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325B1 - Operation port of tack attacher - Google Patents
Operation port of tack attac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1325B1 KR100881325B1 KR1020070030610A KR20070030610A KR100881325B1 KR 100881325 B1 KR100881325 B1 KR 100881325B1 KR 1020070030610 A KR1020070030610 A KR 1020070030610A KR 20070030610 A KR20070030610 A KR 20070030610A KR 100881325 B1 KR100881325 B1 KR 1008813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read
- lever
- tack
- zone
- op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80 chela (arthropod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7/00—Affixing tag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4—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strings, straps, chain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 부착기구의 작동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에서 복잡한 기구의 조립 상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택 부착기의 실공급기구(A)와, 고리기구(B)와, 실접촉기구(C)와, 매듭기구(D)와, 실잡이기구(E) 등으로 구성된 택 부착기에 있어서, 택 부착기의 기체 내부의 단면공간을 복수구역으로 구분하여, 제1구역에는 상기 실공급기구(A),실접촉기구(C),실잡이기구(E)를 배치하고 제2구역에는 고리기구(B)를 배치하며, 제3구역에는 매듭기구(D)를 배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he tack attachment mechanism, in order to correct the problems in the assembly of the complex mechanism in the tack attachment to attach the tack to the conventional sewing thread, thread supply mechanism (A) of the tack attachment, ring mechanism (B) and In the tag attaching machine consisting of the thread contact mechanism (C), the knot mechanism (D), the thread catching mechanism (E), and the like, the cross-sectional space inside the base of the tag attaching machin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The thread supply mechanism (A), the thread contact mechanism (C), the thread holder mechanism (E) are arranged, the loop mechanism (B) is arranged in the second zone, and the knot mechanism (D) is arranged in the third zone.
따라서 구역별 기구의 단위 조립체로 조립이 가능하여, 택 부착기를 보다 능률적으로 다량 조립생산할 수 있고 택 부착기를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는 동시 택 부착기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택 부착기의 실용화를 촉진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ssemble as a unit assembly of the mechanism for each zone, and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produce a large number of tack attachers more efficiently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imultaneous tack attacher which can supply tack attachers at a lower cost, thereby promoting the practical use of the tack attacher. can do.
택 부착기, 실공급기구, 고리기구, 실접촉기구, 매듭기구, 실잡이기구. Tack attachment, thread supply mechanism, loop mechanism, thread contact mechanism, knot mechanism, thread holder mechanism.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측 측판을 분리하여 각 기구의 배치상태를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each mechanism by removing the s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각 기구가 배치된 타측 측판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other side plate on which each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도3은 본 발명의 기체의 구역별 각 기구가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mechanism for each zone of the ga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도4는 도3에서 타측 측판을 분리한 단면 예시도4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other side plate separated from FIG.
도5는 본 발명의 실공급기구의 작동구의 배치 예시도Figure 5 is an illust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thread suppl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고리기구의 작동구의 배치 예시도Figure 6 is an illust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r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실접촉기구의 작동구의 배치 예시도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seal contac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매듭기구의 작동구의 배치 예시도Figure 8 is an illust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tool of the kno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실잡이기구의 작동구의 배치 예시도9 is an exemplary layout of the operation tool of the thread catch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Important Parts of Drawing]
1 : 실접촉기구의 작동기 2 : 고리기구의 작동구1: Actuator of Seal Contact Mechanism 2: Actuator of Ring Mechanism
3 : 실접촉기구의 작동구 4 : 실잡이기구의 작동구3: operating port of thread contact mechanism 4: operating port of thread holding mechanism
6 : 레버 6a : 선형기어 7 : 클러치 7g : 연동기어6 lever 6a
8: 구동기어 8a,8b : 전동기어 8x, 8x': 회전축 8:
9 : 기체 9a,9b : 측판 9c,9d : 보조측판 9
A : 실공급기구 B : 고리기구 C : 실접촉기구 A: Thread supply mechanism B: Ring mechanism C: Thread contact mechanism
D : 실매듭기구 E : 실잡이기구.D: thread knot mechanism E: thread holder mechanism.
본 발명은 택 부착기의 작동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에 있어, 부착기를 구성하는 각 기능기구의 작동구를 단위조립체로 조립할 수 있는 분할 배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ng tool of a tack attacher. More specifically, in a tack attacher for attaching a tack to a sewing ro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vided arrangement in which the operation tool of each functional mechanism constituting the attacher can be assembled into a unit assembly.
일반적으로 물품에 가격표나 제품 라벨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스테이플러(stapler)를 제외하고는 합성수지제의 패스너 핀으로 택(Tag)을 물품에 부착하는 택건(Tag Gun)과, 또 재봉실(裁縫絲)로 고리로 매듭지어 택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가 있다. Generally, there are many types of tag attachers that attach a price tag or product label to the article. Except for staplers, a tag gun attaches a tag to the article with a fastener pin made of resin, and There is a tack attacher which attaches a tack by a loop with a sewing thread.
본 발명은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부착기에 관련된 발명이므로 택건과 구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택 부착기"(Tag Fastener)는 실(絲)로 택을 부착하는 부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g attaching machine for attaching a tag to a sewing thread, the term "tag fasten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mean an attaching machine for attaching a tag with a thread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a tag gun. .
본 발명과 관련한 택 부착기의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일본실용신안공보 소 57-41124 (1982.9.9.공고), 일본특허공보 소 57-44533 (1982.9.12.공고),일본특허공보 소 57-48457 (1982.10.16.공고) 일본특허공보 소 59-5315 (1984.2.3.공고), 일본실용신안공보 소63-44332 (1988.11.17공고),일본실용신안공보 소63-44333 (1986.11.17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3-294337(1989.12.1.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 1-267142 (1989.10.25 공개) 등에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기능기구에 대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of the tag attaching machin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57-41124 (published on September 9, 198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57-44533 (published on September 9, 198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57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5315 (August 16, 1984) 1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3-294337 (published on December 1, 1989),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267142 (published on October 25, 1989), etc. Is disclosed.
일반적으로 택 부착기는 기구의 구조적 형태는 다양하지만 기능기구의 측면에서 본다면, 물품과 택을 관통한 바늘에 택을 부착할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기구와, 바늘에 공급된 실을 걸어 고리가 지도록 기체 내부로 당겨주는 고리기구와, 훅이 당겨준 실을 걸어서 매듭기구에 대어 주는 실접촉기구와, 실접촉기구가 대어준 고리형태의 실끝을 잡아 매듭을 짓고 매듭의 실 끝단을 절단하는 매듭기구와, 매듭기구가 고리를 매듭을 짓고 실을 절단하는 동안 실 공급기구의 실이 풀리지 않게 잡고 있는 실잡이기구가 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기어에 의해서 각각 유기적으로 작동되게 결합구성되어 있다. Generally, the tack attacher has various structural forms, but from the side of the functional mechanism, a thread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a thread to attach a tack to an article and a needle penetrating the tack, and a hook provided to hang the thread supplied to the needle Hook mechanism to pull the inside of the aircraft, thread contact mechanism that hangs the thread pulled by the hook, and attach it to the knot mechanism; And the thread catching mechanism holding the thread of the thread supply mechanism so as not to loosen while the knot mechanism knots the loop and cuts the thread, is configured to be organically operated by the drive gear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respectively.
인용문헌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택 부착기는 상기한 많은 부품의 작동구로 이루어진 기능기구들이 기체 내에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매우 섬세하고 복잡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 분업적으로 조립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cited reference, the tack attacher is not only very delicate and complicated in the assembly process because the functional mechanisms composed of the actuators of many parts described above are organically connected in the gas, and above all,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done.
또 조립된 일부의 부품에 하자가 생겨도 전체를 쓸 수 없는 불량품의 산출량이 많으며 또 조립의 비능률성으로 인하여 택 부착기를 다량으로 생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택건에 비하여 생산 코스트가 필연적으로 높아져서 저렴하게 공급하기 어렵고, 또 사용중 일부 기구에 고장이 생겨도 택 부착기 전체를 사용할 수 없거나, 기계 전문가에 의해 기체의 전체를 해체해야 부분수리가 가능한 번거로운 문제 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high yield of defective products that cannot be used even if some of the parts are defective.In addition, due to the inefficiency of the assembly,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tack attachments,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evitably higher than that of the tack gun. It was difficult to do it, and there was a troublesome problem that the whole tack applicator could not be used even if some equipment failure occurred during use, or partial repair could be performed by disassembling the whole body by a mechanical expert.
또 택 부착기의 용도에 비하여 기구의 복잡성으로 인한 생산성의 어려움이 있고 기구작동의 신뢰성의 부족으로 지금도 택부착기는 별로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productivity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mechanism compared to the use of the tack attacher, and due to the lack of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tack attacher, the tack attacher has not yet been put to practical use.
한편,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부착기는 택을 부착하는 재봉실을 주위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합성수지 패스너 핀(fastener pin) 에 비하여 같은 길이에서 재봉실(thread) 값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택을 부착하는 경우 실을 사용하는 택부착기가 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택부착기구의 개선 및 생산성의 개발에 따라 그 용도적 전도(前途)가 매우 밝은 것으로 보인다. On the other hand, the tack attacher attaching the tack to the sewing thread can not only obtain the sewing thread attaching the tack around, but also has a large amount of threads because the thread length is much cheaper than the synthetic fastener pin.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tack, since the tackifier using the seal is more advantageous, its application conduction appears to be very brigh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tack attachment mechanism and the development of productivity.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택 부착기의 복잡한 기구의 조립 생산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택 부착기를 구성하고 있는 실공급기구와, 고리기구와, 실접촉기구와, 매듭기구와, 실잡이기구, 등을 기체 내부에 복수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에 분할 배치하여서, 분업적으로 각 기구를 단위조립체로 조립하여 택 부착기를 보다 능률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택부착기의 작동구의 배치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ad feeding mechanism, a ring mechanism, a thread contact mechanism, a knot mechanism, a thread catching mechanism, which constitutes a tack attacher, in order to correct the problem of assembly and production of a complicated mechanism of a conventional tack attacher. By dividing and the like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the interior of the body to provide a means for arranging the operation of the tack attachment machine can be produced more efficiently by assembling each mechanism into a unit assembly by divi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택 부착기의 각 기구를 단위조립체로 각 구역별로 배치함으로서, 조립중 불량요소가 발생하면 그 부분만을 교체가능하여,불량품의 발생을 저감(低減)하고 사용중 고장이 생겨도 고장개소부분의 단위조립체만을 분해하여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수리(修理)가 가능한 택부착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each mechanism of the tack attacher as a unit assembly for each zone, so that if a defective element occurs during assembling, only that part can be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defective products and failure in use. It is to provide a tack attachment that can be easily repaired by disassembling only the unit assembly of a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택 부착기의 조립생산성의 향상과 생산코스트의 절감 및 부분 수리의 용이성이 확보되고 택부착기의 기구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의 실용화를 촉진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ssembly productivity of the tag attaching machine,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ease of partial repair,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mechanism operation of the tag attaching machine to promote the practical use of the tag attaching machine for attaching the tag to the sewing thread. I'm trying to.
본 발명은 물품에 택을 부착하는 바늘에 실을 공급하는 실도관이 형성된 공급대와, 공급대를 직선운동으로 안내하는 안내봉과, 공급대를 왕복시키는 래버와, 레버를 요동시키는 캠레버 및 캠의 작동구로 구성된 실공급기구(thread feeding unit),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er formed with a threaded conduit for supplying a thread to a needle attaching a tack to an article, a guide rod for guiding the feeder in a linear motion, a lever for reciprocating the feeder, a cam lever and a cam swinging lever. Thread feeding unit consisting of the operating port of,
바늘에 공급된 실을 걸어 기체 내부로 끌어당기어 고리가 형성되게 하는 훅이 형성된 훅레버와, 훅크레버를 안내하는 안내홈과, 훅레버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와, 작동레버를 작동하는 캠레버 및 캠의 작동구로 구성된 고리기구(thread looping unit),A hook lever having a hook for hooking the thread supplied to the needle into the body to form a ring,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hook lever, an operating lever for moving the hook lever back and forth, and a cam for operating the operating lever A thread looping unit consisting of a lever and a cam drive,
훅레버의 훅에 의해 기체 내부로 끌어들인 실을 받아, 매듭기에 대어주는 실접촉편과, 실접촉편과 같은 축으로 형성된 랙기어와, 실접촉편을 측방의 상하로 요동시키는 랙기어와 맞물린 랙과, 랙을 상하로 요동시키는 캠레버 및 캠 등의 작동구로 구성된 실접촉기구(thread contacting unit),Receives the thread drawn into the body by the hook of the hook lever, and engages the thread contact piece facing the knot, the rack gear formed in the same axis as the thread contact piece, and the rack gear swinging the thread contact piece up and down sideways. A thread contacting unit consisting of a rack, an actuating device such as a cam lever and a cam that swings the rack up and down,
실접촉편이 대어준 실 고리의 실끝을 잡고 1회전 하면서 매듭(結索)을 짓는 새부리형태의 고정날과 가동날로 형성된 컷터를 겸한 매듭기(knotter)와, 매듭기를 회동시키는 기판에 설치된 회전축과, 가동날을 구동하는 레버와, 레버를 작동시키는 원형캠과, 회전축을 회동하는 피니온과, 피니온과 교합된 구동기어 등의 작동구로 구성된 매듭기구(knotting unit),A knotter serving as a cutter formed of a bent-shaped fixed blade and a movable blade that makes a knot while making a single turn while holding the thread end of the thread ring touched by the thread contact piece, and a rotating shaft installed on the substrate rotating the knot, A knotting unit consisting of an operating tool such as a lever for driving the movable blade, a circular cam for operating the lever, a pinion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a drive gear associated with the pinion,
매듭기가 고리의 매듭을 짓는 동안 실공급대의 실이 풀리지 않게 잡고 있는 실협지(thread holder)와, 실협지구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실협지구와 동축으로 된 랙기어와, 랙기어와 교합된 랙과, 랙기어를 구동시키는 레버와, 레버를 작동시키는 캠레버 및 캠 등의 작동구로 구성된 실잡이기구(thread holding unit),A thread holder that holds the thread of the thread feeder while the knot is being knotted in the loop, a rack gear coaxial with the thread narrowing zone which rotates the thread narrowing zone from side to side, a rack engaged with the rack gear, Thread holding unit consisting of a lever for driving the rack gear, an operating mechanism such as a cam lever and a cam for operating the lever,
등으로 구성되어,기체의 레버를 당기면 레버의 선형기어가 연동기어 및 클러치를 통하여 구동기어를 반회전시키어 그 구동력으로 모든 기구가 유기적으로 순차 작동하여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게 된 택 부착기에 있어서, In the tack attacher which pulls the lever of the gas, the linear gear of the lever rotates the drive gear half through the interlocking gear and the clutch, and all the mechanisms are organically operated by the driving force to attach the tack to the sewing thread.
기체의 좌우 측판 사이의 단면공간을 복수구역으로 분할하여, 기체의 일측 측판 내부의 제1구역에는 실공급기구와, 실접촉기구 및 실잡이기구의 각 작동구를 상기 레버의 구동기어와 연결되게 배치하고 기체의 타측 측판과 내부 보조측판 사이의 제2구역에는 고리기구의 작동구를 배치하며, 상기 타측 측판과 외부 보조측판 사이의 제3구역에는 매듭기구의 작동구를 배치하여, 각각 단위 조립체로 조립하고 이들 단위 조립체를 하나의 기체로 조립하여, 제1구역에 배치된 작동레버기구의 구동기어와 연동되는 전동기어 축과 제3구역에 배치된 전동기어 축이 클러치형태로 서로 연결되고 제2구역에 배치된 전동기어 축과 제3구역에 배치된 캠축이 동축으로 되어 있어, 상기 작동레버기구로 구동되는 구동기어로 연동할 수 있게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된 것이다. The cross-sectional sp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of the bod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so that the first feed zone inside the one side plate of the body is connected with the driving gears of the lever and the respective operating ports of the thread feeding mechanism and the thread contacting mechanism. Arrange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ring mechanism in the second zone between the other side plate and the inner auxiliary side plate of the body, and place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knot mechanism in the third zone between the other side plate and the external auxiliary side plate, respectively. And assembling these unit assemblies into one gas, the electric gear shafts interlocked with the drive gears of the actuating lever mechanism disposed in the first zone and the electric gear shafts arranged in the third z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clutches. The electric gear shaft arranged in the second zone and the cam shaft arranged in the third zone are coaxial, so that they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interlock with the drive gear driven by the operating lever mechanism. It is.
본 발명에 의하면, 택 부착기의 기능은 기존 그대로이고 각 기능기구의 작동구는 각 구역에 배치되는 단위조립체로 조립되기 때문에 분업적으로 조립이 가능하 여,택 부착기를 보다 능률적으로 다량생산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nction of the tack attacher remains as it is and the operation mechanism of each functional mechanism is assembled into unit assemblies arranged in each zone, it is possible to assemble in division of labor, thereby producing a large amount of the tack attacher more efficiently. .
또 택 부착기의 조립중 부품의 하자, 또는 사용중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기체 전체를 해체함이 없이 해당단위 조립체만을 분해하여 간편하게 수리 또는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defect or failure during assembly of the tack attacher, it is possible to easily repair or replace parts by disassembling only the unit assembly without disassembling the entire body.
이와 같이 택 부착기의 각 기구의 새로운 배치수단에 의해, 택 부착기를 보다 저렴하게 생산 보급할 수 있고 택 부착기의 작동상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택 부착기의 실용화를 촉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new arrangement means for each mechanism of the tack attacher can produce and spread the tack attacher at a lower cost, and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tack attacher can be improved to promote the practical use of the tack attacher.
도1은 본 발명의 택 부착기의 일측 측판을 분리하여 작동구의 배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2는 동 작동구가 배치된 타측 측판의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by removing one side plate of the tack attach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other side plate on which the operation tool is arranged.
본 발명은 물품과 택을 부착하는 바늘에 재봉실을 공급하는 실공급기구(A)와, 바늘에 공급된 실을 걸어 기체 내부로 끌어 당기어 고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고리기구(B)와, 고리기구의 실을 받아, 매듭기에 대어주는 실접촉기구(C)와, 실접촉편이 대어준 고리의 실끝단을 잡고 1회전하여 매듭을 짓고 실끝단을 절단하는 매듭기구(D)와, 매듭기구가 매듭을 짓는 동안 실공급기의 실을 풀리지 않게 잡고 있는 실잡이기구(E)로 구성된 택부착기(TG)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ad supply mechanism (A) for supplying a sewing thread to the needle for attaching the article and the tack, hook mechanism (B) to hook the thread supplied to the needle into the body to make a loop, and the loop mechanism Thread contact mechanism (C) for receiving the thread of the thread, the knot mechanism (D) for holding the thread end of the loop touched by the thread contact piece, making a knot by turning one end and cutting the thread end, and the knot mechanism In the tack attachment (TG) consisting of a thread catching mechanism (E) to hold the thread of the thread feeder so as not to loosen during the construction,
도1내지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체(body)(9)의 단면공간을 복수구역으로 분할하여. 기체(9)의 일측 측판(9a)(one side frame)의 내부측을 제1구역(Ⅰ)으로 하고 기체(9)의 타측 측판(9b)(other side frame)의 내부측을 제2구역(Ⅱ)으로 하며, 타측 측판(9b)의 외부측을 제3구역(Ⅲ)으로 구분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ross-sectional space of the
기체(9)의 일측 측판(9a)의 내부측 제1구역(the first zone)(Ⅰ)에는 실공급기구(A)의 작동구(1)와, 실접촉기구(C)의 작동구(3), 및 실잡이기구(E)의 작동구(5)를 배치한다. 기체(9)의 타측 측판(9b)과 내부 보조측판(9c)사이의 제2구역(the second zone)(Ⅱ)에는 고리기구(B)의 작동구(2)를 배치한다. 기체의 타측 측판(9b)과 외부 보조측판(9d) 사이의 제3구역(the third zone)(Ⅲ)에는 매듭기구(D)의 작동구(4)를 배치한다. In the first zone I of the
본 발명에서 실공급기구(A)는,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물품에 택을 부착하는 바늘(1n)에 실을 공급하는 가느다란 실도관(1p)이 형성된 실 공급대(1a)와, 상기 공급대(1a)의 지지편(1b)이 접동(摺動)가능하게 지지되어 안내하는 안내봉(1d)과, 상기 안내봉(1d)을 수평으로 장착된 지지판(2f)과, 공급대(1a)에 연결핀(1k)으로 연결되어 지축(1x)을 지점으로 공급대(1a)를 전후로 작동시키는 레버(1v)와, 지축(1x')에 지지된, 레버(1v)를 요동시키는 캠레버(1e)와, 상기 캠레버(1e)를 작동하는 캠(1c)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작동구(1)로 구성된 것으로 기체(9)의 일측 측판(9a) 내부의 제1구역(Ⅰ)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thread supply mechanism A includes a thread supply table 1a having a thin thread conduit 1p for supplying a thread to a
본 발명에서 고리기구(B)는, 도6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체 밖에서 상기 바늘(1n)에 공급된 실(s)을 걸어 기체 내부로 끌어당기어 고리가 형성되게 하는 훅(2h)을 가진 훅레버(2a)와, 상기 훅레버(2a)의 접동핀(2p)이 설치되어 안내하는 지판(2f)의 안내공(guide slot)(2s)과, 훅레버(2a)에 연결된 링크(2b)와 링크(2b)와 연결된 훅레버(2a)를 작동시키는, 지축(2x')에 지지된 작동레버(2v)와, 지 축(2x)에 지지되어 홈(2g) 내에서 레버(2v)의 연결공(2g')에 연결핀(2p')이 연결되어 레버(2v)를 작동시키는 캠레버(2b)와, 캠레버(2b)를 작동시키는 캠(2c)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작동구(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기구(2)중 훅레버(2a)와 작동레버(2v)는 제1구역(Ⅰ)의 일측 측판(9a)에 배치되고 캠레버(2d)와 캠(2c)은 기체(9)의 타측 측판(9b)과 내부 보조 측판(9c)사이의 제2구역(Ⅱ)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hook mechanism B has a
본 발명에서 실접촉기구(C)는,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훅레버(2a)의 훅(2h)에 의해 바늘(1n)에 공급된 실을 기체 내부로 끌어들이어 고리를 이룬 실끝을 걸어, 매듭기(4t)에 대어주는 실접촉편(3a)과, 실접촉편(3a)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실접촉편을 측방의 상호로 요동시키는 랙기어(3b)와, 랙기어(3b)와 교합된 랙(3r)과, 랙(3r)을 작동시키는, 지축(3x)에 지지된 캠레버(3v)와, 캠레버(3v)를 작동시키는 캠(3c)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작동구(3)로 구성된 것으로 기체(9)의 일측 측판(9a) 내부의 제1구역(Ⅰ)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g는 연동기어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thread contact mechanism C pulls the thread supplied to the
본 발명에서 매듭기구(D)는, 도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접촉편(3a)이 대어준 실 고리의 실끝을 잡고 1회전하면서 매듭을 짓는 새부리형태의 고정날(4a)과 가동날(4b)이 형성된 커터를 겸한 매듭기(knotter)(4t)와, 매듭기(4t)를 회동시키는 기판(4f)에 설치된 회전체(4d)와, 가동날(4b)을 구동하는 레버(4v)와, 레버(4v)를 작동시키는 원형캠(4c)과, 회전체(4d)를 구동하는 피니온(4e)과, 피니온(4e)과 교합된 구동기어(4g)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작동구(4)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 구(4) 중 매듭기(4t)는 기체(9)의 타측 측판(9b)의 내측의 제2구역(Ⅱ)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구(4)의 피니온(4e)과 구동기어(4g)는 타측 측판(9b)과 외부 보조측판(9d) 사이의 제3구역(Ⅲ)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 g,g'는 전동기어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knot mechanism (D) is a bird's beak-shaped fixed blade (4a) and the movable blade (knot) while holding the thread end of the thread ring that the thread contact piece (3a) is facing one
본 발명에서 실잡이기구(E)는 도9에 표시된 바와 같이, 매듭기(4t)가 고리의 매듭을 짓는 동한 후퇴하고 있는 실 공급대(1a)의 실을 잡고 있는 실 협지구(5a)와, 실 협지구(thread holder)(5a)와 동축으로 된 랙기어(5p)와, 협지구(5a)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상기 랙기어(5p)와 교합된 랙(5r)과, 상기 랙기어(5p)가 설치되고 지축(5x)에 지지된 레버(5v)와, 상기 레버(5v)를 작동시키는, 지축(5x')에 지지된 캠레버(5d)와, 캠레버(5d)를 작동시키는 캠(5c)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작동구(5)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구(5)는 기체(9)의 일측 측판(9a)의 내부의 제1구역(Ⅰ)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thread catching mechanism E and the thread clamping zone 5a holding the thread of the
본 발명은 도3,도4 와 같이, 제1구역(Ⅰ)에 배치된 작동구(1)(3)(5)와 제2구역(Ⅱ)에 배치된 작동구(2) 및 제3구역(Ⅲ)에 배치된 작동구(4)를 단위조립체 별로 분업적으로 조립하는 것이다. 3 and 4,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rating port (1) (3) (5) disposed in the first zone (I) and the operating hole (2) and the third zone arranged in the second zone (II) The
즉, 이들의 각 기구가 배치되어 단위 조립체로 조립된 각 측판(9a)(9b)을 체결나사(s)와 지지대(b)에 의해 택부착기의 기체(9)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구역(Ⅰ)에 배치된 구동기어(8)와 연동되는 전동기어(8b)의 축(8x)과 제3구역에 배치된 실매듭기구(D)의 전동기어(8c)의 축(8x')이 클러치타입으로 연결되고 제3구역(Ⅲ)에 배치된 전동기어(8b)와 연동되는 전동기어(g')의 축(gx')이 제2구역(Ⅱ)에 배치된 고리기구(B)의 캠축과 동축이 되며, 제2구역(Ⅱ) 에 배치된 캠레버(2d)의 연결핀(2p')이 제1구역(Ⅰ)에 설치된 훅레버(2a)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2v)의 연결공(2g')에 연결되어서 상기의 실공급기구(A), 고리기구(B), 실접촉기구(C), 매듭기구(D), 실잡이기구(E)의 모든 작동구(1)(2)(3)(4)(5)가 상기 레버(6)의 구동기어(8)의 구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게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된 것이다. That is, each of these mechanisms is arranged to assemble each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체(9)의 바늘(1n)로 물품과 택을 삽입하여 관통한 다음 택 부착기(TG)의 레버(6)를 당기면, 실공급기구(A)의 작동구(1)가 작동하여 택을 부착할 바늘에 실을 공급하고 ,이어서, 고리기구(B)의 작동구(2)가 작동하여 바늘에 공급된 실을 기체 내부로 끌어당기어 고리를 이루며, 실접촉기구(C)의 작동구(3)가 작동하여 고리를 이룬 실끝을 걸어 매듭기(4t)에 대어주며, 매듭기구(D)의 작동구(4)의 작동에 의해 매듭기(4t)가 고리의 단부에 매듭을 짓고 매듭진 실끝을 절단하는 동안 실잡이기구(E)의 작동구(5)의 작동으로 실공급대(1a)의 실을 협지하여 실이 엉키지 않고 다음 수순으로 실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일관된 작동에 의하여 실고리를 매듭지어 택을 부착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rticle and the tack are inserted and penetrated by the
본 발명에서 실공급기구(A), 고리기구(B), 실접촉기구(C), 매듭기구(D), 실잡이기구(E)의 각 구동구(1)(2)(3)(4)(5)는 인용문헌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각 작동구의 상세한 작동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drive port (1) (2) (3) (4) of the thread supply mechanism (A), the loop mechanism (B), the thread contact mechanism (C), the knot mechanism (D), and the thread holder mechanism (E). (5) is well known in the citations, so detailed operation description of each operating mechanism is omitted.
본 발명은 택 부착기의 택을 부착하는 기능은 종래와 동일하나, 각 기능기구의 작동구의 배치수단에 의해, 각 실공급기구기(A)의 작동구(1), 고리기구(B)의 작동구(2), 실접촉기구(C)의 작동구(3),매듭기구(D)의 작동구(4), 실잡이기구(E)의 작동기(5)가 복수 구역으로 구분하여 배치된 단위조립체로 분업적 조립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attaching the tack of the tack attacher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but by the arrangement means of the actuating tool of each functional mechanism, the actuating tool (1) of each thread supply mechanism (A) and the actuating tool of the ring mechanism (B). (2) a unit assembly in which the
또 택 부착기의 조립시 하자가 생기면 그 부분의 단위조립체를 교체할 수 있어, 택 부착기의 조립 생산중 불량품의 산출율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efects occur during assembly of the tack attacher, the unit assembly of the part can be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yield rate of defective products during assembly production of the tack attacher.
또 사용중 일부가 고장이 생겨도 기체 전체를 해체함이 없이 해당 단위조립체만을 분해하여 간편하게 수리 또는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even if some of the failure occurs, it is possible to easily repair or replace parts by disassembling only the unit assembly without disassembling the entire body.
본 발명의 새로운 배치수단에 의해, 택 부착기를 보다 저렴하게 생산 보급할 수 있고 택 부착기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그만큼 택 부착기의 실용화를 촉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ew arrange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ck attacher can be more widely produced and distributed, and the usability of the tack attacher can be increased, and the practical use of the tack attacher can be promoted.
본 발명은 택 부착기의 실공급기구와, 고리기구와, 실접촉기구와, 매듭기구와, 실잡이기구 등으로 구성된 택 부착기에 있어서, 택 부착기의 기체 내부의 단면공간을 복수구역으로 구분하여, 제1구역에는 상기 실공급기구,실접촉기구, 실잡이기구를 배치하고 제2구역에는 고리기구를 배치하며, 제3구역에는 매듭기구를 배치하여, 기구별 단위 조립체로 조립하였기 때문에 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택 부착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ack attachment comprising a thread supply mechanism, a loop mechanism, a thread contact mechanism, a knot mechanism, a thread holder mechanism, and the like, a section space inside the base of the tack attach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the first zone, the thread supply mechanism, the thread contact mechanism, and the thread holder mechanism are arranged, the second mechanism is arranged the loop mechanism, and the third zone is the knot mechanism, which is assembled into a unit assembly for each mechanism. The driven tag attacher can be easily assembled.
또 택 부착기를 분업적으로 각 기구별 단위조립체의 조립이 가능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다량의 택 부착기를 조립생산하여 경제적으로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다. 또 택 부착기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 부착 기의 실용화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unit assembly for each mechanism by division of labor, so that a large number of tack attachments can be assembled and produced more efficiently and more economically distribu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tack attacher is improved, and there are various effects that can promote the practical use of the tack attacher for attaching the tack to the sewing threa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0610A KR100881325B1 (en) | 2007-03-29 | 2007-03-29 | Operation port of tack attac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0610A KR100881325B1 (en) | 2007-03-29 | 2007-03-29 | Operation port of tack attach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8134A KR20080088134A (en) | 2008-10-02 |
KR100881325B1 true KR100881325B1 (en) | 2009-02-02 |
Family
ID=4015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06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1325B1 (en) | 2007-03-29 | 2007-03-29 | Operation port of tack attac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132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634B1 (en) * | 2012-06-13 | 2014-12-24 | 이덕희 | Thread clamping device for a hook lever of a tagging gu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631B1 (en) * | 2012-06-13 | 2014-12-24 | 이덕희 | Apparatus for enlarging the thread loop of a tagging gun |
KR101521854B1 (en) * | 2013-10-16 | 2015-05-21 | 이덕희 | Device for a thread-supplying needle in a tag gu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67142A (en) * | 1988-04-07 | 1989-10-25 | Towa Seiko Kk | Tag attaching device |
US4923106A (en) | 1987-10-15 | 1990-05-08 | Japan Bano'k Co., Ltd. | Piston driving apparatus in tag attacher |
-
2007
- 2007-03-29 KR KR1020070030610A patent/KR1008813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23106A (en) | 1987-10-15 | 1990-05-08 | Japan Bano'k Co., Ltd. | Piston driving apparatus in tag attacher |
JPH01267142A (en) * | 1988-04-07 | 1989-10-25 | Towa Seiko Kk | Tag attaching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634B1 (en) * | 2012-06-13 | 2014-12-24 | 이덕희 | Thread clamping device for a hook lever of a tagging gu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8134A (en) | 2008-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0662B1 (en) | Sequin needle sewing device | |
KR100881325B1 (en) | Operation port of tack attacher | |
TWI577847B (en) | Multi-thread chain stitch seam structure | |
TWI523985B (en) | Multi-thread chain stitch sewing machine with seam ravel preventing apparatus | |
KR101873956B1 (en) | Device for presenting decorative material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 |
JPH1059338A (en) | Locking piece attaching device | |
US4765265A (en) | Applique machines | |
CN101591843B (en) | Automatic thread clamping system of embroidering machine | |
CN101812779A (en) | The cutting facility of Sewing machines | |
US20040154502A1 (en) | Sewing machine | |
US6907834B2 (en) | Sewing machine | |
JP2001137584A (en) | Buttonhole sewing machine | |
DE19538044A1 (en) | Embroidery machine with automatic thread change | |
EP1764434A1 (en) | Device for embroidering cords or the like and embroidery or quilting machine with such device | |
US6796479B2 (en) | Loop-pin attaching device | |
TW201114970A (en) | Multi-head-embroidery machine and tenter frame therefor | |
CN108914422B (en) | Embroidery machine and method capable of rapidly replacing thread | |
KR100804960B1 (en) | Replacement devices for knots in tack attachers | |
KR101022329B1 (en) | Sequin Supply Guide Device of Sequin Supply Unit | |
KR20070031252A (en) | Stitch machines for stitching sequins, cords, etc., in particular book stitch machines or quilting machines | |
JPH11244568A (en) | Thread cutting device for buttonhole sewing machine | |
KR200230417Y1 (en) | A sepaeating needle plate in aseing machine capable of both quiting and embroidering | |
CN201473745U (en) | Automatic thread tension system for embroidery machine | |
KR20140145552A (en) | Sewing machine arm mechanism of embroidering machine | |
JP2001200465A (en) | Tuft sew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