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4357B1 -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357B1
KR100884357B1 KR1020070094552A KR20070094552A KR100884357B1 KR 100884357 B1 KR100884357 B1 KR 100884357B1 KR 1020070094552 A KR1020070094552 A KR 1020070094552A KR 20070094552 A KR20070094552 A KR 20070094552A KR 100884357 B1 KR100884357 B1 KR 10088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gate insulating
formula
electrode
thin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서경수
김철암
윤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3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8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 H10K10/471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the gate dielectric comprising only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유기 게이트 절연막이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한다.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한다. 유기 활성막이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연결한다.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폴리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폴리실록산, 폴리실록산 유도체, 유기 게이트 절연막,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Description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RGANIC GATE INSULATION LAYER AND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70-03, 과제명: 플렉셔블(flexible) 디스플레이].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존의 무기 반도체인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다결정 실리콘(poly silicon)을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다양한 합성 방법, 성형 및 가공의 용이성, 유연성, 저렴한 생산비 등의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기능성 전자 소자 및 광 소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은 전계 이동도, 점멸비, 이동도, 문턱전압 이후의 기울기(subthreshold slope) 등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특히 유기 활성막의 결정화도, 유기 절연막과 유기 활성막 계면의 전하 특성, 유기절연막의 박막 특성, 소오스/드레인 전극과 유기 활성막 계면의 캐리어 주입 능력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술한 특성들을 개선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에 사용되는 소재는 낮은 전기전도율(electrical conductivity)과 높은 내전율(breakdown field) 특성이 요구된다.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 소재로 실리콘 산화물이 사용되었으나, 현재 문턱 전압을 낮추기 위해 강유전성의 절연물질과 유전율이 비교적 큰 무기 절연물질 등이 사용되고 있다. 무기 절연막의 경우 막 형성 온도가 고온이어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용될 경우 기판(특히 플라스틱 기판) 및 앞선 공정에서 기판 상에 형성된 다른 막질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쳐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페놀-말레이이미드), 포토아크릴 등이 상기 무기 절연막을 대체할 수 있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으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무기 절연막을 대체할 정도의 소자 특성을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앞서 형성된 다른 막질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폴리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737836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67378361-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소오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하고, 폴리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에 접하고,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연결하는 유기 활성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737836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67378361-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습식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습식 공정은 스핀 코팅, 딥 코팅, 프린트 코팅, 또는 잉크젯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 활성막은 펜타센(pentacene), DH6T(dihexyl-hexithiophene), 위치규칙적 P3HT(regioregular (poly(3-hexythiophene)), F8T2(poly-9,9-dioctylfluorene-co-bithiophene), DHADT (dihexylanthra-dithiophe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금(Au), 은(Ag), 니켈(Ni),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알루미늄(Al), 티타늄(Ti), 티타늄나이트라이드(TiN), 크롬(Cr)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금(Au),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알루미늄(Al), 크롬(Cr)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활성막은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 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유전율을 갖고,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수분 흡수율이 낮은 유기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저온에서 형성될 수 있어, 하부막 등의 다른 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단순화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을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용하여, 하부막을 구성하는 물질의 선택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 유기 게이트 절연막이 습식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대면적 기판 상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막 또는 영역들의 두께 등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어떤 요소의 형태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실질적으로' 또는 '대략'과 같은 용어는 어떤 요소가 공정상의 허용되는 변형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설명된다.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10)을 포함한다. 기판(10)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 상에 게이트 전극(2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20)은 예를 들어, 금(Au), 은(Ag), 니켈(Ni),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알루미늄(Al), 티타늄(Ti), 티타늄나이트라이드(TiN), 크롬(Cr)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10) 상에 게이트 전극(20)을 덮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30)이 위치한다. 유기 게이트 절연막(30)은 폴리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고, 상기 폴리실록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7378361-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7067378361-pat00006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게이트 절연막(30)은 스핀 코팅, 딥 코팅, 프린트 코팅, 또는 잉크젯 코팅과 같은 습식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기 게이트 절연막(30) 상에 유기 활성막(40)이 위치한다. 유기 활성 막(40)은 펜타센(pentacene), DH6T(dihexyl-hexithiophene), 위치규칙적 P3HT(regioregular poly(3-hexythiophene)), F8T2(poly-9,9-dioctylfluorene-co-bithiophene), DHADT (dihexylanthra-dithiophe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게이트 절연막(30)과 유기 활성막(40)은 동시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유기 게이트 절연막(30)과 유기 활성막(40)의 계면은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유기 활성막(40) 상에 소오스 전극(51) 및 드레인 전극(52)이 위치한다. 소오스 전극(51) 및 드레인 전극(52)은 각각 유기 활성막(40)과 접하며, 유기 활성막(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소오스 전극(51) 및 드레인 전극(52)은 금(Au),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알루미늄(Al), 크롬(Cr)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설명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살펴보면, 유기 활성막(40)이 소오스 전극(51)과 드레인 전극(52) 사이에 위치한다. 즉, 유기 활성막(40)이 소오스 전극(51) 및 드레인 전극(52)이 형성된 후에 형성된다.
먼저, 유기 게이트 절연막(30)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소오스 전극(51) 및 드레인 전극(52)이 형성된다. 이어서, 기판(10) 상에 유기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소오스 전극(51) 및 드레인 전극(52) 사이의 유 기 게이트 절연막(30) 상에 유기 활성막(4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게이트 절연막의 누설전류밀도-전압 특성이 설명된다. 도 3에서, 가로축은 유기 게이트 절연막에 제공된 전압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전압에 따른 유기 게이트 절연막의 누설전류밀도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화학식 1에서 R1=R2이고, R1은 OH인 폴리실록산이 150 ℃에서 저온 경화되어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또,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의 유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전기 용량-주파수(capacitance-frequency) 곡선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하기 수학식에 적용하면,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의 유전상수(εr) 및 유전손실 값은 1MHz에서 각각 3.2와 0.025이다.
(수학식)
Figure 112007067378361-pat00007
상기 수학식에서, d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 A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의 면적, εo는 공기 또는 진공 상태에서의 유전상수, C는 전기 용량이다.
도 3의 그래프와 상기 유전 특성을 참조하면, 폴리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 특성을 나타낸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살펴보면,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기판(10)은 폴리(에테르 술폰)(poly(ether sulfone))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이다. 게이트 전극(20)은 플라스틱 기판(10) 상에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전자빔(E-beam)법으로 형성된 것으로 티타늄(Ti)/금(Au)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티타늄(Ti)은 50Å의 두께를 갖고, 금(Au)은 500Å의 두께를 갖는다. 유기 게이트 절연막(30)은 상기 화학식 1에서 R1=R2이고, R1은 OH인 폴리실록산을 5250Å의 두께로 코팅한 후 150℃에서 120분간 열처리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유기 활성막(40)은 펜타센을 저진공도(< 1.0ⅹ10-6 torr), 기판 온도 70℃, 증착 속도 1Å/s의 조건으로 1000 Å두께로 증착하여 형성된 것이다. 소오스 전극(51) 및 드레인 전극(52)은 유기 활성막(40)위에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전자빔(E-beam)법으로 형성된 것으로, 800Å의 두께를 갖는 금(Au)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폭은 2 mm이고, 채널길이는 100㎛이다.
도 4에서 가로축의 VDS는 드레인-소오스 전압을 나타내고, 세로축의 ID는 드레인 전류를 나타낸다. 또, 그래프 내 곡선 상에 표시된 VG는 게이트 전압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 곡선은 휴렛패커드사(Hewlett Packard Company)의 반도체 파라미터 분석기(semiconductor parameter analyzer) HP4155A를 사용하여 측정된 값을 표시한다.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폴리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상기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게이트 절연막의 누설전류밀도-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전달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 : 기판 20 : 게이트 전극
30 : 유기 게이트 절연막 40 : 유기 활성막
51 : 소오스 전극 52 : 드레인 전극

Claims (14)

  1. 삭제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
    (화학식 1)
    Figure 112008065998975-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
  3.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
    (화학식 2)
    Figure 112008065998975-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
  4.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소오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에 접하고,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연결하는 유기 활성막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화학식 1)
    Figure 112008065998975-pat00010
    (화학식 2)
    Figure 112008065998975-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H, C6H5, C12H8N, OH, CH3, C2H5, C3H8, C2H5O, C6H5O 및 N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습식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공정은 스핀 코팅, 딥 코팅, 프린트 코팅, 또는 잉크젯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활성막은 펜타센(pentacene), DH6T(dihexyl-hexithiophene), 위치규칙적 P3HT(regioregular (poly(3-hexythiophene)), F8T2(poly-9,9-dioctylfluorene-co-bithiophene), DHADT (dihexylanthra-dithiophe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금(Au), 은(Ag), 니켈(Ni),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알루미늄(Al), 티타늄(Ti), 티타늄나이트라이드(TiN), 크롬(Cr)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금(Au),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알루미늄(Al), 크롬(Cr)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활성막은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활성막은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의 상기 유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KR1020070094552A 2007-09-18 2007-09-18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Active KR100884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552A KR100884357B1 (ko) 2007-09-18 2007-09-18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552A KR100884357B1 (ko) 2007-09-18 2007-09-18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357B1 true KR100884357B1 (ko) 2009-02-17

Family

ID=4068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552A Active KR100884357B1 (ko) 2007-09-18 2007-09-18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3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619B2 (en) 2013-09-27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insulator, insulator, and thin film transistor
US9988472B2 (en) 2015-08-31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thin film transistor
US10358578B2 (en) 2015-05-29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sulating ink and insulator and thin film transistor and electronic device
US10522771B2 (en) 2014-12-01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thin film transis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65A (ko) * 2003-07-03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구조의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KR20050080439A (ko) * 2004-02-09 2005-08-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기판,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65A (ko) * 2003-07-03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구조의 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KR20050080439A (ko) * 2004-02-09 2005-08-1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기판,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619B2 (en) 2013-09-27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insulator, insulator, and thin film transistor
US10522771B2 (en) 2014-12-01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thin film transistor
US10879475B2 (en) 2014-12-01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thin film transistor
US10358578B2 (en) 2015-05-29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sulating ink and insulator and thin film transistor and electronic device
US9988472B2 (en) 2015-08-31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thin film transis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ketia‐Yawson et al. Recent progress on high‐capacitance polymer gate dielectrics for flexible low‐voltage transistors
US5981970A (en) Thin-film field-effect transistor with organic semiconductor requiring low operating voltages
KR100981558B1 (ko) 양극성 유기 전계 효과 박층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Pacher et al. Chemical Control of Local Doping in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From Depletion to Enhancement
KR20080040119A (ko) 디클로로포스포릴기를 함유하는 자기조립단분자막 형성화합물을 이용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o et al. Electrically and thermally stable gate dielectrics from thiol–ene cross-linked systems for use in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KR20110056505A (ko) 상단 게이트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용 표면 처리된 기판
US9620728B2 (en) CNT thin film transistor with high K polymeric dielectric
US20100078639A1 (en)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method and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US820275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KR100884357B1 (ko) 유기 게이트 절연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KR20020034873A (ko) 저 동작 전압을 요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반도체를갖춘 박막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Kim et al. Mechanically durable organic/high-k inorganic hybrid gate dielectrics enabled by plasma-polymerization of PTFE for flexible electronics
KR100538542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90250731A1 (en) Field-effect transistor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482625B2 (en) Composition for thermosetting organic polymeric gate insulating layer and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using the same
US10727426B2 (en)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55600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7648852B2 (en) Low-voltag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879271B1 (ko) 유기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트랜지스터
KR101140686B1 (ko) 유기 게이트 절연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게이트절연막
KR20090104058A (ko) 중합성 게이트 유전체를 갖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59787A (ko)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KR20200017749A (ko) 단결정 유기물을 이용한 암모니아 가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6933A (ko) 유기 박막 형성 방법, 유기 박막,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