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5114B1 - 버킷 개폐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버킷 개폐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114B1
KR100885114B1 KR1020020063614A KR20020063614A KR100885114B1 KR 100885114 B1 KR100885114 B1 KR 100885114B1 KR 1020020063614 A KR1020020063614 A KR 1020020063614A KR 20020063614 A KR20020063614 A KR 20020063614A KR 100885114 B1 KR100885114 B1 KR 10088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bucket
unloader
confi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954A (ko
Inventor
조칠성
조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1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2Bucket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및 광석 등의 원료하역에 사용되는 언로더 버킷의 개폐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킷의 개폐상태를 원거리의 운전실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헤드를 형성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언로더 버킷의 로우시브박스에 고정 및 설치되어 상기 로우시브박스와 일체로 승강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상기 언로더 버킷의 헤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상태에 따라 그 개/폐 상태를 원거리의 운전실에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개폐 확인수단을 포함하는 버킷 개폐 확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중에 낙광 발생에 따른 원료유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하역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한다.
Figure R1020020063614
언로더, 클램셸 버킷, 클로징, 석탄, 광석

Description

버킷 개폐 확인장치{Apparatus for confirming opening and closing of bucket}
도 1은 일반적인 하역작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언로더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언로더 버킷과 트로리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상기 도 2의 언로더 버킷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개폐 확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개폐 확인장치에서, 상기 개폐 확인수단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커버를 생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버킷 개폐 확인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버킷 개폐 확인장치의 커버를 생략하여 도시한 정면도와, 상기 정면도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킷 개폐 확인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붐 거더 2 : 언로더 버킷
3 : 트로리 4 : 크로즈 와이어 로프
5 : 홀드 와이어 로프 6 : 버킷 헤드부
7 : 로우 시브 박스 8 : 에지부
10 : 스트라이커 11, 27a : 헤드
20 : 개폐 확인수단 21 : 커버
21a : 확인창 22 : 개폐 확인판
22a : 폐쇄 확인부 22b : 개방 확인부
22c, 24b : 볼트홀 23 : 확인판 가이드 롤러
23a, 25a : 고정 브라켓 24 : 확인판 고정대
24a : 연결 고리 25 : 고정링
26 : 완충 스프링 27 : 터치바 지지봉
28 : 회전바 28a : 와이어 고정휠
28b : 회전바 작동레버 28c : 회전축
29 : 와이어 안내시브 30 : 와이어
31 : 장력 스프링 32 : 스프링 고정대
32a : 스프링 연결홀
본 발명은 석탄 및 광석 등의 원료하역에 사용되는 언로더 버킷의 개폐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의 헤드부에 버킷의 개폐동작에 따라 표시를 달리하는 개폐 확인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개폐 확인수단을 통해 버킷의 개폐 상태를 원거리의 운전실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킷 개폐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하역에 사용되는 언로더의 버킷(2)은 도 1의 전체 구성도 및 도 2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원의 조작상태에 따라 붐 가더(1)에서 트로리(3)가 움직이는 위치에 고정되고, 그 고정된 위치에서 다시 운전원의 조작상태에 따라 해당 원료 홀더 내의 광물 또는 곡물의 원료 하역작업에 사용된다.
이러한 원료 하역작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원이 운전레버로 홀드 와이어 로프(5)와 크로스 와이어 로프(4)를 조작하여 언로더 버킷(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원료를 채집하기 위해 언로더 버킷(2)을 개방하게 되면 언로더 버킷(2)의 로우 시브 박스(7)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헤드부(6)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반대로 언로더 버킷(2)을 폐쇄하게 되면 언로더 버킷(2)의 로우 시브 박스(7)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헤드부(6)에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언로더 버킷(2)은 그 특성상 언로더의 운전실(미도시됨)에서는 그 폐쇄상태를 자세히 확인할 수 없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더 버킷(2)의 폐쇄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언로더 버킷(2)의 에지부(8)를 통해 낙광이 발생되어 그로인한 원료의 유실이 있었고, 또한 환경오염은 물론, 설비의 손상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운전자가 언로더 버킷(2)을 저속 운전하여 운전실의 측면으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언로더 버킷(2)의 에지부(8)가 폐쇄되었는지를 확인하며, 그 확인 결과, 언로더 버킷(2)의 에지부(8)가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언로더 버킷 폐쇄동작을 반복하여 완전하게 폐쇄시킨 후에 원하는 장소로 언로더 버킷을 이동시켰으나, 이러한 종래의 언로더 버킷 반복 폐쇄동작은 하역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언로더 버킷이 폐쇄되거나 개방될 때 언로더 버킷의 로우 시브 박스가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언로더 버킷 헤드부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운전실 가까이로 언로더 버킷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언로더 버킷의 완전한 개폐 상태를 운전실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버킷 개폐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킷 클로징 확인 장치는, 언로더 버킷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헤드를 형성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언로더 버킷의 로우시브박스에 고정 및 설치되어 상기 로우시브박스와 일체로 승강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상기 언로더 버킷의 헤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상태에 따라 그 개/폐 상 태를 원거리의 운전실에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개폐 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버킷 개폐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버킷 개폐 확인장치에서, 특히 상기 개폐 확인수단이,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확인을 위한 확인창을 형성하고, 상기 확인창 하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개폐 확인판을 구비하여, 상기 확인창을 통해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 표시부의 개폐 확인판의 일측에 고정 및 연결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개폐 확인판을 소정 길이만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 표시부의 개폐 확인판의 다른 일측에 고정 및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장력 스프링을 구비하여 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 확인판을 상기 일방향 슬라이딩에 대응되게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 2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더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개폐 확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언로더 버킷의 로우시브박스(7)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구성한 스트라이커(10)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구동되어 언로더 버킷 헤드부(6) 윗면의 확인창(21a)에 상기 버킷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개폐 확인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라이커(10)는 그 일측이 상기 언로더 버킷의 로우시브박스(7)에 고정 및 설치되며, 다른 일측에 헤드(11)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 확인수단(20)은 상기 스트라이커(10)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6)에 설치하되, 좌측과 우측의 각 크로스 와이어 로프(4)와 홀드 와이어 로프(5)가 접촉되지 않도록 전, 후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6)의 윗면에는 커버(21)의 일 부분을 개방한 확인창(21a)을 형성한다. 상기 개폐 확인수단(20)은 이 확인창(21a)을 통해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원거리의 운전실에 있는 언로더 운전자가 버킷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개폐 확인장치에서, 상기 개폐 확인수단만을 발췌하여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커버를 생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버킷 개폐 확인장치를 상세하게 예시한 사시도로서 개폐 표시부와 제 1구동부를 상세하게 예시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개폐 확인수단(20)은,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 즉 개폐 표시부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작용하여 버킷 폐쇄 상태 표시를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지원하는 수단, 즉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1구동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버킷 개방 상태 표시를 위한 슬라이 딩 동작을 지원하는 수단, 즉 제 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표시부는 커버(21)와, 개폐 확인판(22)과, 다수의 가이드 롤러(23)와, 다수의 확인판 고정대(2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구동부는 고정링(25)과 터치바 지지봉(27)과, 회전바(28)와, 회전바 작동레버(28b)와, 와이어 안내시브(29)와, 와이어(30) 등을 포함하고, 제 2구동부는 다수의 스프링 고정대(32)와, 다수의 장력 스프링(31) 등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확인판(22)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6)의 상부에 그 전면과 후면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개방 확인부(22b)와 폐쇄 확인부(22a)를 원거리의 운전실에서 확인 가능한 면적의 크기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 확인부(22b)와 폐쇄 확인부(22a)는 각각 특정색을 도포하거나 시트지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개방 확인부(22b)는 언로더 버킷이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을 운전실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색깔, 예를 들어 버킷 폐쇄를 의미하는 연두색으로 설정하고, 상기 폐쇄 확인부(22a)는 상기 개방 확인부(22b)의 컬러와는 대비가 잘 되는 색깔, 예를 들어 버킷 개방을 의미하는 주황색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개방 확인부와 폐쇄 확인부에 설정되는 컬러는 물론 본 발명에서 예로 든 상기 두 컬러로 한정되는 아니다.
상기 다수의 확인판 가이드 롤러(23)는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6)의 상부의 전, 후면 모서리에 별도의 브라켓(23a)을 이용하여 각각 고정 및 설치되어, 상기 개폐 확인판(22)을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하부에서 지지 및 안내한다.
상기 다수의 확인판 고정대(24)는 다수의 볼트홀(24b)을 형성하여 상기 개폐 확인판(22) 양단의 볼트홀(22c)에 다수의 고정 볼트(33)에 의해 각각 결합 및 고정되며, 상기 제 1구동부 및 제 2구동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24a)를 양 끝단에 각각 형성하여, 제 1구동부 측에는 와이어가, 제 2구동부 측에는 장력 스프링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버(21)는 상기 개폐 확인수단 전체를 커버링하고,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윗면에 상기 개방 확인부(22b) 또는 폐쇄 확인부(22a)에 대응하는 개방부를 마련하여 확인창(21a;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됨)을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버킷 개폐 확인장치의 커버를 생략하여 도시한 정면도와 상기 정면도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상기 제 1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5)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6)의 전면 측벽에 고정 브라켓(25a)으로 고정 및 설치되며, 상기 언로더 버킷이 완전히 폐쇄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트라이커(10)와의 직접 접촉을 용이하게 유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라이커 헤드(11)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터치바 지지봉(27)은 소정 길이의 몸체 한 끝단에 헤드(27a)를 형성하여 상기 헤드에 의해 정지되는 완충스프링(26)을 몸체 외부로 삽입하고, 상기 완충스프링이 삽입된 몸체를 다시 상기 고정링(25)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그 몸체 의 다른 끝단에 터치바(27b)를 형성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에 의해 몸체가 상, 하부로 승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바 작동레버(28b)는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전면 측벽에 상기 고정링(25)보다 소정 높이에서 고정 설치된 회전축(28c)에 그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바(28)는 소정 길이의 몸체 양 끝단에 와이어 고정휠(28a)을 각각 형성하고, 몸체의 중심에 상기 회전축을 끼울 수 있는 홀(참조 부호는 생략함)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 안내시브(29)는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레일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예를 들어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안내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베어링에 의해 와이어를 원할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전면 측벽에 상기 회전축(28c)과 나란한 높이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켜 상기 회전바의 양 끝단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휠의 회전반경보다 바깥쪽에 설치함으로써, 이후에 상기 회전바(28)가 회전하게 될때 상기 와이어 고정휠이 원할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확인판 고정대(24)와 상기 회전바(28)의 와이어 고정휠(28a)을 연결할 수 있는 소정 길이를 갖고, 상기 와이어 안내시브(29)의 안내레일에 안내되며, 그 일단이 상기 확인판 고정대(24)의 와이어 연결고리(24a)에 연결되고 그 다른 일단이 상기 회전바(28)의 와이어 고정휠(28a)에 고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버킷 개폐 확인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로 서, 상기 제 2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대(32)는 스프링 연결홀(32a)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후면 측벽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장력 스프링(31)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후면 측으로 상기 개폐 확인판에 설치된 상기 확인판 고정대(24)의 연결고리(24a)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대(32)의 스프링 연결홀(32a)에 각각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 개폐 확인장치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확인수단(20)을 작동시키는 스트라이커(10)는 버킷의 개폐상태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기 위해 언로더 버킷의 로우시브박스(7)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확인수단(20)은 운전실에 있는 원거리의 운전자가 버킷의 개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언로더 버킷 헤드부(6)에 설치된다.
먼저, 상기와 같은 설치를 위한 본 발명 장치의 각 부분 조립과정을 보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표시부와 제 2구동부 조립을 위해, 스프링 고정대(32)와 확인판 가이드 롤러(23)는 버킷 헤드부(6)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고, 장력 스프링(31)은 상기 스프링 고정대(32)에 그 일단이 연결되며, 그 타단은 확인판 고정대(24)에 연결되고, 개폐 확인판(22)은 상기 확인판 고정대(24)에 고정 볼 트(33)로 고정된다.
개폐 표시부와 제 1구동부 조립을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확인판(22)을 확인판 고정대(24)에 고정 볼트(33)로 고정하고, 확인판 고정대(24)에 와이어(30)을 이용하여 회전 바(28) 끝부분의 와이어 고정 휠(28a)에 연결하며, 버킷에는 회전 바의 중심축인 회전축(28c)과 와이어 안내시브(29)를 베어링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회전 축(28c) 끝부분에는 회전 바 작동 레버(28b)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10)에 대응되는 터치바(27b)를 설치하기 위해, 버킷 헤드부(6)의 전면 벽에는 브라켓(25a)을 사용하여 고정 링(25)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링(25)에는 상부에 터치바를 형성하고 하부에 헤드(27a)를 형성한 터치바 지지봉(27)을 끼워넣어 상기 고정링(25)에 안내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언로더 버킷이 개방되었을 때 상기 터치 바(27b)가 원위치되도록 완충 스프링(26)을 넣어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버킷 개폐 확인장치는, 먼저, 설치 초기에는 스트라이커(10)는 하부로 내려가 있어 제 1구동부의 회전바 작동레버(28b)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또한 장력 스프링(31)이 상기 개폐 확인판(22)을 끌어 당기고 있는 상태이다. 즉, 버킷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28)는 좌우로 평행하게 놓이고, 개폐 확인판(22)의 개방 확인부(22b)는 커버(21)의 확인창(21a)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있기 때문에 상기 확인창(21a)에는 버킷 개방을 의미하는 주황색의 폐쇄 확인부(22a)가 나타나 게 되며, 이로써 운전실의 운전자는 상기 확인창을 통해 버킷 개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버킷을 폐쇄하게 되면 로우시브박스(7)가 버킷 헤드부(6) 쪽으로 올라가게 되며, 그와 함께 로우시브박스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0)도 함께 올라간다. 따라서 버킷의 에지부(8)가 완전하게 폐쇄되면 스트라이커(10)의 헤드(11)가 그 위에 설치된 터치바 지지봉(27) 하부의 헤드(27a)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그와 함께 터치 바(27b)가 위로 올라가게 되면서 회전 바 작동 레버(28b)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회전바 작동레버(28b)는 회전축(28c)을 중심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그와 일체로 된 회전 바(28)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좌우로 평행하게 놓여 있던 회전 바(28)가 상하로 위치하게 되면서 와이어(30)를 소정 길이만큼, 즉 상기 회전바(28)가 좌우로 수평한 상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바(28) 양 끝단의 와이어 고정휠(28a)이 그려내는 부채꼴의 직선길이만큼 상기 와이어(30)를 끌어 당기게 되며, 여기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 확인판(22)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확인창(21a)에는 버킷 폐쇄를 의미하는 색깔의 폐쇄 확인부(22a)가 나타나게 된다. 이로써 운전실의 운전자는 상기 확인창을 통해 버킷 폐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버킷 개방시에는 상기 제 1 구동부를 작동시켰던 스트라이커(10)가 로우시브박스(7)와 함께 다시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스트라이커(10)에 의해 가해지던 작용력을 잃게 된다. 이로써, 상기 터치바 지지봉(27)에 삽입되어 있던 완충 스프링(26)이 상기 터치바 지지봉의 헤드(27a)를 아래로 밀어내고 그와 동시에 반대편에서는 장력 스프링(31)이 그 복원력에 의해 개폐 확인판(22)을 끌어 당기게 되므로, 상기 회전바(28)가 역회전하여 다시 좌, 우로 수평하게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개폐 확인판(22)이 초기 상태로 원위치되면서 개방 확인부(22b; 예컨대, 주황색)가 확인창(21a)을 통해 외부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셸 버킷으로 원료 집적시 클로징 확인판의 클로징 확인색이 나타나지 않으면 버킷을 올리지 않고 즉시 완전히 클로징한 후 버킷을 이동시키게 되어, 이동 중 낙광이 발생되지 않아 원료유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낙광에 따른 설비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원료 낙광을 청소하기 위해 설비의 가동을 중지하는 일이 없어 설비의 가동율이 증가하여 하역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언로더 버킷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헤드를 형성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언로더 버킷의 로우시브박스에 고정 및 설치되어 상기 로우시브박스와 일체로 승강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상기 언로더 버킷의 헤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상태에 따라 그 개/폐 상태를 원거리의 운전실에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개폐 확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확인수단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확인을 위한 확인창을 형성하고, 상기 확인창 하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개폐 확인판을 구비하여, 그 확인창을 통해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 표시부의 개폐 확인판의 일측에 고정 및 연결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개폐 확인판을 소정 길이만큼 전면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 표시부의 개폐 확인판의 다른 일측에 고정 및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장력 스프링을 구비하여 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 확인판을 전면 슬라이딩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후면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 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버킷의 개폐확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표시부는,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상부에 그 전면과 후면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언로더 버킷의 개/폐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개방 확인부와 폐쇄 확인부를 원거리의 운전실에서 확인 가능한 면적의 크기로 형성한 개폐 확인판과;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상부의 전, 후면 모서리에 각각 고정 및 설치되어, 상기 개폐 확인판을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하부에서 지지 및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개폐 확인판의 양단에 다수의 볼트 결합에 의해 각각 고정 및 설치되며, 상기 제 1구동부 및 제 2구동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를 양 끝단에 형성한 다수의 확인판 고정대와;
    상기 개폐 확인수단 전체를 커버링하고,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윗면에 상기 개방 확인부 또는 폐쇄 확인부에 대응하는 개방부를 마련하여 확인창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버킷의 개폐확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전면 측벽에 고정 브라켓으로 고정 및 설치되며, 상기 언로더 버킷이 완전히 폐쇄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직접 접촉을 유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라이커 헤드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링과;
    소정 길이의 몸체 한 끝단에 헤드를 형성하여 상기 헤드에 의해 정지되는 완충스프링을 몸체 외부로 삽입하고, 상기 완충스프링이 삽입된 몸체를 다시 상기 고정링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그 몸체의 다른 끝단에 터치바를 형성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에 의해 몸체가 상, 하부로 승강되도록 구성한 터치바 지지봉과;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전면 측벽에 상기 고정링보다 소정 높이에서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바 작동레버와;
    소정 길이의 몸체 양 끝단에 와이어 고정휠을 각각 형성하고, 몸체의 중심에 상기 회전축을 끼울 수 있는 홀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바와;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전면 측벽에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위치의 높이에 각각 설치되며,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을 몸체에 형성한 와이어 안내시브와;
    상기 확인판 고정대와 상기 회전바를 연결할 수 있는 소정 길이를 갖고, 상기 와이어 안내시브의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그 일단이 상기 확인판 고정대의 와이어 연결고리에 연결되고 그 다른 일단이 상기 회전바의 와이어 연결고리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버킷의 개폐확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부는,
    스프링 연결홀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후면 측벽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대와;
    일단이 상기 언로더 버킷 헤드부의 후면 측으로 상기 개폐 확인판의 일단에 설치된 상기 확인판 고정대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대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장력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버킷의 개폐확인장치.
KR1020020063614A 2002-10-17 2002-10-17 버킷 개폐 확인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8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14A KR100885114B1 (ko) 2002-10-17 2002-10-17 버킷 개폐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614A KR100885114B1 (ko) 2002-10-17 2002-10-17 버킷 개폐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54A KR20040034954A (ko) 2004-04-29
KR100885114B1 true KR100885114B1 (ko) 2009-02-20

Family

ID=3733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6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5114B1 (ko) 2002-10-17 2002-10-17 버킷 개폐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1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483A (ja) * 1993-09-07 1995-03-20 Kubota Sogyo Kk エンジン付の油圧開閉式ベッセル
KR19990008564U (ko) * 1997-08-07 1999-03-05 이구택 통스크레인용 크로스암의 오픈.크로스 표시장치
KR20010063922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하역기 호퍼게이트의 개폐상태 확인장치
KR200275467Y1 (ko) * 2002-01-10 2002-05-17 차운철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483A (ja) * 1993-09-07 1995-03-20 Kubota Sogyo Kk エンジン付の油圧開閉式ベッセル
KR19990008564U (ko) * 1997-08-07 1999-03-05 이구택 통스크레인용 크로스암의 오픈.크로스 표시장치
KR20010063922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하역기 호퍼게이트의 개폐상태 확인장치
KR200275467Y1 (ko) * 2002-01-10 2002-05-17 차운철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954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673A (en) Device for carrying the grab in slot machine cabinets
US5743046A (en) Jack shaft door garage operator
US6289963B1 (en) Dual closure system for overhead doors
US6688374B2 (en) Barrier with movable curtain
JP5090061B2 (ja) 塵芥収集車の塵芥投入箱
CN101830385A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0885114B1 (ko) 버킷 개폐 확인장치
USRE40001E1 (en) Jack shaft garage door operator
KR100798117B1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개방장치
CN208280181U (zh) 一种检修孔封盖装置
US6434886B1 (en) Releasable vertical lift overhead door
CN106985729B (zh) 载货汽车及其载货车箱
CN110304556A (zh) 汽车起重机自装卸式副臂安装机构
JP2012241381A (ja) 二多段式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3785631B2 (ja) 溶解炉の炉蓋昇降装置
JP2003096826A (ja) 作業機械のガード装置
KR102586553B1 (ko) 개집표기의 플랩 도어 기구
KR101967900B1 (ko)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CN208234472U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电池存取结构
JPH06219503A (ja) ゴミ容器反転装置
KR101144075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2090733B1 (ko) 이동형 도어식 저장물 밀폐장치
JP3407940B2 (ja) 自動門扉
KR200351517Y1 (ko) 컨테이너카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KR100542373B1 (ko) 컨테이너카의 적재함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0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