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0388B1 -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 Google Patents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388B1
KR100880388B1 KR1020050032933A KR20050032933A KR100880388B1 KR 100880388 B1 KR100880388 B1 KR 100880388B1 KR 1020050032933 A KR1020050032933 A KR 1020050032933A KR 20050032933 A KR20050032933 A KR 20050032933A KR 100880388 B1 KR100880388 B1 KR 10088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attery module
housing member
unit cells
refriger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580A (ko
Inventor
윤준일
노종열
윤여원
양희국
안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3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38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06/001292 priority patent/WO2006112629A1/en
Priority to DE602006020708T priority patent/DE602006020708D1/de
Priority to EP06757412A priority patent/EP1872419B1/en
Priority to JP2008502929A priority patent/JP5020933B2/ja
Priority to CNB2006800090035A priority patent/CN100550475C/zh
Priority to TW095113464A priority patent/TWI317183B/zh
Priority to US11/407,157 priority patent/US7879485B2/en
Publication of KR2006011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3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전지들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모듈의 내부에 냉매의 유동을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지모듈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부재로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및/또는 상기 전극단자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재는 전기적 연결부재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부재들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모듈의 조립공정을 대폭 단축하고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Housing Member For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에서 전기적 연결부재의 장착 상태의 사시도로서,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 부재가 생략된 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 부재에서 후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 부재만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전지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카트리지의 3면에 하우징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전지모듈의 전체 사시도, 부분 사시도들 및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전지모듈 200: 카트리지
300: 단위전지 400: 전기적 연결부재
500: 하우징 부재 600: 냉매 순환부재
700: 프레임
본 발명은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전지들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모듈의 내부에 냉매의 유동을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지모듈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며,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및/또는 상기 전극단자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를 제공한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이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서너 개의 전지 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지모듈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카트리지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작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높은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동력원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위전지들, 카트리지들, 및 전지모듈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과, 이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외부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 및 전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과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요구된다. 또한, 고출력 대용량 전지는 충방전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열 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단위전지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냉각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다수의 부재들이 사용되므로 전지모듈의 전체 제조비용은 이들 부재들의 제조비용과 조립공정의 난이도 및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전기적 연결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순차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쇼트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데, 이는 단위전지의 불량을 초래하므로 궁극적으로 전지모듈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들 중의 하나인 하우징 부재와 전기적 연결부재가 일체화됨으로써 부재들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전지모듈의 조립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하우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조립공정, 냉각효율 등이 크게 개선된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는, 단위전지들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모듈의 내부에 냉매의 유동을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지모듈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부재로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및/또는 상기 전극단자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는 단자 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제조비용과 전지모듈의 조립공정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모듈의 조립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전지간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위전지들 또는 단위전지를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들의 외면은 하우징 부재에 의해 도포됨으로써 냉매가 일정한 유로를 통해서만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우징 부재는 그러한 모듈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하나의 단위로서 제작되는 구조이거나,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제작되어 상호 조립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하우징 부재가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 연결하는 부재(전기적 연결부재)가 해당 위치에서 하우징 부재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단위전지들은 카트리지에 내장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고, 카트리지의 양단부에 전극단자들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전극단자들이 배열된 전지모듈의 측면에 상기 하우징 부재가 도포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기적 연결부재는 하우징 부재의 양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및/또는 상기 전극단자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하우징 부재에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형의 전기 절연성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 상단면에 결합되는 전기 절연성 덮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는 판상의 도전성 버스 바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하단부 및 버스 바에는 연통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자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부에는 필요에 따라 외부 연결부재를 전극단자에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그러한 전기적 연결부재의 바람직한 예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5-3250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절연성 본체에 의해 단자 연결부위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어서 단락의 위험성과 수분 등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상기 하우징 부재는, 예를 들어, 그 자체가 전기 절연성 소재로 되어 있거나 또는 전기 절연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어서 단위전지를 포함한 전지모듈의 구성요소들과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는 전지모듈의 냉매 유로를 제공하는 역할 이외에 단위전지(또는 단위전지를 내장한 카트리지)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하나의 예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전지들을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들을 적층하여 구성된 전지모듈에서, 단위전지들은 하나의 카트리지에 내장되는 수에 따라 다수의 열(row)을 형성하고, 하나의 열에 배열된 전지들을 전지군이라 할 때, 바람직하게는 전지군 별로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우징 부재에는 구획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와 전기적 연결부재는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로 하우징 부재와 전기적 연결부재를 일체로서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전기적 연결부재 중 도전성의 단자 연결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하우징 부재와 함께 사출성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하우징 부재가 장착된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단위전지들은 상기 하우징 부재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연결부재에 의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전기적 연결부재가 하우징 부재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지모듈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조립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높은 밀집도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인접한 단위전지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적층한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성이 낮은 단위전지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카트리지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들을 다수 개 적층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한다. 그러한 카트리지의 바람직한 예가 본 출 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4-8165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 상기 카트리지는 접촉된 상태로 적층하였을 때, 적층된 단위전지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그 사이에 냉매의 유동을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상기 냉매는 단위전지 및 전지모듈의 기타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는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공기일 수 있다. 냉매는 전지모듈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 단위전지들을 통과한 후 타측으로 배출되면서 충방전시 단위전지로부터 발생한 열을 제거하게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냉매의 유입부와 배출부가 전지모듈의 동일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간의 냉매 유로는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각각 특정한 전지군을 냉각시킨 후 배출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냉매의 유로가 분할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그러한 냉각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4-8576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 냉매 유입부와 배출부가 전지모듈의 동일 면에 있으므로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냉매의 유로가 분할되어 있으므로 균일한 냉매 공급에 의해 단위전지로부터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그러한 냉각 과정에서 단위전지들간의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전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전지를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배열하는 구조로서, 제 1 카트리지에 인접한 제 2 카트리지의 전극단자가 제 1 카트리 지의 전극단자에 대해 9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도로 배향되고 제 2 카트리지에 인접한 제 3 카트리지의 전극단자가 제 1 카트리지와 동일하게 배향되는 교번 배향 방식으로 다수의 카트리지들이 중첩되어 있고, 제 1 카트리지의 전극단자는 제 3 카트리지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2 카트리지의 전극단자는 제 4 카트리지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마지막 카트리지의 전극단자는 인접한 카트리지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4-9288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들 간의 거리와 단자 연결부들 간의 이격 폭을 적어도 카트리지 1 개의 두께 만큼 넓게 하여,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부재들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단자 연결부들이 전지 팩의 1 면에 밀집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감전 위험성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고출력 대용량의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형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에서 전기적 연결부재의 장착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 부재 중 전기적 연결부재만을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단위전지(300)를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200), 카트리지(200)의 전극단자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재(400), 카트리지(4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냉매 순환부재(600), 이들을 탑재하는 프레임(7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다수의 단위전지들(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10 개의 카트리지들(200)은 180도 교번 배향 방식으로 적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트리지(201)는 그것의 전극단자(221)가 정면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제 1 카트리지(201)에 인접한 제 2 카트리지(202)는 그것의 전극단자(도시하지 않음)가 후면(배면)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으며, 제 2 카트리지(202)에 인접한 제 3 카트리지(203)는 그것의 전극단자(223)가 정면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즉, 홀수번째의 카트리지들(201, 203, 205 ...)은 전극단자들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짝수번째의 카트리지들(202, 204, 206 ...)은 전극단자들이 배면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호 연결하는 전극단자들 간의 거리가 적어도 카트리지(200) 1 개의 두께 만큼 넓어지므로, 연결 작업이 용이하고 전기적 연결부재들(400)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직렬 방식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보여주고 있지만, 제 1 카트리지(201)의 전극단자(221)와 제 3 카트리지(203)의 전극단자(223)를 동일한 전극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병렬 방식의 전기적 연결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극단자(221, 223)에 장착되는 전기적 연결부재(400)는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 본체(410)와 본체(410)의 상단 일측에 한 쌍의 힌지(4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덮개(42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410)의 하단면에는 판상의 도전성 버스 바(440)가 장착되어 있고, 본체(410)의 하단부에는 2 개의 단자 삽입구(도 3에서의 412)가 천공되어 있다. 또한, 버스 바(440)에도 본체 하단부의 단자 삽입구에 연통하여 단자 삽입구(도 3에서의 442)가 각각 천공되어 있어서, 전극단자(221, 223)는 본체 하단부의 단자 삽입구와 버스 바(440)의 단자 삽입구를 관통하여 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버스 바(440)는 본체(4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450)로 인해 본체(410)의 하단면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450)는 그것의 외면이 하향 테이퍼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버스 바(440)를 본체(410)의 하단면으로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는 반면에, 일단 장착된 상태에서는 하단면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렵게 만든다. 고정돌기(450)는 본체(410)의 내측면 4 곳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덮개(420)는 본체(410)의 개방 상부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덮개(420)의 체결돌기(도시하지 않음)와 그에 대응하여 본체(4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14)의 결합에 의해 본체(4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단자 연결장치(400)는 전극단자들 상호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전력의 인출, 전지 제어를 위한 전압 등의 검출, 또는 전지모듈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극단자에 외부 연결부재(4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본체(410)의 측면에는 외부 연결부재(46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부재 삽입구(416) 가 천공되어 있다. 외부 연결부재(460)는 판상 스트립 구조로 되어 있고, 전극단자의 크기에 상응하는 연결구(전극단자의 삽입으로 인해 도면에는 별도로 표시되지 않음)가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연결장치(400)를 통해 외부 연결부재(460)를 전극단자에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외부 연결부재(460)를 단자 연결장치(400)에 장착한 후, 단자 연결장치(400)를 해당 전극단자들(221, 223)에 위치시켜야 한다.
제 9 카트리지(209)의 전극단자(229)는 별도의 버스 바(470)를 사용하여 배면에 위치하는 제 10 카트리지(210)의 전극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의 정면도와 후면의 부분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 부재(500)는 장방형의 본체(510)와 본체(510)의 양측 단부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단자 연결부재들(401, 402)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 본체(510)는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적층된 카트리지들(도시하지 않음)의 냉매 유로를 전지군의 단위로 분할할 수 있도록 내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512)에 의해 형성된 구획부들(520)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구획부(520)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의 화살표에서와 같이, 냉매는 구획부(520)의 내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카트리지들(도시하지 않음) 사이로 유입된다.
하우징 본체(510)의 양측 단부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전기적 연결부재들(401, 402)의 수는 적층된 카트리지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도 1에서와 같이 10 개의 카트리지들이 교번 배향 방식으로 직렬 연결을 위해 적층되어 있을 때, 각각 2 개 씩의 전기적 연결부재들(401, 402)이 필요하며, 좌측 단부의 연결부재들(401)과 우측 단부의 연결부재들(402)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지모듈의 조립과정에서 작업자가 전극단자들을 잘못 연결함으로써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재들(401, 402)과 하우징 본체(51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전지모듈의 조립과정에서 카트리지에 그것의 전극단자 방향으로 한번에 장착함으로써 조립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의 하우징 부재만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전지모듈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4 개의 단위전지들(300, 301, 302, 30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다수의 카트리지들(200)이 교번 배향 방식으로 적층되어 있다. 하우징 부재(500)는 카트리지(200)의 전극단자(220)가 돌출되어 있는 측면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하우징 부재(500)에 의해 카트리지(200)의 일면은 밀폐되고 내부에 냉매 유로가 형성된다. 단위전지(300)가 위치한 전지군(단위전지(300)의 하부에 일렬로 배열된 1 군의 전지들)의 냉매 유로는, 하우징 부재(500)의 구획부(520)에 의해, 인접한 구획부(512)의 냉매 유로로부터 분할된다. 즉, 단위전지(300)의 전지군의 냉매는 구획부(520)만을 통과하게 되고, 그에 인접한 단위전지(301)의 전지군(단위전지(301)의 하부에 일렬로 배열된 1 군의 전지들)의 냉매는 구획부(521)만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한국 특허출원 제2004-85765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카트리지의 3면에 하우징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전지모듈의 전체 및 부분 사시도들과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교번 배향 방식으로 적층되어 있는 카트리지들(200)은 전면 하우징 부재(500), 후면 하우징 부재(501) 및 상면 하우징 부재(502)에 의해 3 면이 밀폐된다. 냉매로서의 공기는, 카트리지(200)의 하단, 즉, 프레임(700)과 카트리지(20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냉매 순환부재(600)로부터 유입된 후(화살표 참조), 하우징 부재들(500, 501, 502)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에서 카트리지들(200)의 사이를 통과한 후 반대쪽 방향으로 배출된다.
냉매 순환부재(600)의 유입구(610)에는 냉매의 유로를 분할하는 다수의 격벽들(6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612)에 의해 분할된 유로는 하우징 부재(510)의 구획부(520, 521, 522, 523)로 역시 분할되어 순환되게 된다. 따라서, 더욱 균일한 냉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냉매 순환부재(600)는 동일한 평면상에 냉매의 유입구(610)와 배출구(620)가 위치하므로 전체적으로 전지모듈의 크기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다.
전면 하우징 부재(500)와 후면 하우징 부재(501)에는 각각 전기적 연결부재들(400)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부재들(500, 501)에서 전기적 연결부재들(400)의 위치와 구획부(520)의 경사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3 개의 하우징 부재들(500, 501, 502)이 별개의 부재로서 제작되어 조립되는 구조 로 개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면 하우징 부재(500)와 상면 하우징 부재(502), 또는 후면 하우징 부재(501)와 상면 하우징 부재(502)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3 개의 하우징 부재들(500, 501, 502)이 모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부 또는 전체 하우징 부재들(500, 501, 502)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부재들의 연결부위는 굴곡이 용이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재는 전기적 연결부재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부재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모듈의 조립공정을 대폭 단축하고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단위전지들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모듈의 내부에 냉매의 유동을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지모듈의 적어도 일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부재로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또는 상기 전극단자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연결부재가 상기 하우징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연결부재는,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형의 전기 절연성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 상단면에 결합되는 전기 절연성 덮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의 하단면에는 판상의 도전성 버스 바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 및 버스 바에는 연통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자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부에는 필요에 따라 외부 연결부재를 전극단자에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의 양단부에 전극단자들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전극단자들이 배열된 전지모듈의 측면에 상기 하우징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전지들을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들을 적층하여 구성된 전지모듈에서, 단위전지들은 하나의 카트리지에 내장되는 수에 따라 다수의 열(row)을 형성하고, 그러한 열 상의 전지군 별로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우징 부재에 구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그 자체가 전기 절연성 소재로 되어 있거나 또는 전기 절연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와 전기적 연결부재는 플라스틱 수지를 한번에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하우징 부재가 장착된 중대형 전지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단위전지들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들이 다수 개 적층되어 구성되며, 적층된 카트리지들 사이에 냉매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모 듈.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유입부와 배출부가 전지모듈의 동일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간의 냉매 유로는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각각 특정한 전지군을 냉각시킨 후 배출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냉매 유로가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11. 제 7 항에 있어서, 단위전지들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있고, 제 1 카트리지에 인접한 제 2 카트리지의 전극단자가 제 1 카트리지의 전극단자에 대해 180 도로 배향되고 제 2 카트리지에 인접한 제 3 카트리지의 전극단자가 제 1 카트리지와 동일하게 배향되는 교번 배향 방식으로 다수의 카트리지들이 적층되어 있으며, 제 1 카트리지의 전극단자는 제 3 카트리지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2 카트리지의 전극단자는 제 4 카트리지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마지막 카트리지의 전극단자는 인접한 카트리지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KR1020050032933A 2005-04-20 2005-04-20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Expired - Lifetime KR100880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33A KR100880388B1 (ko) 2005-04-20 2005-04-20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DE602006020708T DE602006020708D1 (de) 2005-04-20 2006-04-10 Gehäuseelement für ein batteriemodul
EP06757412A EP1872419B1 (en) 2005-04-20 2006-04-10 Housing member for battery module
JP2008502929A JP5020933B2 (ja) 2005-04-20 2006-04-10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用ハウジング部材
PCT/KR2006/001292 WO2006112629A1 (en) 2005-04-20 2006-04-10 Housing member for battery module
CNB2006800090035A CN100550475C (zh) 2005-04-20 2006-04-10 用于电池模组的壳体构件
TW095113464A TWI317183B (en) 2005-04-20 2006-04-14 Housing member for battery module
US11/407,157 US7879485B2 (en) 2005-04-20 2006-04-19 Housing member for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933A KR100880388B1 (ko) 2005-04-20 2005-04-20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580A KR20060110580A (ko) 2006-10-25
KR100880388B1 true KR100880388B1 (ko) 2009-01-23

Family

ID=3711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33A Expired - Lifetime KR100880388B1 (ko) 2005-04-20 2005-04-20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79485B2 (ko)
EP (1) EP1872419B1 (ko)
JP (1) JP5020933B2 (ko)
KR (1) KR100880388B1 (ko)
CN (1) CN100550475C (ko)
DE (1) DE602006020708D1 (ko)
TW (1) TWI317183B (ko)
WO (1) WO2006112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55B1 (ko) * 2005-04-19 2008-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 연결장치
JP5147373B2 (ja) * 2007-11-29 2013-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KR101087036B1 (ko) 2008-12-17 2011-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DE102009018787A1 (de) * 2009-04-24 2010-10-28 Akasol Engineering Gmbh Batteriemodul
US9209433B2 (en) 2011-01-14 2015-12-08 C&D Technologies, Inc. Riveted module
KR101271883B1 (ko) 2011-07-22 2013-06-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US8703312B2 (en) * 2011-12-23 2014-04-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O2013119818A1 (en) * 2012-02-08 2013-08-15 A123 Systems, Inc. Battery pack including fluid resistant over mold
EP2858850B1 (de) * 2012-06-06 2019-04-17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GmbH Akkumulatoranordnung, stromschienenelement dafü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kkumulatoranordnung
US10044018B2 (en) 2013-09-06 2018-08-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lid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773105B1 (ko) 2014-07-31 2017-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US10249916B2 (en) 2015-04-13 2019-04-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nector barrel for a battery module
USD920251S1 (en) 2015-09-10 2021-05-25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WO2017104877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07083036A (zh) * 2016-02-12 2017-08-22 米库玻璃纤维增强塑料泰州有限责任公司 热固性塑料及其制造方法及由该塑料制成的动力锂电池组壳体
DE102016103839B4 (de) 2016-03-03 2018-09-20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Gmbh Signalverbinder für ein Batteriemodul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USD867993S1 (en) 2016-09-02 2019-11-2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US10543795B2 (en) 2016-09-02 2020-01-28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US20180108891A1 (en) * 2016-10-14 2018-04-19 Inevit, Inc. Battery module compartment and battery module arrangement of an energy storage system
CN110383526A (zh) 2017-01-04 2019-10-25 形状集团 节点模块化的车辆电池托盘结构
US11569545B2 (en) 2017-01-27 2023-01-31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housing
WO2018213475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US10886513B2 (en) 2017-05-16 2021-01-05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integration
WO2018227162A1 (en) 2017-06-09 2018-12-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ead-acid battery
US11936032B2 (en) 2017-06-09 2024-03-19 Cps Technology Holdings Llc Absorbent glass mat battery
US12347879B2 (en) 2017-09-13 2025-07-01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US11088412B2 (en) 2017-09-13 2021-08-10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WO2019071013A1 (en) 2017-10-04 2019-04-11 Shape Corp. BATTERY SUPPORT BOTTOM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DE102019115471B4 (de) * 2019-06-07 2021-02-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einer Traktionsbatterie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desselben
DE102019214744A1 (de) * 2019-06-28 2020-12-31 Mahle International Gmbh Traktionsbatterie
KR20210007719A (ko) 2019-07-12 202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28476A (ko) * 2019-09-04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10047682A (ko) 2019-10-22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210064736A (ko) 2019-11-26 2021-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충전 방법
KR20210069384A (ko) 2019-12-03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KR20210079750A (ko) 2019-12-20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JP7264070B2 (ja) * 2020-01-20 2023-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搭載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71A (en) 1996-06-24 1997-06-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pack
US6411063B1 (en) 1997-10-06 2002-06-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ttery power source with coolant flow

Family Cites Families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3244A (en) * 1940-04-03 1942-02-17 Electric Storage Battery Co Storage battery cell
SE319224B (ko) * 1966-12-19 1970-01-12 Asea Ab
US3503558A (en) * 1968-03-14 1970-03-31 Electrolux Corp Exhaust diffusion manifold for a vacuum cleaner or the like
US4396689A (en) * 1981-06-01 1983-08-02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Separator-spacer for electrochemical systems
JPH01166949A (ja) 1987-12-24 1989-06-30 Shin Etsu Chem Co Ltd 粘着性構造体
JPH0456079A (ja) 1990-06-21 1992-02-24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並にリチウム二次電池
US5071652A (en) * 1990-12-11 1991-12-10 Globe-Union Inc. Metal oxide hydrogen battery having improved heat transfer properties
CH679620A5 (ko) * 1990-12-11 1992-03-13 Sulzer Ag
US5364711A (en) * 1992-04-01 1994-11-15 Kabushiki Kaisha Toshiba Fuel cell
US5385793A (en) * 1992-07-20 1995-01-31 Globe-Union Inc. Thermal management of battery systems
US5354630A (en) 1992-12-10 1994-10-11 Comsat Ni-H2 battery having improved thermal properties
CA2122092C (en) * 1993-04-28 2006-06-06 Atsuo Omaru Secondary battery having non-aqueous electrolyte
US5520976A (en) * 1993-06-30 1996-05-28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Composite enclosure for electronic hardware
US5487958A (en) * 1993-12-06 1996-01-30 Tura; Drew Interlocking frame system for lithium-polymer battery construction
US5470671A (en) 1993-12-22 1995-11-28 Ballard Power Systems Inc. Electrochemical fuel cell employing ambient air as the oxidant and coolant
US5585204A (en) * 1993-12-27 1996-12-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for batteries and battery box for housing such batteries
JP3260951B2 (ja) * 1994-02-23 2002-0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の単電池及び単位電池
US5663007A (en) * 1994-02-23 1997-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aled storag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4407156C1 (de) * 1994-03-04 1995-06-08 Deutsche Automobilgesellsch Batteriekasten
US5487955A (en) * 1994-03-15 1996-01-30 Electric Fuel (E.F.L.) Ltd. Cooled zinc-oxygen battery
US5346786A (en) * 1994-03-21 1994-09-13 Hodgetts Philip J Modular rack mounted battery system
JPH08138735A (ja) 1994-11-16 1996-05-31 Fujitsu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3451142B2 (ja) * 1994-11-18 2003-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温度制御機構を備えたバッテリ組立体
JP3599859B2 (ja) * 1994-12-29 2004-12-08 石原産業株式会社 多孔性物質−高分子固体電解質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JPH08222280A (ja) 1995-02-15 1996-08-30 Fujikura Ltd Na−S電池モジュールの冷却構造
US5645448A (en) * 1995-10-16 1997-07-08 Yazaki Corporation Battery connecting module with fuse mounting
JP3745424B2 (ja) 1995-11-06 2006-02-15 東芝電池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JPH09219213A (ja) 1996-02-09 1997-08-19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二次電池及びその温度上昇緩和装置
JP3344231B2 (ja) * 1996-08-21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
AU1689097A (en) * 1996-12-26 1998-07-3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elf-cooling mono-container fuel cell generators and power plants using an arr ay of such generators
JP3416440B2 (ja) 1997-01-10 2003-06-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電池
US6117584A (en) * 1997-07-25 2000-09-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conductor for high-energy electrochemical cells
US6099986A (en) * 1997-07-25 2000-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situ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energy electrochemical cells
DE69825153D1 (de) * 1997-10-14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ärmeleitende einheit und wärmeverbindungsstruktur welche diese einheit verwendet
JPH11155241A (ja) * 1997-11-21 1999-06-08 Hitachi Ltd 組電池充電電流制御回路および組電池充電方法
JP3422016B2 (ja) 1997-12-05 2003-06-30 横河電機株式会社 波形測定装置
JPH11191432A (ja) 1997-12-26 1999-07-13 Fuji Elelctrochem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7147045B2 (en) * 1998-06-08 2006-12-12 Thermotek, Inc. Toroidal low-profile extrusion coo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264901B2 (en) * 1998-08-23 2007-09-04 Ovonic Battery Company, Inc. Monoblock battery
US6413678B1 (en) * 1999-03-03 2002-07-02 Ube Industries, Inc. Non-aqueous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4231127B2 (ja) * 1998-09-03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積電池の温度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CA2350456C (en) * 1998-11-17 2007-08-21 C & D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JP4837155B2 (ja) * 1998-11-27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蓄電池
JP4298867B2 (ja) * 1999-09-28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合型密閉二次電池
FR2792776B1 (fr) * 1999-04-23 2002-09-06 Oldham France Sa Source d'alimentation en courant continu pour vehicule automoteur electrique
JP3613445B2 (ja) * 1999-05-18 2005-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JP4220649B2 (ja) * 1999-06-10 2009-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JP4778602B2 (ja) * 1999-07-22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JP4416266B2 (ja) * 1999-10-08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角形蓄電池
JP2001196103A (ja) * 2000-01-12 200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の冷却構造
JP4196521B2 (ja) * 2000-05-19 2008-12-1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US7251889B2 (en) * 2000-06-30 2007-08-07 Swales & Associates, Inc. Manufacture of a heat transfer system
US6462949B1 (en) * 2000-08-07 2002-10-08 Thermotek, Inc. Electronic enclosure cooling system
KR100444410B1 (ko) * 2001-01-29 2004-08-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액이차전지
US20020166654A1 (en) * 2001-05-02 2002-11-14 Smalc Martin D. Finned Heat Sink Assemblies
US6422027B1 (en) * 2001-05-03 2002-07-23 Ford Global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 battery pack
JP4361229B2 (ja) * 2001-07-04 2009-1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JP2003068260A (ja) * 2001-08-27 2003-03-07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RU2193261C1 (ru) 2001-09-03 2002-11-20 Гительсон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Аккумулятор
US20030082440A1 (en) * 2001-10-29 2003-05-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system
JP3867581B2 (ja) 2002-01-17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システム
WO2003071616A2 (en) 2002-02-19 2003-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nergy electrochemical cells
JP2003249205A (ja) * 2002-02-26 2003-09-05 Toyota Motor Corp 集合電池および電池システム
US6821671B2 (en) * 2002-03-01 2004-11-23 Lg Chem,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positioning prismatic battery cells
US6771502B2 (en) * 2002-06-28 2004-08-03 Advanced Energy Technology Inc. Heat sink made from longer and shorter graphite sheets
JP3594023B2 (ja) * 2002-07-30 2004-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4170714B2 (ja) * 2002-09-20 200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
CN1228873C (zh) 2002-12-27 2005-11-23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复合电解质及其应用
US20050026014A1 (en) * 2003-07-31 2005-02-03 Michael Fogaing Polymer batteries having thermal exchange apparatus
JP4578867B2 (ja) 2003-09-30 2010-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素貯蔵・供給装置とその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分散電源並びに自動車
CN102340028B (zh) 2003-10-14 2014-07-02 株式会社Lg化学 盒式锂离子聚合物电池组
US20050134038A1 (en) * 2003-12-17 2005-06-23 Eaton Corporation Fitting for fluid conveyance
KR100853621B1 (ko) 2004-10-26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의 냉각 시스템
KR100860002B1 (ko) 2004-11-15 2008-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교번 배향 구조의 이차전지 팩
JP5000107B2 (ja) * 2004-11-30 2012-08-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KR100857021B1 (ko) * 2004-12-10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착식 전지팩
JP2006294336A (ja) * 2005-04-07 2006-10-26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US7229327B2 (en) * 2005-05-25 2007-06-12 Alcoa Fujikura Limite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KR100765659B1 (ko) 2005-08-09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 구조
JP2007048750A (ja) * 2005-08-10 2007-02-22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US20070087266A1 (en) * 2005-10-18 2007-04-19 Debbi Bourke Modular battery system
KR101029021B1 (ko) * 2005-12-02 2011-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높은 냉각 효율성의 전지모듈
KR100921346B1 (ko) 2006-09-25 2009-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어셈블리
JP2008080995A (ja) 2006-09-28 2008-04-10 Denso Corp 冷却システム
KR100889241B1 (ko) 2006-10-23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접속부재
KR101064240B1 (ko) 2006-11-27 2011-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복사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 시스템
US8309248B2 (en) * 2007-07-26 2012-11-13 Lg Chem, Ltd. Battery cell carrier assembly having a battery cell carrier for holding a battery cell therein
US8014075B2 (en) * 2007-11-06 2011-09-06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US8628872B2 (en) * 2008-01-18 2014-01-14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US9140501B2 (en) * 2008-06-30 2015-09-22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a rubber cooling manifold
US9759495B2 (en) * 2008-06-30 2017-09-12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having heat exchanger with serpentine flow path
US7883793B2 (en) * 2008-06-30 2011-02-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battery cell assemblies with alignment-coupling features
US8486552B2 (en) * 2008-06-30 2013-07-16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manifold with ported screws and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US8067111B2 (en) * 2008-06-30 2011-11-29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battery cell assembly with heat exchanger
US8426050B2 (en) * 2008-06-30 2013-04-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manifold and method for cooling battery module
US8202645B2 (en) * 2008-10-06 2012-06-19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71A (en) 1996-06-24 1997-06-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pack
US6411063B1 (en) 1997-10-06 2002-06-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ttery power source with coolant 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79485B2 (en) 2011-02-01
US20060251960A1 (en) 2006-11-09
EP1872419A1 (en) 2008-01-02
KR20060110580A (ko) 2006-10-25
TW200705732A (en) 2007-02-01
WO2006112629A1 (en) 2006-10-26
DE602006020708D1 (de) 2011-04-28
JP2008533691A (ja) 2008-08-21
EP1872419A4 (en) 2010-02-24
CN101147275A (zh) 2008-03-19
JP5020933B2 (ja) 2012-09-05
EP1872419B1 (en) 2011-03-16
TWI317183B (en) 2009-11-11
CN100550475C (zh)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388B1 (ko)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JP6744435B2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US10530020B2 (en) Cartridge with mount frame having lead mounting board and lower and upper sliding boards and battery module having same
CN103890997B (zh) 中大型电池组组件
CN100568587C (zh) 端子连接装置
KR101403930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0930474B1 (ko) 전지모듈 제조용 조립식 스페이서
US10608219B2 (en) Integrated cartridg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2771555B1 (ko) 상부 냉각 방식 배터리 팩
KR101326182B1 (ko) 외장부재와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단위모듈에 기반한 전지모듈
JP6808903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WO2018209776A1 (zh) 电池模组以及动力电池系统
CN104979507A (zh) 电池单元分隔件
KR20120074426A (ko)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012403B1 (ko)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23549275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気自動車
EP4379907A1 (en) Battery pack
KR100669332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
KR20240031064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40102802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16365087A (zh) 电池模块冷却
CN119497931A (zh) 电池模块和含该电池模块的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