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0535B1 -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 Google Patents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535B1
KR100880535B1 KR20080075560A KR20080075560A KR100880535B1 KR 100880535 B1 KR100880535 B1 KR 100880535B1 KR 20080075560 A KR20080075560 A KR 20080075560A KR 20080075560 A KR20080075560 A KR 20080075560A KR 100880535 B1 KR100880535 B1 KR 10088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ayer
lakes
water
wetl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윤
Original Assignee
윤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윤 filed Critical 윤성윤
Priority to KR2008007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5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호소수 등의 비점오염원이나 가정, 공장, 분뇨처리장, 축산농가 등 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로 1차 처리하고, 이후 인공습지에서 2차 처리하여 유기물질 및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는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에 대한 것이다.
황산반토

Description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Upflow Microorganism contact filtration}
본 발명은 하천, 호소수 등의 비점오염원이나 가정, 공장, 분뇨처리장, 축산농가 등 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로 1차 처리하고, 이후 인공습지에서 2차 처리하여 유기물질 및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는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질관리는 습지가 갖는 환경적 가치를 인위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발전되고 있으며, 이런 인공습지는 설치비와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처리효율도 높으며, 유기물 제거에 중점을 둔 종래의 처리방식에 비하여 유기물은 물론 호소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인, 질소와 중금속, 병원성균에 대한 정화기능까지 갖고 있어 매우 유용한 처리시설로서 1970년대 초부터 유럽 및 미국 등에서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런 인공습지를 이용한 종래의 여과조로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 은 대한민국 특허 제0624556호에 개시되어 있는 모듈형 습지기반설비와 모듈형 접촉산화ㆍ여과설비를 병합한 하천수, 호소수 또는 유출수 정화장치가 있다.
이런 종래 장치의 경우 유입수를 수로분리막에 의해 강제로 분리하여 스크린(430)에서 1차로 부유물을 걸러낸 뒤 접촉산화조로 투입하고 있는데, 상기 스크린의 경우 비교적 크기가 큰 부유물을 걸러줄 수 있으나 크기가 작은 유기물 등은 걸러주지 못하게 되어 오염원에 대한 제거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
또한, 미생물접촉제(520)가 오염원 제거의 주요한 구성이며 이를 다수 사용하고 있으나, 많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이 유입될 경우 미생물의 번식이 급속히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호기성 상태의 접촉산화조가 용존산소량의 부족으로 인해 미생물이 혐기성 미생물로 바뀌면서 분해되는 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어 결국 물의 정화능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 다른 것으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0424289호와 같은 정화처리용 자연평형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설비가 있는데, 이러한 인공습지 설비는 정화처리 필터층을 콤퍼스트층(46), 왕사모래층(44), 폐타이어 과립자층(42) 및 자갈층(39, 40)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습지조의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방식이므로 정화처리 필터층에 계속적으로 침전물이 쌓이게 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거나 일정한 양의 오폐수가 걸러진 뒤에는 그 정화능력이 급격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포조, 갈대조, 줄조 등의 인공습지로서 물을 정화하기 전에 상향류식 생물접촉 여과조에 의해 1차로 유기물 등이 걸러질 수 있는 인공습지를 이용한 여과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생물접촉 여과조를 모래층, 황산반토층, 입상활성탄층으로 형성하여 유기물의 여과능력을 더욱 향상시킨 인공습지를 이용한 여과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습지를 이용한 여과조는 창포조, 갈대조, 줄조 등의 인공습지로서 물을 정화하기 전에 상향류식 생물접촉 여과조에 의해 1차로 유기물 등을 거름으로써 여과 능력을 최대화하고, 상기 생물접촉 여과조를 모래층, 황산반토층, 입상활성탄층으로 형성하여 유기물의 여과능력을 더욱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하천, 호소수 등의 비점오염원이나 가정, 공장, 분뇨처리장, 축산농가 등 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로 1차 처리하고, 이후 인공습지에서 2차 처리하여 유기물질 및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는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에 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물접촉여과조의 구성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습지를 이용한 여과조는 유입수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되면서 유기물질이 걸러지는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10)와, 상기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10)를 거친 물이 순환되는 인공습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10)는 모래층(11)과, 상기 모래층 위에 형성된 황산반토층(12)과, 상기 황산반토층(12) 상부에 형성된 입상활성탄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는 송풍기(1), 슬러지배출장치(2), 유입관(3), 유출관(4), 수로분리막(5), 경사로(6), 확산기(14) 및 슬러지포트(15) 이다.
먼저, 하천수 및 호소수나 정화조 및 오폐수 처리시설을 거친 1차처리수(이하 '유입수')가 유입되면 수로분리막(5)에 의해 유입수를 분리시키고 유체펌프를 이용해 생물접촉여과조(10)의 밑에서 위로 강제이동시킨다.
상기 생물접촉여과조(10)는 하부에서부터 모래층(11), 황산반토층(12), 입상활성탄층(13)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모래층(11)에서는 비교적 부피가 큰 부유물 등을 걸러주고, 황산반토층(12)에서는 유기물이나 인 등을 제거하며, 입상활성탄층(13)에서는 활성탄층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공극을 이용해 유기물이나 비교적 입자가 작은 부유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산반토층(12)은 입상(고체)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현재 일반적인 정수장치의 경우 황산반토[황산알루미늄, 알럼(Alum)]를 액상으로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입상(고체)으로 공극이 어느 정도 있도록 형성하여 공극에 의해 유기물이 일부 제거되고 상기 황산반토층(12)이 물에 의해 서서히 녹으면서 응집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정수 처리하는 물의 양이나 황산반토층(12)의 두께에 따라 그 사용수명이 달라질 수 있으나 보통의 경우 6개월 ~ 1년 정도 사용 후 교체할 수 있는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포트(15)에 적층되는 슬러지는 슬러지배출장치(2)로서 배출하게 되고, 경사로(6)는 슬러지를 슬러지포트(15) 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확산기(14)는 생물접촉여과조(10)의 내부에 용존산소량을 늘여주기 위해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생물접촉여과조(10) 내에는 슬러지로 인해 다양한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게 되는데, 이때 용존산소량이 적어지게 되면 호기성 미 생물에서 혐기성 미생물로 바뀌면서 유기물의 분해속도가 떨어지게 되고 유입수의 정수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송풍기(1)와 확산기(14)를 통해 공기를 주입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황산반토층(12)의 상부에 입상활성탄층(13)이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서로의 위치를 바꾸어 형성할 수도 있고, 사용 중 황산반토층(12)이 물에 녹게 되면 상기 입상활성탄층(13)의 상부에 황산반토층(12)을 다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생물접촉여과조(10)를 거쳐 1차 처리된 물은 습지조로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습지조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창포(26)가 식재되어 있는 창포조(20)와, 갈대(35)가 식재되어 있는 갈대조(30)와, 줄(45)이 식재되어 있는 줄조(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먼저, 창포조(20)는 물이 유입되는 쪽에 형성된 굵은 잡석 또는 폐콘크리트층(21)과, 상기 굵은 잡석 또는 폐콘크리트층(21)의 측부 최하단에 형성된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22)과, 상기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22) 상부에 형성되는 모래자갈층(23)과, 상기 모래자갈층(23) 상부에 형성되는 굵은모래층(24)과, 상기 굵은모래층(24) 상부에 형성되는 가는모래층(25)과 상기 가는모래층(25)에 식재되어 있는 창포(26)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는 유입관(27)이며, 생물접촉여과조(10)에서 1차 처리된 물이 유입된다.
상기 창포조(20)의 전체 높이는 유입되는 쪽의 길이(L1)에 비해 유출되는 쪽의 길이(L2)가 긴데, 길이(높이) 차이만큼 바닥면이 경사져있어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되는 쪽의 바닥면이 유출되는 쪽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갈대조(30) 및 줄조의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 갈대조(30)는 최하단에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31)과, 상기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31) 상부에 형성된 모래자갈층(32)과, 상기 모래자갈층(32) 상부에 형성된 굵은모래층(33)과, 상기 굵은모래층(33) 상부에 형성되는 가는모래층(34)과, 상기 가는모래층(34)에 식재되어 있는 갈대(35)로 구성되며, 줄조(40)는 상기 갈대조(30)와 동일하게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41), 모래자갈층(42), 굵은모래층(43), 가는모래층(44)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는모래층(44)에는 줄(45)이 식재된다.
상기 줄조(40)의 배출방향쪽에는 수위조절파이프(46) 및 슬러지포트(47)를 형성하여 급격히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러지를 제거하며, 이후 줄조(40)를 통과한 물은 관상용조(5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줄조(40)를 통과한 유출수에서 슬러지가 축적될 경우 슬러지포트(47)는 슬러지가 담체 사이에 많이 끼어있을 경우 물을 침전시키지 않고 창포조(20)에 형성된 유입관(27)로 다량의 물을 유입시켜 슬러지를 배출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관상용조(50)로서 줄조(40)에서 물을 밖으로 배출하기 전에 관상용조를 부가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관상용조(50)는 모래자갈층(51), 굵은모래층(52) 및 가는모래층(53)으로 형성하고, 붕어마름(54), 생이가래(55), 자라풀(56) 등의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정수처리된 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배출구(57)를 통해 최종적으로 물을 배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물접촉여과조의 구성예시도
도 3, 4, 5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관상용조의 구성예시도
도 7은 종래 인공습지를 이용한 여과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송풍기 2. 슬러지배출장치
3. 유입관 4. 유출관
5. 수로분리막 6. 경사로
10. 생물접촉여과조 11. 모래층
12. 황산반토층 13. 입상활성탄층
14. 확산기 15. 슬러지포트
20. 창포조 21. 굵은 잡석 또는 폐콘크리트층
22.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 23. 모래자갈층
24. 굵은모래층 25. 가는모래층
26. 창포 27. 유입관
30. 갈대조 31.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
32. 모래자갈층 33. 굵은모래층
34. 가는모래층 35. 갈대
40. 줄조 41. 자갈 또는 폐콘크리트층
42. 모래자갈층 43. 굵은모래층
44. 가는모래층 45. 줄
46. 수위조절파이프 47. 슬러지포트
50. 관상용조 51. 모래자갈층
52. 굵은모래층 53. 가는모래층
54. 붕어마름 55. 생이가래
56. 자라풀 57. 배출구

Claims (5)

  1. 유입수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되면서 유기물질이 걸러지는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10)와, 상기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10)를 거친 물이 순환되는 인공습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여과조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식 생물접촉여과조(10)는 모래층(11)과, 상기 모래층 위에 형성된 황산반토층(12)과, 상기 황산반토층(12) 상부에 형성된 입상활성탄층(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황산반토층(12)은 공극이 형성된 입상형태로 형성되어 공극에 의해 유기물이 일부 제거되고 물에 의해 서서히 녹으면서 응집제의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는 창포(26)가 식재되어 있는 창포조(20)와, 갈대(35)가 식재되어 있는 갈대조(30) 및 줄(45)이 식재되어 있는 줄조(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반토층(12)과 입상활성탄층(13)은 서로의 위치를 바꾸어 형성한 것이 특징인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KR20080075560A 2008-08-01 2008-08-01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Active KR10088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560A KR100880535B1 (ko) 2008-08-01 2008-08-01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560A KR100880535B1 (ko) 2008-08-01 2008-08-01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535B1 true KR100880535B1 (ko) 2009-01-28

Family

ID=4048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5560A Active KR100880535B1 (ko) 2008-08-01 2008-08-01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5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0486A (zh) * 2013-08-02 2013-12-04 河海大学 盆景式增氧生态湿地装置及利用其净化黑臭河道的方法
CN104150698A (zh) * 2014-07-25 2014-11-19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m型人工湿地深度处理农村生活污水的装置和方法
CN104150702A (zh) * 2014-07-25 2014-11-19 中国环境科学研究院 垂直潜流人工湿地净化污水中水回用装置和处理方法
CN104591396A (zh) * 2015-01-31 2015-05-06 青岛水务集团有限公司科技中心 再生水湿地生态净化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662B1 (ko) * 2000-09-25 2004-03-24 주식회사 오이코스 하천변 자연제방과 둔치를 이용한 생물 접촉 산화식 하천 수질 정화 설비
KR100460463B1 (ko) * 2004-08-03 2004-12-09 주식회사 에코다임 정원형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20060028233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US7332082B2 (en) 2003-02-06 2008-02-19 Rainer Grafinger System and method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662B1 (ko) * 2000-09-25 2004-03-24 주식회사 오이코스 하천변 자연제방과 둔치를 이용한 생물 접촉 산화식 하천 수질 정화 설비
US7332082B2 (en) 2003-02-06 2008-02-19 Rainer Grafinger System and method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ter
KR100460463B1 (ko) * 2004-08-03 2004-12-09 주식회사 에코다임 정원형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20060028233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0486A (zh) * 2013-08-02 2013-12-04 河海大学 盆景式增氧生态湿地装置及利用其净化黑臭河道的方法
CN104150698A (zh) * 2014-07-25 2014-11-19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m型人工湿地深度处理农村生活污水的装置和方法
CN104150702A (zh) * 2014-07-25 2014-11-19 中国环境科学研究院 垂直潜流人工湿地净化污水中水回用装置和处理方法
CN104150698B (zh) * 2014-07-25 2016-04-0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m型人工湿地深度处理农村生活污水的装置和方法
CN104591396A (zh) * 2015-01-31 2015-05-06 青岛水务集团有限公司科技中心 再生水湿地生态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794B1 (ko)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KR100741019B1 (ko) 습지와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습지병합형 수처리장치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CN109970289A (zh) 一种城镇污水处理提标深度处理工艺及装置
KR100880535B1 (ko)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EP2707334B1 (e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and installation including air-lift and post-treatment in filter
KR102009674B1 (ko)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MX2008004820A (es) Sistema de filtro aireado sumergido y metodo que implica tratamientos especificos en etapas respectivas.
KR100563077B1 (ko) 활성적니를 이용한 식생정화 방법과 그 장치
CN209583901U (zh) 生化池mbbr工艺耦合反硝化深床滤池脱氮除磷系统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5135836A (zh) 污水处理系统
KR101198117B1 (ko) 하천수 및 비점오염 정화장치
KR100424289B1 (ko) 정화처리용 자연평형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설비
KR100547463B1 (ko) 황 충전 mbr 반응기를 이용한 포기조내 질소제거 장치
KR100441620B1 (ko) 자갈 및 세라믹을 채운 다층 구조의 상향류식 하천 정화장치 및 정화 방법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100879788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오폐수 처리장치, 그 방법, 및 시스템
KR200257303Y1 (ko)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KR200296748Y1 (ko) 소규모 오수의 재사용을 위한 복합형 수처리 장치
KR101543548B1 (ko)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CN103449665A (zh) 一种用于泥水分离的污水土地生物沉淀过滤系统
CN203382619U (zh) 去除水中悬浮物和有机物的污水土地生物过滤沉淀系统
KR200355476Y1 (ko) 활성적니를 이용한 식생정화 장치
KR20080082852A (ko) 오폐수 처리용 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