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436B1 - Voltage regulators, their error amplifiers, and their control loop stabilization methods - Google Patents
Voltage regulators, their error amplifiers, and their control loop stabilization meth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9436B1 KR100879436B1 KR1020060073755A KR20060073755A KR100879436B1 KR 100879436 B1 KR100879436 B1 KR 100879436B1 KR 1020060073755 A KR1020060073755 A KR 1020060073755A KR 20060073755 A KR20060073755 A KR 20060073755A KR 100879436 B1 KR100879436 B1 KR 1008794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lector
- amplifier
- resistor
- control loop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4—Negative-feedback-circuit arrangements with or without positive feedback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H03F3/3008—Bifet SEPP output stag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085—Long tailed pai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78—A comparator being used in a controlling circui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전압 조정기의 제어 루프는 최소한의 실리콘 영역을 사용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전압 조정기의 전류 제한 제어 루프에 의해 생성된 전류 제한 신호는 전압 제어 루프와 관련하여 보상 세트에 제공되는 영점을 최소화하도록 분배되어 양 루프를 안정화한다. 보상 세트는 증폭기의 출력 및 입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영점)과 캐패시터(극점)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제한 신호의 분배는 저항의 제 1 측에 전류 제한 신호의 제 1 부분을 인가하고 저항의 제 2측에 전류 제한 신호의 제 2 부분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비율은 증폭기의 이득에 기초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저항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전압, 조정기, 에러, 증폭기, 보상
The control loop of the voltage regulator can be stabilized using a minimum silicon area. The current limit signal generated by the current regulator control loop of the voltage regulator is distributed to minimize the zero provided to the compensation set with respect to the voltage control loop to stabilize both loops. The compensation set may include a resistor (zero) and a capacitor (pol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and input terminals of the amplifier. The distribution of the current limiting signal may include applying a first portion of the current limiting signal to the first side of the resistor and applying a second portion of the current limiting signal to the second side of the resistor. The ratio of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can be based on the gain of the amplifier,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f resistance.
Voltage, regulator, error, amplifier, compensation
Description
도 1a는 전압 제어 루프를 포함하는 간단한 DC 전압 조정기를 도시한다.1A shows a simple DC voltage regulator that includes a voltage control loop.
도 1b는 전압 제어 루프와 전류 제한 루프를 포함하는 전압 조정기를 도시한다.1B shows a voltage regulator comprising a voltage control loop and a current limiting loop.
도 1c는 극점의 보드 플롯 및 그에 상응하는 위상 편이를 도시한다.1C shows the board plot of the poles and the corresponding phase shift.
도 1d는 영점의 보드 플롯 및 그에 상응하는 위상 편이를 도시한다.1D shows a zero plot of the board and the corresponding phase shift.
도 1e는 다중 극점 및 영점을 구비한 보드 플롯 및 그에 상응하는 위상 편이를 도시한다.1E shows a board plot with multiple poles and zeros and corresponding phase shifts.
도 2 는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전압 조정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는 전압 제어 루프와 전류 제한 루프 모두를 위한 단일 보상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FIG. 2 shows an embodiment of a voltage regulator that includes a latometric branch compensation circuit, which may provide a single compensation solution for both the voltage control loop and the current limit loop.
도 3은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의 실행을 포함하는 에러 증폭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3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n error amplifier that includes the implementation of a rationometric branch compensation circuit.
동일한 번호를 가지는 도면 구성요소는 유사한 구성으로 특정될 수 있다.Drawing elements having the same number may be specified in a similar configuration.
본 발명은 DC 전압 조정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DC 전압 조정기의 에러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러 증폭기는 전압 제어 루프와 전류 제한 제어 루프 모두를 위하여 단일 보상 솔루션을 포함한다는데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C voltage regulator and in particular to an error amplifier of a DC voltage regulator. The error amplif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cluding a single compensation solution for both the voltage control loop and the current limit control loop.
전형적인 DC 전압 조정기는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출력 전압을 안정화하는 전압 제어 루프를 채용한다. 도 1a는 종래의 DC 전압 조정기(100, 이하 "조정기"라 함)를 나타낸 도면이다. 조정기(100)에서, 에러 증폭기(102)는 출력 드라이버(103)에 그 출력을 인가한다. 출력 드라이버(103)는 전형적으로 수백 또는 수천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전압(VOUT)은 저항 성분(105)과 전기 용량성 성분(106)을 모두 가지는 부하(110)를 차례로 구동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부하(110)는 조정기(100)를 실행하는 집적회로의 외부에 배치된다. Typical DC voltage regulators employ a voltage control loop that stabilizes the output voltage for various conditions.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DC voltage regulato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gulator"). In the
조정기(100)에서, 전압 제어 루프는 VOUT과 전압 전원(VSS)를 제공하는 노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108,109)을 포함한다. 저항(108,109) 사이에 배치된 노드(111)는 에러 증폭기(102)의 네거티브 입력 단자에 피드백 전압을 제공한다. 이 배열에서, 에러 증폭기(102)는 출력 전압 VOUT을 저항성 분배기를 이용하여 측정(즉 샘플링) 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에러 증폭기(102)에 입력되는 전압을 용이하게 균등화할 수 있다. 이 전압 제어 루프는 조정기(100)의 정상 작동 조건을 위해 제공된다.In the
표준 조정기는 과전류 조건을 위한 컨트롤 루프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조정기가 형성된 IC 뿐만 아니라 조정기도 파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는 보정된 조정기(100')를 형성하기 위해 조정기(100)에 부가될 수 있는 전류 제한 회로(104)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류 제한 회로(104)는 저항(120)과 증폭기(123)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PNP 트랜지스터(121,122)는 그 베이스로 전원 장치(103)의 출력을 수신한다. 저항(120)은 PNP 트랜지스터(121)의 에미터와 소스 전압 VCC 사이에 연결된다. 증폭기(123)는 소스 전압 VCC 으로부터 제 1 입력을 수신하고, PNP 트랜지스터(121)의 에미터로부터 제 2 입력을 수신하며, PNP 트랜지스터(122)의 콜렉터로부터 제 3 입력을 수신한다.Standard regulators can also include a control loop for overcurrent conditions, which can destroy the regulator as well as the IC in which the regulator is formed. For example, FIG. 1B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current limiting
증폭기(123)은 전원 장치(103)의 입력에 피드백 루프를 통해 그 출력을 제공한다. 노드는 PNP 트랜지스터(121)의 콜렉터와 PNP 트랜지스터(122)의 에미터 사이에 PNP 트랜지스터(121)가 통전될 때 출력전압 VOUT을 제공한다. 이 배열에서, 보상 회로(104)는 전원 장치(103)의 출력에 ISENSE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제한 조건이 존재하면, 증폭기(123)는 과잉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즉, 정상 최대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량)를 공급한다. 이 전류는 전원 장치(103)의 구동을 제한하여 IC 위의 국지적인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출력 전압 VOUT이 입력 전압 전원 VIN에 상대적으로 너무 높으면(예를 들면 VIN-VOUT<150mV), PNP 트랜지스터(121)가 포화하기 시작하여, PNP 트랜지스터(122)가 턴온 된다. PNP 트랜지스터(121)가 포화하기 시작하면, 초과 캐리어가 기판에 주입된다. 기판상의 이러한 초과 캐리어는 조정기(100)의 많은 구성 요소에 원하지 않는 실질적인 불안정을 야기한다. If the output voltage VOUT is too high relative to the input voltage power supply VIN (for example, VIN-VOUT < 150 mV), the
일 실시예에서, 전류 제한 회로(104)는 양 컨디션을 검출하고 응답할 수 있다. 특히, 어느 케이스라도(또는 양 컨디션 모두 잠재적으로 존재할 때도), 증폭기(123)는 전류 제한 조건이 존재하고/하거나, PNP 트랜지스터(121)가 포화하기 시작하는데 적합한 정도의 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그 입력을 사용할 수 있다. 증폭기(123)는 2개의 입력이 있다: 하나는 ISENSE 용 전압 고감도 차동 입력이고(그러므로, 증폭기(123)는 gm 증폭기로 기능할 수 있음), 하나는 PNP 트랜지스터(122)용 전류 고감도 단일 종단 입력이다(그러므로, 증폭기(123)는 전류 증폭기로 기능할 수도 있음).In one embodiment, the current limiting
불행히도, 조정기(100') 내의 전압 제어 루프와 전류 제한 제어 루프 모두는 조정기 불안정화의 근원이다. 특히, 각 컨트롤 루프는 조정기(100')에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을 제공한다. 불행히도. 이 컨트롤 루프 내의 구성은 원하지 않는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을 야기하여, 출력전압 VOUT에 진동을 일으켜 조정기(100')를 불안정하게 한다. 이 진동은 유효 전압 보정을 못하게 하거나, 전류 제한 조건을 제거하거나, 조정기(100')에 의해 구동된 다른 IC에 실질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Unfortunately, both the voltage control loop and the current limit control loop in regulator 100 'are sources of regulator destabilization. In particular, each control loop provides negative feedback to the regulator 100 '. Unfortunately. The configuration in this control loop causes unwanted positive feedback, causing oscillation in the output voltage VOUT, making the regulator 100 'unstable. This vibration can prevent effective voltage compensation, remove current limiting conditions, or cause substantial damage to other ICs driven by regulator 100 '.
그러므로, 조정기의 안정화된 컨트롤 루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method and system that provides a stabilized control loop of the regulator.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조정기의 목적은 안정적인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압 조정기 내의 제어 루프는 출력 전압(VOUT)에 원하지 않는 진동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극점 및 영점의 사용은 실리콘-유효 방식에서 전압 조정기를 안정화시키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voltage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to provide a stable output voltage (VOUT). The control loop in the voltage regulator can cause unwanted vibrations in the output voltage VOU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use of poles and zeros can advantageously be used to stabilize the voltage regulator in a silicon-effective mann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압 조정기의 컨트롤 루프가 최소 실리콘 영역을 사용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특히, 전압 조정기의 전류 제한 제어 루프에 의해 생성된 전류 제한 신호가 전압 제어 루프와 관련된 보상 세트에 제공되는 영점을 최소화하도록 분배되어 양 루프를 모두 안정화할 수 있다. 보상 세트는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영점) 및 캐패시터(극점)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제한 신호의 분배는 전류 제한 신호의 제 1 부분을 상기 저항의 제 1 측에 인가하고 상기 저항의 제 2 측에 전류 제한 신호의 제 2 부분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부분의 비율은 증폭기의 이득에 기초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저항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이 증폭기는 다단식 에러 증폭기의 제 2 스테이지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loop of the voltage regulator can be stabilized using the minimum silicon region. In particular, the current limiting signal generated by the current limiting control loop of the voltage regulator can be distributed to minimize the zero provided to the compensation set associated with the voltage control loop to stabilize both loops. The compensation set may include a resistor (zero) and a capacitor (pol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amplifier. The distribution of the current limiting signal may include applying a first portion of the current limiting signal to the first side of the resistor and applying a second portion of the current limiting signal to the second side of the resistor. The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can be based on the gain of the amplifier,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f resistance. This amplifier can be the second stage of the multistage error amplifier.
예를 들면, 에러 증폭기는 제 1 증폭기와 제 2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증폭기는 자동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증폭기는 전류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증폭기는 기준 전압을 수신하는 제 1 입력 단자와 전압 제어 루프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입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증폭기는 제 1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상 세트는 제 2 증폭기의 출력과 제 2 증폭기의 입력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과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rror amplifier may include a first amplifier and a second amplifier.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mplifier may comprise an automatic amplifier and the second amplifier may comprise a current amplifier. The first amplifier may have a first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reference voltage and a second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signal in a voltage control loop. The second amplifier may receive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The compensation set may include a resis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and the input of the second amplifier.
현저하게, 에러 증폭기는 전류 제한 신호를 수신하고 보상 세트 내의 저항의 양측에 전류를 인가하는 레이쇼메트릭(ratiometric) 분기 보상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가되는 전류의 비는 제 2 증폭기의 게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트랜지스터는 전압 전원에 연결된 단자(예, 그라운드)와 전류 제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단자를 구비한다. 그러나, 각 트랜지스터는 저항의 다른 측에 연결된 또 하나의 단자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는 그라운드 전압 전원을 가지는 NMOS 트랜지스터로 실행될 수 있다. 이 에러 증폭기는 다른 기준 전압 조정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emarkably, the error amplifier may further include a ratiometric branch compensation circuit that receives the current limit signal and applies current to both sides of the resistor in the compensation set. The ratio of the applied current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gain of the second amplifier. In one embodiment, the rationometric branch compensation circu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Each transistor has a terminal (eg, ground) connected to a voltage power supply and a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a current limit signal. However, each transistor has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sistor.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may be implemented as NMOS transistors having a ground voltage power supply. This error amplifier can be included in other reference voltage regulators.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는 실리콘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전압 제어 루프와 전류 제한 제어 루프 모두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보상 세트 내의 저항의 영향을 최소화(또는 제거)하여, 루프가 단일 보상 캐패시터를 할당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ratiometric branch compensation circuit has the advantage of stabilizing both the voltage control loop and the current limit control loop while minimizing the silicon area. In particular,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effect of resistance in the compensation set, the loop can assign a single compensation capacitor.
개요: 극점 및 영점Overview: poles and zeros
일반적으로, 안정정인 루프에 대해, 피드백 신호는 소스 신호에 반대 극성이 될 수 있다(예를 들면 전압 조정기에서, 기준 전압이 소스 신호가 됨).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피드백 신호는 전형적으로 네거티브 피드백으로 특징지워진다. 이 네거티브 피드백은 소스 신호에 의해 도입된 어떠한 변화에도 대항하여 안정적인 출력을 강화한다. 반대로, 포지티브 피드백은 소스 신호와 동일한 극성을 가져서 소스 신호 내의 어떠한 변동도 정폭하고 컨트롤 루프가 불안정하게 한다.In general, for a stable loop, the feedback signal can be of opposite polarity to the source signal (eg, in a voltage regulator, the reference voltage becomes the source signal). For this reason, the feedback signal is typically characterized by negative feedback. This negative feedback enhances stable output against any changes introduced by the source signal. Conversely, positive feedback has the same polarity as the source signal, so that any fluctuations in the source signal are sharp and the control loop is unstable.
피드백 신호는 이득과 상에서 컨트롤 루프를 통과하는 듯한 변동을 경험할 수 있다. 모든 위상의 변화라 일컬어지는 위상 편이는 컨트롤 루프 내에서 일어난다. 이상적인 네거티브 피드백은 소스 신호의 상과 180°차이가 난다 즉, -180°에서 시작한다. 논리적으로, 네거티브 피드백이 180°의 위상 편이를 경험하면, 그 네거티브 피드백은 포지티브 피드백이 된다.The feedback signal may experience fluctuations in the gain and phase that pass through the control loop. The phase shift, referred to as the change in all phases, occurs within the control loop. The ideal negative feedback is 180 ° out of phase with the source signal, ie it starts at -180 °. Logically, if negative feedback experiences a 180 ° phase shift, that negative feedback becomes positive feedback.
어떠한 컨트롤 루프의 위상 편이도 주파수(Hz)의 기능으로 루프의 이득(dB)을 보여주는 보드 플롯(Bode plot)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유니티 이득(unity gain,0 dB)에서 발생한 위상 편이의 양은 그 제어 루프의 안정성을 결정한다. "극점(pole)"은 -20dB까지 슬로프가 변화할 때 이득 곡선 위의 포인트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c는 극점과 그에 상응하는 계산된 위상 편이 플롯(132)을 포함하는 보드 플롯(130)을 나타낸다. 위상 편이 플롯(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점은 극점 진동수의 1×10 이상 및 1×10 이하 이내에서 거의 -90°위상 편이를 변화시킨다(실제 방정식은 위상 편이 = -arctan(f/fp), 주파수 f는 주파수 fp에 배치된 극점 주파수에 의해 발생됨). 반대로, "영점(zero)"은 곡선이 +20dB까지 변화할 때 이득 곡선 위의 포인트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d는 극점(141) 및 그에 상응하는 계산된 위상 편이 플롯(412)을 구비한 보드 플롯(140)을 나타낸다. 위상 편이 플롯(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점은 극점 진동수의 1×10 이상 및 1×10 이하 이내에서 거의 +90°위상 편이를 변화시킨다(실제 방정식은 위상 편이 = arctan(f/fp)).The phase shift of any control loop can be calculated using a Bode plot that shows the gain (dB) of the loop as a function of frequency (Hz). The amount of phase shift that occurs at unity gain (0 dB) determines the stability of the control loop. A "pole" can be defined as the point on the gain curve when the slope changes by -20dB. 1C shows a
전형적인 제어 루프에서, 극점과 영점 모두 있을 수 있고, 각 극점은 보드 플롯 내의 슬로프를 -20dB/decade 까지 감소시키고 각 영점은 +20dB/decade까지 슬로프를 증가시킨다. 도 1e는 두 개의 극점과 두 개의 영점을 구비한 보드 플롯(150)즉, 극점(151,153) 및 영점(152,154) 및 그에 상응하는 위상 편이 플롯(155)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DC 이득은 1kHz에서 발생한 극점(151), 10kHz에서 발생한 영점(152), 100kHz에서 발생한 극점(153), 및 1MHz에서 발생한 영점(154)으로 40dB이다. 영점(152,154)이 슬로프를 0dB/decade로 변화시키듯이 극점(151,153)은 -20dB/decade의 슬로프를 생성한다.In a typical control loop, there may be both poles and zeros, where each pole reduces the slope in the board plot by -20dB / decade and each zero increases the slope by + 20dB / decade. FIG. 1E shows a
컨트롤 루프가 안정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0dB에서 위상 편이(또한, 이 경우 1MHz에서 발생한 유니티-이득 교차 주파수라 부를 수 있음)가 결정될 수 있다. 위상 편이 플롯(155)에서, 영점(152) 뿐만 아니라 극점(151,153)도 각각 -90°,90° 및 -90°위상 편이에 기여한다. 특히, 최종 극점은 거의 60-80°(이전 3개의 극점으로부터 -90°에 비교된) 기여한다. 그러므로 최종 위상 편이는 -10°에서 -30°이다. 이 위상 편이로, 루프가 안정될 수 있다.To determine if the control loop is stable, a phase shift at 0 dB (also in this case can be called unity-gain crossover frequency occurring at 1 MHz) can be determined. In the
컨트롤 루프 안정성Control loop stability
현저하게, 전압 제어 루프와 전류 제한 루프의 각 구성은 극점 또는 영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생 폴이 회로 내에 존재할 수 있다.(기생 제로 역시 존재할 수 있다. 기생 영점은 영점과 같이 같은 진폭 효과를 가지는 우반면 영점(Right Half Plane Zero, 이하 RHPZ라 칭함)으로 행동할 수 있으나 위상 편이를 일으켜 극점처럼 보인다. 이득 단계가 전형적으로 극점 쌍과 RHPZ을 구비하더라고, 이득과 기생 영점으로부터 제어 루프의 위상 마진에 성능 저하 영향은 그 고주 파 때문에 보통 최소화한다. 그러므로 이송 기능 분석은 양 제어 루프가 안정적인것, 즉 네거티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강화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구성의 소개와 위치가 설명된다.Remarkably, each configuration of the voltage control loop and the current limiting loop can contribute to the pole or zero. In addition, parasitic poles may exist in the circuit (parasitic zero may also exist. A parasitic zero may act as a Right Half Plane Zero (hereinafter referred to as RHPZ) with the same amplitude effect as zero, but with a phase). Seems like a pole, causing a shift, even though the gain stage typically has pole pairs and RHPZ, the degradation effect on the phase margin of the control loop from gain and parasitic zero is usually minimized due to its high frequency, so transfer function analysis is both controlled. It is important to reinforce the stability of the loop, that is, provide negative feedback, and the introduction and location of additional configurations that provide such stability are described.
도 2 는 최소 실리콘 영역으로 안정적인 제어 루프를 제공할 수 있는 단순화된 전압 조정기(200)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에러 증폭기(210)은 기준 전압(101)과 전압 제어 루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차동 증폭기(20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동 층폭기(201)의 출력은 그 출력을 구동 장치(103)에 차례로 제공하는 전류 증폭기에 인가된다.2 shows a
제어 루프의 이득과 위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아주 큰 보상 캐패시터(미 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큰 보상 캐패시터도 극점이 될 수 있지만, 이 구성에 의해 위상 편이는 안정기 내의 다른 극점 및 기생 극점에 추가하여 누적되는 네거티브 피드백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커다란 보상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은 안정기의 속도를 실질적으로 저하시키고 상당한 실리콘 영역을 차지하며, 이 둘은 경제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Very large compensation capacitors (not shown) can be used to control the gain and phas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loop. This large compensation capacitor can also be a pole, bu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hase shift can lead to cumulative negative feedback in addition to other poles and parasitic poles in the ballast. However, using large compensation capacitors substantially slows down the ballast and occupies significant silicon area, both of which are economically unacceptable.
한편, 더 작은 보상 캐패시터가 예를 들면 각 제어 루프에 하나씩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보상 캐패시터라도 중요한 실리콘 영역을 차지하고, 이는 시스템 안에 집적되는 비교적 고가의 구성이다. 그러므로, 전압 제어 루프와 전류 제한 제어 루프가 하나의 보상 캐패시터를 공유하는 것은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maller compensation capacitors can be used, for example, one for each control loop. However, any compensation capacitor occupies a significant silicon area, which is a relatively expensive configuration that is integrated into the system.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the voltage control loop and the current limiting control loop to share one compensation capacitor.
안정기에서 보상 소자의 공유를 가장 방해하는 것은 전압 제어 루프를 위한 표준 보상 루프의 존재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보상 루프는 노 드(209,203)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205) 및 보상 캐패시터(204)를 포함한다. 캐패시터(204) 및 저항(205)은 전압 제어 루프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충분한 이득과 위상 편이를 제공하면서 과도 전류 조건 동안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The most disturbing sharing of compensation elements in the ballast is the presence of a standard compensation loop for the voltage control loop. As shown in FIG. 2, this compensation loop includes a
고성능 조정기의 목표는 그 출력 드라이버를 견고하게 구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정기 내의 에러 증폭기는 상당한 이득으로 구축된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이득 필요성과 몇몇 처리 조건 때문에, 전류 제한 회로의 증폭기는 도 1b에 도시된 배열에서 에러 증폭기를 위해 필요한 전류 제한 보정, 즉, 에러 증폭기의 출력 보정을 제공할 수 없다. The goal of a high performance regulator is to drive the output driver solidly. Therefore, the error amplifier in the regulator is built with significant gains. However, because of this high gain need and some processing conditions, the amplifier of the current limiting circuit cannot provide the current limit correction necessary for the error amplifier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1B, that is, the output correction of the error amplifier.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그 출력보다 이득이 더 낮은(전류는 더 낮음) 에러 증폭기의 내부 단계에 전류 제한 보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에 의해 전류 제한 회로(104)의 성능이 강화된다. 간단하게 전류 제한 회로(104)의 출력을 제공하여 에러 증폭기(210) 안에 노드(211)에만 전압 제어 루프로서 같은 영점으로 이동 기능을 만든다. 즉 원하지 않는 포지티브 피드백이 된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current limit correction to the internal stage of the error amplifier that is substantially lower in gain than the output (current is lower), thereby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current limiting
한편, 노드(212)에만 간단히 라인(124) 위에 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커다란 루프 불안정성을 만든다. 특히, 전류 펄스가 극점과 영점으로 회로게 부가되면, 초기 단계(영점에 의함, 예를 들면 저항)는 경사진 파형에 의해 따라서 생성된다(극점에 의함, 예를 들면 캐패시터). 이 단계와 경사진 파형은 펄스가 노드(211)에만 적용되면 발생한다. 그러나, 펄스가 노드(212)에 적용되면 펄스는 역전 단계에 필요한 캐패시터(204)를 통해 노드(203)와 증폭기(202)에 즉시 전송된다. 이 경우, 초기 응답은 경사가 시작하기 전에 반대 방향에서 단계를 시작한다. 이 짧은 간격의 입력의 역전은 긴 간격의 입력에 비해 RHPZ의 성질이 뛰어나다. 그러므로, 노드(212), 노드 (211) 어느 쪽에 펄스를 부가하더라도 항상 영점을 생성한다. 즉, 좌반면 영점 또는 우반면 영점. 현저하게 양 종류의 영점은 전류 제한 루프에 좋지 않다.On the other hand, simply providing a signal over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206)가 전류 제한 회로(104)로부터의 신호를 분배하는 데 사용되고, 분배된 양 노드(211,212)에서의 신호를 제공한다. 이 분배를 제공하기 위해,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206)은 두개의 버퍼(207,208)을 포함한다. 현저하게,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버퍼(207,208)는 명확한 전류를 전류 증폭기(202)의 이득에 기초하여 노드(212,211) 각각에 인가하고 그것에 의해 저항(즉, Rzero)의 영향을 소거할 수 있다. 이 소거는 단일 보상 캐패시터(즉 극점)를 사용하는 모든 루프 안정화에 도움이 되고, 그것에 의해 실리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소거는 전류 제한 조건에 루프 불안정성을 고려하지 않고 루프 안정화 조절하는데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tionometric
에러 증폭기:실시예Error Amplifier: Example
도 3 은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에러 증폭기(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차동 증폭기(201)는 저항(320,321,322) 뿐만 아니라 PNP 트랜지스터(310,302,312,313)를 포함할 수 있다. PNP 트랜지스터(301)는 그 에미터가 전압 전원 VCC에 연결된 전류 소스(IBBN)에 연결된 그 베이스와 콜렉터를 구비한다. PNP 트랜지스터(302)는 전압 전원 VCC에 연결된 에미터, PNP 트랜지스터(312,313)의 에미터에 연결된 그 콜렉터를 구비한다. PNP 트랜지스터(312,313)의 베이스는 각각 네가티브 입력 신호(INn)(즉, 전압 제어 루프의 신호)와 기준 전압 REF를 구비한다. PNP 트랜지스터(312,313)의 콜렉터는 각각 저항(320,321)을 통해 전압 소스GND(ground)에 연결된다.3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n
차동 증폭기(201)는 저항(322) 뿐만 아니라 NPN 트랜지스터(314,315, 318)을 포함할 수 있고, 실제로 전류 증폭기(202)에 완전히 차동 출력을 제공한다. 특히, PNP 트랜지스터(312,313)의 콜렉터는 NPN 트랜지스터(318,315)에 각각 연결되어 차동 신호를 제공한다. NPN 트랜지스터(314)는 저항(322)를 통해 전압 wjsdnjsGND에 연결된 그 에미터를 구비한다. NPN 트랜지스터(314,315,318)의 베이스는 보통 NPN 트랜지스터(314)의 콜렉터에 연결된다. 이 배열에서, 다이오드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314)는 NPN 트랜지스터(315,318)에 바이어스로 설치될 수 있다. 저항(320,321,322)의 값은 PNP 트랜지스터(312,313)으로부터 가해진 전류가 저항(322)처럼 저항(320,321)을 통과하여 같은 강하를 일으키도록 예를 들면 10kΩ에 설정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차동 증폭기(201)과 전류 증폭기(202)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입력 신호의 변화는 NPN 트랜지스터(315,318)에서 정확하게 반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206)은 버퍼(206,207)을 실행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도3을 참조하면 NMOS 트랜지스터(206,207) 로 설명됨). NMOS 트랜지스터(206,207)은 전압 전원 GND에 연결된 소스 및 전류 제한 회로(CLimit)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된 게이트를 구비한다. NMOS 트랜지스터(323)은 전압 전원 GND에 연결된 소스, 전류 제한 회로(CLimit)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된 게이트, 및 그 게이트에 연결된 드레인을 구비한다. NMOS 트랜지스터(323)은 증폭기(330)의 형성 부분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 이러한 다이오드 연결 배열에서, NMOS 트랜지스터(323)은 실제로 NMOS 트랜지스터(206,207)에 제공되는 바이어스로 세팅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그들이 생성하는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특히, NMOS 트랜지스터(323)의 크기는 전류 제한 루프의 이득을 결정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ational
증폭기(330)은 전류 증폭기(202)에 의해 인가된 차동 전류를 수신하고 전압을 생성하여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예에서, 증폭기(330)는 저항(306,307) 뿐만 아니라 PNP 트랜지스터(303,304,305,308,309)를 포함한다. PNP 트랜지스터(304,305)의 콜렉터는 저항(306)의 다른 단자, NPN 트랜지스터(315)의 콜렉터 및 PNP 트랜지스터(308)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PNP 트랜지스터(305)의 콜렉터는 저항(307)의 다른 단자, NPN 트랜지스터(318)의 콜렉터 및 PNP 트랜지스터(309)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PNP 트랜지스터(308,309)의 에미터는 전압 전원 VCC에 연결된다. PNP 트랜지스터(308)의 콜렉터는 NMOS 트랜지스터(327)의 게이트 뿐만 아니라 NMOS 트랜지스터(326)의 게이트와 드레인에 연결된다. PNP 트랜지스터(309)의 콜렉터는 NMOS 트랜지스터(327)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326,327)의 소스는 전압 전원 GND에 연결된다.
이 배열에서 노드(312)는 증폭기(330)의 출력을 나타낸다. 저항(306,307)의 크기가 증폭기(330)의 전류 이득을 결정한다. 증폭기(330)는 추가적인 DC 바이어스 없이 조절된 전류 이득의 양을 제공한다.
현저하게, NMOS 트랜지스터(206,207)의 크기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은 저항(205,즉 Rzero)의 영향을 소거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항(205)은 NMOS 트랜지스터(206,207)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다. 반대로, 캐패시터(204)는 NPN 트랜지스터(318)의 에미터와 NMOS 트랜지스터(206)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다. 짧은 간격 펄스에서 캐패시터(204)는 짧아진다. 또한, NPN 트랜지스터(318)의 에미터에 효과적인 저항은 저항(205)의 저항보다 많이 낮다. 이 경우, 노드(212,211)에 전류 펄스를 인가하는 것은 노드(312)에서 전류 펄스 3배 크기를 야기할 것이다. 저절로 노드 (212,211)에 펄스로 노드 312에 3배의 펄스를 인가하면 저항(205)에서 네트(net) 전류는 영이다. 다시 말하면, 증폭된 펄스의 영향이 본질적으로 없어진다. 그러므로 저항(205)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The significantly determines the size ratio of the NMOS transistors (206,207) it is important to perform the erase the effect of the resistor (205, that is, R zero). Resistor 205 is connected between the drains of
전류 증폭기(202)의 이득에 기해서 NMOS 트랜지스터(206,207)의 크기 비가 저항(205)의 반대측에 적절한 양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Rzero의 영향이 효과적으로 소거된다. 예를 들면, 전류 증폭기(202)의 이득이 3이라면 NMOS 트랜지스터(205)는 M=1을 가지고, NMOS 트랜지스터(207)은 M=3을 갖는다. 그러므로 인가된 전류증 어느것도 저항(205)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Rzero의 영향이 소거된다. Rzero의 영향이 소거되면, 캐패시터(204)의 영향만 전류 제한 루프(CLimit)에 의해 나타난다.(즉, 캐패시터(204)가 충전 시작할 충분한 시간 후에)Based on the gain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저항(205)는 100~300kΩ 또는 10~40kΩ으로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206)가 전류 증폭기(202)에 의해 제공된 이득에 선택된 비율로 폐쇄되기만 하면, Rzero의 영향은 네가티브 피드백을 강화할 만큼 최소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전압 전원VCC에 연결된 에미터와 NMOS 트랜지스터(311)의 드레인에 연결된 콜렉터를 구비한 PNP 트랜지스터(310),는 그 베이스에 전류신호 IBBN을 수신한다. 전압 전원 GND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311)은 PNP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NMOS 트랜지스터(207)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PNP 트랜지스터(310)의 콜렉터와 NMOS 트랜지스터의드레인은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압 OUT을 제공한다.A
노드312에 균형잡힌 출력 신호를 강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NP 트랜지스터(304,308) 및 저항(306)은 PNP 트랜지스터(305,309)와 저항(307)에 대칭된다. 또한, NMOS 트랜지스터(326,327)은 노드(312)에 추가로 전압 균형의 미러를 형성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326,327)은 같은 출력 장치(311)로서 MOSFET 기술을 수행한다. 노드312에 신호에 있어 어떠한 불균형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즉, 입력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루프의 트리거링에 의해), 에러 증폭기(300)의 구성요소는 최대한 대칭적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Additional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to enhance the balanced output signal at
본 발명은 묘사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epicted description.
예를 들면 레귤레이터(300)가 MOSFET과 분극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더라도 다른 타입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OSFET 트랜지스터는 분극 트랜지스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PN 트랜지스터는 도 3 의 NOMS 트랜지스터 대신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although the
다른 실시예에서 차동 증폭기와 전류 증폭기가 동작 증폭기 대신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에러 증폭기는 제 1 및 제 2 증폭기를 포함하도록 간단히 특징지워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레이쇼메트릭 분기 보상 회로는 전류 대신에 두 노드로 인가되는 전압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ial amplifiers and current amplifiers may be used instead of operational amplifiers. Therefore, in general, the error amplifier can be simply characterized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rationometric branch compensation circuit can be characterized by a voltage applied to two nodes instead of current.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 청구범위와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인 출력 전압(VOUT)을 인가하는 전압 조정기를 제공하고, 전압 조정기 내의 제어 루프에 안정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극점 및 영점을 사용하여 실리콘-유효 방식에서 전압 조정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voltage regulator for applying a stable output voltage (VOUT), it can bring a stabilization to the control loop in the voltage regulator.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les and zeros can be used to stabilize the voltage regulator in a silicon-effective manner.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3755A KR100879436B1 (en) | 2005-08-05 | 2006-08-04 | Voltage regulators, their error amplifiers, and their control loop stabilization meth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197,919 | 2005-08-05 | ||
KR1020060073755A KR100879436B1 (en) | 2005-08-05 | 2006-08-04 | Voltage regulators, their error amplifiers, and their control loop stabilization metho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7065A KR20070017065A (en) | 2007-02-08 |
KR100879436B1 true KR100879436B1 (en) | 2009-01-20 |
Family
ID=4134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37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9436B1 (en) | 2005-08-05 | 2006-08-04 | Voltage regulators, their error amplifiers, and their control loop stabilization meth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943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83502A (en) | 1973-05-24 | 1976-09-28 | Rca Corporation | Bridge-output amplifier with direct-coupled differential-mode feedback |
JPH10256838A (en) | 1997-03-13 | 1998-09-25 | Rohm Co Ltd | Current feedback circuit |
JPH1195847A (en) | 1997-07-08 | 1999-04-09 | St Microelectron Inc | Voltage regulator having stabilized load pole |
-
2006
- 2006-08-04 KR KR1020060073755A patent/KR1008794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83502A (en) | 1973-05-24 | 1976-09-28 | Rca Corporation | Bridge-output amplifier with direct-coupled differential-mode feedback |
JPH10256838A (en) | 1997-03-13 | 1998-09-25 | Rohm Co Ltd | Current feedback circuit |
JPH1195847A (en) | 1997-07-08 | 1999-04-09 | St Microelectron Inc | Voltage regulator having stabilized load po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7065A (en) | 200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94774B1 (en) | Pole-zero tracking compensation network for voltage regulators and method | |
US7268524B2 (en) | Voltage regulator with adaptive frequency compensation | |
EP1753127A1 (en) | Zero cancellation in multiloop regulator control scheme | |
US5404053A (en) | Circuit for controlling the maximum current in a MOS power transistor used for driving a load connected to earth | |
US8179108B2 (en) | Regulator having phase compensation circuit | |
US7573322B2 (en) | Line regulator with high bandwidth (BW) and high power supply rejection ratio (PSRR) and wide range of output current | |
US7863980B2 (en) | Amplifiers with negative capacitance circuits | |
US4276513A (en) | Auto-zero amplifier circuit with wide dynamic range | |
JPH11330866A (en) | Radio frequency amplifier and operating point stabilizing method | |
WO1995002278A1 (en) | Automatic transimpedance control amplifier | |
US20160246318A1 (en) | Bias-starving circuit with precision monitoring loop for voltage regulators with enhanced stability | |
US6459246B1 (en) | Voltage regulator | |
US8508200B2 (en) | Power supply circuit using amplifiers and current voltage converter for improving ripple removal rate and differential balance | |
US20020000883A1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mplifier output offset using body biasing in mos transistors | |
JP3678939B2 (en) | AGC circuit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 |
US2012026213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load current dependent output buffer compensation | |
US20050275453A1 (en) | Current-mode instrumentation amplifier gain error correction circuitry | |
EP08808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limiting transimpedance amplification | |
KR987001154A (en) | amplifier | |
KR100879436B1 (en) | Voltage regulators, their error amplifiers, and their control loop stabilization methods | |
US20040227477A1 (en) | Differential current output unit | |
KR20040045902A (en) | A power amplifier module | |
US10483927B2 (en) | Amplifier error current based on multiple integrators | |
US6741133B2 (en) | High output amplifier for stable operation | |
KR20160012858A (en) | Low dropout regu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8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