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308B1 - Spinning reel - Google Patents
Spinning re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7308B1 KR100877308B1 KR1020020050076A KR20020050076A KR100877308B1 KR 100877308 B1 KR100877308 B1 KR 100877308B1 KR 1020020050076 A KR1020020050076 A KR 1020020050076A KR 20020050076 A KR20020050076 A KR 20020050076A KR 100877308 B1 KR100877308 B1 KR 1008773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ing
- rotor
- reel
- lever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레버 브레이크식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내구성을 유지하여 비교적 큰 제동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레버 브레이크식 스피닝 릴은, 릴 본체와, 로터와, 스풀과, 제동부(20)와, 제동 레버와, 소정의 제2 제동부(21)를 포함하고 있다. 제동부는, 줄을 풀어 내는 방향의 로터의 회전에만 연동하는 단방향 클러치(32)와 단방향 클러치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단방향 클러치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원통(40)을 가지며,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로터가 회전하는 것을 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동 레버는 제동 원통에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제2 제동부는,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1 드래그 디스크(22)와, 제1 드래그 디스크에 압접하고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드래그 디스크(23)를 가진다.
스피닝 릴, 제동부, 단방향 클러치, 내륜, 외륜
DISCLOSURE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durability and easily obtain a relatively large braking force in a lever brake spinning reel.
RESOLUTION The lever brake spinning reel includes a reel unit, a rotor, a spool, a braking unit 20, a braking lever, and a predetermined second braking unit 21. The braking part i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the unidirectional clutch 32 and the unidirectional clutch onl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string, and the braking cylinder 40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unidirectional clutch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string. It is possible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string. The braking lever can be pressed against the braking cylinder to adjust the braking force. The predetermined second braking unit includes a first drag disc 22 which is no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el unit, and a second drag disc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rag disc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drag disc ( 23).
Spinning Reel, Braking, One-way Clutch, Inner Ring, Outer R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pinning r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그 제동부의 단면 확대도.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king unit;
도 3은 도 1의 선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도 4는 도 1의 선 IV-IV을 따라 취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도 5는 스피닝 릴의 정면 부분도.5 is a front partial view of the spinning reel;
도 6은 소정의 제2 제동부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determined second braking part;
도 7은 온 오프 전환부의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off switching unit.
도 8은 제동 해제 상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단면 모식도.Fig. 8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showing states of respective levers and braking cylinders in a brake release state;
도 9는 소정 제동 상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단면 모식도.Fig. 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each lever and braking cylinder in a predetermined braking state;
도 10는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단면 모식도.Fig. 10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each lever and braking cylinder in a braking state;
도 11은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의 제2 레버 부재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는 모식도.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ever member in the braking release state and the predetermined braking state;
도 12는 제2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Fig. 12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3은 제3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Fig. 13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third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릴 본체2: reel body
2a: 릴 몸체부2a: reel body
2c: 장착부2c: mounting
3, 203: 로터3, 203: rotor
4: 스풀4: spool
6: 레버 브레이크 기구6: lever brake mechanism
16: 제동부16: braking part
17: 제동 레버17: brake lever
20: 소정의 제1 제동부20: predetermined first braking unit
21, 121: 소정의 제2 제동부21 and 121: predetermined second braking unit
22, 122: 제1 드래그 디스크22, 122: first drag disk
23, 123: 제2 드래그 디스크23, 123: second drag disk
32, 132, 232: 단방향 클러치32, 132, 232: one-way clutch
32b, 132b, 232b: 내륜32b, 132b, 232b: inner ring
40: 제동 원통40: braking cylinder
54: 온 오프 전환부54: on off switching unit
80, 90: 제동력 조정부80, 90: braking force adjustment unit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 주위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ning re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 brake type spinning reel that is mounted to a fishing rod and winds a fishing line around an ax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일반적으로, 바닷가 낚시를 하는 경우, 제동 레버(제동 조작 부재의 일례)에 의해 로터가 제동 조작되는 역전 제동 기구를 가지는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이 자주 사용된다.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은, 로터를 장력에 따라 역전시켜 물고기와 간단하게 릴링을 할 수가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beach fishing, a lever brake type spinning reel having a reverse braking mechanism in which the rotor is braked by a braking lever (an example of a braking operation member) is often used. The lever brake spinning reel can be easily reeled with a fish by reversing the rotor according to tension.
이런 종류의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에 있어서, 소정의 제동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이 특개평 10-276635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스피닝 릴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와, 제동 부재에 선단이 접촉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제동 레버와, 제동 부재에 당접("맞닿아 접함"을 의미한다.)할 수 있게 요동하고 당접 방향으로 압박되는 제동편을 포함하고 있다. 제동편은, 제동 레버의 조작시에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고, 조작되지 않을 때에는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동 레버는, 낚싯대 장착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낚싯대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선단이 제동 부재를 압압하여 제동력이 서서히 강해진다.In this kind of lever brake type spinning reel, a spinning reel capable of maintaining a predetermined braking stat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76635. This spinning reel has a braking membe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a braking lever whose tip is in contact with the braking member to adjust the braking force, and abuts the brake member. It includes a braking piece that can be rocked and press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The braking piece is configured to move away from the braking member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braking lever and to abut when it is not operated. The brake lever is supported by the reel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swing in the direction of folding the rod mounting portion, and when the brake lever is oper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rod mounting portion, the tip presses the braking member and the braking force gradually becomes strong.
이 스피닝 릴에서는, 제동 레버를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일단 소정의 제동력이 해제되어 로터가 제동 해제 상태가 되고, 더욱더 조작하면 조작력에 따라 로터가 제동된다. 또한, 제동 레버에서 손을 떼어서 아무 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편이 제동 부재에 당접하여 소정 제동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때에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풀려 나가지 않게 되어, 낚시터에서의 이동이 편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로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급격한 부하가 낚싯줄에 작용해도, 로터의 역전이 금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이 절단 되기 어려워진다.In this spinning reel, when the braking lever is oper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mounting portion, the predetermined braking force is released once, and the rotor is in a brake release state, and when further operated, the rotor is brak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force. Also, if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brake lever and nothing is operated, the braking piece abuts on the braking member and the predetermined braking state is maintained. As a result, when the braking lever is not operated, the fishing line is not continuously released due to the weight of the gear, and the movement on the fishing field is made easier. In addition, even if a fish is caught in the gear in this state and a sudden load acts on the fishing line, the reversal of the rotor is not prohibited, and thus the fishing line becomes difficult to be cut.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압박된 제동편을 제동 부재에 압접함으로써, 소정의 제동 상태를 얻고 있다. 이 때문에,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압박력을 강하게 해야 한다. 압박력을 강하게 하면, 제동편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압력이 커진다.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압력이 커지면, 제동편의 강도를 높게 해야 하므로 구조상 무리가 따르기 쉽다. 이 때문에, 소정의 제동 상태에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하면, 내구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압력을 줄여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동편의 수를 많게 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하게 되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비교적 큰 제동력을 얻는 것이 어렵다.In the abov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 predetermined braking state is obtained by pressing the pressed braking piece to the braking member. For this reason, in order to be able to obtain a large braking force, the pressing force must be strengthened.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makes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braking piece, which increases the pressure acting per unit area. If the pressure acting per unit area becomes large, the strength of the braking piece must be increased, which is easy to follow due to structural problems. For this reason, when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braking force in a predetermined braking st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occurs in terms of durability. In order to maintain the durability by reducing the pressure acting per unit area, a method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braking pieces is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relatively large braking force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figuration.
본 발명의 과제는, 레버 브레이크식 스피닝 릴에 있어서, 내구성을 유지하고 비교적 큰 제동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durability and to easily obtain a relatively large braking force in a lever brake spinning reel.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고 낚싯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 주위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릴에 있어서, 릴 본체와, 로터와, 스풀과, 제1 제동 수단과, 제동 조작 수단과, 제2 제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몸체부와, 장착부와 릴 몸체부를 연결하는 다리부를 가진다. 로터는, 릴 몸체부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 요소이다. 스풀은, 로터의 앞부분에서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로터에 의해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구성 요소이다. 제1 제동 수단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회전에만 연동하는 단방향 클러치와, 단방향 클러치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단방향 클러치의 회전에만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가지며,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제동 조작 수단은 장착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동 부재에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제2 제동 수단은,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1 원판 부재와, 제1 원판 부재에 압접하고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원판 부재를 가지고,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회전을 소정의 제동력으로 제동할 수 있는 수단이다.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el mounted on a fishing rod and winding a fishing line around an axi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the reel main body, the rotor, the spool, the first braking means, and the braking. It includes an operation means and a second braking means. The reel main body has a mounting portion attached to a fishing rod, a reel body portion disposed at intervals from the mounting portion, and a leg portion connecting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reel body portion. The rotor is a component rotatably mounted at the front of the reel body. The spool is a component that is attached to the reel main body at the front of the roto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is not rotatable, and the fishing line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the rotor. The first braking means includes a unidirectional clutch that cooperates only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string, and a braking member that is disposed at intervals from the unidirectional clutch and that rotates only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unidirectional clutch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string. And means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string. The braking operation means is a means which is provided in the reel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of folding into the mounting portion, and is oper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mounting portion to press-contact the brake member to adjust the braking force. The second braking means has a first disc member which is no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el unit, and a second disc member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disc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wire and unwinds. It is a means capable of brak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of ejection with a predetermined braking force.
이 스피닝 릴에서는, 제1 제동 수단에서는, 제동 조작 수단을 장착부에 접근 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 부재로의 압접력이 서서히 커지고,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이 증가한다. 또한, 제2 제동 수단에서는, 로터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거기에 연동하여 제2 원판 부재가 회전하고,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1 원판 부재가 제2 회전부재에 압접하여 소정의 제동력으로 로터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동된다. 여기에서는, 제2 제동 수단은, 양원판 부재의 압접력에 의해 소정의 제동력을 얻고 있으므로, 제동시의 압접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압력이 작아도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고, 내구성을 유지하여 비교적 큰 제동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In this spinning reel, when the braking operation means is oper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mounting portion, the pressure contact force to the braking member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braking force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string increases. Further, in the second braking means, when the roto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string, the second disc member rotates in conjunction with it, and the first disc member, which is not rotatable relative to the reel unit,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rotating member and predetermined.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causes the rotor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Here, since the 2nd braking means obtains a predetermined braking force by the pressure contact force of the two disc members, the contact area at the time of braking becomes large. For this reason, even if the pressure acting per unit area is small, a large braking force can be obtained, and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and a relatively large braking force can be easily obtained.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1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원판 부재는, 단방향 클러치와 제동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단방향 클러치와 제동 부재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경우, 그 틈새에 제2 제동 수단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후 방향의 치수를 늘리는 일 없이 제2 제동 수단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In the spinning reel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first aspect, the first and second disc members are disposed between the unidirectional clutch and the braking member.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gap between the unidirectional clutch and the braking member, the second braking means can be disposed in the gap, so that the second braking means can be arranged without increasing the dimens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2 형태의 릴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는, 로터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륜과, 외륜의 내주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내륜과, 외륜과 내륜의 사이에 배치된 원통 회전자를 가지는 롤러 클러치이고, 제 1 원판 부재는, 내륜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고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제2 원판 부재는, 내륜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에는, 롤러 클러치에 의해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동 부재 및 제2 원판 부재를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In 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second aspect, the unidirectional clutch includes an outer ring tha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rotor, an inner ring disposed at an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uter ring, and an outer ring; It is a roller clutch which has the cylindrical rotor arrange | positioned between inner rings, The 1st disk member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an inner ring, and is not rotatable with respect to a reel main body, A 2nd disk member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n inner ring. In this case, the braking member and the second disc member can be smoothly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ing is released by the roller clutch.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의 중 어느 하나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2 제동 수단의 제동 동작을 제동 가능 상태와 제동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로터를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 상황에 따라 제동 상태를 선택 할 수 있다.The spinning reel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witching reel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of the invention, wherein the switching reel switches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second braking means to a braking state and a non-braking state. It includes more. In this case, since the rotor can be switched to the predetermined braking state and the braking release state, the braking stat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situation.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4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전환 수단이, 제1 원판 부재를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상태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제동 가능 상태와 제동 불능 상태로 제2 제동 수단을 전환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원판 부재를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하면, 제동 가능 상태가 되어 로터가 소정 제동 상태가 되며, 회전 가능하게 하면, 제동 불능 상태가 되어 로터가 자유 회전 가능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는, 제1 원판 부재의 회전 상태를 전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동 가능 상태와 제동 불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eel of the fourth aspect, the switching means switches the first disc member to a state in which it is not rotatabl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el unit. The second braking means is switched to the non-braking state. In this case, if the first disc member is not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el unit, the braking state becomes possible, and the rotor becomes a predetermined braking state. When rotatable, the braking state becomes impossible and the rotor becomes freely rotatable. Here, it is possible to simply switch between the braking state and the braking state simply by switch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first disc member.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4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전환 수단은, 제동 조작 수단의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동 가능 상태로부터 제동 불능 상태로 전환된다. 이 경우에는, 제동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제2 제동 수단이 제동 불능 상태로 되어 소정의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제2 제동 수단에 의해 소정 제동 상태로 한 후에 제동 해제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잊는 경우가 없다.In the spinning reel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fourth aspect, the switching means is switched from the braking possible state to the non-braking stat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raking operation means. In this case, when the braking operation means is operated, the second braking means becomes incapable of braking and the predetermined braking state can be release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econd braking means return to the braking release state after making the predetermined braking state. There is no case to forget.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릴에 있어서, 제2 제동 수단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제동력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강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낚는 방법이나 낚시 대상의 물고기의 당김 등에 의해 소정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raking force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braking force of the second braking means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In this case, since a relatively strong braking force can be adjusted, the predetermined braking force can be adjusted by a fishing method, a pull of a fish, or the like.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7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제동력 조정 수단은, 양원판 부재의 압접력을 단방향 클러치측으로부터 조정 가능한 압접력 조정 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스풀을 떼내는 것만으로 제2 제동 수단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가 있다.In 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seventh aspect, the braking force adjusting means includes pressure pressing force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both disc members from the unidirectional clutch side. In this case, the structure which can adjust the braking force of a 2nd braking means only by removing a spool can be implement | achieved.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8 형태의 릴에 있어서, 양원판 부재는 내륜과 제동 부재와의 사이에 압접 상태로 배치되고, 압접력 조정 수단은, 내륜을 압압하는 나사 부재와 나사 부재를 회동 조작하기 위한 회동 조작 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회동 조작 부재에 의해 나사 부재를 회동 조작하면, 내륜이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륜이 원판 부재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압접력이 변화함으로써 제동력이 변화한다. 여기에서는, 내륜의 축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간단하게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el of the eighth aspect, wherein the two disc members are disposed in a press-contact state between the inner ring and the braking member, and the pressure-contact force adjusting means is a screw for pressing the inner ring. It has a rotation operation member for rotating a member and a screw member. In this case, when the screw member is rotated by the rotation operation member, the inner ring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or, and the inner ring presses the disc member. As a result, the braking force changes as the pressure contact force changes. Here, the braking force can be adjusted more simply by moving the axial position of the inner ring.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9 형태의 릴에 있어서, 회동 조작 부재는 로터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풀을 떼내는 것만으로 제2 제동 수단의 제동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the spinning reel of 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ninth aspect, the rotation operation member is ex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otor. In this case, the braking force of the second braking means can be easily adjusted simply by removing the spool.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상기 제8 형태의 릴에 있어서, 제2 원판 부재는 제1 원판 부재를 사이에 두고 내륜의 역측에 배치되고, 압접력 조정 수단은, 내륜의 전방으로부터 장착되고 제2 원판 부재에 나사 고정되는 볼트 부 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2 원판 부재를 볼트 부재에 의해 직접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el of the eighth aspect, the second disc member is disposed on the reverse side of the inner ring with the first disc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ressure contact force adjusting means is the front of the inner ring. And a bolt member mounted therefrom and screwed to the second disc member. In this case, the braking force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second disc member directly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or by the bolt member.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을 구비하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되며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4)을 포함하고 있다.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ncludes a reel
릴 본체(2)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이다. 릴 본체(2)는, 낚싯대에 장착되며 앞뒤로 긴 장착부(2c)와,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몸체부(2a)와, 장착부(2c)와 릴 몸체부(2a)를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체부(2a)는, 내부에 기구 장착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측부는 개구하고 있다. 이 개구 부분은 덮개 부재(2d; 도 3)에 의해 가려져 있다.릴 몸체부(2a)의 내부에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3)의 회전(역전)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와, 스풀(4)을 회전축심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7)가 제공되어 있다.The
로터(3)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이고,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해 설 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3a)의 앞벽(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e)을 가지는 보스부(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e)에 스풀축(8) 및 피니언 기어(12; 후술함)가 관통하고 있다.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요동 가능하게 베일 암(9)이 제공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The
스풀(4)은 예를 들어, 금속제이고,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8)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사권 몸통부(4a)와, 사권 몸통부(4a)의 뒷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사권 몸통부(4a)의 전단에 고정된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스풀축(8)은, 오실레이팅 기구(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10)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12a)은 로터(3)의 관통공(3e)을 관통하여 스풀(4)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앞부분(12a)에서, 로터(3)는 너트(13)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중간부와 후부(後部)에서 베어링(14, 15)에 의해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너트(13)에는, 베어링(35)이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와 스풀축(8)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확보하고 있다. 너트(13)는, 주머니 형상의 리테이 너(36)에 의해 이완 고정되어 있다. 리테이너(36)는 앞벽(3d)에 형성된 환상홈(3g)에 장착된 스냅 링(37, snap ring)에 의해 발지(拔止)되어 있다. 리테이너(36)와 너트(13)의 전단면과의 사이에는, 스풀축(8)과의 틈새를 밀봉하는 립 부착 밀봉 부재(38)가 장착되어 있다.The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Configuration of lever brake mechanism>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부(16)와, 제동부(16)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17)와, 제동부(16)를 제1 소정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 레버(18)와,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19)과, 보조 레버(18)에 의해 제1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소정의 제1 제동부(20)와, 제1 소정 제동 상태보다 강한 제2 소정 제동 상태로 로터(3)를 제동 가능한 소정의 제2 제동부(21)와, 제2 소정 제동 상태를 온 오프 변경하기 위한 온 오프 전환부(54)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lever brake mechanism 6 includes a
<제동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Braking Unit>
제동부(16)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압접되어 제동되는 제동부 본체 31과 제동부 본체 31을 로터(3)의 물레 방편 방향의 회전에 마셔 연동해 회전 시키는 단방향 클러치(32)를 가지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제동부 본체(3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3)의 내주 측에 로터(3)와 동심으로 배치된 제동 원통(40; 제동 부재의 일례)과, 제동 원통(40)을 경사 이동 가능하게 하고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원통(41)과, 릴 몸체부(2a)에 설치된 원호상의 돌출부(42)를 가지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braking part
제동 원통(4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을 가진 얇은 원통 형상의 금속제 원통이고, 그 둘레부의 선단의 주접부(40a; 周接部)가 외주측에 배치된 돌출부(42)와 내주측에 배치된 제동 레버(17)의 압접부(17d; 후술함)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동 레버(17)의 압접부(17d)와 다른 둘레 방향 위치에서 주접부(40a)의 내주측에 제 1 소정 제동부(20)의 압접부(27a; 도 3)가 배치되어 있다. 제동 원통(40)은 그 중심부에 기어 이 형상의 내부 기어부(40b)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6, the
단방향 클러치(32)에 의해 회전 원통(41)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3)의 회전에는 일체로 회전하고, 권취시에는 로터(3)의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로터(3)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 원통(41)은, 대경부(41a)와 소경부(41b)를 가지는 계단식 금속제 원통 부재이고, 대경부(41a)에는 내부 기어부(40b)에 맞물리는 외부 기어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기어부(41c)의 전후단에 단방향 클러치(32) 및 제동 원통(40)이 간격을 두고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대경부(41a)의 앞부분 외주면에는, 단방향 클러치(32)를 후방으로 압압하여 계지하기 위한 스냅 링(45)이 장착되는 환상홈(41d)이 형성되고, 소경부(41b)의 후부 외주면에는, 베어링(44; 후술함)을 계지하기 위한 스냅 링(46)이 장착되는 환상홈(41e)이 형성되어 있다.By the one-way clutch 32, the rotating
대경부(41a)의 내주부에는, 피니언 기어(12)와의 사이에 베어링(43)이 배치되어 있다. 소경부(41b)의 외주부에는 릴 몸체부(2a)와의 사이에 베어링(44)이 배 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원통(41)은, 앞부분이 베어링(43)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뒷부분은 베어링(44)에 의해 릴 몸체부(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43)의 내륜(43a)은 피니언 기어(12)를 지지하는 베어링(14)과의 사이에 배치된 통 형상의 칼라(47; 도 2)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베어링(43)의 내륜(43a)의 전면에는 로터(3)의 보스부(3f)가 당접하고 있다. 보스부(3f)의 외주면과 대경부(41a)의 내주면과의 틈새는, 보스부(3f)에 장착된 립 부착 밀봉 링(48)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The
베어링(44)의 내륜(44a)은 스냅 링(46)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44)의 외륜(44b)은, 원형공(50a)을 가지고 릴 몸체부(2a)의 선단에 고정된 누름판(50)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Movement of the
회전 원통(41)의 대경부(41a)와 소경부(41b)와의 경계 부분에는, 대소 2단의 외경을 가지는 계단식 칼라(49)가 장착되어 있다. 계단식 칼라(49)의 소경부분과 누름판(50)의 원형공(50a)과의 틈새는, 계단식 칼라(49)에 장착된 립 부착 밀봉 링(51)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A stepped
돌출부(4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몸체부(2a)의 앞부분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2)에는, 원호상의 합성 수지제의 제동 슈(42a)가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protruding
단방향 클러치(32)는 외륜 유전형태의 롤러 클러치이고, 로터(3)의 원통부(3a)의 내주측에 회전 불가능하게 외륜(32a)이 연결되어 있다. 내륜(32b; 도 2)의 내주면에는, 회전 원통(41)의 외부 기어부(41c)에 계지되는 내부 기어부(32c) 가 형성되어 있고, 내륜(32b)은 회전 원통(4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내륜(32b)은 스냅 링(45)에 의해 후방으로 압압된 상태로 회전 원통(41)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단방향 클러치(32)와 제동 원통(40)과의 사이에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소정의 제2 제동부(21)가 압압된 상태로 장착된다.The one-way clutch 32 is a roller clutch of the outer ring dielectric type, and the
<제동 레버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braking lever>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릴 본체(2)에 장착된 지지축(33)에 의해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동 레버(17)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에서 장착부(2c)로 접근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제동 레버(17)는, 지지축(33)에 의한 지지 부분에서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동 조작부(17a)와 지지 부분에서 만곡하여 비스듬히 전하방(前下方)으로 연장하는 제동 작용부(17b)를 가지고 있다. 제동 조작부(17a)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장착부(2c)를 따라 베일 암(9)의 바깥쪽 부근까지 전방으로 연장한 다음, 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해 연장하고, 선단이 전방을 향해 더욱더 만곡한 형상이다. 이 만곡 부분부터 전방이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제1 조작부(17c)가 되어 있다. 제1 조작부(17c)는,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동 조작부(17a)는, 다리부(2b)로부터 전방 부분에 걸쳐,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부분까지 폭이 커지고 있고, 그 광폭 부분(17h)에는, 장착부(2c)를 향해 대략 장방형의 개구(17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7e)로부터 후술하는 보조 레버(18)의 조작 부재(26)가 장착부(2c)를 향해 윗쪽으로 노출하고 있다. 또한, 광폭 부분(17h)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개구(17g)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7g)를 관통하여 전방을 향해 조작 부재(26)가 돌출하고 있다. 이 개구(17g)는, 제동 레버(17)와 보조 레버(18)와의 틈새로부터 낚싯줄이 침입하는 줄 침입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The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은 제동 원통(40)의 내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거기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원통(40)의 주접부(40a)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압접부(17d)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압접부(17d)는 합성 수지제이고,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해 제동 원통(40)을 바깥쪽에 배치된 제동 슈(42a)로 압압한다. 제동 레버(17)는, 아무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압박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압접부(17d)가 제동 원통(40)으로부터 이반하고 있다.The tip of the
코일 스프링(19)은, 제동 레버(17)의 제동 조작부(17a)와 릴 본체(2)의 다리부(2b)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9)은, 제동 레버(17)를 제동 해제측을 향하여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 레버(17)에서 손을 떼어 놓으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The
<보조 레버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lever>
보조 레버(18)는, 소정의 제1 제동부(20)에 의해 로터(3)를 도 8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상태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소정 제동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보조 레버(18)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조작부(26a; 후술함)가 장착부(2c)에 접근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제동 해제 위치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조작부(26a)가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한 제3 위치에 배치되는 소정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보조 레버(18)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축(33)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된 제1 레버 부재(25)와, 제1 레버 부재(25)에 장착된 조작 부재(26)를 가지고 있다.The
제1 레버 부재(25)는, 도 8에서 제동 레버(17)의 앞쪽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제동 레버(17)를 따라 상전방 및 하전방으로 연장하고 있고, 윗쪽으로 연장한 선단에 나사(29)에 의해 조작 부재(26)가 고정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25)의 선단은 제동 레버(17)의 제동 조작부(17a)의 광폭 부분(17h)의 개구(17e)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 부분으로부터 비스듬히 전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레버 부재(25)의 기단은, 제동부(16)의 후방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25a)의 기단에는, 소정의 제1 제동부(20)의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이 계지되는 장방형의 계지 절결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절결부(25c)는,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부의 횡단면적보다 큰 면적의 장방형의 절결부이다.The
조작 부재(26)는, 선단에 제2 조작부(26a)를 가지고, 기단측(도 8 우측)에 제3 조작부(26b)를 가지고 있다. 제2 조작부(26a)는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측 에 제 1 조작부(17c)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3 조작부(26b)는 제동 레버(17)의 제1 조작부(17c)보다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조작부(26a)는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밀어 넣는 조작이 가능하고, 제 3 조작부(26b)는 낚싯대를 잡는 손의 가운데 손가락으로 밀어 넣는 조작이 가능하다. 특히, 제1 조작부(17c)와 제2 조작부(26a)는, 같은 손가락에 의한 끌어 들임 조작과 밀어 넣는 조작이 가능하다. 제2 조작부(26a)는, 보조 레버(17)의 요동에 의해 도 1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제3 위치에 배치된다.The
조작 부재(26)는, 제동 조작부(17a)의 광폭 부분(17h)에 설치된 개구(17e)로부터 장착부(2c)를 향해 윗쪽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 부분에 제3 조작부(26b)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26)는, 개구(17e)의 하부에서 개구(17g)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고, 연장된 선단에 제2 조작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조작부(26a)가 개구(17g)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므로, 제2 조작부(26a)의 주위, 특히 베일 암(9)에 근접하는 부분이 개구(17e)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줄 흔들림에 의해서 이 부분에 접촉해도 조작 부재(26)와 제동 레버(17)와의 틈새로 낚싯줄이 침입하는 현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The
또한, 제3 조작부(26b)의 선단에는, 제동 조작부(17a)의 표면에 계지되는 계지부(26c)가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26c)는, 보조 레버(18)가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동 조작부(17a)의 개구(17e)의 앞부분 표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레버(18)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조작부(26b)의 계지부(26c)는, 제동 조작부(17a)의 개구(17e)의 앞부분 표면에 거의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보조 레버(18)는, 소정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제동 레버(17)의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의 요동에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 한다.At the distal end of the
<소정의 제1 제동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First Braking Part>
소정의 제1 제동부(20)는,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제2 레버 부재(27)와, 제2 레버 부재(27)를 제동 해제 위치와 제1 소정 제동 위치에 유지하는 토글 스프링(28)을 가지고 있다. 제2 레버 부재(27)는, 도 3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스풀축(8)과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다.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은 계지 절결부(25c)에 계지되어 있고, 제2 레버 부재(27)는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도 8a)와 소정의 제동 위치(도 8b)의 사이에서 요동한다.The predetermined
여기서, 제동 해제 위치 있을 때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은 토글 스프링(28)에 의해 압박되어 계지 절결부(25c)의 표면에 접촉하고, 소정의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아래쪽 면에 접촉한다. 제2 레버 부재(27)의 도중에는, 선단이 제동 원통(40)의 주접부(40a)의 내주측에 배치된 압접부(27a)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는, 압접부(27a)의 설치 부분으로부터 더욱더 절곡되어 연 장하고 있고 연장한 기단에 토글 스프링(2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압접부(27a)와 선단의 사이에는, 소정의 제2 제동부(21)와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돌기(27b; 도 7)가 형성되어 있다. 압접부(27a)에 대향하여 제동 원통(40)의 외주측에는, 제동 슈(30)의 선단부가 제동 원통(4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동 슈(30)는 기단부가 릴 몸체부(2a)의 전단면에 고정되어 있다.Here, the proximal end of the
여기에서는, 제2 위치에 있는 제2 조작부(26a)를 밀어 넣는 조작을 하여 제3 위치에 배치하고, 제1 레버 부재(25)를, 도 9a에 도시되어 있는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도 9b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소정 제동 위치측으로 요동시키면, 거기에 연동하여 제2 레버 부재(27)도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제1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 결과, 압접부(27a)가 제동 원통(40)을 제동 슈(30)에 협지하여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3)의 회전을 제1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한다.Here,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토글 스프링(28)은, 도 3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27)를 압박하여 제2 조작부(26a)를 제2 위치와 제3 위치로 나누어 압박하고, 그 자세를 유지할 수가 있다. 토글 스프링(28)은,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토글 스프링(28)은, 일단이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계지되고, 타단이 릴 몸체부(2a)의 전단면에 계지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28)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제2 레버 부재(27)를 도 11a의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 11b의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해,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와 제1 소정 제동 위치에 유지되고, 나아가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와 제1 소정 제동 위치에 유지된다.3 and 11, the
여기에서는,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가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기 때문에, 제1 레버 부재(25)가 요동하면, 그 요동이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측에서 2배 이상의 요동 거리가 되어 나타나 토글 스프링(28)이 용이하게 반전할 수 있게 된다.Here, since the distance from the base end of the
<소정의 제2 제동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Predetermined Second Braking Unit>
소정의 제2 제동부(21)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1 드래그 디스크(22)와, 제1 드래그 디스크(22)에 압접하는 제2 드래그 디스크(23)와, 3매의 드래그 와셔(24a, 24b, 24c)를 가지고 있다. 소정의 제2 제동부(21)는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3)의 회전을 제1 소정 제동 상태보다 강력한 제2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 the predetermined
제1 드래그 디스크(22)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고, 외주부에 톱니상의 계지 치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드래그 디스크(22)는, 온 오프 전환부(54)에 의해 릴 본체(2)에 대해서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한 상태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제2 제동부(21)는, 온(제2 소정 제동 상태)과 오프(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The
제2 드래그 디스크(23)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원판 부재이고, 회전 원통(41)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드래그 디스크(23)의 내주면에는, 회전 원통(41)의 외부 기어부(41c)에 맞 물리는 내부 기어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드래그 와셔(24a, 24b, 24c)는, 각각 천 또는 펠트제의 원판 부재이고, 드래그 와셔(24a)는 단방향 클러치(32)의 내륜(32b)과 제1 드래그 디스크(22)의 사이에, 드래그 와셔(24b)는 제1 드래그 디스크(22)와 제2 드래그 디스크(23)의 사이에, 드래그 와셔(24c)는 제2 드래그 디스크(23)와 제동 원통(40)의 사이에 각각 압접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The
소정의 제2 제동부(21)는, 스냅 링(45)에 의해 압박된 내륜(32b)에 의해 제동 원통(40)측에 압압되고, 제1 드래그 디스크(22)가 릴 본체(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상태일 때,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제동 원통(40)의 회전을 제2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주로, 제1 드래그 디스크(22)와 제2 드래그 디스크(23)의 마찰력에 의해 정해지고 제동시의 압접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압력이 작아도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고, 내구성을 유지하여 비교적 큰 제동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The predetermined
<온 오프 전환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on-off switching unit>
온 오프 전환부(54)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덮개 부재(2d)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55)와, 전환 레버(55)에 의해 요동하는 전환 캠(56)과, 전환 캠(56)에 의해 요동하여 제1 드래그 디스크(22)에 계합하는 계지 부재(57)를 가지고 있다.3 and 7, the on-off
전환 레버(55)는, 오프 위치와 온 위치의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덮개 부재(2d)에 장착되어 있다. 전환 레버(55)는, 플랜지형 베어링 부시(58)을 거쳐 덮개 부재(2d)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금속제의 축부(55a)와 축부(55a)와 인서트 성 형된 합성 수지제의 레버부(55b)를 가지고 있다. 축부(55a)에는, 전환 캠(56)을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5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55a)의 선단에는, 전환 캠(56)을 발지하기 위한 C 형 스냅 링(59)이 장착되는 환상홈(55d)이 형성되어 있다.The switching
전환 캠(56)은, 금속제의 프레스 성형된 판상 부재이고, 전환 레버(55)와 연동하여 오프 위치와 온 위치로 회동하는 구성 요소이다. 전환 캠(56)은, 축부(55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의 장착부(56a)와, 장착부(56a)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고정부(56b)와, 장착부(56a)로부터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계지 돌기(56c)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56a)의 중심에는, 모따기부(55c)에 계지되는 타원형 구멍(56d)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환 캠(56)은 축부(5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스프링 고정부(56b)에는, 일단이 덮개 부재(2d)에 계지된 토글 스프링(60)이 계지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60)은, 사점을 넘으면 전환 캠(56)을 반대쪽의 위치를 향해 압박한다. 이 토글 스프링(60)에 의해, 전환 레버(55) 및 전환 캠(56)은 온 위치와 오프 위치로 압박된다.The switching
계지 부재(57)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프레스 성형된 판상 부재이고, 제1 드래그 디스크(22)의 계지 치부(22a)를 계지하는 계지 위치와, 계지 치부(22a)로부터 이반 하는 이반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릴 몸체부(2a)에 장착되어 있다. 계지 부재(57)는, 전환 캠(56)의 온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의 요동에 연동하여 계지 위치로부터 이반 위치로 회동한다. 계지 부재(57)는, 릴 몸체부(2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의 장착부(57a)와, 장착부(57a)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 는 계지 조부(57b; 係止爪部)와 장착부(57a)로부터 절곡하여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결부(57c)와, 연결부(57c)의 후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대략 윗쪽으로 연장하는 연동 계지부(57d)를 가지고 있다.The locking
계지 부재(57)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계지 위치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장착부(57a)는, 회동축이 되는 장착 볼트(62)에 의해 릴 몸체부(2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계지 조부(57b)는, 제1 드래그 디스크(22)의 계지 치부(22a)를 계지 가능하도록 선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연동 계지부(57d)는, 전환 캠(56)이 온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 회동하면, 계지 돌기(56c)에 의해 압압된다. 이것에 의해 계지 부재(57)는, 계지 위치로부터 이반 위치로 회동한다. 또한, 연동 계지부(57d)는,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레버(17)에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를 향해 요동하면, 제2 레버 부재(27)의 연동 돌기(27b)에 의해서도 압압되어, 계지 위치로부터 이반 위치로 회동한다. 따라서, 소정의 제2 제동부(21)는, 제동 레버(17) 또는 보조 레버(18)의 조작에 의해서도 제2 소정 제동 상태가 해제된다.The locking
<릴의 동작 및 조작>Reel Operation and Operation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9)을 줄개방 자세측으로 넘어뜨리고, 낚싯대를 내리기 시작하는 것에 의해서,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계속 풀려 나간다. 줄 권취시에는, 핸들(1)을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되지 않은 복귀 기구에 의해 줄 권취 자세로 복구한다. 핸들(1)의 회전력은 핸들축(10), 마스터 기어(11)를 거쳐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 은, 피니언 기어의 앞부분(12a)을 거쳐 로터(3)로 전달된다. 이 때 로터(3)는 줄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단방향 클러치(32)의 작용에 의해 이 회전력은 회전 원통(4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도시되지 않은 중간 기어에 의해 그 회전이 오실레이팅 기구(7)로 전달되어 스풀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At the time of casting, the fishing line continues to be releas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제동 레버(17)를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17)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압압되고 제동 해제 위치측에 배치된다. 이 때, 보조 레버(18)의 제2 조작부(26a)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도 8 및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접부(17d) 및 압접부(27a)가 제동 원통(40)으로부터 이반하고,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소정의 제2 제동부(21)에 있어서,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연동 돌기(27b)에 의해 계지 부재(57)가 이반 위치측으로 압압되고, 전환 레버(55)의 온 오프에 관계없이 소정의 제2 제동부(21)도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If the
로터(3)를 역전시켜 물고기와 릴링을 할 때에는, 제동 레버(17)의 제1 조작부(17c)를 예를 들면 집게 손가락에 의해 장착부(2c)측으로 끌어 들임 조작을 하여 제동력을 조정한다.When reversing the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해 끌려 로터(3)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역전하면, 그 회전력이 단방향 클러치(32)를 거쳐 회전 원통(41)으로 전달되고, 나아가 제동 원통(40)으로 전달된다. 이 결과, 제동 원통(40)이 로터(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동 레버(17)의 제1 조작부(17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여 들임 조작 을 하면, 비록 제2 레버 부재(27)가 소정의 제동 위치에 있어도,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조작부(17a)가 조작 부재(26)의 계지부(26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보조 레버(18)가 제동 레버(17)에 연동하여 소정의 제동 위치로부터 제동 해제 위치측으로 요동하고,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소정의 제1 제동부(20) 또는 소정의 제2 제동부(21)에 의한 제1 또는 제2 소정의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 때, 토글 스프링(28)이, 제2 레버 부재(27)의 요동에 의해 반전하고,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측으로 압박되고,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측에서 유지된다(도 11a).When the fishing line is pulled by the fish and rever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이 상태에서 다시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의 압접부(17d)가 제동 원통(40)의 주접부(40a)를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강하게 압압하고, 제동 원통(40)을 기울이고, 주접부(40a)의 외면이 제동 슈(42a)에 압접한다. 이 제동력은 제동 레버(17)에 가해지는 힘을 가감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로터(3)의 역전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17)의 조작력에 따른 제동력이 로터(3)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제1또는 제2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잊어도, 제동 레버(17)를 끌어 들임 조작하는 것만으로, 제1 또는 제2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낚시터를 이동할 때나 릴을 수납할 때에는, 제1 조작부(17c)로부터 손을 떼어 놓은 상태에서, 보조 레버(18)의 제2 조작부(26a) 또는 제3 조작부(26b)를 장착 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밀어 넣는 조작을 한다. 그러면, 도 9 및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 레버(18)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고,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고, 토글 스프링(28)에 의해 그 위치에서 보관 유지된다. 이 소정 제동 위치에서는, 제3 조작부(26b)의 계지부(26c)가 제동 조작부(17a)의 개구(17e)에 거의 접촉한다.When moving the fishing field or storing the reels, the
이 때, 전환 레버(55)가 오프 위치에 있을 때는, 계지 부재(57)가 전환 캠(56)을 거쳐 이반 위치측으로 압압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제2 제동부(21)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동 원통(40)의 주접부(40a)의 외주면이 압접부(27a)에 의해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압압되어 로터(3)가 제동 슈(30)에서 협지되고, 소정의 제1 제동부(20)에 의한 비교적 약한 제1 소정 제동 상태에서,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3)의 회전이 제동된다. 따라서, 낚시를 하고 있을 때에 제1 소정의 제동 상태로 제동하면,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도 낚싯줄이 절단되기 어려워진다.At this time, when the switching
한편, 전환 레버(55)를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로 조작하면, 계지 부재(57)에 대한 압압이 해제되고, 계지 부재(57)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압박되어 계지 위치로 회동한다. 이 결과, 계지 부재(57)가 제1 드래그 디스크(22)를 계지하여 제1 드래그 디스크(22)가 릴 본체(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소정의 제2 제동부(20)에 의한 제동력이 제동 원통(40)에 작용하고, 소정의 제2 제동부(21)에 의한 제2 소정 제동 상태에서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3)의 회전이 제동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소정의 제1 제동부(20)에 의한 약한 제동력과 소정의 제2 제동부(21)에 의한 강한 제동력 즉 강약 두 개의 소정의 제동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어, 낚시터를 이동할 때 등에는 소정의 제2 제동부(21)에 의한 강한 제2 소정 제동 상태로 하고, 낚시를 하고 있을 때는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제1 제동부(20)에 의한 약한 제1 소정 제동 상태로 하는 것과 같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리고 채비가 늘어지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나, 물고기가 건드렸을 때에 물고기가 채비를 확실하게 물도록 하기 위해서, 로터(3)를 제1 또는 제2 소정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에 약간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좋다. 그러면, 전술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에 의해 제2 조작부(26a)가 압압되어 보조 레버(18)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하여 제1 또는 제2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물론, 제2 조작부(26a)를 끌어 들이는 조작을 해도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f the
여기에서는, 제동 레버(17)가 아니라, 별도로 설치된 보조 레버(18)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제1 또는 제2 제동부(20, 21)를 제동 해제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회전 규제 조작을 할 때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제동 레버의 조작 스트로크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 레버(17)의 조작 스트로크를 증가시키지 않고 한 손으로 로터(3)의 회전 규제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제동에 의한 규제를 더하고 있기만 하므로, 소정 제동 상태에서 큰 부하가 작용해도 낚싯줄이 끊어지기 어 려워진다. 또한, 소정 제동 상태일 때, 제동 레버(17)의 끌어 들임 조작과 연동하여 보조 레버(18)가 요동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제1 또는 제2 소정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의 전환 조작을 제동 레버(17)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 해제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Here, the predetermined first or
또한, 제동 해제 상태와 제1 또는 제2 소정 제동 상태에서 두 개의 레버(17, 18)의 위치 관계가 상이하므로, 로터(3)가 제동 해제 상태에 있는지 소정의 제동 상태에 있는지를 순간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보조 레버의 조작 부재(26)의 측면을 착색하여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색이 보이도록 하고 소정의 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안보이게 하면, 로터(3)의 상태 판별을 보다 빨리 하기 쉬워진다.Further, sinc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게다가 제1 조작부(17c)와 제2 조작부(26a)를 장착부(2c)와 접리하는 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같은 손가락으로 밀어 넣는 조작을 하고 끌어 들임 조작을 하여 제동 조작과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제동 조작을 하는 손가락과 같은 손가락으로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손가락을 낚싯대로부터 떼어 놓을 필요가 없어져서, 원활하게 규제 전환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위치나 제3 위치에 제2 조작부를 배치하면 손을 떼어 놓아도 위치 유지 수단에 의해 그 위치에서 유지되므로, 규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그리고 보조 레버(18)의 선단 부분의 제2 조작부(26a)를 제동 레버(17)에 제공한 개구(17g)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베일 암(9)에 줄 흔들림이 생기거나 캐스팅시에 낚싯줄이 제동 레버(17)에 접촉하거나 해도, 보조 레버(18)와 제동 레버(17) 과의 틈새로 낚싯줄이 침입하는, 이른바 줄 침입이 생기기 어려워진다.And since the
또한, 소정의 제2 제동부(21)는, 원판상의 양 드래그 디스크(22, 23)의 압접력에 의해 소정의 제동력을 얻고 있으므로, 제동시의 압접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단위 면적당 작은 압력으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어 내구성을 유지하고 비교적 큰 제동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제1 제동부(20)에 의한 제1 소정 제동 상태와 소정의 제2 제동부(21)에 의한 소정의 제2 제동부(21)를 전환 레버(55)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낚시 대상의 물고기나 용도 등에 따라서 소정 제동 상태의 제동력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redetermin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제2 제동부(21)에 있어서의 제2 소정 제동 상태의 제동력이 고정되어 있지만,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braking forc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bra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도 12에 있어서, 제동력 조정부(80)는, 회전 원통(141)의 대경부(141a) 외주면의 앞절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41f)와, 내륜(132b)의 내주측에 수나사부(110f)에 나합하도록 배치된 너트 부재(81)와, 너트 부재(81)를 회전 원통(141)에 대해서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 조작부(8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전 원통(141)의 대경부(141a)의 외주면의 뒷절반부에는, 외부 기어부(14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동력 조정부(80)에서는, 회동 조작부(82)에 의해 너트 부재(81)와 회전 원통(141)을 상대 회전 시킴으로써, 내륜(132b)과 함께 단방향 클러치(132)를 후방으로 압압하고, 제1 드래그 디스크(22)에 작용하는 압접력을 변화 시킨다.In FIG. 12, the braking
내륜(132b)의 내주면의 앞 절반부에는, 너트 부재(81)가 수납되는 원통형의 수납부(132d)가 형성되어 후반분에는, 회전 원통(141)의 외부 기어부(141c)에 맞물리는 내부 기어부(132c)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81)는, 수납부(132d)에 수납되어 내륜(132b)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너트 부재(81)는, 내륜(132b)의 내부 기어부(132c)를 거쳐 내륜(132b)을 후방(도 12 우측)으로 압압한다. 너트 부재(81)의 전단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요철로 구성되는 회동 계지용의 제1 계지부(81a)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front half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회동 조작부(82)는, 로터(103)의 보스부(103e)의 외주면에 제공되어 있는 조정 조작 부재(83)와, 조정 조작 부재(83)를 전방(도 12의 좌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84)을 가지고 있다. 로터(103)의 전벽(103d)에는, 조정 조작 부재(83)를 로터(103)의 전방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호상의 개구부(103g)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 조작 부재(83)는, 보스부(103e)에 회동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 형상의 장착부(83a)와, 장착부(83a)의 외주측으로부터 개구부(103g)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83b)와, 장착부(83a)의 후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철로 구성되는 제2 계지부(83c)를 가지고 있다. 제2 계지부(83c)는, 제1 계지부(81a)와 계합하고 조정 조작 부재(83)의 회동에 연동하여 너트 부재(81)를 회동시킨다.The
보스부(103e)의 외주면에는, C형 스냅 링(85)이 장착되고, C형 스냅 링(85)과 조정 조작 부재(83)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84)이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정 조작 부재(83)는, 평상시 전방으로 압박되어 있다.The C-shaped
이러한 구성의 회동 조작부(82)에 의한 제동력의 조정은, 손잡이부(83b)를 압압하여 양계지부(81a, 83c)를 계합시킨 상태에서, 제동 레버(17)에 의해 제동 원통(40)을 거쳐 회전 원통(141)을 회전하지 않게 한다.Adjustment of the braking force by the
<릴의 동작 및 조작>Reel Operation and Operation
통상의 제동 레버(17)나 보조 레버(18)의 조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과 같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The operation of the
소정의 제2 제동부(21)의 제2 소정 제동 상태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스풀(4)를 떼어낸 상태에서,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를 향해 끌어 들이는 조작을 하고, 제동 원통(40)을 거쳐 회전 원통(141)의 양방향 회전을 규제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83b)를 밀어 넣어 양계지부(81a, 83c)를 계합시킨 상태로 한다. 그리고 손잡이부(83b)를, 예를 들어, 로터(103)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압압력이 강해지고 제2 소정 제동 상태에서의 제동력이 증가한다. 또한, 역방향으로 돌리면 감소한다. 손잡이부(83b)을 돌려 개구부(103g)의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더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손잡이부(83b)의 압압을 해제하여 역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재차 압압한 상태에서 회동시키면 좋다. 이러한 순서로 보냄 동작을 반복하면 개구부(103g)의 길이에 관계없이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djusting the braking forc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braking state of the predetermin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손잡이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했지만,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볼트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raking force is adjusted by the handle, bu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braking force is adjusted using a bolt.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제2 제동부(121)는, 제1 드래그 디스크(122)와, 단방향 클러치(232)의 내륜(232b)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 드래그 디스크(123)와, 제1 드래그 디스크(122)를 제2 드래그 디스크(123)와 함께 협지하는 제3 드래그 디스크(124)를 가지고 있다. 제1 드래그 디스크(122)는, 제3 드래그 디스크(124)로 형성된 단차부(124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드래그 디스크(122)의 외주면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 계지 치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드래그 디스크(124)는, 회전 원통(41)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단차부(124a)는, 제3 드래그 디스크(124)의 지름 방향의 중간부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환상 부분이고, 그 돌출 두께는 제1 드래그 디스크(122)의 두께보다 얇다. 단차부(124a)에는, 조정 볼트(91)가 나합하는 나사공(12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드래그 디스크(123) 및 내륜(232b)의 나사공(124b)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관통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predetermined
관통공(123a)에는, 제동력 조정부(90)를 구성하는 조정 볼트(91)가 관통하고 있다. 조정 볼트(91)의 머리 부분은, 단방향 클러치(232)의 전면에 계지되어 있다. 제동력 조정부(90)는, 전술한 나사공(124b)과 조정 볼트(91)에 의해 구성된다. 로터(203)의 전벽(203d)에는, 조정 볼트(91)의 머리 부분을 드라이버에 의해 조정 하기 위한 조정공(203g)이 형성되어 있다.The adjusting
<릴의 동작 및 조작>Reel Operation and Operation
통상의 제동 레버(17)나 보조 레버(18)의 조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소정의 제2 제동부(121)의 제2 소정 제동 상태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경우에 는, 스풀(4)을 떼어낸 상태에서,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로터(203)를 돌려 조정공(203g)로부터 조정 볼트(91)의 머리 부분을 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조정공(203g)에 예를 들어, 십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조정 볼트(91)를 돌린다. 조정 볼트(91)를 돌리면, 제3 드래그 디스크(124)가 전후로 이동하여 제1 드래그 디스크(122)를 협지하는 힘이 변화하고,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로터의 제동력이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제2 제동부(121)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When adjusting the braking forc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braking state of the predetermined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a) 상기 세 개의 실시예에서는, 제동 레버(17)와 보조 레버(18)에 의해 제동 조작과 소정 제동 조작을 했지만, 한 개의 제동 레버로 제동 조작과 소정 제동 조작을 하도록 해도 좋다.(a) In the above three embodiments, the braking operation and the predetermined braking operation are performed by the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레버(17)나 보조 레버(18)를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했지만, 장착부(2c)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직선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b)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제2 제동부(21)를 단방향 클러치(32)와 제동 원통(40)의 사이에 배치했지만, 다른 장소에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핸들축에 설치된 마스터 기어에 접촉 가능하게 소정의 제2 제동부(21)를 배치하고, 소정의 제2 제동부(21)로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마스터 기어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한 제1 원판 부재와 단방향 클러치를 거쳐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의 회전에만 연동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원판 부재를 마스터 기어를 압압하도록 제공하고, 양원판 부재의 압접력에 의해 마스터 기어를 거쳐 로터를 제동하도록 해도 좋다. 게다가 제1 원판 부재를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한 상태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압접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c)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조 레버를 제동 레버와 연동시켰지만, 각각 독립해 동작하도록 해도 좋다.(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uxiliary lever is interlocked with the brake lever, but may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한 스피닝 릴에서는, 제2 제동 수단은, 양원판 부재의 압접력에 의해 소정의 제동력을 얻고 있으므로, 제동시의 압접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단위 면적당 작은 압력으로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어 내구성을 유지하고 비교적 큰 제동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In 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braking means obtains a predetermined braking forc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two disc members, the pressing contact area at the time of braking becomes large. For this reason, a large braking force can be obtained at a small pressure per unit area, so that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and a relatively large braking force can be easily obtained.
Claims (1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273554 | 2001-09-10 | ||
JP2001273554A JP2003079294A (en) | 2001-09-10 | 2001-09-10 | Spinning re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2690A KR20030022690A (en) | 2003-03-17 |
KR100877308B1 true KR100877308B1 (en) | 2009-01-07 |
Family
ID=1909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0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7308B1 (en) | 2001-09-10 | 2002-08-23 | Spinning reel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3079294A (en) |
KR (1) | KR100877308B1 (en) |
CN (1) | CN1231120C (en) |
TW (1) | TW53786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63716B2 (en) * | 2006-01-12 | 2012-01-25 | 株式会社シマノ |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
CN101253854B (en) * | 2008-04-02 | 2011-12-21 |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 Fishing coiling apparatus with second braking device |
JP6488098B2 (en) * | 2014-10-10 | 2019-03-20 | 株式会社シマノ | Double bearing reel |
JP6636748B2 (en) * | 2015-08-20 | 2020-01-29 | 株式会社シマノ | Spinning reel |
CN106035264B (en) * | 2016-07-29 | 2022-06-24 |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 Winder with quick clutch switching structure |
JP2018161139A (en) * | 2018-06-15 | 2018-10-18 | 株式会社シマノ | Spinning reel |
JP6856738B2 (en) * | 2019-12-19 | 2021-04-07 | 株式会社シマノ | Spinning ree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6079U (en) * | 1983-08-18 | 1985-03-12 | リョービ株式会社 | Clutch release and summing operation mechanism for downward double-axis reel |
JPH07163277A (en) * | 1993-10-18 | 1995-06-27 | Daiwa Seiko Inc | Spinning reel for fishing |
JPH10271941A (en) * | 1997-03-31 | 1998-10-13 | Ryobi Ltd | Rotation brake device for reel for fishing |
JP2001128595A (en) * | 1999-11-05 | 2001-05-15 | Shimano Inc | Spinning reel |
-
2001
- 2001-09-10 JP JP2001273554A patent/JP2003079294A/en active Pending
-
2002
- 2002-06-24 TW TW091113787A patent/TW537861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8-23 KR KR1020020050076A patent/KR1008773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9-10 CN CNB021315884A patent/CN1231120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6079U (en) * | 1983-08-18 | 1985-03-12 | リョービ株式会社 | Clutch release and summing operation mechanism for downward double-axis reel |
JPH07163277A (en) * | 1993-10-18 | 1995-06-27 | Daiwa Seiko Inc | Spinning reel for fishing |
JPH10271941A (en) * | 1997-03-31 | 1998-10-13 | Ryobi Ltd | Rotation brake device for reel for fishing |
JP2001128595A (en) * | 1999-11-05 | 2001-05-15 | Shimano Inc | Spinning re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31120C (en) | 2005-12-14 |
TW537861B (en) | 2003-06-21 |
JP2003079294A (en) | 2003-03-18 |
KR20030022690A (en) | 2003-03-17 |
CN1406476A (en) | 2003-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63716B2 (en) |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 |
JP5184759B2 (en) | Dragging device for spinning reel | |
JP2007185130A5 (en) | ||
KR100877308B1 (en) | Spinning reel | |
JP2007312703A5 (en) | ||
JP5607315B2 (en) | Spinning reel drag knob | |
JP5588152B2 (en) |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 |
KR100923134B1 (en) | Spinning Reel | |
JP4500629B2 (en) | Soun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 |
JP6261884B2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and brake operation lever of rotor braking device thereof | |
JP5460250B2 (en) |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 |
JP4451734B2 (en) |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 |
KR100905294B1 (en) | Spinning Reel | |
KR20030023587A (en) | Reel body of spinning reel | |
JP4462754B2 (en) | Spinning reel | |
JP4512469B2 (en) | One-way clutch of spinning reel | |
JP4572041B2 (en) |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 |
JP4785281B2 (en) | Spinning reel rotor regulating device | |
JP4015902B2 (en) | Spinning reel operating device | |
JP6247843B2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and brake operation lever of rotor braking device thereof | |
JP2006129775A5 (en) | ||
JP2001128599A (en) | Spinning reel | |
JP2003158965A (en) | Rotor braking apparatus of spinning reel | |
JP2001178328A (en) | Device for reversing bail for spinning reel | |
JP2001292669A (en) | Spinning re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8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