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1143B1 -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143B1
KR100881143B1 KR1020070048493A KR20070048493A KR100881143B1 KR 100881143 B1 KR100881143 B1 KR 100881143B1 KR 1020070048493 A KR1020070048493 A KR 1020070048493A KR 20070048493 A KR20070048493 A KR 20070048493A KR 100881143 B1 KR100881143 B1 KR 10088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skin
tea flower
flower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419A (ko
Inventor
이진영
강병영
염명훈
전병배
황재성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4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14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 개선, 탄력 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미세염증 상태를 조절하고 환경 유해요소에 의한 독성을 제거하여 피부를 보호하며, 색소 침착을 줄여 주고, 부작용이 없는 녹차꽃의 고유 향취를 유지하면서 뛰어난 피부 효능을 갖는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차꽃 향취, 녹차꽃 추출물,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미세염증 조절, 해독작용 세포손상 보호, 색소 침착 조절

Description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reen tea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녹차꽃(Camellia sinensis var. sinenis cv. Shuixian and Maoxi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꽃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하여 세포 손상을 방지하며 피부의 염증을 감소시켜 노화를 지연시키고, 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탄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과 같은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을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내적으로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고,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와 같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외선, 자유 라디칼 및 활성산소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로 인해 피부의 정상기능이 약화되고 노화가 촉진되며 색소 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존에 알려진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 var. sinenis cv. Shuixian and Maoxie)의 잎은 오래 전부터 관심을 가지고 녹차 추출물과 각 성분들을 중요하게 이용해 왔으며, 녹차 추출물 및 녹차의 성분인 카테킨류에 대하여서는 피부 노화에 대한 효능들이 많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녹차꽃은 효용 가치가 알려져 있지 않고 녹차잎의 생산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거의 폐기하는 실정이었다. 최근 녹차꽃은 특유의 신선한 향취를 지녀 향료식물로서의 가치가 주목되어 뛰어난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항료 조성물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한국특허 제 10-0645879호: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Green tea flower}). 그러나 아직도 녹차꽃 향료 성분과 녹차꽃 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 탄력 개선, 미세 염증 제어 등의 피부 효능에 대하여서는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외부의 유해 환경이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노화를 지연하는 성분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녹차꽃의 향취성분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OS)을 제거하고 외부 자극에 의해서 생성되는 미세 염증을 제어함으로써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피부 노화를 지연시켜 주름 생성과 피부 탄력 저하를 억제하고 색소 침착을 줄여줌을 발견하였다.
특히, 상기 조성물에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CG), 데아닌(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최적의 비율로 더 함유할 경우, 상기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고 전반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녹차꽃 추출물은 녹차꽃 향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녹차꽃 향취성분은 4,8-디메칠-1,3(E),7-노나트리엔(E-4,8-dimethyl-1,3,7-nonatriene) 및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을 함유하는 녹차꽃 에센셜 오일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녹차꽃 추출물은 녹차꽃 향취성분을 함유하는 녹차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이다. 이때 녹차꽃 에센셜 오일은 녹차꽃을 수 증기 증류를 통하여 얻은 오일 성분으로 다른 에센셜 오일에 비하여 4,8-디메칠-1,3(E),7-노나트리엔(E-4,8-dimethyl-1,3,7-nonatriene) 및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을 함유함으로 인하여 특유의 향취 및 효능을 제공하는 에센셜 오일을 칭한다. 상기 녹차꽃 에센셜 오일에는 상기 두 가지 특이 성분 이외에도 아세토페논(acetophenone), 알파-메칠벤질알코올(α-methylbenzyl alcohol),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등의 다른 에센셜 오일들과 공통적인 일반적 에센셜 오일 성분을 함유한다.
녹차꽃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녹차꽃 향취를 포함한 녹차꽃 추출물은 녹차꽃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그 추출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필요와 목적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녹차꽃 100g을 헥산(hexane) 혹은 이와 유사한 유기용매(에테르, 석유 에테르 등) 또는 물을 포함한 유기용매(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크로로포름 등) 1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하루 동안 방치하여 침적시킨다. 상기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면 녹차꽃 추출물 1.2g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녹차꽃 향취를 포함한 녹차꽃 추출물은 녹차꽃의 고유 향기 성분에 녹차꽃에서 추출되는 각종 카테킨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녹차꽃 추출물과 더불어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CG), 데아닌(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하, ‘녹차 유효성분’이라 함)을 더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녹차 유효성분을 더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 및 개선시키는 효과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CG), 데아닌(Theanine), 캄페롤(Kaempferol)은 씨그마 알드리치 코리아㈜(Sigma-Aldrich 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녹차 카테킨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은 녹차 시료를 증류수와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교반하며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하였으고, 녹차 카테킨 추출물은 이 녹차 추출물을 컬럼으로 녹차 카테킨 함량이 많도록 분리 정제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녹차꽃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0중량% 함유된다. 성분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활성성분으로서의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함량이 30.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꽃 추출물에 함유된 녹차 유효성분 중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CG), 데아닌(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등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 녹차 카테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등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하여 해독작용을 함으로써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주름 형성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에센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또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각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예 1] 녹차꽃 향취성분을 함유한 녹차꽃 추출물의 조제 및 성분 분석
녹차꽃 100g을 헥산(hexane) 혹은 이와 유사한 유기용매(에테르, 석유 에테르 등) 또는 물을 포함한 유기용매(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크로로포름 등) 1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하루 동안 방치하여 침적시켰다. 상기 공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얻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 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녹차꽃의 향취를 함유한 녹차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 1.2g을 얻었다.
[분석예 1] 녹차꽃 향취성분을 함유한 녹차꽃 추출물의 성분 분석
참고예 1에서 얻어진 녹차꽃 추출물을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을 시키고, GC-MS 분석을 행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 석 조 건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Column: DB-1(60m X 0.25mm X 0.25um) . Carrier Gas: He
. Injection Temperature: 250℃ . Detector Temperature: 280℃
. Oven Temperature: 70℃~220℃(3℃/min) . Ionization Voltage : 70eV
. 탈착시간 : 2min
그 결과, 참고예 1의 방법으로 추출된 녹차꽃 추출물의 향취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향 료 명 함 량(%)
아세토페논 5.7590
알파-메칠벤질알코올 13.2000
2-페닐에틸알코올 5.3000
벤질 알코올 9.1000
4,8-디메칠-1,3(E),7-노나트리엔 0.0061
라일락알코올 0.0120
기타 66.6229
총 함 량 100.000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고예 1의 녹차꽃 추출물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녹차꽃 향의 특유 성분인 4,8-디메칠-1,3(E),7-노나트리엔(E-4,8-dimethyl-1,3,7-nonatriene) 및 라일락알코올(lilac alcohol)을 함유하며 아세토페논(acetophenone), 알파-메칠벤질알코올(α-methylbenzyl alcohol),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등을 주요 향취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 효능 측정
형질 전환한 인체 각질세포주를 2 x 104개의 농도로 형광 측정용 96공 평판배양기에 37℃, 5% CO2 조건에서 1일간 배양하였다. 참고예 1의 녹차꽃 추출물과 녹차 유효성분을 하기 표 1과 같이 24시간 전처리 하였으며, 녹차 유효성분으로는 EGCG를 사용하였다. HCSS(HEPES-buffered control salt solution)에 20μM로 준비된 DCFH-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Inc)를 100㎕ 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0분간 배양하고 다시 HCSS로 세척하였다. 24시간 전처리했던 동일한 시료를 포함하는 HCSS를 100㎕ 가한 후 초기에 활성산소종(ROS)으로 산화된 DCF(dichlorofluorescein)의 형광 강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nm, Em=530nm)로 측정하였다. UVB(30mJ/cm2)를 처리하고 처리직후 및 처리 3시간까지의 형광 강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nm, Em=530nm)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자외선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녹차꽃 추출물 EGCG 3시간후 ROS 생성 비율(%)
자외선 대조군 - - 100
물질처리군 1 0.1ppm - 76
물질처리군 2 1ppm - 61
물질처리군 3 0.1ppm 1μM 64
물질처리군 4 1ppm 1μM 45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종(ROS)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며 녹차 유효성분인 EGCG와 함께 처리했을 때 그 효과가 더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으며 자외선뿐만 아니라 대기오염, 황사, 오존 등의 유해 환경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해독 작용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자외선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MMP-1)의 생합성 억제 효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개의 농도로 48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자외선 A를 15J/cm2로 조사한 다음, 참고예 1의 녹차꽃 추출물과 녹차 유효성분을 하기 표 2와 같이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으며, 녹차 유효성분으로는 EGCG를 사용하였다. 배양 2일째 상등액을 수확해서 (harvest) ELISA(AP biotech RPN2610)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자외선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녹차꽃 추출물 EGCG 타입 ? 콜라게나제 생합성(%)
자외선 대조군 - - 100
물질처리군 5 0.1ppm - 76
물질처리군 6 1ppm - 63
물질처리군 7 0.1ppm 1μM 75
물질처리군 8 1ppm 1μM 52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며 녹차 유효성분인 EGCG와 함께 처리했을 때 그 효과가 더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으로 인하여 피부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된 콜라겐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주름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자외선에 의한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생합성 억제 효능 측정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105개의 농도로 12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자외선 B를 30mJ/cm2로 조사한 후, 참고예 1의 녹차꽃 추출물과 녹차 유효성분을 하기 표 3과 같이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으며, 녹차 유효성분으로는 EGCG를 사용하였다. 배양 6-24시간 후 세포를 수확해서(harvest) ELISA(Pharmingen 555212)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자외선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녹차꽃 추출물 EGCG TNF-α 생합성 (%)
자외선 대조군 - - 100
물질처리군 9 0.1ppm - 75
물질처리군 10 1ppm - 59
물질처리군 11 0.1ppm 1μM 67
물질처리군 12 1ppm 1μM 50
상기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며 녹차 유효성분인 EGCG와 함께 처리했을 때 그 효과가 더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염증, 피부 기질물질의 감소, 탄력 저하, 주름 형성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미세염증인자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MMP-1)의 생합성 억제 효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개의 농도로 48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하고, 24시간 후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를 20ng/ml 되게 하고, 참고예 1의 녹차꽃 추출물과 녹차 유효성분을 하기 표 4와 같이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으며, 녹차 유효성분으로는 캄페롤을 사용하였다. 배양 2일째 상등액을 수확해서(harvest) ELISA(AP biotech RPN2610)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TNF-α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녹차꽃 추출물 캄페롤 타입 Ⅰ 콜라게나제 생합성(%)
자외선 대조군 - - 100
물질처리군 13 0.1ppm - 80
물질처리군 14 1ppm - 61
물질처리군 15 0.1ppm 1μM 76
물질처리군 16 1ppm 1μM 56
상기 표 4으로부터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은 미세염증인자인 TNF-α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녹차 유효성분인 캄페롤(Kaempferol)과 함께 처리했을 때 그 효과가 더 강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염증을 매개로 하는, 피부 기질물질의 감소, 탄력 저하, 주름 형성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를 24공 평판배양기에 105의 농도로 하여 세포를 배양하고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하이드로퀴논,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인 참고예 1을 시험물질로 가하여 배양하였다. 이때 사용하는 하이드로퀴논은 멜라닌 색소의 형성을 억제하는 성분으로 탈색 효과가 매우 강력한 성분이며, 상기 하이드로퀴논을 처리한 군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112007036601311-pat00001
하이드로퀴논 녹차꽃 추출물 멜라닌 생성 억제율(%)
하이드로퀴논 대조군 5μM - 56.4
물질처리군 17 - 0.1ppm 21.4
물질처리군 18 - 1ppm 49.7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은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하여 볼 때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피부의 색소침착을 억제해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주름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사람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6의 조성비에 따라 외용제를 영양크림의 제형으로 하여 실시예 1~3을 제조하였다. 하기 배합성분의 함량비의 단위는 중량%이다.
배합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녹차꽃 추출물(참고예 1) 0.1 0.1 0.1 -
EGCG - 0.1 - -
캄페롤 - - 0.1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상기 표 6의 비교예와 실시예 1, 2 및 3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의 건강한 여성 80명을 각각 비교예 1, 실시예 1, 2 및 3의 4개 군에 대해 20명씩 4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피부측정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7의 값은, 도포 8주 후의 각각의 변수(parameter)값에서 도포 전 변수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 8주 후 임상 결과 R1 R2 R3 R4 R5
비교예 1 0.27 0.26 0.21 0.03 0.03
실시예 1 -0.19 -0.18 -0.10 -0.03 -0.03
실시예 2 -0.23 -0.20 -0.13 -0.04 -0.03
실시예 3 -0.21 -0.21 -0.11 -0.03 -0.04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 값
R4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은 비교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녹차 유효성분인 EGCG와 캄페롤(Kaempferol)을 더 포함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외용제 조성물을 도포한 군에서는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해서 그 효과가 더 컸다.
[시험예 7]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사람에서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6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의 건강한 여성 40명을 각각 비교예 1, 실시예 1, 2 및 3의 4개 군에 대해 10명씩 4조로 나누어 외용제를 온도 24-26℃, 습도 75%의 조건에서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의 결과값은 Cutometer SEM 575의 ΔR8(R8(왼쪽)-R8(오른쪽))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 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실험제품 피부탄력효과
비교예 1 0.10
실시예 1 0.43
실시예 2 0.45
실시예 3 0.44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차꽃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은 비교예를 도포한 군에 비하여 피부 탄력성이 더 증가되었으며, 녹차 유효성분인 EGCG와 캄페롤을 더 포함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외용제 조성물을 도포한 군에서는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해서 피부탄력성의 증가가 더 많이 관찰되었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응답자 수 (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 1 1 3 3 3
실시예 1 3 5 2 0
실시예 2 3 6 1 0
실시예 3 2 7 1 0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인 실시예 1~3을 도포한 경우 피부탄력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시험예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녹차꽃 향취를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꽃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과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 (CG), 데아닌 (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0.1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꽃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과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 (CG), 데아닌 (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3] 영양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꽃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과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 (CG), 데아닌 (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4] 마사지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꽃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과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 (CG), 데아닌 (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5] 팩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To 100
녹차꽃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과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 (CG), 데아닌 (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차꽃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꽃 추출물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 저하, 색소 침착 등을 억제하여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여기에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 (CG), 데아닌 (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여 피부 세포 보호 등의 효과를 증진시켜 피부 노화 방지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녹차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녹차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형성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녹차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녹차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카테킨 갈레이트(CG), 데아닌(Theanine), 캄페롤(Kaempferol),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48493A 2007-05-18 2007-05-18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088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93A KR100881143B1 (ko) 2007-05-18 2007-05-18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93A KR100881143B1 (ko) 2007-05-18 2007-05-18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19A KR20080101419A (ko) 2008-11-21
KR100881143B1 true KR100881143B1 (ko) 2009-02-02

Family

ID=4028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493A KR100881143B1 (ko) 2007-05-18 2007-05-18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226A1 (ko) * 2014-02-24 2015-08-2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녹차 잎자루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244B1 (ko) * 2012-03-20 2018-10-0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방어력 증진용 조성물
KR101346567B1 (ko) * 2012-10-10 2014-01-02 다오티푸드영농조합법인 녹차꽃과 석류의 혼합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714335B1 (ko) * 2019-01-15 2024-10-10 (주)아모레퍼시픽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3682865A1 (en) 2019-01-15 2020-07-22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WO2023212375A1 (en) * 2022-04-28 2023-11-02 L'oreal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phenol and a nonionic compound y
FR3137567A1 (fr) * 2022-07-05 2024-01-12 L'oreal Compositions d’émulsion comprenant un polyphénol et un composé non ionique a hlb faible
FR3137571A1 (fr) * 2022-07-05 2024-01-12 L'oreal Compositions comprenant un polyphénol et un composé glycérol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41A (ko) * 2006-06-12 2006-07-06 유연실 녹차를 이용한 화장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41A (ko) * 2006-06-12 2006-07-06 유연실 녹차를 이용한 화장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ia Pac J Clin Nutr16 (Suppl 1): 148-152, (2007.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226A1 (ko) * 2014-02-24 2015-08-2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녹차 잎자루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19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887378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1022B1 (ko) 인삼꽃 정유를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20180003664A (ko)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0489A (ko)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KR101716489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US20080160114A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458758B1 (ko) 미백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마늘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1080A (ko) 트러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67700A (ko)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571517B1 (ko)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0B1 (ko) 녹차꽃 정유를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20010018668A (ko)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07292B1 (ko)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120

Appeal identifier: 2008101013091

Request date: 2008120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1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7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11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