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2770B1 - Operation method of Kjeldahl distillation unit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of Kjeldahl distillatio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770B1
KR100882770B1 KR1020080048969A KR20080048969A KR100882770B1 KR 100882770 B1 KR100882770 B1 KR 100882770B1 KR 1020080048969 A KR1020080048969 A KR 1020080048969A KR 20080048969 A KR20080048969 A KR 20080048969A KR 100882770 B1 KR100882770 B1 KR 10088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boric acid
decomposition tube
kjeldahl
st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재근
Original Assignee
(주)한일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랩테크 filed Critical (주)한일랩테크
Priority to KR10200800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7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7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42Regulation; Control
    • B01D3/4205Reflux ratio control spli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5/00Gas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A kjeldahl evaporato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kjeldahl evaporator are provided to experiment in order to calculate nitrogen amount included in corresponding food required in case of calculating amount of the protein included in particular food product. A kjeldahl evaporator contains an analysis tube generating gas by dissembling a sample and injecting steam; a cooling device(115) connected in the analysis tube and cooling the gas generated from the analysis tube by cooling water flowing outside the cooling device; and a flask(110) taking away the condensated wat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oling device. A method for operating the kjeldahl evaporator includes an auto process mode, a command mode, a memory storage mode, a memory erase mode, a sensor mode and an RS-232C mode.

Description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식품 등에 포함된 단백질의 량을 계산하고자 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해당 식품에 포함된 질소량을 산출하기 위한 실험을 할 수 있는 킬달 증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Kjeldahl distillation that can be carried out to calculate the amount of nitrogen contained in the food requir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protein contained in a particular food, etc.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특정 식품에 포함된 단백질의 량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식품 중의 질소량을 측정한 다음 그 질소량에 특정 계수를 곱하여 산출하게 되고 이 특정 계수는 단백질에 질소가 평균 16% 정도 함유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6.25(100/16)로 결정(식품의 종류에 약간 차이가 있음)되는 바 이를 질소계수라고 칭하고 있으며 얻어진 질소량에 이 질소계수를 곱하여 단백질량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산출되는 단백질을 조단백질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단백질량의 계산을 위해 시료중에 포함된 질소량을 산출하는 실험장치로서 마이크로 킬달 증류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 세미 마이크로 킬달 증류 장치(Micro kjeldahl distilling apparatus)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성되는 바, 즉 수증기발생플라스크(10), 발생기체체류관(20), 증류플라스크(30), 냉각관(40) 및 알콜램프(50), 뷰렛대(60), 클램핑수단(70), 삼각대(80) 등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in order to determine the amount of protein contained in a particular food, the amount of nitrogen in the food is measured and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mount of nitrogen by a certain factor, which is an average of 16% nitrogen in the protein.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determined as 6.25 (100/16)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type of food). This is called nitrogen coefficient, and the amount of nitrogen is multiplied by the nitrogen coefficient to calculate the protein amount. It is called crude protein. In addition, a micro Kjeldahl distilling apparatus is used as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nitrogen contained in the sample for the calculation of the crude protein mass as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as shown, that is, steam generating flask (10), gas reservoir tube 20, distillation flask (30), cooling tube (40) and alcohol lamp (50), burette (60), clamping Means 70, tripod 80 and the like.

상기 수증기발생플라스크(10)는 라운드 버텀 플라스크(round bottom flask)로 형성되고 상부에 증류수 등의 공급을 위한 콕장치(14)가 구비된 깔대기(12)가 결합되고 그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수증기배출관(16)이 결합되고, 이 수증기배출관(16)의 배출단은 연결튜브(18)에 의해 발생기체체류관(20)의 일단에 연결되어 발생기체체류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시료주입관(22)과 연통된다.The steam generating flask 10 is formed as a round bottom flask and a funnel 12 having a cocking device 14 for supplying distilled water or the like is coupled to the top and discharged steam generated therein. The water vapor discharge pipe 16 is coupled,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water vapor discharge pipe 1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eneration gas retention pipe 20 by a connection tube 18 and is formed inside the generation gas retention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 (22).

상기 발생기체체류관(20)은 원통형의 외관의 내부에 상기 수증기배출관(16)과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증류플라스크(30) 내부로 삽입되는 시료주입관(22)이 형성되고 이 시료주입관(22)의 상단에는 시료를 주입하기 위해 콕장치(24)이 구비된 깔대기(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관상에는 증류플라스크(20)와 연통되는 암모니아(NH₃) 배출부(26)가 형성된다.The generator gas retention tube 20 has a sample injection tube 22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eam discharge tube 16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distillation flask 30 in the cylindrical appearance, and the sample injection tube A funnel 22 equipped with a cock device 24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22 and an ammonia (NH₃) outlet 26 communicating with the distillation flask 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암모니아 배출부(26)는 연결튜브(27)를 매개로 냉각관(40)에 접속되는 바, 이 냉각관(40)은 연결튜브(27)와 일체로 연결되는 냉각내관(42)과, 이 냉각내관(42)의 외부에 이중관 형태로 갖도록 형성되는 냉각외관(44)으로 구성되고, 이 냉각외관(44)에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부(46)와 유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배출부(48)가 형성되어 냉각내관(42)으로 이동되는 암모니아를 냉각시키는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nd the ammonia outlet 26 is connected to the cooling tube 40 via the connecting tube 27, the cooling tube 40 is a cooling inner tube 42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ube 27 and The cooling casing 44 is formed to have a double tube form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inner pipe 42, and the cooling water inlet 46 includes a cooling water inlet 46 through which cooling water is introduced and cooling water introduced therein. A discharge unit 48 is formed to allow inflow and discharge of the cooling water to cool the ammonia that is moved to the cooling inner tube 42.

또한, 상기 각 장치들은 뷰렛대(60)에 설치되는 다수의 클램핑수단(70)에 의 해 적당한 높이와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수증기발생플라스크(10)는 삼각대 위에 올려지는 알코올램프(50)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espective devices are fixedly installed at a suitable height and spacing by a plurality of clamping means 70 installed on the burette 60, the steam generating flask 10 is mounted on an alcohol lamp 50 mounted on a tripod By heating.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이크로 킬달 증류 장치(Micro kjeldahl distilling apparatus)에 의해 시료중에 포함된 질소량을 산출하는 실험과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분해과정을 통하여 실험하고자하는 시료를 분해하고, 분해가 완료되면 증류장치에 의해 증류과정을 수행한 후 적정을 통해 적정액(NaOH)의 사용량을 이용하여 질소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질소량과 단백질 질소계수를 곱하여 조단백질량을 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al process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nitrogen contained in the sample by the micro Kjeldahl distill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general one, so briefly explaining the process, first to decompose the sample to be tested through the decomposition process When the decomposition is completed, the distill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a distillation apparatus, and the titration is calculated using the amount of the titrant (NaOH) through titration, and the crude protein mass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alculated nitrogen by the protein nitrogen coefficient.

즉, 플라스크에 시료를 적당량 투입하고 분해촉진제와 황산을 투입한 후 특정 색깔이 될 때까지 가열한 후 냉각하여 시료의 분해과정을 수행하고 이와 같이 분해된 시료에 증류수를 가하여 증류플라스크(30)에 투입하고, 수증기발생플라스크That is,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sample is added to the flask, a decomposition accelerator and sulfuric acid are added, heated to a specific color, cooled, and the sample is decomposed. Then, distilled water is added to the decomposed sample to the distillation flask 30. Water vapor generation flask

(10)에 증류수와 소량의 황산을 넣고 가열하는 한편 냉각관(40)의 하단부에 포집용 삼각플라스크(90)에 황산을 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증기발생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는 연결관로를 통해 증류플라스크(30)내로 유입되어 증류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증류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포집용 삼각플라스크(90)에 포집된 유액을 적정장치로 옮겨서 적정액으로 적정과정을 수행하고 일정한 색깔이 될 때 까지의 적정액의 양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Distilled water and a small amount of sulfuric acid are added to (10) and heated, while sulfuric acid is added to the collecting triangular flask 90 at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ube 40. In such a state, the water vapor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ing flask is introduced into the distillation flask 30 through a connection pipe to perform a distillation process to cause a distillation reaction. In this process, the fluid collected in the triangular flask 90 for collecting is transferred to a titrator to perform a titration process with a titrant and to obtain an amount of a titrant until a constant color is obtained.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 킬달 증류 장치(Micro kjeldahl distilling apparatus)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증기발생플라스크(10), 발생기체체류관(20), 증류플라스크(30), 냉각관(40) 및 알콜램프(50) 및 삼각대(80), 다수의 클램핑수단 (70)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생산비가 증가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조립된 상태에서의 부피가 매우 커서 생산, 운반 및 보관과정이 매우 어렵고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icro Kjeldahl distilling apparatus (Micro kjeldahl distill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generating flask 10, the gas gas retention tube 20, the distillation flask 30, the cooling tube 40 and the alcohol lamp (50). ) And a tripod 80, a plurality of clamping means 70, etc. should be provide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and productivity is reduced, in particular the volume in the assembled state Due to the very large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storage process is very difficult and easily broken.

그리고, 각 구성요소를 각각의 클램핑수단(70)에 의해 뷰렛대(60)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실험준비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험에 효율이 저하되고, 실험 후 정리과정 또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each component must be installed on the burette stand 60 by the respective clamping means 70, the experiment prepar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t of time, so the efficiency is reduced in the experiment, and the post-organization arrangement process is also very difficult. There was this.

또한, 종래 마이크로 킬달 증류 장치는 수증기발생플라스크(10)의 가열을 위해 알코올램프(50)를 사용하므로 시험과정에서 수증기발생플라스크의 높낮이 조정이 요구되고 화염의 높이 조절을 위해 삼각대(80) 등을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알콜램프의 전도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거나 실험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안전상에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icro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uses the alcohol lamp 50 for the heating of the steam generating flask 10 is requi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team generating flask in the test process, and the tripod 80 and the lik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lame In addition to the problems that must be equipped, there was a problem in the safety of the fire or the experimenter burns due to the fall of the alcohol lam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감소되어 제작비용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실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에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volume is reduce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easy to transport and storage, can be easily performed experiments In addition,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to improve the safety in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험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in which the experiment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험을 수행하는 칼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Kaldal distill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an experiment according to a program.

본 발명에 따라서, 시료가 투입되어 분해되는 분해튜브로서, 상기 분해튜브에는 가성 소다 투입구, 및 증기와 물 투입구가 연결되어 시료를 분해 및 증기 주입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분해튜브; 냉각기로서, 상기 분해튜브에 연통되어 상기 분해튜브로부터 발생되는 기체를 냉각기의 외측에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시키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의 끝단에 연결되어 냉각된 응축수를 수거하는 플라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킬달 증류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composition tube in which a sample is introduced and decomposed, wherein the decomposition tube includes a caustic soda inlet, and a decomposition tube for decomposing and steam-injecting a sample by connecting steam and water inlets; A cooler, comprising: a cooler communicating with the decomposition tube and cooling gas generated from the decomposition tube by cooling water flowing outside the cooler; And a flask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oler to collect the cooled condens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수 수거용 플라스크에는 붕산 투입을 위한 붕산 투입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boric acid inlet for boric acid input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collection flask.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킬달 증류 장치는 상기 가성 소다, 증기와 물, 붕산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caustic soda, steam and water, boric acid.

본 발명에 따라서, 전술된 킬달 증류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시료를 반자동으로 작업한 후에 데이터 값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자동 처리 메뉴를 포함하며, 이 메뉴에서는, a) 상기 플라스크에 적정량의 붕산을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분해튜브에 물과 가성소다를 투입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가성소다를 투입하는 것을 정지시킬 때 시료에 반응이 시작되는 동시에 반응 시간이 표시되는 단계, d) 반응이 완료될 때 상기 분해튜브에 증기를 투입하여 증류를 수행하는 단계, e) 증류가 종료될 때 상기 분해튜브의 폐수를 제거하는 단계, f) 현재까지의 작업시간을 제어부의 표시 창에 표시하고 빈 번지에 자동 저장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automatic processing menu for automatically inputting data values and setting a program after semi-automatically working a sample, wherein: a) in the flask; Adding a suitable amount of boric acid, b) adding water and caustic soda to the decomposition tube, c) stopping the addition of caustic soda in step b), and the reaction time is displayed on the sample at the same time. Step, d) performing distillation by adding steam to the decomposition tube when the reaction is completed, e) removing wastewater from the decomposition tube when distillation is completed, f) operating time to date It includes a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window and automatically saving to the empty address.

본 발명에 따라서, 전술된 킬달 증류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시료를 반자동으로 작업한 후에 데이터 값을 직접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수동 처리 메뉴를 포함하며, 이 메뉴에서는, a) 메모리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 b) 모드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c)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한 후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includes a manual processing menu for setting a program by directly inputting data values after working a sample semi-automatically, in which a) displaying a memory mode. B) selecting a desired number using a mode key, c) checking a location using an up / down key, and then adjusting a time using a numeric but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감소되어 제작비용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실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에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By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volume is reduce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easy to carry and store, easy to perform experiments as well as to improve the safety in use Kjeldah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distillation apparatus.

또한, 실험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the experiment automatically or manually.

또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험을 수행하는 칼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the Kaldal distill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progra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는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지 본 실시예에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됨을 알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칼달 증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aldal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킬달 증류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101은 장치의 유리문이며, 102는 가성소다(NaOH) 투입구이며, 103은 스팀 및 물 투입구이며, 104는 분해튜브이다. 105는 바이톤-콘이며, 106은 시험관이며, 107은 시험관 클램프이다. 108은 누수 받침대이며, 109는 붕산 투입구이며, 110은 삼각플라스크이다. 111은 스팀 유도관이며, 112는 냉각수 출구이며, 113은 냉각수 입구이다. 114는 제어부이며, 115는 냉각기이다. 그 밖에도 물통, 붕산 통, 가성 소다 통, 폐수 통, 물, 붕산, 가성 소다, 폐수 수위 조절 센서 등이 구비된다.Each component of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is a glass door of the apparatus, 102 is a caustic soda (NaOH) inlet, 103 is a steam and water inlet, 104 is a decomposition tube. 105 is the Viton-Con, 106 is the test tube and 107 is the test tube clamp. 108 is a leak base, 109 is a boric acid inlet, and 110 is a Erlenmeyer flask. 111 is a steam induction tube, 112 is a coolant outlet, and 113 is a coolant inlet. 114 is a control part, 115 is a cooler. In addition, a bucket, a boric acid tank, a caustic soda tank, a wastewater tank, water, a boric acid, a caustic soda, a wastewater level control sensor, etc. are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장치를 초기사용하고자 할 때, 제어장치의 화면은 도3과 같이 초기 상태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유리문(101)을 열고 시험관 즉, 빈 분해튜브를 장착한다. 이어서 초기 화면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처음에는 반 자동모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기억시키는 것이 안정적이어서 좋다. When the device is to be used initially, the screen of the control device is in an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The glass door 101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a test tube, ie an empty dissolution tube, is mounted. Then set the program to use on the initial screen. At first it may be stable to memorize the program using the semi-automatic mode.

본 장치는 두 가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즉,The device can set the program in two ways. In other words,

첫 번째는 샘플 시료를 반 자동으로 작업한 다음 데이터 값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이다. The first is to work with the sample sample semi-automatically and then enter the data values automatically.

이 방법에서는, 도3의 화면에서 먼저 메뉴얼을 선택한 후에 엔터 키를 누른다. 이 때 자동 센서 체크후에 다음 단계가 준비된다.In this method, the manual is first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3 and then the enter key is pressed. At this time, the next step is prepared after the automatic sensor check.

이어서 엔터 키 또는 붕산(Bor) 키를 눌러서 삼각 플라스크에 적당량(초당 5ml)의 붕산을 넣고 다시 눌러서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만약 붕산의 량이 부족하면 ESC 키를 눌러서 더 넣을 수 있다. Then press the Enter or Bor key to add an appropriate amount (5 ml per second) of boric acid to the Erlenmeyer flask and press again to stop. If the amount of boric acid is not enough, press ESC key to add more.

엔터 키 또는 가성 소다 키를 눌러서 물과 가성 소다를 넣는다. 가성 소다를 넣는 것을 정지시키게 되면 자동으로 반응이 시작되면서 반응 시간이 나타나게 된다. Press enter or caustic soda to add water and caustic soda. If you stop adding caustic soda, the reaction will begin automatically and the reaction time will appear.

반응이 완료되면 엔터 키를 눌러서 스팀을 발생시키고 증류를 시작하게 된다. When the reaction is completed, press enter key to generate steam and start distillation.

증류가 완료되면 다시 엔터 키를 눌러서 작업을 종료하고 삼각 플라스크를 제거한 후 엔터 키를 눌러서 분해 튜브의 폐수를 제거하게 된다. When the distillation is completed, press the enter key again to end the work, remove the Erlenmeyer flask and press the enter key to remove the waste water from the digestion tube.

청소가 끝나면 지금까지의 작업 시간이 LCD 창에 표시되고, 엔터 키를 누르 면 00로 부터 시작해서 빈 번지에 자동 저장된다. 이때 모두 프로그램으로 저장되어 있으면 99번에 자동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선택된 번호에 저장된다. 다른 키를 누르면 작업시간 데이터 값이 자동으로 소멸된다.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the work time up to now is displayed on the LCD window, and when you press the Enter key, it is automatically saved in the empty address starting from 00. At this time, if all are saved as program, it is automatically saved at 99 or at the selected number. Pressing any other key automatically destroys the working data value.

저장 후에 ESC 키를 누르면 초기 화면이 나오게 된다.After saving, press ESC key to display the initial screen.

두 번째는 직접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방법이다. The second is to enter the program directly.

도3의 초기 상태에서 M-Save Mode를 선택한 후에 엔트리 키를 누르면 메모리 모드가 나타나게 된다.After selecting M-Save Mode in the initial state of Fig. 3, pressing the entry key will display the memory mode.

원하는 번호를 모드 키를 이용하여 선택한다.Select the desired number using the mode key.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한 후에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시간(59분 59초)을 조절하게 된다. After confirming the position using the up / down keys, adjust the time (59 minutes 59 seconds) using the number buttons.

정량 펌프는 초당 5ml가 된다.The metering pump is 5 ml per second.

엔트리 키를 누르면 자동 저장되고 초기 화면이 나오게 된다.Pressing the entry key will automatically save and display the initial screen.

이와 같이 하여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에 엔터 키를 누르면, 스팀이 준비될 때 까지 기다리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된다.If you press the Enter key after selecting a program in this way, you will be prompted to wait until Steam is ready.

기다린 후에 준비되면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After waiting, you are ready to start working.

이제, 메뉴 상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ow,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menu will be described.

먼저 자동 처리(Auto-P)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100개의 실험 과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처리하는 메뉴이다. 이 메뉴에서는 필요한 작업을 선택하고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되며 마지막 폐수 처리 과정에서 대기하게 된다.First, auto-P is a menu that automatically selects one of the 100 experimental procedures stored in the memory and automatically processes it. In this menu, all you have to do is to select the required task and press the button.

이 자동 처리에서는 입력된 실험 결과를 가지고 반복해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같은 실험을 오차없이 처리할 수 있으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실험 준비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automatic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same experiment repeatedly with the inputted experimental results, so that the same experiment can be processed without errors, and other experiments can be prepared while the experiment is in progress,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모든 처리가 끝나면 결과물을 제거한 후에는, 엔터 키를 눌러서 폐수 처리 과정과 튜브 세척 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반복해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After all the treatment is finished, after removing the result, press the Enter key to perform the waste water treatment and the tube cleaning process and can be repeated.

다음에, 수동 처리(Manual)는, 실험 과정을 수동으로 처리하는 메뉴이다. 필요한 시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량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처리를 할 수 있다. 수동으로 처리된 과정을 메모리에 기억시킬 수 있으며, 부분적인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수동으로 처리된 과정을 메모리에 기억시킬 수 있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자동 처리 메뉴에서 사용할 수 있다.Next, manual processing (Manual) is a menu for manually processing the experiment process. The required sample can be adjusted to the amount desired by the user and can be partially processed. Manually processed processes can be stored in memory, or partially processed. Manually processed processes can be stored in memory and used in the automatic processing menu as described above.

다음은 메모리 저장(M-Save) 메뉴로서, 저장된 메모리를 수정, 편집, 기억하는 메뉴이다. 저장된 작업 과정을 반복해서 실험하지 않고 간단히 처리하는 메뉴이며, 새로운 작업 과정을 기억시키고 편집할 수 있다. 한번의 실험으로 비슷한 실험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반복적인 실험의 횟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Next is the M-Save menu, which modifies, edits and stores the stored memory. It is a menu that simply handles the stored workflow without experimenting repeatedly. It can memorize and edit the new workflow. Similar experiments can be stored in a single experiment, reducing the number of repeated experiments by the user.

메모리 크리어(M-Clr) 메뉴는, EEPROM을 초기화하는 메뉴이다. 처음 본 장치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EEPROM을 초기화하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모두 지울 때 사용한다. 지워진 내용은 복구할 수 없다.The memory clear (M-Clr) menu is a menu for initializing the EEPROM. The EEPROM is automatically initialized the first time the device is used, but it is used when the user erases all stored contents. Deleted content cannot be recovered.

센서(Sensor) 메뉴는, 본 장치에서 사용되는 자동화 센서의 사용 유무를 결정하는 메뉴이다. 한번 기억시키면 EEPROM에 기억되므로 매번 사용할 때마다 다시 설정하는 불편이 없다. The sensor menu is a menu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automated sensor used in the present apparatus. Once stored, it is stored in the EEPROM,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set it again every time.

마지막 메뉴는 RS-232C 메뉴로서, 컴퓨터의 RS-232C 직렬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메뉴이다. 메모리에 기억된 내용을 컴퓨터로 옮길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 새로운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해 줄 수 있다.The last menu is the RS-232C menu, which communicates using the computer's RS-232C serial port. The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can be moved to the computer, and the new contents can be stored on the computer, thereby ad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반드시 세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보관하게 된다. 내부 세척을 위해서는 자동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세척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을 위해서 조건을 선택하게 되는데, 물을 25초 정도 펌프를 이용하여 분해 튜브에 넣은 후 7분 정도 스팀을 발생시켜서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분해 튜브의 내부가 많이 오염되어 있을 때에는 황산 10ml를 넣은 후 세척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After performing the work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program must be executed and stored. For internal cleaning, an automatic program is set up for cleaning. As shown in Figure 4, to select the conditions for washing, the water is put into the decomposition tube by using a pump for about 25 seconds, and the washing is performed by generating steam for about 7 minutes. If the inside of the digestion tube is heavily contaminated, 10 ml of sulfuric acid can be added to the cleaning program.

이하, 프로그램 세부 실행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detailed execution process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도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동(Manual)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5 to 8 illustrate a manual execution process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서 볼 수 있듯이,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해서 2번(Manual)을 선택한다(단계 510). 이어서 엔터 키를 누르면 붕산 투입을 위한 창이 뜨게 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5, Manual 2 is selected to execute the program manually (step 510). Then press the Enter key to open the window for boric acid input.

이 창에서 Bor 또는 엔터 키를 누르면 OFF가 ON으로 바뀌면서 붕산 용액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단계 520). Pressing the Bor or Enter key in this window will turn OFF to ON and begin supplying the boric acid solution. The Esc button then proceeds to the process termination process (step 520).

처리 종료 과정에서 엔터 버튼을 누르면 처리가 종료되며, Esc 버튼을 누르 면 다시 처리 과정으로 돌아가게 된다(단계 530).If the enter button is pressed in the process termination process, the process ends, and if the Esc button is press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 again (step 530).

붕산 투입 과정(520)에서 Esc 버튼을 누르지 않고 Bor 또는 엔터 키를 누르면 붕산이 계속해서 공급된다. 붕산이 적당히 공급되면 Bor 또는 엔터 키를 누르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 때 만약 Esc 키를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으로 다시 넘어가게 된다(단계 540).In the boric acid input process 520, if Bor or the enter key is pressed without pressing the Esc button, boric acid is continuously supplied. When boric acid is properly supplied, press the Bor or Enter key to proceed to the next step. At this time, if the Esc key is pressed, the process goes back to the end of the process (step 540).

단계 55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게 되며, Esc 키를 누르면 단계 520으로 돌아가서 붕산 공급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In step 550, pressing the enter key proceeds to the next process, and pressing the Esc key returns to step 520 to perform the boric acid supply process agai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동(Manual) 실행 과정을 계속해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nual execution proces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550에 이어지는 단계 610는 물을 투입하는 과정이다. 단계 610에서 Wat 또는 엔터 키를 한번 누르면 창에서 OFF가 ON으로 바뀌면서 물이 공급된다. 이어서 Esc 키를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620)으로 넘어가고, 단계 62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처리가 종료되며, Esc 버튼을 누르면 다시 처리 과정으로 돌아가게 된다. Step 610 following step 550 is a process of adding water. Pressing the Wat or Enter key once in step 610 will turn OFF to ON in the window and the water will be supplied. Subsequently, pressing the Esc key proceeds to the end of the process (step 620). In step 620, pressing the enter key ends the process, and pressing the Esc button returns to the process again.

단계 610에서 창에 ON으로 바뀐 상태에서 Wat 또는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단계(단계 630)로 넘어간다. 단계 630에서, 물이 적당히 투입되면 Wat 또는 엔터 키를 누르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620)으로 넘어간다. 단계 620에서 엔터키를 누르면 처리가 종료되며, Esc 버튼을 누르면 다시 처리 과정(단계 630)로 돌아가게 된다.Pressing the Wat or Enter key while the window is turned ON in step 610 moves to the next step (step 630). In step 630, when water is properly added, press the Wat or Enter key and proceed to the next step. Pressing the Esc button at this point proceeds to the end of processing (step 620). Pressing the Enter key in step 620 terminates the process, and pressing the Esc button returns to the process (step 630).

단계 630에서 창에 ON으로 바뀐 상태에서 Wat 또는 엔터 키를 누르면 단계 640으로 넘어가게 된다. 단계 640에서는, 엔터 키를 누름으로서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게 되고, Esc 버튼을 누르면 단계 610으로 돌아가서 물 투입 과정을 다시 실행하게 된다. Pressing the Wat or Enter key while the window is turned ON in step 630 proceeds to step 640. In step 640, the user presses the Enter key to proceed to the next step, and pressing the Esc button returns to step 610 to execute the water input process again.

단계 64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가성 소다 투입 과정인 단계 650으로 넘어간다. 단계 650에서 Sod 또는 엔터 키를 한번 누르면 창의 OFF가 ON으로 바뀌고, 가성 소다 용액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620)으로 넘어간다. 대신에 Sod 또는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단계(단계 660)로 넘어간다. Pressing the Enter key in step 640 proceeds to step 650, which is a caustic soda injection process. Pressing the Sod or Enter key once in step 650 turns the window OFF to ON and starts adding caustic soda solution. Pressing the Esc button at this point proceeds to the end of processing (step 620). Instead, pressing the Sod or Enter key moves to the next step (step 660).

단계 660에서, 가성 소다의 량이 적당히 투입되면 Sod 또는 엔터 키를 누르고 다음 과정(단계 670)로 넘어간다. 한편,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620)으로 넘어가게 된다.In step 660, if the amount of caustic soda is properly added, press the Sod or Enter key and proceed to the next step (step 670). On the other hand, if the Esc button is press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process termination step (620).

단계 67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고, Esc 버튼을 누르면 가성 소다 공급 과정(단계 650)으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In step 670, pressing the enter key proceeds to the next process, and pressing the Esc button returns to the caustic soda supply process (step 650).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동(Manual) 실행 과정을 계속해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nual execution process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710은 반응 시간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단계이다. 단계 710에서는 반응 시간(Reac Time)이 자동으로 증가하며 화학 반응을 지켜본 후에 적당한 시간이 되어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과정(단계 730)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Esc 키를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720)으로 넘어가게 된다. Step 710 is a step illustrating a reaction time setting process. In step 710, the reaction time (Reac Time) is automatically increased. After watching the chemical reaction, it is time to press the Enter key to proceed to the next step (step 730). At this time, if the Esc key is pressed, the process goes to the end of the process (step 720).

처리 종료 과정(단계 72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처리가 종료되며, Esc 버 튼을 누르면 다시 처리 과정(단계 710)으로 돌아가게 된다. In the process termination process (step 720), press the enter key to terminate the process, press the Esc button to return to the process process (step 710).

단계 71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스팀 공급 시간 설정 과정(단계 730)으로 넘어가서, 스팀이 공급되면서 스팀 타임이 자동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때 엔터 키를 누르면 스팀 공급이 중단되면서 다음 공정(단계 740)으로 넘어간다. 한편, 단계 730에서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720)으로 넘어가게 된다. Pressing the enter key in step 710 proceeds to the steam supply time setting process (step 730), the steam time is automatically increased as the steam is supplied. Pressing the enter key stops the steam supply and proceeds to the next process (step 740). On the other hand, if the Esc button is pressed in step 730, the process goes to the end of the process (step 720).

단계 740에서 엔터 버튼을 누르면 석션 공정(단계 750)으로 넘어가고,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720)으로 넘어가게 된다.Pressing the Enter button in step 740 proceeds to the suction process (step 750), and pressing the Esc button proceeds to the process end process (step 720).

단계 750은 석션 시간 설정 과정으로서, 석션이 작동하고 석션 시간이 자동으로 증가한다. 이어서 엔터 키를 누르면 석션이 정지되고 다음 공정(단계 760)으로 넘어가게 된다. 한편, Esc 키를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단계 720)으로 넘어가게 된다.Step 750 is a suction time setting process, in which the suction is activated and the suction time is automatically increased. Pressing the enter key then stops the suction and proceeds to the next process (step 760). On the other hand, if the Esc key is pressed, the process goes to the end of the process (step 720).

단계 760은 데이터 저장 과정으로서, 각 과정마다 실행된 시간이 나타난다. 이어서 엔터 키를 누르면 저장 확인 페이지로 넘어간다. 이때 Esc 또는 다른 버튼을 누르면 처리 종료되며 첫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Step 760 is a data storage process, in which time is shown for each process. Then press Enter to go to the save confirmation page. At this time, if you press Esc or other button, the processing ends and you are moved to the first page.

단계 77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페이지 상의 데이터가 저장 완료되고 첫 페이지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Esc 키를 누르면 처리 종료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 프로그램 과정이 수행된다.When the enter key is pressed in step 770, the data on the page is saved and the page goes to the first page. At this time, press the Esc key to proceed to the end of processing. In this manner, a manual program process is performed.

도8은 자동 프로그램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program process.

초기 화면에서 1번을 선택하면, 자동 프로그램 과정(Auto-P)이 선택된다(단계 810). 이어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If No. 1 is selected on the initial screen, an auto program process (Auto-P) is selected (step 810). Then press Enter to go to the next step.

단계 820 이하는, 저장된 데이터 선택 및 실행 과정이다. 단계 82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보려면 업/다운 버튼을 누르며,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려면 엔터 키를 누르면 된다. Step 820 and below are the selection and execution of the stored data. Press the up / down button to view the stored data in step 820 and press the enter key to proceed to the next step.

단계 830에서, 다른 데이터를 보려면 업/다운 버튼을 누르고, 현재 데이터를 실행하려면 엔터 버튼을 누른다. 이어서 엔터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며,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과정이 종료된다. In step 830, press the up / down button to view other data, or press the enter button to execute the current data. If you press the enter button once again, it moves to the next step, and if you press the Esc button, the process ends.

단계 840에서, 선택된 현재 데이터에 의해서 실험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반응 과정이 완료되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간다. Esc 버튼을 누르면 처리 과정이 종료된다.In step 840, the experiment is automatically run with the selected current data. When the reaction process is complete, proceed to the next step. Press the Esc button to end the process.

단계 840에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는데, 단계 850에서는 처리를 종료하고, 여기서 엔터 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석션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Pressing the enter key in step 840 proceeds to the next step, where processing ends in step 850, where pressing the enter key once again proceeds to the suction process.

이어서 단계 850에서는, 설정된 시간 만큼 석션이 실행되고 처음으로 돌아간다. 만일 석션을 실행시키기 않으려면 Esc 버튼을 누른다. 여기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여 단계 840으로 가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 프로그램 실행 과정이 수행된다. Then, in step 850, the suction is executed for the set time and returns to the beginning. If you do not want to run the suction, press the Esc button. If you press the Enter key, you will move to the next step and go to step 840. In this way, an automatic program execution process is performed.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메모리 저장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torage execu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초기 화면에서 번호 3을 선택하면, 메모리 저장(M-Save) 과정이 선택된다. 이어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단계 910).When number 3 is selected on the initial screen, the M-Save process is selected. Then press the enter key to move to the next step (step 910).

단계 920에서는, 선택된 메모리 데이터가 저장 완료된다.In step 920, the selected memory data is stored.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메모리 삭제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deletion execution process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초기 화면에서 4번을 선택하면 메모리 삭제 실행 과정이 선택된다. 이어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다음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단계 1010).If you select No. 4 on the initial screen, the process of deleting memory is selected. Pressing the enter key next moves to the next step (step 1010).

단계 1020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서 엔터 버튼을 누른다. 이때 전체 데이터가 삭제되며, 처음으로 돌아가려면 Esc 버튼을 누른다.In step 1020, the enter button is pressed to delete the stored data. At this time, the entire data will be deleted. To return to the beginning, press the Esc button.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센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setting proces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초기 화면에서 5번을 선택하면, 센서 설정 과정이 선택된다. 이어서 엔터 버튼을 누르면 다음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단계 1110).If you select 5 on the initial screen, the sensor setup process is selected. Pressing the enter button then moves to the next step (step 1110).

단계 1120에서는 센서를 설정하게 되는데, 각 번호를 숫자 판에서 누르면, ON, OFF가 반복된다. 센서는 외부 센서 부착 여부에 따라서 작동하므로 모두 ON으로 놓고 사용한다.In step 1120, a sensor is set. When each number is pressed on the number plate, ON and OFF are repeated. The sensors operat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n external sensor is attached.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부 통신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execution proces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초기 화면에서 6번을 선택하면 외부 통신 실행(RS232)이 선택된다(단계 1210). 이어서 엔터 키를 누르면, 단계 1220에서 통신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이를 위해서 먼저 본 발명의 장치를 PC의 RS232에 케이블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PC에 공급된 프로그램으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electing No. 6 on the initial screen selects external communication execution (RS232) (step 1210). Then, when the enter key is pressed, a communication program is executed in step 1220. To do this, first,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S232 of the PC by a cable. In this way, control is performed by a program supplied to the PC.

처음으로 돌아가려면 Esc 버튼을 누른다. Press the Esc button to return to the beginning.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부 통신 실행 과정에서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gram for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external communic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증류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들일 때에는 리드 버튼을 누른 다. 데이터를 불러 들인 후에는 제목(Title)을 영문 15자 이내로 작성한다.When reading data stored in the disti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button is pressed. After importing the data, write the title within 15 letters.

시간 수정은 분, 초를 변경하기만 하면 된다.To change the time, simply change the minutes and seconds.

모든 것이 저장되었으면 저장(Save)을 눌러서 기기에 저장하면 기기 화면 저장 모드에 저장된다.Once everything has been saved, press Save to save it to your device.

도1은 종래의 세미 마이크로 킬달 증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emi-micro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칼달 증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ure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aldal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킬달 증류 장치의 제어부 창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itial state of the control window of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킬달 증류 장치에서 분해튜브의 세척을 위한 조건을 도시한 도면. Figure 4 shows the conditions for washing the decomposition tube in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동(Manual)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5-8 illustrate a manual execution of a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메모리 저장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Figure 9 illustrates a memory storage execution proces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메모리 삭제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erase execution process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센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setting proces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부 통신 실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12 illustrates a process of executing external communic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부 통신 실행 과정에서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1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gram for communication in the course of execut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 유리문 102: 가성소다 투입구101: glass door 102: caustic soda opening

103: 스팀 및 물 투입구 104: 분해튜브103: steam and water inlet 104: decomposition tube

105: 바이톤-콘 106: 시험관105: Viton-con 106: test tube

107: 시험관 클램프 108: 누수 받침대107: test tube clamp 108: leak support

109: 붕산 투입구 110: 삼각플라스크109: boric acid inlet 110: Erlenmeyer flask

111: 스팀 유도관 112: 냉각수 출구111: steam induction pipe 112: cooling water outlet

113: 냉각수 입구 114: 키보드113: coolant inlet 114: keyboard

115: 냉각기115: cooler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시료가 투입되어 분해되는 분해튜브로서, 상기 분해튜브에는 가성 소다 투입구, 및 증기와 물 투입구가 연결되어 시료를 분해 및 증기 주입하여기체를 발생하는 분해튜브와, 상기 분해튜브에 연통되어 상기 분해튜브로부터 발생되는 기체를 냉각기의 외측에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의 끝단에 연결되어 냉각된 응축수를 수거하는 플라스크로서, 붕산 투입을 위한 붕산 투입구가 연결되는 응축수 수거용 플라스크와, 상기 가성소다, 증기와 물, 붕산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A decomposition tube in which a sample is introduced and decomposed, wherein the decomposition tube is connected to a caustic soda inlet, and a vapor and water inlet to decompose and steam the sample to generate gas, and the decomposition tube communicates with the decomposition tube. And a condensate collection flask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oler to collect cooled condensate, a condensate collection flask connected with boric acid inlet for boric acid input, and the caustic.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soda, steam, water, boric acid, 시료를 반자동으로 작업한 후에 데이터 값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자동 처리 메뉴를 포함하며, 이 메뉴에서는,It includes an automatic processing menu that sets up the program by automatically entering data values after the sample has been semi-automatically operated. a) 상기 플라스크에 적정량의 붕산을 투입하는 단계,a) injec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boric acid into the flask, b) 상기 분해튜브에 물과 가성소다를 투입하는 단계,b) injecting water and caustic soda into the decomposition tube; c) 단계 b)에서 가성소다를 투입하는 것을 정지시킬 때 시료에 반응이 시작되는 동시에 반응 시간이 표시되는 단계,c) starting the reaction to the sample at the same time when stopping the addition of caustic soda in step b), and displaying the reaction time; d) 반응이 완료될 때 상기 분해튜브에 증기를 투입하여 증류를 수행하는 단계,d) performing distillation by adding steam to the decomposition tube when the reaction is completed, e) 증류가 종료될 때 상기 분해튜브의 폐수를 제거하는 단계, 및e) removing wastewater from the cracking tube when distillation is finished, and f) 현재까지의 작업시간을 제어부의 표시 창에 표시하고 빈 번지에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f) displaying a working time to the present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control unit and automatically storing the empty address. 시료가 투입되어 분해되는 분해튜브로서, 상기 분해튜브에는 가성 소다 투입구, 및 증기와 물 투입구가 연결되어 시료를 분해 및 증기 주입하여기체를 발생하는 분해튜브와, 상기 분해튜브에 연통되어 상기 분해튜브로부터 발생되는 기체를 냉각기의 외측에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의 끝단에 연결되어 냉각된 응축수를 수거하는 플라스크로서, 붕산 투입을 위한 붕산 투입구가 연결되는 응축수 수거용 플라스크와, 상기 가성소다, 증기와 물, 붕산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A decomposition tube in which a sample is introduced and decomposed, wherein the decomposition tube is connected to a caustic soda inlet, and a vapor and water inlet to decompose and steam the sample to generate gas, and the decomposition tube communicates with the decomposition tube. And a condensate collection flask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oler to collect cooled condensate, a condensate collection flask connected with boric acid inlet for boric acid input, and the caustic.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soda, steam, water, boric acid, 시료를 반자동으로 작업한 후에 데이터 값을 직접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수동 처리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에서는,It includes a manual processing menu for setting a program by directly inputting data values after the sample is semi-automatically operated. a) 메모리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a) displaying the memory mode, b) 모드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b) selecting the desired number using the mode key, and c)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한 후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킬달 증류 장치의 동작 방법.c) operating the Kjeldahl distill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time using the numeric buttons after confirming the position using the up / down key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048969A 2008-05-27 2008-05-27 Operation method of Kjeldahl distillation unit Active KR100882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969A KR100882770B1 (en) 2008-05-27 2008-05-27 Operation method of Kjeldahl distilla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969A KR100882770B1 (en) 2008-05-27 2008-05-27 Operation method of Kjeldahl distillation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770B1 true KR100882770B1 (en) 2009-02-10

Family

ID=4068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969A Active KR100882770B1 (en) 2008-05-27 2008-05-27 Operation method of Kjeldahl distillatio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77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5555A (en) * 2016-12-05 2017-05-10 河南广电计量检测有限公司 Method for measuring volatile phenol and cyanide in water, soil or municipal sludge
CN111781194A (en) * 2020-06-30 2020-10-16 浙江诸暨聚源生物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measuring nitrogen content in recombinant collagen stock solution containing high-concentration glycerol
KR200492724Y1 (en) 2019-08-27 2020-11-30 (주)한일랩테크 Apparatus for measuring fluorine
CN118681247A (en) * 2024-06-14 2024-09-24 海能未来技术集团股份有限公司 A Kjeldahl nitrogen determination high-efficiency distillation system, a Kjeldahl nitrogen determination instrument and a distilla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3685A1 (en) 1994-07-22 1996-01-24 Resona Innovation Ag Device for determining of nitrogen and proteins content, in particular of food
WO1998033065A1 (en) * 1997-01-29 1998-07-30 Foss Tecator Ab Process for determination of nitrogen
KR200342687Y1 (en) 2003-10-27 2004-02-19 유명열 Semi-micro kjeldahl nitrogen distilling apparatus
KR100560991B1 (en) * 2004-12-09 2006-03-17 이상직 Multiple crude protein analysis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3685A1 (en) 1994-07-22 1996-01-24 Resona Innovation Ag Device for determining of nitrogen and proteins content, in particular of food
WO1998033065A1 (en) * 1997-01-29 1998-07-30 Foss Tecator Ab Process for determination of nitrogen
KR200342687Y1 (en) 2003-10-27 2004-02-19 유명열 Semi-micro kjeldahl nitrogen distilling apparatus
KR100560991B1 (en) * 2004-12-09 2006-03-17 이상직 Multiple crude protein analysis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5555A (en) * 2016-12-05 2017-05-10 河南广电计量检测有限公司 Method for measuring volatile phenol and cyanide in water, soil or municipal sludge
KR200492724Y1 (en) 2019-08-27 2020-11-30 (주)한일랩테크 Apparatus for measuring fluorine
CN111781194A (en) * 2020-06-30 2020-10-16 浙江诸暨聚源生物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measuring nitrogen content in recombinant collagen stock solution containing high-concentration glycerol
CN118681247A (en) * 2024-06-14 2024-09-24 海能未来技术集团股份有限公司 A Kjeldahl nitrogen determination high-efficiency distillation system, a Kjeldahl nitrogen determination instrument and a distill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770B1 (en) Operation method of Kjeldahl distillation unit
JP2005508079A (en) Real-time component monitoring and replenishment system for multi-component fluids
CN102517842A (en) Washing machine capable of choosing washing procedure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material information of clothes and method therefor
JP6583890B2 (en) Permeability test equipment
JP6126012B2 (en) Automatic control of multiple devices for separation and detection processing for quantitative sample analysis
JPH0280962A (en) automatic analyzer
CN101397736A (en) Wash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 adding washing agent based on standard and laundry method with washing agent addition
JP7035951B2 (en) Pretreatment device and analysis system equipped with it
CN204679331U (en) A kind of two warm area counteract appearance
JP2016001180A (en) Unmanned automatic alkalin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CN102902230B (en) Automatic control system used in defoaming device
JP2022173575A (en) washing machine
KR101176481B1 (en) Washing machine
CN103852365A (en)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multifunctional oil-cleaning apparatus
CN112525609B (en) Transformer oil detects gets oily device
CN205280470U (en) Appearance is cleared up to intelligent high efficiency of supersound perspective
CN107817143A (en) Coordinate the biological cover plate of slide for SABC analyte detection
CN115586185A (en) Micro-fluidic steam dryness detector and detection method
CN108485876A (en) Grain brewing method and device
CN208031971U (en) A kind of automatic washing device of DNPH columns
CN108295507B (en) DNPH column automatic elution device
CN215910343U (en) Gas path cleaning device for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CN117999479A (en) Total organic carbon instrument
JP2019152470A (en) Analysis system
KR100990368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gas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reactor and multi-channel automatic gas analysis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