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5564B1 -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564B1
KR100885564B1 KR1020070000360A KR20070000360A KR100885564B1 KR 100885564 B1 KR100885564 B1 KR 100885564B1 KR 1020070000360 A KR1020070000360 A KR 1020070000360A KR 20070000360 A KR20070000360 A KR 20070000360A KR 100885564 B1 KR100885564 B1 KR 100885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oking appliance
user
mode
ligh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686A (ko
Inventor
신동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5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6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8Illumination for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4Aspects relating to lighting devices in the microwave 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7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케이스 및/또는 도어에 설치되어 그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조명부에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제공되는 조명부에 의해서 조리기기의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알 수 있고, 사용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사광의 색상은 다양하게 가능하고, 출사광의 방향도 다양하게 가능하고, 출사광의 방향도 조절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사용용도를 더욱 증대하여 결국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리기기, 조명

Description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for a coo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서 출사광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 조명부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캐비티 3 : 도어
4 : 컨트롤 패널 5 : 조명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1-0018757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에 조명장치가 부설되어 조리기기의 상태를 더욱 편리하게 인식가능하도록 하는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로서 실내의 부엌에 주로 설치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조리하는 기능 뿐 아니라, 조리기기의 주변부에 조명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조리기기를 사용하도록 하거나, 부엌 공간의 전체적인 조명이 수행되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조리기기는 후드 또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적용된 바가 있는데,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1-0018757등에는 조명이 수행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한 바가 있다. 상기 인용문헌에 따르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하측의 넓은 공간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조명부에 의해서 가스렌지 또는 오븐등과 같이 그 하방에 있는 조리기기를 비춰서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필요한 조명의 기능만이 수행될 뿐, 그 외의 다른 기능은 제공된 바가 없다.
또한, 일반적인 가스렌지 또는 오븐등과 같이 단품으로 사용되는 조리기기에서 사용자에게 문자 또는 도안으로 표시되는 정보창이 제공되는 경우는 있으나, 그러한 조명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특정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에 대해서는 생각된 바가 없다.
본원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조리기기에 제공되는 조명부에 의해서 조리기기의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알 수 있고, 사용자의 심리적인 안 정감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명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부엌공간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주부에게, 빛을 이용한 심리적인 치료 효과를 줄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명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도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그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조명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조명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조명부에는 색상이 다른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의 빛이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조명장치는, 조리기기의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구성으로서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방사된 빛이 통과되는 투명 또는 반 투명의 플레이트; 및 상기 조명부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명장치는, 조리기기의 외부로 빛을 방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의한 빛의 방사방향을 조절하는 광 가이드; 및 상기 조명부의 발광상태 및 상기 광 가이드의 방향을 조절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조리기기의 동작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신속하게 알 수 있고, 주부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심미감이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리기기로는 오븐이 예시되어 있고, 상기 오븐은, 오븐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오븐의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캐비티(2)와, 상기 캐비티(2)의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3)와, 상기 도어(3)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컨트롤 패널(4)이 포함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오븐에만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부엌에 제공되는 다양한 조리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어(3)에는 빛이 출사되는 조명부(5)가 제공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4)에도 조명부(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5)는 빛이 발광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색상의 빛이, 빛의 밝기와, 빛의 색상과, 빛의 출사방향이 조절되면서 빛이 발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부(5)에서 출사되는 빛은 다양한 양상으로 조절되면서, 사용자가 바라는 다양한 모드로 운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치료모드, 식사모드, 다이어트모드, 취침모드, 경고모드, 운전모드, 조명모드등이 있을 수 있고, 이와 같은 모드는 상기 컨트롤 패널(4)에 제공되는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명부(5)에 의해서 구현이 가능한 다양한 모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광 치료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그 마음을 누그러뜨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조명부(5)에서 파랑색이 광이 출사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파랑색은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히는데 적합한 색상으로서 혈압을 낮추고 시신경의 피로를 회복시키며, 알레르기나 상처 회복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광 치료모드에서는 혼잡스러운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광의 방향은 조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빛의 밝기는 다음을 가라앉히기 위하여 약하게 낮은 것이 좋다.
상기 식사모드에서는 노랑색 또는 빨간색 또는 노란색 및 빨간색이 주기적으로 출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노란색은, 밝고 부드러우며 명랑한 색으로서 식욕을 촉진시키고, 대뇌를 자극해서 신경을 활성화시켜 마음이 밝아진다. 그러므로, 주로 실내공간의 북쪽에 위치하는 주방의 환경을 정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식사를 할 때에는 노란색의 광을 출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락감을 증진할 수 있다. 나아가서, 연한 노란색은 안락하고 편안한 느낌을 더욱 증진시켜 준다. 또한, 빨간색은, 활력을 불어넣고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노란색과 더불어 식욕을 불러일으키는 컬러다. 그러므로, 식사를 할 때에는 상기 노란색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식사 시에 사용자에게 활력을 주기 위하여 상기 출사광의 방향은 일정주기로 각도가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의 세기는 사용자에 의해서 느껴지는 느낌을 강렬하게 하기 위하여 세기를 세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다이어트 모드에서는 보라색 광이 출사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라색은, 귀족적이고 우아한 느낌을 주는 색으로서, 식욕을 저하시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다이어트 모드에서는 보라색이 출사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식사량이 줄어들게 되어서, 조리기기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이어트 모드에서는 기분이 가라앉는 느낌을 주기 위하여, 조명광의 세기는 좀 낮추고, 광의 출사방향은 다 방향으로 하지 않고 일 방향만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취침모드에서는 초록색이 출사되는 것이 좋다. 상기 초록색은, 신경과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키고, 모세혈관을 넓혀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는 색상이기 때문이다. 상기 취침모드에서는 조용한 분위기를 창출하기 위하여 출사광이 일 방향만을 향하거나 긴 주기로 천천히 출사광이 이동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취침모드이므로 출사광의 세기는 약한 것이 좋다. 상기되는 취침모드는 원룸과 같이 부엌과 취침방이 함께 붙어 있는 장소에서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5)로부터의 출사광의 색상에 많이 의존하는 모드가 수행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명장치는, 색상에 의존하지 않는 다른 모드도 수행이 가능하다.
먼저, 경고모드가 수행가능하다. 상기 경고모드는 조리가 종료되어서 사용자에게 이를 편안하기 알리기 위하여 색상과는 무관하에 빛이 점멸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경고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주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색의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운전모드가 수행가능하다. 상기 운전모드는 조리기기가 운전 중으로서 사용자가 접근하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 이를 강렬한 빛으로 알릴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조명부(5)가 일직선으로 길게 나열되어 제공되는 경우에는, 남아 있는 조리시간을 온 되어 있는 조명부의 전체 길이를 이용하여 이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점멸되는 주기를 이용하여 점멸이 일어나는 주기를 조리기기의 운전이 완료되는 때에는 완전히 꺼지도록 하고, 조리가 시작되는 때에는 점멸되는 시간을 길게 해서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남아 있는 운전 시간을 확인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기기가 운전 중인 사실이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모드가 가능하다. 상기 조명모드는 특정의 위치를 강한 출사광으로 조사하여, 이를 이용하여 책을 읽거나 요리를 하거나 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도, 출사광의 출사방향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감은 한층 더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내부에 장착되는 조명부(5)에 의해서 다양한 모드가 수행가능한데, 이는 출사광의 색상, 출사광의 방향, 출사광의 세기에 의해서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기기에서 출사광의 색상, 방향 및 세기가 조절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3)의 최외측에 제공되어 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투광 플레이트(90)와, 상기 투광 플레이트(90)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광부(52)와, 상기 발광부(52)가 지지되는 기판(51)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52)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출사광 조절장치가 더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부(52)와 상기 투광 플레이트(90)의 사이에 개입되는 제 1 리브(54) 및 제 2 리브(56)와, 상기 리브(54)(56)에 지지되는 광 가이드(53), 상기 광가이드의 방향을 조절하는 모터(56)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출사광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모터에 의해서 상기 제 2 리브(55)는 좌우로 병진운동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 1 리브(54)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광 가이드(53)의 회전을 지지하는 작용만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부(52)에서 출사된 광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상기 광 가이드(53)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방향을 위주로 빛이 출사된다.
도 3에는 상기 출사광 조절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 가이드(53)는, 모터(56)의 끝단부에 제공되는 피니언(59)과, 상기 피니언(59)에 맞물리는, 상기 제 2 리브(55)에 형성되는 랙(57)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좌우로 병진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56)는 양방향 회전모터이고, 상기 양방향 회전모터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 2 리브(55)는 좌우방향으로 병진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리브(55)가 좌우방향으로 병진운동하면, 상기 광 가이드(53)의 앞쪽 부분은 상기 지지축(58)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제 2 리브(55)와 마찬가지로 좌우방향으로 병진운동한다. 이는 상기 광 가이드(53)의 측면에서는 후방의 부분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의 범위 내에서 주기적을 회전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발광부의 출사광의 진행방향이 조절될 수 있 다.
한편, 상기 발광부(52)에는 각각의 구성에 적녹청 삼색의 빛이 출사될 수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어느 하나의 발광부(52)에 의해서는 모든 색상이 구현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판(51)에 놓이는 어느 하나의 발광모듈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71), 녹색 발광 다이오드(72),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73)가 전부 제공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뿐 아니라, 도 5에 제시되어 있듯이, 상기 기판(51)에 직접적으로 적색 발광 다이오드(71), 녹색 발광 다이오드(72),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73)가 놓이고, 개별적인 발광 다이오드로 전원을 인가하는 와이어(74)가 제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기판 실장형 발광 다이오드라고 이름한다.
상기 도 4 및 도 5의 어느 형태라도 모든 색상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고, 이것 외에 다양한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성도 가능한 일이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발광부에 의해서 모든 색상이 구현가능하게 되어서, 색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진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전류의 양이 조절되면 빛의 세기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 발광부(5)에 의해서는 빛의 세기, 빛의 색상, 빛의 방향을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5)는 일방향으로 길게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와, 사용자의 지시사항이 입력되는 조작부(82)와, 조리기기의 가열동작을 수행하는 가열부(83)와, 조리기기의 조명장치에서 광의 발광, 광의 색상, 및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광 제어부(84)와, 출사광의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85)가 포함된다. 상기 가열부(83)에 제공되는 히터에는, 마그네트론에 의한 전자가열방식, 복사 히터에 의한 복사가열방식, 열풍에 의한 대류가열방식등의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전자가열방식으로 동작되는 전자레인지의 경우에는 발광부에 미치는 열부하가 작아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먼저 상기 조작부(82)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상기 광 제어부(84) 및 구동부(85)를 제어하여 자신이 원하는데로, 출사광의 세기, 색상,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사광의 세기, 색상, 및 방향은 상기 다양한 모드에 의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되는 지에 대하여는 이미 설명이 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시한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되는 출사광 조절장치는 모든 광 가이드(53)가 동일한 한 방향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각각의 광 가이드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광을 출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출사광의 방향을 보다 다양한 경우의 수로 조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더욱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가이드(53)로 입사되는 빛은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반사되는 광과 출사되는 광이 적절히 혼합됨으로써, 보다 은은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투광 플레이트(90)는 빛이 완전히 투과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여서, 반투명의 플레이트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은은한 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플레이트는 반투명으로 하고, 상기 광 가이드의 표면이 난반사면이 되도록 하여, 상기 광 가이드의 표면에서 난반사되는 빛이 조리기기의 외부로 출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빛이 더욱 은은해 지고, 사용자는 더욱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조명부에 의해서 출사광의 색상, 세기, 및 방향이 전체적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출사광의 색상이 조절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출사광의 세기 및 방향은 필수적으로 제공되지 아니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재료비가 절감되면서도, 어느 정도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출사광의 세기 및 방향도 조절됨으로써, 편리성이 증진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전용시킴으로써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제공되는 조명부에 의해서 조리기기의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알 수 있고, 사용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사광의 색상은 다양하게 가능하고, 출사광의 방향도 다양하게 가능하고, 출사광의 방향도 조절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사용용도를 더욱 증대하여 결국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조리기기의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구성으로서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의 외측에 제공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방사된 빛이 통과되는 투명 또는 반 투명의 플레이트; 및
    상기 조명부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조리기기가 운전 중일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운전모드,
    식욕을 증진하는 식사모드,
    사용자가 식사량을 줄이도록 하는 다이어트 모드, 및
    조리기기의 경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되어 발광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
  6. 조리기기의 외부로 빛을 방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의한 빛의 방사방향을 조절하는 광 가이드; 및
    상기 조명부의 발광상태 및 상기 광 가이드의 방향을 조절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조리기기가 운전 중일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운전모드,
    식욕을 증진하는 식사모드,
    사용자가 식사량을 줄이도록 하는 다이어트 모드, 및
    조리기기의 경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에서는 사용자의 식욕을 증진하기 위하여, 노란색 또는 빨간색의 광이 출사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에서는 사용자의 식욕을 억제시키기 위한 보라색의 광이 출사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운전이 종료된 경우에 그 발광상태가 변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고모드로 동작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리기기가 운전 중일 때에는 점진적으로 그 발광 상태가 변하여, 상기 조리기기가 운전 중인 것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운전모드로 동작되는 조리기기의 조명장치.
KR1020070000360A 2007-01-02 2007-01-02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KR100885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60A KR100885564B1 (ko) 2007-01-02 2007-01-02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60A KR100885564B1 (ko) 2007-01-02 2007-01-02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86A KR20080063686A (ko) 2008-07-07
KR100885564B1 true KR100885564B1 (ko) 2009-02-25

Family

ID=3981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360A KR100885564B1 (ko) 2007-01-02 2007-01-02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1890A1 (en) 2017-06-28 2019-01-02 LG Electronics Inc. Light emitting device in door for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cance including the same
KR20190116804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젬 식욕조절 스마트 조명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368U (ko) * 1997-06-19 1999-01-15 배순훈 조명램프가 설치된 전자렌지
KR20050030695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이모시스텍 심리 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368U (ko) * 1997-06-19 1999-01-15 배순훈 조명램프가 설치된 전자렌지
KR20050030695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이모시스텍 심리 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1890A1 (en) 2017-06-28 2019-01-02 LG Electronics Inc. Light emitting device in door for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cance including the same
EP3805644A1 (en) 2017-06-28 2021-04-14 LG Electronics Inc. Light emitting device in door for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20190116804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젬 식욕조절 스마트 조명등
KR102114775B1 (ko) * 2018-04-05 2020-05-25 주식회사 젬 식욕조절 스마트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86A (ko) 200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568B1 (en) Control device for kitchen appliance
KR20080029728A (ko)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294752A1 (en)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display unit
CN101331361A (zh) 厨房家用器具
KR20150060066A (ko) 공기 조화기
JP3945426B2 (ja) 加熱調理器
KR100885564B1 (ko)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KR20130101128A (ko) 가열 조리기
JP3845006B2 (ja) 加熱調理器
CN116437521B (zh) 一种壁挂灯及控制方法
JP2006017390A (ja) 加熱調理器
CN106123053A (zh) 电磁炉
JP5833458B2 (ja) 加熱調理器
CN206596958U (zh) 一种烤箱
EP2307808B1 (en) Kitchen oven
JP4896638B2 (ja) ビルトインタイプの加熱調理器
JP2003077633A (ja) 電熱装置
CN205939296U (zh) 电磁炉
CN111829021B (zh) 标度盘以及具备该标度盘的加热烹饪器
JP7170827B2 (ja) 炊飯器
KR100747777B1 (ko) 주방의 건강 조명장치
CN116322444A (zh) 带有输出单元的烹饪器具和操作该烹饪器具的方法
JP6530973B2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20090104216A (ko) 피부 미용 기능을 갖는 엘이디 스탠드
CN107049049A (zh) 一种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1023

Appeal identifier: 2008101004259

Request date: 2008051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1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115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513

Effective date: 200810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10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513

Decision date: 20081023

Appeal identifier: 2008101004259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