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8179B1 - 광디스크와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와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179B1
KR100888179B1 KR1020010060881A KR20010060881A KR100888179B1 KR 100888179 B1 KR100888179 B1 KR 100888179B1 KR 1020010060881 A KR1020010060881 A KR 1020010060881A KR 20010060881 A KR20010060881 A KR 20010060881A KR 100888179 B1 KR100888179 B1 KR 10088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recording layer
recording
transpa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837A (ko
Inventor
아베신야
하야시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2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1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18Laminated discs
    • G11B7/24027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1Circular sheet or circular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또는 피트를 깊게 형성하지 않고 양호한 푸시 풀 트래킹 신호(push pull tracking signal)가 얻어지는 광디스크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홈이 형성된 기재(基材)(101)에 반사층(102)을 형성한 후, 스핀 코팅법에 의해 기록층(103)을 도포하여, 홈 내부를 매립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재(101)의 기록/재생 광을 입사시키는 측에 얇은 투명 기재(104)를 접합시킨다.

Description

광디스크와 그 제작 방법{OPTICAL DI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광디스크의 홈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2는 종래의 광디스크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광디스크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i)는 실시예 1에 따른 광디스크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j)는 실시예 2에 따른 광디스크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의 반사층이 갖는 섬(island) 형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기재 102 : 반사층
103 : 기록층 104 : 투명 기재
105 : 투명 접착층 106 : 대물 렌즈
201 : 기재 202 : 기록층
203 : 반사층 204 : 기재
205 : 접착층 206 : 대물 렌즈
301 : 기재 302 : 기록층
303 : 반사층 304 : 기재
305 : 접착층 306 : 대물 렌즈
401 : 기재 402 : 반사층
403 : 기록 재료 404 : 기록층
405 : 기재 406 : 방사선 경화형 수지
407 : 투명 접착층 501 : 기재
502 : 반사층 503 : 기록층
504 : 투명 수지층 505 : 반투명 반사층
506 : 투명 커버층 507 : 대물 렌즈
601 : 기재 602 : 반사층
603 : 기록 재료 604 : 기록층
605 : 기재 606 : 방사선 경화형 수지
607 : 반투명 반사층 608 : 투명 커버층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의 광 기록 매체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색소 등을 이용해 기록 할 수 있는 추기형(追記型) 광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컴팩트 디스크(CD)가 보급되어, 광디스크는 중요한 기록 매체로서의 지위를 구축하였다. 또한, 재생 전용뿐만 아니라,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추기형의 디스크로서 CD-R의 보급도 현저하다. 최근에는, 보다 고밀도인 광디스크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져, CD보다도 더 고밀도인 DVD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들 DVD의 규격의 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하고 기록할 수 있는 매체로서, 추기형 광디스크인 DVD-R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이후의 고품위 텔레비전과 같은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신호를 고밀도로 기록하기 위해 더욱 고밀도인 광디스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 추기형 광디스크는, CD-R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주로 유기 색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록 재료를 이용해 왔다. DVD-R의 경우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이하, DVD-R을 예로 들어, 종래의 추기형 광디스크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DVD-R 디스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DVD-R 디스크는 제 1 기재(201)와 제 2 기재(204)가 접착층(205)에 의해 접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제 1 기재(201)는 그 제 1 면(201c)에 홈(groove)(201a)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면(201d)은 경(鏡)면이다. 도 2에서는, 홈(201a)을 가로지르는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제 1 기재(201)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고, 제 1 면(201c)의 형상은 형틀(stamper)로부터 전사되어 있다.
제 1 기재(201)의 제 1 면(201c) 상에는, 유기 색소를 함유하는 기록층(202)과, 반사층(203)이 적층되어 있다. 기록층(202)은 스핀 코팅법에 의해 도포된 것이고, 반사층(203)은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기록층(202) 상에 퇴적된 것이다. 제 1 기재(201)의 홈 내부는 도포된 기록층(202)에 의해서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층(202)의 하지면(제 1 면(201c))이 요철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층(202)의 표면은 거의 평탄하다. 이 때문에, 기록층(202) 상에 퇴적된 반사층(203)의 표면도 거의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기재(204)는, 제 1 기재(201)와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제 2 기재(204)는 기록층(202)과 반사층(203)이 적층된 상태의 제 1 기재(201)에 대하여 접착층(205)을 거쳐서 접착되어 있다.
기록 재생 광은 광헤드 상의 대물 렌즈(206)에서 집광되어, 제 1 기재(201)의 제 2 면 측에서 광디스크로 조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재생 광은 제 1 기재(201)를 투과하여 홈에 조사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광디스크의 다른 종래예를 설명한다.
도 3의 광디스크는 스핀 코팅법 대신에 증착법에 의해서 형성된 유기 색소계 기록층(302)을 갖고 있다. 이 광디스크에서는, 기록층(302)이 증착된 것이기 때문 에, 기록층(302)의 표면은 제 1 기재(301)의 제 1 면(301c)에 형성된 홈 또는 피트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갖고 있고, 그 형상은 반사층(303)의 표면에도 반영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에 대해서도, 기록 재생 광은 제 1 기재(301)의 제 2 면(301d) 측에서 조사된다.
상기한 어느 광디스크의 경우도, 기록 재생 광이 홈을 추종하도록 트래킹 제어가 행해진다. 보통, 그 트래킹 어긋남의 검출은 푸시 풀(push pull)법이 이용하여 행해진다. 푸시 풀법은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홈 방향에 평행한 라인으로 2분할된 디텍터에 집광하여, 좌우의 디텍터로 검출된 광의 강도차를 신호(트래킹 신호)로서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신호는 홈으로부터의 반사광과, 그루브와 그루브의 사이(Land)로부터의 반사광의 위상차에 의해, 기록 재생 광의 집광 스포트가 그루브 또는 랜드의 중심에 있을 때에 0으로 되고, 그 사이에 있을 경우에는, 정 또는 부의 값으로 된다. 기록 재생 광의 파장을 λ라고 하면, k를 0 또는 자연수로서, 그루브와 랜드로부터의 반사광의 위상차의 절대값(단위 : 라디안(radian))이 π(2k+1)/2라 할 때, 트래킹 신호의 진폭은 최대가 된다.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광디스크에서는, 스핀 코팅법에 의해서 기록층(202)이 형성되기 때문에, 기록층(202)의 형성 공정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반사층(203)의 표면을 거의 평탄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홈부를 지나는 반사광과 랜드부를 지나는 반사광의 위상차 δ는 기재(201)의 굴절률을 n1, 기록층(202)의 굴절률을 n2, 홈 깊이를 d1, 홈부와 비홈부 사이에서의 기록층(202)의 표면 단차를 d2라고 하면, δ=4π×((n1-n2)×d1+n2×d2)/λ가 된다.
d2가 작고, 기재(201)의 굴절률 n1과 기록층(202)의 굴절률 n2의 차이가 작은 경우, 충분한 트래킹 신호의 진폭을 얻기 위해서는, 홈 깊이 d1을 깊게 하여, 위상차를 만들어 낼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깊은 홈 또는 피트를 전사시키기 때문에, 기재를 사출 성형할 때에 수지 온도나 금형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공정 시간이 길게 되고, 또한 성형된 기재가 스탬퍼로부터 이형(離型)되기 어렵고, 이형에 따른 얼룩이나 그라운드가 생기기 쉬워져, 생산성이 향상되기 어렵다.
도 3의 광디스크의 경우, 증착에 의해서 기록층(302)이 형성되기 때문에, 반사층(303)이 기재(301)의 홈 형상에 일치되어 형성된다. 그 결과, 위상차 δ는 δ=4π×n1×d1/λ으로 되어, 홈 깊이 d1을 깊게 형성하지 않고도, 충분한 위상차가 얻어져, 양호한 트래킹 신호 진폭이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유기 색소를 함유하는 기록 재료의 증착에 의한 성막은 속도가 느려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어느 광디스크의 경우에도, 홈 또는 피트가 형성된 기재를 통해서 기록 재생 광을 입사시키기 때문에, 홈이나 피트가 형성되는 기재(201), (301)를 높은 정밀도와 양호한 재현성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기재(201), (301)의 두께는 기록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의 기록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록/재생에 이용하는 레이저광의 빔 스팟 직경을 작게 해야 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레이저광의 파장을 짧게 하고, 또한, 높은 NA(Numerical Aperture)값을 갖는 광학계를 채용해야 한다. 그러나, NA값이 크면, 디스크의 경사에 의한 수광차가 커져, 재생 신호가 열화된다. 이러한 수광차를 감소시키는 데는, 기재(201), (301)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재(201), (301)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두께를 얇게 하면서, 홈이나 피트의 형상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도 2 및 도 3의 광디스크에서는, 기록 밀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래킹에 이용되는 홈을 얕게 하여도 충분히 양호한 신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기록 밀도의 향상에 적합한 광디스크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는 오목부가 형성된 면을 갖는 제 1 기재와, 상기 면 상에 마련된 적층 구조를 구비한 광디스크로서, 상기 적층 구조는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면 상에 마련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매립하는 기록층과, 상기 기록층을 덮도록 배치되어, 기록/재생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부재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기재의 평탄 부분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의 표면에서의 단차가 상기 반사층의 표면에서의 단차보다도 작게 되도록 상기 기록층의 표면이 거의 평탄화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도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색소를 함유하는 기록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상기 반사층에 존재하는 개구 부분을 거쳐서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기재의 표면과 접촉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는 기록 광이 조사된 기록층과 반응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섬 형상 구조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방사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기록/재생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2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를 상기 제 1 기재와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가 상기 접착층을 거쳐서 접합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방사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 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반투명 반사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록층에는, 홈 및/또는 피트에 의해 재생 전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보호막이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의 두께는 0.3㎜ 이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의 두께는 1.0∼1.2㎜ 이다. 재생 광의 파장을 λ, 상기 기록층의 굴절률을 n으로 했을 때,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λ/(4×n)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제작 방법은 제 1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과, 제 2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거의 투명한 접착제로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은 (a) 오목부를 갖는 면을 구비한 기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기재의 상기 면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기록층으로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매립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를, 상기 기재의 평탄 부분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기록층을 스핀 코팅법으로 상기 반사층 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은 거의 투명한 기재의 한 면에 피트 및/또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반투명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의 투명한 접착제로서 방사선 경화 수지를 이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 공정 후, 기록층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접합 공정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광디스크 제작 방법은 (a) 오목부를 갖는 면을 구비한 기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기재의 상기 면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기록층으로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매립하는 공정과, (d) 거의 투명한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과, (e) 상기 거의 투명한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를, 상기 반사층 표면의 평탄 부분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기록층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서 상기 반사층 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 공정 후, 상기 거의 투명한 재료를 도 포하는 공정 전에, 피트 또는 홈에 의해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반투명한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의 투명한 재료의 도포를 스핀 코팅법에 의해 행한다.
상기 거의 투명한 재료는 방사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의 투명한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에서는, 상기 거의 투명한 재료에 방사선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에서는, 광디스크의 회전 중심축(1점 쇄선)으로부터 우측 부분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는 트래킹을 위해 스파이럴(spiral) 형상 또는 동심원 형상의 홈(오목부: recess)(101a)이 형성된 면(제 1 면)(101c)을 갖는 제 1 기재(101)와, 제 1 기재(101)에서의 제 1 면(101c) 상에 마련된 적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제 1 기재(101)의 제 1 면(101c)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 2 면(제 1 면과는 반대측의 면)(101d)은 평탄하다. 제 1 면(101c)에는, 홈 이외에 피트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제 1 기재(101)는 폴리 카보네이트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 원반 형상의 기판이다. 제 1 기재(101)의 홈(101a)은 이 사출 성형 시에 형틀로부터 전사된 것이다.
제 1 기재(101)는 기록 재생 광을 투과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제 1 기재(101)는 투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광디스크 장치가 높은 NA값(예컨대, 0.8 이상)의 광학계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제 1 기재(101)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기재(101)의 두께는, 임의이며, 예컨대 0.6∼1.2㎜ 이다.
상기 적층 구조는 반사층(102)과, 반사층(102) 상에 형성된 기록층(103)과, 기록층(103)을 덮도록 배치된 투명 부재(110)를 갖고 있다.
반사층(102)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사층(102)의 두께는, 예컨대, 5∼60㎚이며, 홈(101a)의 내외에서 거의 균일하다. 광디스크의 단면에서의 반사층(102)은 제 1 기재(101)의 제 1 면(101c)의 요철 형상을 반영한 형상을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사층(102)은 완전히 연속한 균일막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원자가 응집된 금속 입자의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공성(porous)이다.
기록층(103)은 유기 색소를 갖는 기록 재료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재(101)의 홈(101a)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매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록 재료는, 예컨대, 시아닌이나 프탈로시안계의 색소를 갖는 재료이다. 기록층(103)을 스핀 코팅법 등의 방법에 의해서 제 1 기재(101)의 제 1 면(101c) 상에 도포하면, 기 록층(103)은 홈(101a)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매립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홈과 홈 사이의 부분(평탄부)(101b)에도 얇게 형성된다. 평탄부(101b)에서의 기록층(103)의 두께는 될 수 있는 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도 1b는 기록층(103)의 단면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b에서, 홈(101a)에서의 기록층(103)의 두께는 「t1」, 평탄부(101b)에서의 두께는 「t2」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101a)의 내부는 기록층(103)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매립되고 있기 때문에, t1은 t2의 1.5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홈의 깊이 d1이 32㎚ 정도일 때, t1은 40㎚ 정도이며, t2는 10㎚ 정도이다. 또, 실제의 홈 폭은 0.1∼0.3㎛ 정도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 나타내어져 있는 홈 깊이와 홈 폭의 관계는 현실의 관계를 정확하게는 나타내지 않는다.
다시, 도 1a를 참조한다.
투명 부재(110)는 기록/재생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 1a의 예에서는, 투명 기재(104)와 투명 접착층(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접착층(1051), 투명 기재(104)를 제 1 기재(101)에 접착하여, 양 기재를 고착한다. 투명 접착층(105)은 한 층이 아니어도 무방하고, 투명 매체이면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별도로 제작한 투명 기재(104)를 접착하는 대신에, 방사선 경화 수지층을 기재(101) 상에 두껍게 형성하여, 그것에 의해 투명 부재(110)를 구성하여도 관계없다.
투명 접착층(105)의 두께는, 예컨대, 5∼50㎛ 정도이며, 투명 기재(104)의 두께는, 예컨대, 0.1∼0.3㎜ 정도이다. 이들의 수치를 고려하면, 도 1a에 나타내 는 홈(101a)의 깊이나 폭은 다른 구성 요소의 크기보다도 크게 과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광디스크 장치의 대물 렌즈(106)를 거쳐서 기록 광이 기록층(103)에 조사된다. 기록 광은 기록층(103)에 열에너지를 부여하여, 기록층(103)의 광학적 특성(예컨대, 유기 색소에 의한 광흡수율)을 변화시킨다. 한편,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 광디스크 장치의 대물 렌즈(106)를 거쳐서 재생 광이 기록층(103)에 조사된다. 기록 광보다 광출력이 작은 재생 광은 기록층(103)의 장소에 따라서 다른 광학적 특성의 차이를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재생 광의 반사율을 검출함으로써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에서는, 기록 재생 광이 기록층(103)에 조사될 때, 기록 재생 광은 표면에 홈이나 피트가 형성된 제 1 기재(101)를 거치지 않고, 제 1 기재(101)에 접착된 투명 기재(104)를 거쳐서 기록층(103)에 조사된다.
또, 광디스크의 「그루브」 및 「랜드」는, 통상, 기록 재생 시의 광헤드(대물 렌즈)에 대한 상대적인 배치 관계에 의해서 규정된다. 도 1a의 광디스크에서는, 대물 렌즈(10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이 「그루브」라고 불리고, 상대적으로 먼 부분이 「랜드」라고 불린다. 즉, 도 1a의 광디스크에서는, 도 2 및 도 3의 광디스크에 대하여, 그루브 및 랜드가 반전되어 있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는, 소위 「랜드 기록형」의 광디스크이다. 그러나, 본원 명세서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엄밀하게는 「랜드」라고 불러야되는 오목 부도 홈(그루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단,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기록층(103)에 의해서 매립되는 홈(101a)을 「오목부(recess)」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기재(101)의 홈(101a)의 깊이 d1은 기록 재생 광의 파장을 λ, 기록층(103)의 굴절률을 n2라고 하면, d1=λ/(8×n2)일 때, 가장 적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650㎚의 적색 레이저이면, d1≒50㎚에서 충분한 푸시 풀 트래킹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파장 405㎚의 청색 레이저이면, d1≒35㎚에서 충분한 푸시 풀 트래킹 신호가 얻어진다.
또, 홈의 깊이 d1은 트래킹 신호 특성의 관점에서 뿐만이 아니라, 기록 신호를 재생했을 때에 양호한 품질이 얻어지도록 해야 하여, 상기 값보다도 깊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d1=λ/(4×n2)에서, 푸시 풀 트래킹 신호가 최소로 되기 때문에, d1을 λ/(4×n2)보다도 얕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층(103)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할 때, 광에너지를 수광한 기록층(103)은 기재(101)의 재료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변질된다. 이러한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반사층(102)이 균일한 막으로 존재하는 것보다도, 반사층(102)에 부분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그 개구부를 거쳐 기재(101)와 기록층(103)을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섬 형상 구조를 갖는 반사층(102)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섬 형상 구조를 가진 반사층(102)은 증착 등의 박막 퇴적 기술을 이용하여 금속막을 얇게 성장시킨 경우에 얻어진다. 단, 금속막이 너무 얇으면, 기록 재생 광의 반사율이 소망하는 레벨을 하회하여, 재생 광의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사층(102)의 바람직한 평 균 두께는 5∼40㎚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진공 증착에 의해 형성한 Au 층의 성장 도중 단계에서의 모폴로지를 나타내고 있고, 투과형 전자 사진에 의한 관찰에 근거하여 제작한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층이 얇을 때(예컨대, 두께 25㎚ 이하일 때)에는, 금속층은 균일하지 않고, 금속 입자가 응집된 섬 형상 구조를 갖고 있다. 금속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금속 입자의 크기가 커져, 인접하는 금속 입자끼리가 서로 접속되므로 연속적으로 균일한 막이 형성된다(도 7(c)).
반사층(102)이 상기한 섬 형상 구조를 갖는 금속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반사층(102)의 평균 두께를 적절한 범위 내로 제어하면, 소망하는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섬 형상 구조의 금속이어도, 이것을 「금속층」 또는 「반사층」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섬 형상 구조의 반사층을 이용함으로써, 기재(101)와 기록층(103) 사이에서 부분적인 접촉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적 접촉 때문에, 기록 광 조사 시의 발열이 기재(101)의 재료와 기록층(103)의 화학적 반응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 화학적 반응에 의해, 홈 폭이나 깊이의 변화(홈의 형상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생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사층(102)이 섬 형상 구조를 갖는 경우, 기록 광 조사 시의 발열에 의해서 반사층(102)의 구조도 변화되어, 광조사부에서의 반사율이 변화된다. 그 결과, 기록광 조사부에서는, 기록층(103)에 마크가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반사 층(102)에 의한 반사율의 변화도 기대할 수 있다. 이것은 기록 마크의 검출 감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층(102)의 재료로서 Au를 이용하고 있지만, 다른 금속이나 합금을 이용하여도 관계없다. 예컨대, AgPdCu 등의 은합금, Al, Ti, Cr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반사층의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101)의 재료로서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를 이용했지만, 기재(101)는 재생 광을 투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망하는 홈 또는 피트를 형성하기 쉬운 재료이면, 투명하지 않은 재료를 이용하여 기재(101)를 제작하여도 관계없다. 한쪽, 기록 재생 광을 입사시키는 측에 위치하는 투명 기재(104)는 기록 재생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료이면, 폴리 카보네이트 이외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접착층(105)으로서 방사선 경화 수지를 이용했지만, 기록층(103)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열경화성 수지나 다른 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홈이나 피트의 형상을 갖는 스탬퍼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원반 형상의 기재(401)를 제작한다(도 4(a)). 그 다음, 기재(401)의 홈 또는 피트가 전사된 면 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서 금박막을 퇴적시켜, 반사층(402)을 형성한다(도 4(b)).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401)의 내주 부분에 기 록 재료(403)를 적하한 후, 기재(401)를 고속(예컨대, 300∼2000rpm)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층(404)을 형성한다(도 4(d)). 도포된 기록층(404)은 기재(401)의 표면에 형성된 홈 내부를 매립하여, 기록층(404)의 표면은 거의 평탄하게 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 1 기판을 제작한다.
한편, 도 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한 면이 경면의 제 2 기판(제 2 기재)(405)을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한다. 이 때, 제 2 기재(405)의 두께는 재생 광의 수광차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기재(405)의 두께는 0.3㎜ 이하(예컨대, 0.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이하의 얇은 제 2 기재(405)는 사출 성형법 이외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0.3㎜ 이하의 소망 두께를 갖는 투명 시트로부터 제 2 기재(405)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기재(405)의 바람직한 두께는, 광디스크 장치에 이용하는 광학계의 NA값에 따라서 다르다. 기록 재생 광의 파장이, 예컨대, 405㎚ 정도, 광학계의 NA가 0.85 정도일 경우, 디스크의 경사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광차를 작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제 2 기재(405)의 두께는 0.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1㎜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제 2 기재(405)에는, 홈이나 피트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 성형이나 또는 그 밖의 방법에 의해서도 높은 정밀도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의 기록층(404)이 형성된 면의 내주부에, 방사선 경화형 수지(406)로서 아크릴계 방사선 경화 수지를 적하한 후, 방 사성 경화형 수지(406) 상에 제 2 기판(405)을 중첩시킨다. 이 때, 제 2 기판(405)의 한 면이 경면이 아닌 경우, 그 비경면이 제 1 기판과 대향하도록 중첩시킨다.
그 후, 도 4(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재(401)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균일한 방사선 경화 수지(406)의 층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4(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선 경화형 수지(406)를 자외선 램프에 의해서 경화시켜, 투명 접착층(407)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도 4(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재(405) 측에서 기록 재생할 수 있는 광디스크가 제작된다.
제 2 기재(405)를 제작할 때, 제 2 기재(405)의 한 면에 피트 등을 전사한 정보 기록층(재생 전용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AgPdCu 합금 등으로 반투명 반사층을 마련하면, 추기형 정보 기록층과 재생 전용층의 양 기록층을 갖는 2층형 광디스크가 얻어진다.
또, 기록층(404)이 형성된 제 1 기판 상에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해서 방사선 경화 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이 수지를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그것에 의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후, 제 2 기재(405)와 접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보호층을 두텁게 형성하면, 제 2 기재(405)를 접착시키지 않고, 소망하는 광디스크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광디스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는 홈이 형성된 면(제 1 면)을 갖는 제 1 기재(501)와, 제 1 기재(501)에서의 제 1 면 상에 마련된 적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제 1 기재(501)의 제 2 면(제 1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홈이나 피트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 1 기재(501)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폴리 카보네이트 재료로 형성된 원반 형상의 기판이다. 제 1 기재(501)는 투명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적층 구조는 반사층(502)과, 반사층(502) 상에 형성된 기록층(503)과, 기록층(503)을 덮도록 배치된 투명 부재를 갖고 있다. 기재(501), 반사층(502), 및 기록층(503)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기재(101), 반사층(102) 및 기록층(103)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투명 부재는 기록/재생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 5의 예에서는, 방사선 경화 수지층(504)과, 피트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반투명 반사층(505)과, 기록 재생 광을 입사시키는 투명 커버층(506)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있다. 예컨대, 방사선 경화 수지층(504)의 두께는 10∼30㎛이며, 반투명 반사층(505)의 두께는 5∼20㎛, 투명 커버층(506)의 두께는 0.1∼0.2㎜이다. 재생 시의 판독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투명 커버층(506)은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대물 렌즈(507)를 통해서, 기록층(503)에 정보를 추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투명 반사층(505)의 재생 전용 정보 및 기록층(503)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방사선 경화 수지층(504) 및 투명 커버층(506)은 기록 재생 광에 대하여 투명한 재료이면, 방사선 경화 수지 이외의 수지로 형성되어도 관계없고, 또한, 다층막이어도 관계없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홈의 요철 형상을 갖는 스탬퍼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원반 형상의 제 1 기재(601)를 제작한다(도 6(a)). 그 다음에, 제 1 기재(601)의 홈 또는 피트가 전사된 면 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서 금 박막을 퇴적시켜, 반사층(602)을 형성한다(도 6(b)).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재(601)의 내주 부분에 기록 재료(603)를 적하한 후, 제 1 기재(601)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층(604)을 형성한다(도 6(d)).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 1 기판을 제작한다.
한편, 도 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에 의해서 한 면에 피트에 의해 정보가 기록된 제 2 기판(제 2 기재)(605)을 제작한다. 피트의 배열이 재생 전용의 기록 정보를 반영하고 있다.
다음에, 도 6(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재(601)의 기록층(604)이 형성된 면의 내주에, 방사선 경화형 수지(606)로서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 수지를 적하한 후, 제 2 기재(605)의 피트 전사면 측과 기록층(604)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킨다. 그리고, 제 1 기재(601)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균일한 방사선 경화 수지의 층을 형성한 후, 자외선 램프에 의해 경화시켜, 투명 접착층을 형성한다(도 6(g)).
다음에, 도 6(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재(605)를 박리함으로써, 투명 접착층의 표면에 제 2 기재(605)의 피트가 전사되어 형성된다. 제 2 기재(605)의 박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미리 제 2 기재(605)의 표면을 박리하기 쉬운 재료로 코팅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접착층 상에 금속, 예컨대 AgPdCu 합금에 의한 반투명 반사층(607)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한다(도 6(i)). 또한, 방사선 경화 수지를 스핀 코팅한 후, 이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투명 커버층(두께 0.05∼0.2㎛)(608)을 형성한다(도 6(j)). 투명 커버층(608)은 폴리 카보네이트 등의 거의 투명한 재료 기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거의 투명한 재료 기재는 방사선 경화 수지에 의해 제 1 기판에 접착된다.
상기한 방법을 채용하는 대신에, 기록층(604)이 형성된 제 1 기판(601)에, 방사선 경화 수지를 스핀 코팅법 등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보호층을 형성한 후, 제 2 기재(605)와 접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제 1 기재에 형성한 홈의 형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홈은 디스크 상에서 사행(wobble)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홈의 사행(wobbling)에 근거하여 클럭 신호나 어드레스 정보 등을 재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에 따르면, 트래킹에 이용되는 기재의 홈이 얕은 경우에 도, 양호한 푸시 풀 트래킹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홈을 얕게 할 수 있어, 홈이 있는 기재를 두텁게 하여도 기록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밀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디스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30)

  1. 오목부가 형성된 면을 갖는 제 1 기재와, 상기 면 상에 마련된 적층 구조를 구비한 광디스크로서,
    상기 적층 구조는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면 상에 마련된 반사층과,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매립하는 기록층과,
    상기 기록층을 덮도록 배치되어, 기록/재생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오목부의 저부(底部)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기재의 평탄 부분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인
    광디스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의 표면에서의 단차(段差)가 상기 반사층의 표면에서의 단차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기록층의 표면이 평탄화되어 있는 광디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도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색소를 함유하는 기록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은 상기 반사층에 존재하는 개구 부분을 거쳐서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기재의 표면과 접촉되어 있는 광디스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는 기록 광이 조사된 기록층과 반응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섬(island) 형상 구조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방사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11.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기록/재생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제 2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를 상기 제 1 기재와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가 상기 접착층을 거쳐 접합되어 있는
    광디스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방사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반투명 반사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고 있는 광디스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록층에는, 홈 및/또는 피트에 의해서 재생 전용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보호막이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광디스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의 두께는 0.3㎜ 이하인 광디스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의 두께는 1.0 내지 1.2㎜인 광디스크.
  18. 제 1 항에 있어서,
    재생 광의 파장을 λ, 상기 기록층의 굴절률을 n으로 했을 때,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λ/(4×n) 이하인 광디스크.
  19. 제 1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과, 제 2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은
    (a) 오목부를 갖는 면을 구비한 기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기재의 상기 면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기록층에 의해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매립하는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의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를, 상기 기재의 평탄 부분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기록층을 스핀 코팅법으로 상기 반사층 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은
    투명한 기재의 한 면에 피트 및/또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반투명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접착제로서 방사선 경화 수지를 이용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도포 공정 후, 기록층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접합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5. (a) 오목부를 갖는 면을 구비한 기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b) 상기 기재의 상기 면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기록층에 의해 상기 오목부의 내부를 매립하는 공정과,
    (d) 투명한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과,
    (e) 상기 투명한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층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의 상기 기록층의 두께를, 상기 반사층 표면의 평탄 부분에서의 상기 기록층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6. 삭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상기 기록층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상기 반사층 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공정 후, 상기 투명한 재료를 도포하는 공정 전에, 피트 또는 홈에 의해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반투명한 반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재료의 도포를 스핀 코팅법에 의해 실행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재료는 방사선 경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한 재료를 경화시키는 공정에서는, 상기 투명한 재료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광디스크 제작 방법.
KR1020010060881A 2000-09-29 2001-09-29 광디스크와 그 제작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88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0053 2000-09-29
JP2000300053 2000-09-29
JPJP-P-2001-00225009 2001-07-25
JP2001225009 2001-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837A KR20020025837A (ko) 2002-04-04
KR100888179B1 true KR100888179B1 (ko) 2009-03-10

Family

ID=2660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8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8179B1 (ko) 2000-09-29 2001-09-29 광디스크와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35432B2 (ko)
EP (1) EP1193700B1 (ko)
JP (1) JP2003109246A (ko)
KR (1) KR100888179B1 (ko)
CN (1) CN1224025C (ko)
DE (1) DE60127063T2 (ko)
TW (1) TWI2378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66263A (zh) 2002-07-10 2005-09-07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介质以及信息记录装置
EP1615214A4 (en) * 2003-04-14 2008-07-23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 REPLAYING METHOD THEREFOR
US20070105253A1 (en) * 2003-05-14 2007-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producing a plurality of bodies
EP1647013B1 (en) * 2003-07-11 2012-05-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able optical record carrier
EP2207175A3 (en) 2004-05-11 2010-12-01 Panasonic Corporation Wobbl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EP1768115B1 (en) 2004-07-12 2010-11-17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tegrated circuit, recording/reproduc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100766764B1 (ko) * 2004-07-16 2007-10-17 미츠비시 가가쿠 메디아 가부시키가이샤 광기록 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광기록 방법
US20060067202A1 (en) * 2004-09-17 2006-03-30 Tohru Yashiro Optical recording medium, its 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thod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6114200A (ja) * 2004-09-17 2006-04-27 Ricoh Co Ltd 光記録媒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
US20090290255A1 (en) * 2005-11-11 2009-11-26 Showa Denko K.K.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recording media, magnetic recording media and magnetic read/write device
JP4462294B2 (ja) * 2007-06-05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693A (ja) * 1993-09-22 1995-06-02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
JPH0963120A (ja) * 1995-08-25 1997-03-07 Sony Corp 光学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9750A (en) * 1981-04-30 1982-11-16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disc structure
GB9017266D0 (en) * 1990-08-07 1990-09-19 Ici Plc Optical recording elements
JP2596474B2 (ja) 1991-03-18 1997-04-02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
JPH06150385A (ja) * 1992-11-10 1994-05-31 Pioneer Electron Corp 光記録媒体
KR100209819B1 (ko) 1993-10-18 1999-07-15 사또 아끼오 광기록매체, 광기록매체의 표면에 프린팅하는 방법및 자외선경화형잉크
JPH07137448A (ja) 1993-11-15 1995-05-30 Pioneer Electron Corp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04969A (en) * 1995-07-07 1999-05-18 Hitachi Maxell, Ltd. Optical data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972459A (en) * 1997-04-25 1999-10-26 Sony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disk apparatus
JPH10302310A (ja) 1997-04-25 1998-11-13 Sony Corp 光学記録媒体及び光学ディスク装置
JP4111666B2 (ja) * 2000-09-21 2008-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4076739B2 (ja) * 2001-06-13 2008-04-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693A (ja) * 1993-09-22 1995-06-02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
JPH0963120A (ja) * 1995-08-25 1997-03-07 Sony Corp 光学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4408A1 (en) 2002-10-18
CN1224025C (zh) 2005-10-19
DE60127063T2 (de) 2007-06-21
US20020039346A1 (en) 2002-04-04
DE60127063D1 (de) 2007-04-19
EP1193700A2 (en) 2002-04-03
US6835432B2 (en) 2004-12-28
TWI237821B (en) 2005-08-11
EP1193700B1 (en) 2007-03-07
KR20020025837A (ko) 2002-04-04
EP1193700A3 (en) 2005-07-06
JP2003109246A (ja) 2003-04-11
CN1347106A (zh) 200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179B1 (ko) 광디스크와 그 제작 방법
JP4080741B2 (ja) 多層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光記録媒体
US7910191B1 (en) Method for forming light-transmitting cover layer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US6721265B1 (en) High-density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 substrate and a stamper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7619962B2 (en) Optical disc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110096655A1 (en) Forming light-transmitting cover layer for recording medium
WO2003003361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JP2002150611A (ja) 多層光ディスク、多層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4187369B2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の記録再生方法
US20090123876A1 (en) Optical disc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50073943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053974B2 (ja) 光記録媒体
JP2002015460A (ja) 光情報記録媒体
JP4083667B2 (ja) 光記録媒体
US20050074577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CN100397516C (zh) 光盘及其制造方法
JP2006147072A (ja) 光ディスク
US20070206487A1 (en) Optical disc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4005836A (ja) 多層の相変化型光情報記録媒体及び多層の相変化型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11328738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8186509A (ja) 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8344A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20050073942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018980A (ja) 光ディ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8343A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6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1215

Appeal identifier: 2008101001560

Request date: 2008022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9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7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2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91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710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27

Effective date: 2008121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121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227

Decision date: 20081215

Appeal identifier: 200810100156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8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