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090B1 - Rotary switch assembly - Google Patents
Rotary switch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8090B1 KR100878090B1 KR1020070102196A KR20070102196A KR100878090B1 KR 100878090 B1 KR100878090 B1 KR 100878090B1 KR 1020070102196 A KR1020070102196 A KR 1020070102196A KR 20070102196 A KR20070102196 A KR 20070102196A KR 100878090 B1 KR100878090 B1 KR 1008780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housing
- coupling
- switch assembly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의 배치 경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회전식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switch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switch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freely regardless of the routing path of the wiring.
상술한 본 발명은,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스위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위치조립체이다.In the switch assembly including a switch unit and a housing unit enclosing the switch unit, the housing unit is a rotary switch assembly, wherein the hous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또한,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서로 접촉하는 경계부 중 어느 한 곳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그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다른 곳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any one of the boundar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and the switch portion,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slidable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 It features.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식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의 배치 경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회전식 스위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switch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switch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freely regardless of the routing path of the wiring.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스위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스위치에는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배선이 배선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된다.In general, various switches are used in automobiles, and wiring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are connected through wiring connectors.
그러나 배선은 소정길이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주위 구조물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배선이 지나갈 경로를 미리 설정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그 배선과 연결될 스위치의 설치방향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However, since the wiring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path through which the wiring should pass should be set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refor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witch to be connected with the wiring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따라서, 현재는 스위치를 차체에 최초로 설치할 때 배선이나 배선커넥터가 연결될 방향을 미리 고려하는 것이 필수사항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스위치를 설치하는 공정이나 배선의 경로를 정하는 설계과정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다.Therefore, at presen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in adva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ing or the wiring connector will be connected when the switch is first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Therefore,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witch or the design process of routing the wiring is very complicat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스위치(1)를 차체에 설치할 때 실수로 각도를 다르게 마운팅하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2)이 주위 구조물(3)과 간섭되어 배선(2)이 꺽이는 문제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배선을 스위치와 연결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는바, 이럴 경우 불가피하게 스위치를 탈거한 후 다시 작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Nevertheless, if the operator accidentally mounts the switch differently when installing the switch 1 to the vehicle body, as shown in Fig. 1, the wiring 2 interferes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3, causing the wiring 2 to break. And in severe cases there is a case that can not connect the wiring with the switch,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nevitably need to remove the switch and work agai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위치를 차체에 설치함에 있어 방향을 전혀 고려할 필요없이 배선이 연결되는 부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배선경로를 스위치의 설치 후에 가장 무난한 곳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install the switch in the vehicle body, without having to consider the direction at all, so that the wiring connecting part can be rotated so that the wiring path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witch To be able to set it somewher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스위치조립체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switch assembly comprising a switch unit, and a housing unit surrounding the switch unit,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스위치조립체이다.The housing part is a rotary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unit is instal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또한,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서로 접촉하는 경계부 중 어느 한 곳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그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다른 곳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any one of the boundar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and the switch portion,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slidable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 It features.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스위치부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곳이 호형으로 된 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witch portion is energized to be arc-shaped is installed.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는 배선커넥터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ing connector is fitted.
또한, 상기 배선커넥터에는 상기 스위치부를 향해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부에는 상기 연장편과 결합하되 결합후 상기 연장편과 슬라이딩되는 결합클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 connector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toward the switch portion, the switch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clip which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and is coupled with the extension piece after the coupling.
또한, 상기 연장편과 결합클립 중 어느 한 곳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그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다른 곳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extension piece and the coupling clip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j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부와 하우징부가 상호 상대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스위치를 설치할 때 배선의 경로를 미리 설정할 필요없이 스위치 설치후에 가장 편한 쪽으로 배선 경로를 만들면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unit ar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e wiring path can be made to be the most convenient after the switch installation, without the need to set the wiring path in advance when the switch is installed.
이에 따라, 스위치를 재설치해야 하는 종래 문제점이 사라지고, 작업공정이 매우 간단해지면 설계시에도 배선의 경로를 전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roblem of having to reinstall the switch disappears, and when the work process becomes very simple, there is an effect of not having to consider the path of the wiring at all when design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와 하우징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와 하 우징부의 결합부위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와 하우징부의 작용상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구성인 결합클립의 사시도이고,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스위치부와 하우징부에 배선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s a state diagram of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clip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are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wiring connector is coupled.
도2 및 도3을 참조해 볼 때, 본 발명은 크게 스위치부(110)와, 하우징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에 배선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커넥터(130)가 추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스위치부(110)는 하부의 접촉단자가 눌릴 때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부(110)가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과 무관하고 또 이에 대한 것은 공지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상기 하우징부(120)는 상기 스위치부(110)를 감싸서 내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하우징부(120)의 일측으로 배선(w)이 연결된 배선커넥터(130)가 끼워져 상기 배선(w)으로 상기 스위치부(110)의 전기신호가 송출된다.The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20)는 상기 스위치부(1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위치부(110)가 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120)가 360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Here, the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120)에 배선이 직접 연결되거나 배선이 연결된 배선커넥터(130)가 끼워지더라도 배선의 경로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하우징부(120)를 편한 각도로 돌려 배선이 주위구조물과 간섭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a wir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20)가 상기 스위치부(1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부(120)와 상기 스위치부(110)가 서로 접촉하는 경계부가 결합력은 유지하되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즉, 상기 하우징부(120)와 상기 스위치부(110)의 경계부 중 어느 한곳에는 결합돌기(111)가 형성되고, 그 결합돌기(111)와 대응하는 다른 곳에는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1)에 결합돌기(111)가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That is, the
본 발명에서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10) 측에 결합돌기(11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20)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부(120)에는 상기 결합돌기(111)가 삽입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되었으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없다.3 and 4, the
또한, 상기 결합돌기(111)의 끝단은 상기 결합홈(12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111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1)에는 상기 걸림부(111a)가 걸려 끼워지도록 확공(1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이때, 상기 결합홈(121)은 상기 결합돌기(111)가 진입할 때 옆으로 벌어지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20)가 상기 스위치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 상기 하우징부(120)에 설치되는 단자(122)는 회전에 의해서도 상기 스위치부(110)와 통전되게 연결되어야 하는바, 상기 단자(122)에서 상기 스위치부(110)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곳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when the
이에 따라, 도5a 및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20)는 상기 스위치부(110)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한편, 상기 하우징부(120)에 배선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20)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선커넥터(130)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배선커넥터(130)는 상기 하우징부(120)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부(120)의 단자(122)와 접속함으로써 스위치부(110)의 전기신호를 배선(w)을 통해 송출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배선커넥터(130)는 상기 하우징부(120)에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하지만, 상기 배선커넥터(130)가 상기 하우징부(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11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110)의 일측에는 도6에 도시된 결합클립(140)이 설치되고, 상기 배선커넥터(130)에는 상기 스위치부(110)를 향해 연장된 연장편(13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연장편(131)과 상기 결합클립(14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되 결합후 서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상기 연장편(131)이 결합된 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편(131)과 결합클립(140) 중 어느 한 곳에는 걸림돌기(131a)가 형성되고, 그 걸림돌기(131a)와 대응하는 다른 곳에는 걸림홈(14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클립(140)의 외주연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의 걸림홈(140a)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커넥터(130)의 연장편(131)에는 상기 걸림홈(140a)에 걸리는 걸림돌기(131a)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없다.Any one of the
즉, 상기 배선커넥터(130)는 도7a 및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20) 쪽에서 하우징부(120) 쪽으로 삽입한 후 완전히 밀어넣으면 상기 배선커넥터(130)의 연장편(131)에 형성된 걸림돌기(131a)가 상기 스위치부(110)에 설치된 결합클립(140)의 걸림홈(140a)에 걸려 고정력을 형성하게 된다.That is,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xample described, and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s not limited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Substitu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are possible, which also belongs t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스위치부 111 : 결합돌기110: switch section 111: engaging projection
120 : 하우징부 121 : 결합홈120: housing portion 121: coupling groove
122 : 단자 130 : 배선커넥터122: terminal 130: wiring connector
131 : 연장편 140 : 결합클립131: extension part 140: coupling clip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도1은 종래 스위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witch assembly,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와 하우징부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nit and a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와 하우징부의 결합부위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부와 하우징부의 작용상태도,5a and 5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구성인 결합클립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clip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스위치부와 하우징부에 배선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도.Figure 7a and 7b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wir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switch unit and the hous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196A KR100878090B1 (en) | 2007-10-10 | 2007-10-10 | Rotary switch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196A KR100878090B1 (en) | 2007-10-10 | 2007-10-10 | Rotary switch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8090B1 true KR100878090B1 (en) | 2009-01-14 |
Family
ID=4048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21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8090B1 (en) | 2007-10-10 | 2007-10-10 | Rotary switch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809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5770A (en) * | 1994-10-19 | 1996-05-07 | Sanyo Electric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rotary switch and connector |
JP2001167858A (en) | 1999-12-13 | 2001-06-22 | Niles Parts Co Ltd | Rotation connector device |
KR200238816Y1 (en) * | 2001-04-19 | 2001-10-11 | 김성대 | The rotative plug with switch |
-
2007
- 2007-10-10 KR KR1020070102196A patent/KR1008780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5770A (en) * | 1994-10-19 | 1996-05-07 | Sanyo Electric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rotary switch and connector |
JP2001167858A (en) | 1999-12-13 | 2001-06-22 | Niles Parts Co Ltd | Rotation connector device |
KR200238816Y1 (en) * | 2001-04-19 | 2001-10-11 | 김성대 | The rotative plug with swit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60557B2 (en) | Circular plug connector for shielded electrical cable | |
US10892584B2 (en) |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 |
JP4606283B2 (en) | connector | |
US7540753B2 (en) | Electric socket | |
US11482810B2 (en) | Secondary securing means,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 connection | |
CN107925183B (en) | Plug-in connector | |
US9705252B2 (en) | Connector | |
CN101119001A (en) | Contact elements for shielded plug connectors | |
WO2007040013A1 (en) | Connector | |
JP2009070754A (en) | Lever type connector | |
JP2007299620A (en) |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 ground function and apparatus having the receptacle connector | |
CN106953185B (en) | Electrical connector | |
WO2012111753A1 (en) | Lever connector | |
WO2014054783A1 (en) | Spacer for terminal | |
WO2014175360A1 (en) | Connector structure for wire | |
KR20140019244A (en) | Latching device for thin wire to board connector | |
KR100878090B1 (en) | Rotary switch assembly | |
KR20100070742A (en) | Elastic piece for applying electric current and shielded connector set with the same | |
KR101407933B1 (en) | Shielded connector | |
KR20150074033A (en)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
JP2009259553A (en) | Connector | |
KR100936255B1 (en) | Panel Mount Connector Assembly | |
WO2014038675A1 (en) | Connector affixation structure | |
JP4861147B2 (en) | connector | |
KR102088326B1 (en) | Fakra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