse, and (c-2) synchronizing the shape and the mixed modulation schem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r the falling edge. Generating pulses.
이때, (c-1)단계에서 상기 형상은, 상기 디지털 신호당 할당되는 상기 펄스의 개수, 주파수, 진폭(Amplitude) 및 파형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혼합 변조방식은 순수 펄스 주기 변조인 비혼합형, 펄스 주기 및 펄스 진폭 변조 혼합형 및 펄스 주기 및 위상 변조 혼합형, 펄스 주기 및 주파수 변조 혼합형, 펄스 주기 및 CDMA 변조 혼합형 중 어느 하나이다. In this case, in step (c-1), the sha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frequency, amplitude, and waveform of the pulses allocated per digital signal, and the mixed modulation scheme is a pure pulse period modulation. , Pulse period and pulse amplitude modulation mixed type and pulse period and phase modulation mixed type, pulse period and frequency modulation mixed type, pulse period and CDMA modulation mixed type.
한편, (c)단계 이후에 송출 및 수신된 상기 펄스 주기 변조 신호는 코히런트, 반 코히런트, 넌 코히런트 방식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복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after step (c) is preferably demodulated in a manner including a coherent, semi-coherent, non-coherent scheme.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장치 및 방식은 송신할 데이터의 값에 따라 소정의 방식으로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두 개 이상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주기 변조 장치 및 방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se period mod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two or more pulses whose period increases or decreas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a value of data to be transmitted.
본 발명은 변조율 및 전송 속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른 변조방식과 혼합이 용이하고, 복조가 용이하여 UWB 통신 방식, 고속 송수신 방식 또는 거리측정 시스템에 널리 사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high modulation rate and transmission speed but also easy to mix with other modulation schemes in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easy to demodulate, and thus is widely used in UWB communication, high-spe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r distance measurement syst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n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주기 변조 장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N(2 ≤ N) 개의 T 주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코드 발생기(110)와, 상기 디지털 신호에 동기를 맞추어 펄스 생성을 지시하는 제어기(120)와, 상기 지시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기(130)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ulse period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pulse period modulation device includes a
코드 발생기(110)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N(2 ≤ N) 개의 T 주기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The
이때, 코드 발생기(110)의 입력 데이터는 0 또는 1인 디지털 데이터이며, 입력 데이터가 0이면 펄스 주기가 T 이상 NT 이하의 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증가하 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데이터가 1이면 펄스 주기가 NT 이하 T 이상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감소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In this case, the input data of the
코드 발생기(110)는 전술한 내용과 반대로 입력 데이터가 0이면 펄스 주기가 NT 이하 T 이상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감소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데이터가 1이면, 펄스 주기가 T 이상 NT 이하의 범위에서 일정한 단위로 증가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In contrast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여기서, 디지털 신호의 주기 T는 송수신용 주파수 최대값의 역수 이상 송수신용 주파수 최소값의 역수 이하이다. Here, the period T of the digital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verse of the maximum frequency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예컨대, N은 3이고 송수신 주파수는 0.5GHz ~ 1GHz이라고 가정하면, 코드 발생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가 0일 때 T, 2T, 3T로 T에서부터 일정한 단위로 일정하게 주기가 증가하는 3개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데이터가 1일때 3T, 2T, T인 3T에서부터 일정한 단위로 일정하게 주기가 감소하는 3개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N is 3 and the transmit / receive frequency is 0.5 GHz to 1 GHz, as shown in FIG. 1, the
그 반대로 입력 데이터가 1일 때 T, 2T, 3T인 디지털 신호를, 입력 데이터가 0일 때 3T, 2T, T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송수신 주파수를 0.5GHz ~ 1GHz이라고 가정하였으므로 T는 1ns 이상 2ns 이하 범위에 존재해야 한다. Converse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utput a digital signal of T, 2T, or 3T when the input data is 1, and output a digital signal of 3T, 2T, or T when the input data is 0, wher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requency is assumed to be 0.5 GHz to 1 GHz. Therefore, T should be in the range of 1ns or more and 2ns or less.
제어기(120)는 코드 발생기(110)가 출력한 디지털 신호에 동기를 맞추어 펄스 발생기(130)가 펄스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The
제어기(120)는 디지털 신호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폴링 에 지(Falling Edge)를 검출하는 동기부(121)와,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폴링 에지(Falling Edge)에 동기하여 펄스 발생기(130)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부(122)로 구성된다. The
펄스 발생기(130)는 제어기(120)의 지시에 따라 디지털 신호에 동기하여 펄스를 생성한다. The
이때, 펄스 발생기(130)는 디지털 신호당 할당되는 개수, 주파수, 진폭(Amplitude) 및 파형을 미리 결정하고, 결정한 방법으로 펄스를 생성한다. At this time, the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2a는 펄스 주기 변조한 신호를, 도 2b는 펄스 주기 및 펄스 크기 변조한 신호를, 도 2c는 펄스 주기 및 위상 변조한 신호를 도시하였다. 2A to 2C are waveform diagrams illustrating a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hows a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FIG. 2B shows a pulse period and pulse magnitude modulated signal, and FIG. 2C shows a pulse period and phase modulated signal.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는 코히런트(Coherent) 방식, 반 코히런트(Semi Coherent) 방식 또는 넌 코히런트(Non Coherent) 방식으로 복조할 수 있는데, 도 3a 내지 도 3c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주기 복조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였다. 도 3a는 코히런트 방식의 복조 장치를, 도 3b는 반 코히런트 방식의 복조 장치를, 도 3c는 넌 코히런트 방식의 복조 장치를 도시하였다. The pulse-period modulated signal may be demodulated in a coherent method, a semi coherent method, or a non coher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3a to 3c. A block diagram of a pulse period demodulation device is shown. 3A illustrates a coherent demodulation device, FIG. 3B illustrates a semi-coherent demodulation device, and FIG. 3C illustrates a non-coherent demodulation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기법이 사용되는 Ranging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Ranging 시스템은 슬레이브 단말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송신시점과 수신시점 시간의 차를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호스트 단말기(Master-PNC)(400)와 호스트 단말기(400)의 호출 발생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단말기(Slave-Device)(300)로 구성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nging system in which a pulse period modulation technique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Ranging system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a
호스트 단말기(400)는 RF 프론트 앤드(RF Front End)(440), 신호처리부(430), Ranging 처리부(420), 디스플레이(410)로 구성된다. The
RF 프론트 앤드(440)는 신호처리부(430)가 전달한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DA변환부(미도시), 업컨버터(미도시),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부(미도시), 전송할 대역으로 정형화하여 안테나로 전달하는 송신필터(미도시)로 구성된 송신블록과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한 신호의 SNR을 개선하기 위해서 저잡음 증폭하는 LNA(미도시), 신호를 정형화를 위한 수신필터(미도시), 다운컨버터(미도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AD변환부(미도시)로 구성되는 송신블록으로 구성된다. The RF
DA변환부(미도시)는 신호처리부(430)가 전달한 기저대역 디지털신호를 중간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The DA converter (not shown) converts the baseband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업컨버터(미도시)는 IF(Intermediate Frequency, 중간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으로 주파수 천이한다. The up-converter (not shown) frequency shifts an analog signal in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band to an RF (Radio Frequency) band.
송신필터(미도시)는 아날로그 변환된 송신신호를 이용이 허가된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정형화한다. A transmission filter (not shown) shapes an analog-converted transmission signal into a transmission frequency band permitted for use.
증폭부(미도시)는 정형화된 신호를 안테나 구동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하여 안테나로 전달하여 안테나가 증폭된 신호를 공중으로 발사하도록 한다. The amplifier (not shown) amplifies the standardized signal into a signal capable of driving the antenna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ntenna so that the antenna launches the amplified signal into the air.
LNA(Low Noise Amplitude, 저노이즈 증폭기)(미도시)는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한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을 개선하기 위해서 저잡음 증폭한다. Low Noise Amplitude (LNA) (not shown) amplifies low noise to improve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수신필터(미도시)는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정형화한다.A reception filter (not shown) filters and shapes the low noise amplified signal.
다운컨버터(미도시)는 RF대역의 수신신호를 IF대역으로 주파수 천이한다.The down converter (not shown) frequency shifts the received signal of the RF band to the IF band.
AD변환부(미도시)는 IF대역의 수신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기저대역의 신호처리부(430)로 전송한다. The AD converter (not shown) digitally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of the IF band and transmits it to the
신호처리부(430)는 송신신호에 대하여 에러검출을 위한 코드 부여, 전송시점 확인, 변조하여 DA변환부(미도시)로 전달하여 거리 측정하고자하는 단말기로의 신호 송신을 시도하고, 수신신호에 대하여 동기 확보, 신호의 크기/전력 측정 등의 방법으로 신호 검출, 복조, 에러정정 절차를 거쳐 송신신호를 복원하고 거리 측정하고자하는 단말기로부터의 신호 수신시점을 감지한다. The
이때, 신호의 검출 및 동기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tection and synchronization of the signal may be processed in an analog or digital manner.
Ranging부(420)는 호스트 단말기간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간, 호스트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간 등의 거리측정을 위한 송신신호의 구성과 신호의 전송주기를 결정 및 송신시점과 수신시점으로부터 거리를 계산한다.The Ranging
디스플레이(410)는 LCD, FND, PDP, 모니터 등으로 구성되어 Ranging부(420)에서 계산된 거리를 숫자, 글자 등의 사용자가 가시할 수 있는 형태로 표출한다. The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RF 프론트 앤드(RF Front End)(310), 신호처리부(320), Ranging 처리부(330)로 구성된다. The
슬레이브 단말기(300)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호스트 단말기(400)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기능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410)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anging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호스트 단말기(200_1)는 다른 호스트 단말기(200_2) 또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단말기(300_1~300_n)와 연결되며,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300_1)는 하나 이상의 호스트 단말기(400)와, 또는 하나 이상의 호스트 단말기(400)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단말기(300)와 연결된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 Ran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one host terminal 200_1 is connected to another host terminal 200_2 or one or more slave terminals 300_1 to 300_n, and one slave terminal 300_1 is one or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 및 슬레이브 단말기(3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두 단말기간의 거리측정뿐만 아니라 통신, 정보교환 등이 가능하다. Through the network,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anging 시스템의 송수신 패킷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nging 시스템의 송수신 패킷은 프리앰블(Preamble),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 또는 프리앰블, ID, 헤더, 페이로드로 구성된다.6 is a structure diagram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packet of a Ran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 transmission / reception packet of a Ranging system is composed of a preamble, a header, a payload, or a preamble, an ID, a header, and a payload.
여기서, 패깃 신호는 패킷단위, 시스템 형태, 또는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하나의 결정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Here, the packet signal may b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packet unit, system type, or network configuration, but one determined form is generally used for one system.
프리앰블은 동기 정보, 수신채널의 상태,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preamble stores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 state of a reception channel, information for synchronization of a frame, and the like.
ID는 슬레이브 단말기(300)의 Device ID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다. ID is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a Device ID of the
헤더는 전송 전력, 전송 데이터 레이트(Rate),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정보 등이 있는 MAC 헤더와 물리계층의 에 러정정, 인코더 방식, 디코더 방식 등 물리계층 관련 정보가 있는 Phy 헤더가 있다. The header includes a MAC header including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data rate, information for network configuration between the
페이로드는 전송할 정보, 거리측정을 위한 신호 등의 데이터이다. The payload is data such a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a signal for distance measurement.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anging 시스템에서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 사이의 레인징 프로세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ranging processing between a
여기서, PNC는 호스트 단말기(400)이며, DEVn은 슬레이브 단말기(300)이며, 호스트 단말기(400)의 요구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Request(응답)을 전송하여 Processing Time(송수신 시점의 차)를 연산하여 그로부터 거리를 구할 수 있다. Here, the PNC is a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anging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ran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8 is as follows.
먼저, 호스트 단말기(400)가 거리측정을 원하는 슬레이브 단말기(300)로 응답을 요구하는 패킷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시점을 감지한다(S710).First, the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전송된 패킷에서 ID를 확인하여 자신의 ID와 비교하여 해당 패킷 신호가 자신에게 전달된 것인지를 확인한다(S720). The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자신에게 전달된 패킷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정보가 포함된 응답을 호스트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730).The
그러면, 호스트 단말기(400)가 슬레이브 단말기(300)의 응답을 수신하고, 신호의 수신시점을 확인하여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 사이의 전파이동시간을 계산한다(S740).Then, the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파이동시간을 측정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9A and 9B are graphs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propagatio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전파이동시간은 도 9a와 같이, (S710)내지 (S740)단계를 1회에 수행하여 계산되거나, 도 9b와 같이 (S710)내지 (S740)단계를 N회 반복 수행하여 평균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다. Here, the propagation time is calculated by performing steps (S710) to (S740) at once as shown in FIG. 9A, or calculating the average time by performing the steps (S710) to (S740) N times as shown in FIG. 9B. Can be.
후자의 평균시간을 구하는 방법은 반복 수행으로 인하여 평균시간계산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긴 하지만, 전파의 지연시간의 평균이 연산되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latter average time method takes more time to calculate the average time due to the repetition, bu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ccuracy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propagation delay times.
이와 같이, 전파이동시간은 다음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의 수학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은 하나의 펄스 또는 패킷으로 전송시간을 계산한 것이며, 수학식 2는 N개의 펄스 또는 패킷으로 전송시간을 계산한 것이다. As such, the propagation time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or (2).
여기서, 는 슬레이브 단말기(300)가 호스트 단말기(400)의 호출신호 수신 후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는 펄스 지연 시간으로 호스트 단말기(400)에서 슬레이브 단말기(300)로 호출신호를 보내는데 걸리는 시 간, 는 슬레이브 단말기(300)가 호스트 단말기(400)로 응답신호가 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here, Is the time required for the
그 다음으로, 송신시점과 수신시점의 차를 계산하여(S740),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의 거리를 계산한다(S750).N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reception time is calculated (S74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여기서, D는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 C는 전파의 속도, Δt는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 사이의 전파이동시간이다. Here, D is the distance between the
한편, 동일한 주기로 신호를 전송하면 호스트 단말기(400)와 각각의 슬레이브 단말기(300)간의 송수신 전력이 달라진다. 왜냐하면,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송수신 신호의 전송주기는 감소하고, 멀어지면 송수신 신호의 전송주기는 증가하기 때문이다. Meanwhile, when signals are transmitted at the same period, transmission / reception power between the
즉, 도 9a에서와 같이 지정된 호스트 단말기(PNC)와 지정된 슬레이브 단말기(DEVn) 사이의 신호 전송주기 Δt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도 9b에서와 같이 지정된 호스트 단말기 또는 지정된 슬레이브 단말기와 다른 슬레이브 단말기 사이의 신호 전송주기 은 변화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9A, the signal transmission period Δt between the designated host terminal PNC and the designated slave terminal DEVn may be changed. Signal transmission cycle Can change.
따라서, 호스트 단말기(4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의 거리가 먼 경우는 송수신 주기를 짧게 하고, 거리가 가까운 경우는 송수신 주기를 길게 하여 송수신 전 력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방식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pulse period mod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0 is as follows.
먼저, 입력 데이터에 따라 주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N (2 ≤ N)개의 T이상 NT 주기 이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S101).First, N (2? N) T or more NT cycles or less digital signals whose cycles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input data are output (S101).
이때, T는 송수신용 주파수 최대값의 역수 이상 송수신용 주파수 최소값의 역수 이하이다. At this time, 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ciprocal of the maximum frequency of transmission / reception and the reciprocal of the minimum frequency of transmission / reception.
이어서, 펄스 생성을 위한 동기용 디지털 신호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폴링 에지(Falling Edge)를 검출한다(S102). Subsequently, a rising edge or a falling edge of the synchronous digital signal for generating a pulse is detected (S102).
그 다음으로, 펄스의 형상 및 혼합 변조방식을 결정한다(S103).Next, the shape of the pulse and the mixed modulation method are determined (S103).
여기서, 형상은 디지털 신호당 할당되는 상기 펄스의 개수, 주파수, 진폭(Amplitude) 및 파형에 의해서 결정되며, 혼합 변조방식은 순수 펄스 주기 변조인 비혼합형, 펄스 주기 및 펄스 진폭 변조 혼합형 및 펄스 주기 및 위상 변조 혼합형, 펄스 주기 및 주파수 변조 혼합형, 펄스 주기 및 CDMA 변조 혼합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Here, the shap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frequency, amplitude, and waveform of the pulses allocated per digital signal, and the mixed modulation method is a non-mixed, pulse period and pulse amplitude modulation mixed type and pulse period, which are pure pulse period modulation, and Phase modulation mixed, pulse period and frequency modulated mixed, pulse period and CDMA modulated mixed.
그리고,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에 동기하여 결정된 형상 및 혼합 변조방식의 펄스를 생성한다(S104).In operation S104, a pulse having a shape and a mixed modulation method determin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r the falling edge is generated.
이후 수신단은 수신한 펄스 주기 변조 신호를 코히런트, 반 코히런트, 넌 코히런트 방식으로 복조한다. Thereafter, the receiver demodulates the received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 in a coherent, semi-coherent, and non-coherent manner.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 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se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nd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ulse period 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된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2A-2C are waveform diagrams illustrating pulse period modulated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주기 복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3A to 3C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pulse period demod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기법이 사용되는 Ranging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nging system in which a pulse period modulation technique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Ranging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 Ran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anging 시스템의 송수신 패킷 구조도.6 i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cket structure diagram of a ran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anging 시스템에서 호스트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 사이의 레인징 프로세싱을 도시한 도면.7 illustrates ranging processing between a host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in a ran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anging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ran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파이동시간을 측정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9A and 9B are graphs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propagat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주기 변조 방식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흐름도.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pulse period mod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10: 코드 발생기 120: 제어기110: code generator 120: controller
130: 펄스 발생기130: pulse generator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3035A KR100888460B1 (en) | 2007-10-12 | 2007-10-12 | Pulse Period Modulator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3035A KR100888460B1 (en) | 2007-10-12 | 2007-10-12 | Pulse Period Modulator and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8460B1 true KR100888460B1 (en) | 2009-03-11 |
Family
ID=4069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3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8460B1 (en) | 2007-10-12 | 2007-10-12 | Pulse Period Modulator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846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13045A1 (en) | 2003-11-21 | 2005-05-26 | John Santhoff | Bridge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050081275A (en) * | 2004-02-11 | 2005-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ting initial frequency offset in umts system |
KR20050104373A (en) * | 2003-02-18 | 2005-11-02 | 인텔 코오퍼레이션 | System and method of efficiently modulating data using symbols having more than one pulse |
US20070211821A1 (en) | 2006-03-13 | 2007-09-13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Digital transmitter |
-
2007
- 2007-10-12 KR KR1020070103035A patent/KR1008884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4373A (en) * | 2003-02-18 | 2005-11-02 | 인텔 코오퍼레이션 | System and method of efficiently modulating data using symbols having more than one pulse |
US20050113045A1 (en) | 2003-11-21 | 2005-05-26 | John Santhoff | Bridge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050081275A (en) * | 2004-02-11 | 2005-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ting initial frequency offset in umts system |
US20070211821A1 (en) | 2006-03-13 | 2007-09-13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Digital transmit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08681B1 (en) | Backscatter devices including examples of single sideband operation | |
US8073465B2 (en) | Reciever, frequency deviation measuring unit and positioning and ranging system | |
US20120283987A1 (en) | Fmcw distance measuring method and devices | |
US20100040168A1 (en) |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 |
RU2007117711A (en) | METHODS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AND USING INFORMATION THAT MAY BE USE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 |
US8175274B2 (en) | Rang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chaotic UWB wireless communication | |
WO2007094266A1 (en) | Distance measuring system | |
US9001933B2 (en) |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 smart utility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 |
WO2006054405A1 (en) |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
CN112425210A (en) | Multiplexing of wake-up signals | |
US6678312B1 (en) | Method for extending digital receiver sensitivity using analog correlation | |
US20060120441A1 (en) | Receiver | |
CN101106446B (en) | Dual-system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
JP4775747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 |
KR100888460B1 (en) | Pulse Period Modulator and Method | |
US9397870B2 (en) | Signal receiving device for measuring characteristic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nd method of measuring characteristic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 |
US8335288B2 (en) | Communication method,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 |
JP5029922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JP2001077722A (en) |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acquisition method therefor | |
US20120320950A1 (en) | Chirp Communications | |
EP3393050A1 (en) | Wireless receiver | |
US668731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alog mode operations when receiving data and signaling tones in a wireless TDMA system | |
KR20070047628A (en) | Low power consumption ultra wideband transceiver and network system using same | |
JP2590724B2 (en) | Reflection interference wave measuring device | |
JP3873052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