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6282B1 -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282B1
KR100876282B1 KR1020020018821A KR20020018821A KR100876282B1 KR 100876282 B1 KR100876282 B1 KR 100876282B1 KR 1020020018821 A KR1020020018821 A KR 1020020018821A KR 20020018821 A KR20020018821 A KR 20020018821A KR 100876282 B1 KR100876282 B1 KR 10087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scch
channel
power
cqi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165A (ko
Inventor
이영대
안준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2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2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o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 UMT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HSDPA 시스템의 다운링크 공통 제어채널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해, 기지국이 CQI로 기반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운링크 전송 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이동국이 보고하는 채널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CPICH 채널의 SIR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CPICH SIR 값으로부터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HS-SCCH 출력 전력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최종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Transmit Power control method fo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도 1은 3GPP 시스템의 UTRAN의 구조.
도 2는 3GPP 시스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
도 3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의 HS-PDSCH의 서브프레임 구조.
도 4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의 HS-SCCH의 서브프레임 구조.
도 5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의 HSDPA 시스템의 업링크 HS-DPCCH의 프레임 구조.
도 6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제 1실시 예에 따른 CQI를 이용한 전송 전력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QI를 이용한 전송 전력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 제 2실시 예에 따른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식에 업링크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식을 적용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 제 3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핸드오버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전력 제어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 예의 일 예를 보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 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 제 4실시 예에 따른 HS-SCCH 송신전력에 의한 CQI 및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식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3GPP UMT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의 공통 제어채널 측정 보고에 따른 공통 제어채널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는 유럽식 표준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으로부터 진화한 제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 GSM 핵심망(Core Network)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접속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향상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UMTS의 표준화 작업을 위해, 1998년 12월에 유럽의 ETSI, 일본의 ARIB/TTC, 미국의 T1 및 한국의 TTA 등은 제3세대 공동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이하, 3GPP라 약칭함)라는 프로젝트를 구성하였고, 현재까지 UMTS의 세부적인 표준명세서(Specification)를 작성 중에 있다.
3GPP에서는 UMTS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망 구성 요소들과 이들의 동작에 대한 독립성을 고려하여 UMTS의 표준화 작업을 5개의 기술규격그룹(Technical Specification Groups; 이하, TSG라 약칭함)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다. 각 TSG는 관련된 영역내에서 표준규격의 개발, 승인, 그리고 그 관리를 담당하는데, 이들 중에서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 이하 RAN이라 약칭함)그룹(TSG-RAN)은 UMTS에서 WCDMA 접속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접속망인 UMTS무선망(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하, UTRAN이라 약칭함)의 기능, 요구사항 고속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규격을 개발한다.
TSG-RAN그룹은 다시 전체회의(Plenary) 그룹과 4개의 운영그룹(Working Group)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운영그룹(WG1:Working Group 1)에서는 물리계층(제1계층)에 대한 규격을 개발하고, 제 2운영그룹(WG2 :Working Group 2)은 데이터링크계층(제2계층) 및 네트워크계층(제3계층)의 역할을 규정한다. 또한, 제 3운영그룹에서는 UTRAN내의 기지국,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약칭함) 및 핵심망(Core Network)간 인터페이스에 대한 규격을 정하며, 제 4운영그룹에서는 무선링크성능에 관한 요구조건 및 무선자원관리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논의한다.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3GPP UTRAN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TRAN(110)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부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s; 이하 RNS로 약칭함)(120,130)으로 구성되며, 각 RNS(120,130)는 하나의 RNC(121,131)와 그 RNC(121,131)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Node B)(122,123)(132,1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RNC(121,131)는 GSM망과의 회선교환 통신을 위해 단말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41)와 연결되어 있으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과의 패킷교환 통신을 위해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2)과 연결된다.
그리고, 기지국(Node B)(122,123)(132,133)은 RNC(121,131)에 의해서 관리되며 상향링크로는 단말(150)의 물리계층에서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링크로는 데이터를 단말(150)로 송신하는 단말에 대한 UTRAN의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담당한다. RNC(121,131)는 무선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는데,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RNC를 제어 RNC(CRNC: Control RNC)라고 하며, 공용무선자원의 관리를 담당한다. 각 단말에 할당된 전용무선자원(Dedicated Radio Resources)을 관리하는 곳은 담당 RNC(SRNC: Serving RNC)라 불린다. 제어 RNC와 담당 RNC는 동일할 수 있으나, 단말이 담당 RNC의 영역을 벗어나 다른 RNC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 RNC와 담당 RNC는 다를 수 있다. UMTS망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그 위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기지국(Node B)과 RNC사이는 Iub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RNC사이에서는 Iur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RNC와 핵심망과의 인터페이스를 Iu라고 칭한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사이의 무선접속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의 무선접속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 데이터링크계층 및 네트워크계층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적으로는 제어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된다. 사용자 평면은 음성이나 IP 패킷의 전송등과 같이 사용자의 트래픽 정보가 전달되는 영역이고, 제어평면은 망의 인터페이스나 호의 유지 및 관리 등의 제어정보가 전달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2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face;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 1계층(L1), 제 2계층(L2), 제 3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계층(L1)은 무선인터페이스에 대한 물리계층(PHY: Physical Lay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약칭함)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물리계층으로 전달된 데이터는 무선환경에 맞는 다양한 코딩과 변조방식 등이 적용되어 이용하여 수신측에 전달된다. 물리계층과 MAC계층사이에 존재하는 전송채널은 단말이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 또는 여러 개의 단말이 공유해서 사용하는지에 따라 각각 전용전송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과 공용전송채널(Common Transport Channel)로 구분된다.
제 2계층(L2)은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여러 단말들이 WCDMA망의 무선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계층(L2)은 MAC 계층,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약칭함)계층, 패킷데이터수렴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이하 PDCP라 약칭함)계층, 그리고 방송/멀티캐스트제어(Broadcast/Multicast Control; 이하 BMC라 약칭함)계층으로 나뉘어진 다.
여기서, MAC계층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적절한 대응(Mapping)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한다. 논리채널들은 상위계층과 MAC계층을 연결시켜주는 채널들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논리채널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제어평면의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을, 사용자 평면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트래픽채널(Traffic Channel)을 사용한다. MAC계층은 다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두개의 부계층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전용전송채널의 관리를 담당하면서 SRNC에 위치한 MAC-d부계층과, 공용전송채널의 관리를 담당하면서 CRNC에 위치한 MAC-c/sh부계층이다.
RLC계층은 상위로부터 전송된 RLC SDU의 분할 및 연결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기능에 의해 전송에 맞는 적절한 RLC PDU를 구성하고, 전송 중 소실된 RLC PDU의 재전송을 담당하는 자동반복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ARQ)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위로부터 내려온 RLC SDU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무응답모드(Unacknowledged Mode), 응답모드(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 방식으로 동작하고, RLC계층에는 상위계층에서 내려온 RLC SDU 또는 RLC PDU들을 저장하기 위한 RLC버퍼가 존재한다.
PDCP계층은 RLC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IPv4나 IPv6와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이 RLC계층에서 전송되기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준다. 특히, IP패킷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패킷의 헤더정보를 압축해서 전송하는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BMC계층은 CBS(Cell Broadcast Center)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BMC의 주된 기능은 단말로 전송되는 셀 방송 메시지(Cell Broadcast Message)를 스케줄링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무응답모드로 동작하는 RLC계층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참고로, PDCP계층과 BMC계층은 패킷교환방식을 사용하므로 SGSN과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데이터만을 전송하므로 사용자평면에만 위치한다. 이들과는 달리, RLC계층은 상위로 연결된 계층에 따라 사용자평면에 속할 수도 있고 제어평면에 속할 수도 있다. 제어평면에 속하는 경우에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에 해당되고, 그 외의 경우는 사용자 평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평면에서 제 2계층(L2)에 의해 상위계층으로 제공되는 사용자데이터의 전송서비스를 무선운반자(Radio Bearer; RB)라고 정의하며, 제어평면에서 제 2계층(L2)에 의해 상위계층으로 제공되는 제어정보의 전송서비스는 시그널링 무선 운반자(Signaling Radio Bearer; SRB)라고 정의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C계층과 PDCP계층의 경우에는, 하나의 계층 내에 여러 개의 엔터티(Entity)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무선 운반자를 갖고, 하나의 무선 운반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오직 하나의 RLC엔터티 및 PDCP엔터티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RLC계층 및 PDCP계층의 엔터티들은 각 계층내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계층(L3)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RRC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운반자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되어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무선운반자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RC메시지를 통해 상위계층에서 전달되는 제어 메시지들의 전송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WCDMA 시스템은 실내 및 피코(Pico-cell)셀 환경에서 2Mbps, 일반적인 무선환경에서는 384kbps의 전송속도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무선인터넷이 보편화되고 가입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다 고속의 전송속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3GPP에서는 WCDMA망을 진화시켜 고속의 전송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들 수 있다.
HSDPA시스템은 WCDMA를 기반으로, 하향링크로 최대 8-10M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보다 짧은 지연시간과 향상된 용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상된 전송속도와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 HSDPA시스템에서 적용된 기술들은 링크적응기법(Link Adaptation; 이하 LA라 약칭함), 복합자동재송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HARQ라 약칭함), 빠른 셀 선택(Fast Cell Selection;이하 FCS라 약칭함), 다중입력다중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이하 MIMO라 약칭함) 안테나 기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링크 적응기법(LA)은 채널의 상태에 맞는 변조 및 코딩 방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약칭함)을 사용하는 것으로, 채널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16QAM과 64QAM과 같은 고도(高度)의 변조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채널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QPSK와 같은 저도(低度)의 변조방법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저도의 변조방법은 고도의 변조방법에 비해 전송량은 적지만, 채널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뛰어난 전송 성공률을 보이므로, 패이딩(Fading)이나 간섭의 영향이 큰 경우에는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고도의 변조방법들은 저도의 변조방법들과 비교하여 주파수 이용효율이 훨씬 뛰어나고, WCDMA의 5MHz대역폭을 이용하여 10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잡음이나 간섭의 영향에 매우 민감한 편이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는 16QAM이나 64QAM등을 사용하여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단말이 셀의 경계에 위치하거나 패이딩의 영향이 큰 경우에는 QPSK와 같은 저도의 변조기법이 유용하다.
HARQ 방법은 RLC 계층에서 수행하는 패킷의 재전송방법과는 다른 개념의 재전송방법이다. 이는 물리계층과 연계되어 사용되고 재 전송된 데이터를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보다 높은 디코딩 성공률을 보장한다. 즉, 전송에 실패한 패킷을 폐기시키지 않고 저장하고 있으면서, 재 전송된 패킷과 디코딩 이전단계에서 결합하여 디코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LA기법과 같이 사용하면, 패킷의 전송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FCS방법은 기존의 소프트핸드오버와 비슷한 개념이다. 단말은 여러 개의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지만, 각 셀의 채널상태를 고려하여 가장 채널상태가 좋은 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도록 한다. 기존의 소프트핸드오버는 여러 개의 셀 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전송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이었지만, FCS방법은 셀들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특정한 셀 하나로부터만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MIMO안테나 기법은 산란이 많이 일어나는 채널환경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보통 여러 개의 송신안테나와 여러 개의 수신안테나로 구성되어 안테나별로 수신되는 전파들간의 연관성을 줄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HSDPA 시스템은 기존의 WCDMA망을 기반으로 하고, WCDMA망을 최대한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 한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시키기 위해서는 약간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대표적으로 예는 기존의 기지국(Node B) 기능을 향상시킨 점이다. 즉, WCDMA망에서는 대부분의 제어기능이 RNC에 위치했지만, 보다 빠르게 채널상황에 적응하고 RNC까지의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HSDPA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기술들은 대부분 기지국(Node B)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하지만, 기지국(Node B)의 확장된 기능은 RNC를 대체하는 기능이 아니며, RNC 입장에서 보면 고속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기능들이 추가된 보조기능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Node B)은 기존의 WCDMA시스템과는 달리 MAC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고, 이를 수행하는 계층을 MAC-hs 부계층이라고 칭한다.
MAC-hs부계층은 물리계층의 상위에 위치하여 패킷의 스케줄링이나 HARQ 및 LA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HSDPA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존의 전송채 널과는 다른 HS-DSCH(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라는 전송채널을 사용한다. 이 채널은 기지국(Node B)의 MAC-hs부계층에서 물리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HS-DSCH는 기존의 W-CDMA 시스템인 R'99/R'4와는 달리 짧은 전송시간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3 slot, 2ms)을 가지며, 높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위해서 다양한 변조 코드 집합(MCS: modulation code set)을 지원하며, 채널 상황에 가장 적합한 MCS를 선정함으로써 최적의 효율(throughput)을 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자동 재전송(automatic repeat request, ARQ) 기술과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 기술을 결합한 혼합형(hybrid) ARQ(HARQ) 기술을 채택하여 신뢰할 만한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며, 부호분할다중(CDM)을 통해 4명의 사용자까지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상기의 전송채널 HS-DSCH에 대응하는 물리채널은 종래와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S-DSCH를 위해서는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의 전송이 필요하며, 상기 정보는 HSDPA 표준에서 도입되는 공유 제어 채널(Shared Control Channel; HS-SCCH)을 통해서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Release 1, Release 2는 각각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에 대한 표준버전이며, R'99는 3GPP의 표준 버전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Release 1999의 약어이다(2000년 3월에 발표됨, Release 3과 같음). 또 R4는 3GPP의 표준 버전을 이야기하며, Release 4의 약어이다(2001년 3월에 발표됨, Release 2000과 같음). 또한 Release 5는 현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버전이다.
상기의 전송 채널 HS-DSCH에 대응하는 물리채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GPP 시스템은 HS-DSCH 전송으로 높은 패킷 데이터(Packet Data) 서비스를 다운링크(downlink)에서 지원한다.
이를 위해서 새로운 HS-DSCH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의 구조 및 이를 위한 제어신호 교환(control Signalling)이 제안되었다.
도 3은 HS-DSCH가 맵핑되는 물리채널 HS-PDSCH의 서브프레임과 슬롯 구조을 설명한다. HS-PDSCH는 하나 또는 다수의 SF=16 코드들로 전송된다. HS-DSCH 서브프레임은 3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HS-PDSCH 채널은 QPSK 또는 16 QAM 변조 심볼들을 전송한다. 도 3에서 M은 변조 심볼 당 비트 수를 말한다. 즉 QPSK일 때, M=2이고, 16 QAM일 때 M=4에 해당한다. 이러한 HS-PDSCH는 사용자 데이터만을 전송한다.
표 1은 HS-PDSCH 필드의 슬롯 포맷 정보를 보여준다.
Figure 112002010333770-pat00001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S-DSCH를 통한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제어 정보의 전송이 필요하며, 상기 정보는 HSDPA 표준에서 도입되는 다운링크 공유 제어채널(shared control channel; HS-SCCH)과 업링크 HS-DPCCH(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을 통해서 전송된다. 즉, HSDPA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있던 업링크 DPCCH 이외에 업링크에 HS-DPCCH가 하나 더 필요하다. 상기 HS-DPCCH에는 HARQ-ACK이나 CQI 정보 같은 것이 들어갑니다. 그리고 업링크 DPCCH는 기존의 HSDPA 시스템이 아닌 경우와 마찬가지로 TPC, Pilot, TFCI, FBI 정보가 들어간다.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에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크게 TFRI(Transport Format and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와 HARQ 관련 정보로 나눌 수 있다. TFRI에는 HS-DSCH 전송채널 셋 사이즈(transport channel set size), 변조 방법, 코딩 레이트(coding rate), 멀티코드(multicode)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HARQ 관련 정보에는 블록 넘버(block number), 중복버전(redundancy version)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이외에도 어떤 사용자의 정보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이동국 식별자(UE Id)에 관한 정보가 전송된다. 이동국 식별자 관련한 정보는 TFRI, HARQ정보와 함께 CRC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 CRC만 전송하게 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을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공유 제어 채널(HS-DSCH)의 서프 프레임 구조는 도 4와 같다. 하나의 타임 슬롯(slot)은 2560의 칩(chips)으로 구성되며, 40비트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업링크 HS-DPCCH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업링크 HS-DPCCH는 다운링크 HS-DSCH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업링크 피드백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피드백 시그널링은 혼합 ARQ를 위한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정보와 CQI(채널품질지시 자, Channel Quality Indicator)로 구성된다.
HS-DPCCH의 프레임은 2ms 길이의 5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구분되며, 하나의 서프 프레임은 3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혼합 ARQ를 위한 ACK/NACK 정보는 HS-DPCCH 서브 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 전송되며, CQI는 HS-DSCH 서브 프레임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슬롯에 전송된다. HS-DPCCH는 항상 업링크 DPCCH와 함께 전송된다. CQI는 이동국이 다운링크 CPICH(Common Pilot Channel)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얻어진 하향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 또는 상태 정보로부터 계산된 TFRI값을 기지국에게 전달하며, ACK/NACK은 Hybrid ARQ 메커니즘에 의해서 다운링크 HS-DSCH에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 패킷 전송에 대한 ACK 또는 NACK 정보를 알려준다.
도 6은 다운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공유 제어채널(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의 시그널링(signalling)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러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는 사용자마다 할당된 공유 제어채널(shared control channel)을 이용한다. 최대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M = 4이다.
이러한 공통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는 업링크 DPCCH로 전송되는 TPC 명령에 따라 수행된다. 즉, 업링크로 전송되는 TPC 명령에 따라 조절되는 다운링크 DPCCH 채널의 출력 전력에 대한 상대적인 파워 오프셋 값으로 HS-SCCH 출력 전력을 조절한다.
그러나, HSDPA의 HS-SCCH는 소프트 핸드오버(SHO: Soft Hand Over)시에도 한 셀에서만 전송되는 데, 업링크 TPC(Transmit Power Control)는 소프트 핸드오버에 연관된 모든 셀에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을 결합한 전력에 대하여 계산되어 전송되므로, 소프트 핸드오버시에 HS-SCCH 전력 제어에 TPC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보통은 소프트 핸드오버일 때 더 많은 파워 오프셋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하지만 전송전력제어만을 사용할 경우 소프트 핸드오버시에 HS-SCCH 송신 전력이 기지국 전체 전력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를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공통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기지국에 CQI가 보고되는 주기 또는 CQI가 보고되는 몇 개의 주기를 이용하여 공통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CQI를 이용한 공통 제어채널 송신전력 설정 방식에 업링크 TPC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두 방식에 의한 공통 제어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국의 소프트 핸드오버를 구분하여 공통 제어채널에 서로 다른 전력 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국이 요구한 공통 제어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 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임계치 값에 따라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와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다운링크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이동국이 보고하는 채널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CPICH 채널의 SIR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CPICH SIR 값으로부터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HS-SCCH 출력 전력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최종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측정 정보는 채널 품질 지시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PICH의 SIR 값은 채널 측정 정보가 보고되는 주기에 따라 추출하여 송신 전력 값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측정 정보는 채널 품질 지시자가 보고되는 주기마다 하나의 채널 품질 지시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측정 정보는 일정 서브프레임 마다 한 번씩 보고되는 채널 측정 정보를 복수개 평균한 값을 이용하여 HS-SCCH 송신 전력값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이전 서브 프레임의 CQI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주기 마다 특정 번째의 슬롯의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시간 슬롯을 증가시킨 후, 업링크 전송전력제어의 전력 증감 명령에 따라, 현재 슬롯의 전력에 대해 대응하는 이득만큼 증감된 전력으로 다음 슬롯의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상기 슬롯의 HS-SCCH 출력 전력 결정은 CQI를 이용한 출력 전력 제어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수행하고, 업링크 송신전력제어를 이용한 출력 전력 제어를 서브프레임내의 슬롯 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업링크 전송전력제어를 이용한 HS-SCCH의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특정 이동국의 소프트핸드오버 여부를 감지한 후,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에 있을 경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되는 소정 주기의 채널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HS-SCCH의 전력 제어로 전환하는 단계; 소프트 핸드오버가 아닌 경우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채널측정정보를 이용한 HS-SCCH의 전력 제어는 이동국이 보고하는 채널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CPICH 채널의 SIR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CPICH SIR 값으로부터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HS-SCCH 출력 전력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최종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업링크 전송전력제어를 이용한 HS-SCCH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무선망제어기로부터 해당 이동국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링크 무선링크들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이동국의 소프트핸드오버 상태 또는 무선링크의 추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소프트 핸드오버 또는 무선링크의 추가가 있을 경우 일정 주기의 서브프레임마다 보고되는 CQ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고된 CQI로부터 이동국이 측정한 CPICH SIR값을 추출한 후,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HS-SCCH 출력 제어에 전력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전력을 최종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무선망 제어기가 이동국의 전력 제어 종류를 기지국에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제어 종류에 해당하는 방식에 따라 HS-SCCH의 해당 전력 제어로 전환하고, 전력을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은, 업링크 TPC를 이용한 HS-SCCH의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무선망 제어기의 요구 전력값 또는 기지국 내부 측정에 의해 해당 이동국의 HS-SCCH의 요구 전력을 감지한 후, 감지된 요구 전력이 임계치 이상이면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로 전환 및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HS-SCCH 요구 전력이 임계치 이하이면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로 전환 및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다운링크 전 송 전력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국이 보고하는 채널 품질 지시자(CQI)는 HS-SCCH를 전송하는 셀(Cell)의 하향 채널만에 대한 채널 측정 정보이므로, HS-SCCH의 전력을 제어하는 데에 더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업링크 TPC 이외에 업링크 HS-DPCCH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 측정 정보, 즉 채널 품질 지시자(CQI)를 이용하는 다운링크 HS-SCCH의 전력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이때 CQI는 다운링크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로서, 주로 이동국이 다운링크 CPICH의 전력을 측정한 정보로부터 만들어내며, 무선 망의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링크 HS-DPCCH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보고하는 정보를 말한다. CQI는 k subframe을 주기로 한번씩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의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식과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식을 임의의 조건에 만족할 때 선택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상위로부터 특정 전력 제어 방식으로의 지시가 있을 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제 1실시 예는 CQI를 이용한 HS-SCCH 송신전력 설정 방식으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k개의 서브 프레임 마다 CQI를 이용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먼저 기지국은 k개의 서브프레임 마다 보고되는 CQI를 수신하고(S200), 수신된 CQI로부터 이동국(UE)이 측정한 CPICH SIR 값을 추출하게 된다(S202).
상기 CPICH SIR 값으로부터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한 후(S202), 계산된 HS-SCCH 출력 제어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최종 계산하게 된다(S206).
도 8은 몇 개의 CQI를 이용한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먼저 기지국은 k개의 서브프레임 마다 보고되는 CQI를 수신하고(S210), M개의 서브프레임 마다 보고되는 복수의 CQI로부터 이동국이 측정한 CPICH SIR 값을 추출한다(S212). 이때, CPICH SIR 값으로부터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한 후(S214), 계산된 HS-SCCH 출력전력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최종적으로 계산하게 된다(S216).
이와 같이, 기지국은 CQI 정보로부터 HS-SCCH 송신 전력 값을 유도한다. CQI 정보로부터 HS-SCCH 송신 전력값을 유도하기 위해, 일정개의 서브 프레임 마다 보고되는 CQI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CQI 정보로부터 이동국(UE)이 측정한 CPICH 채널의 SIR 값을 추출한다. 그러면, CPICH SIR 값으로부터 요구된 HS-SCCH 출력 전력을 일차적으로 계산한 후, 계산된 HS-SCCH 출력 제어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려 전력을 최종 계산하게 된다. 이때, 실제 기지국이 전송하는 HS-SCCH 송신 전력값은 계산된 요구된 HS-SCCH 송신전력 값에 측정 및 계산의 오류를 고려한 마진을 추가한 값으로 결정된다.
이 방식은 기지국이 HS-SCCH 송신 전력 값을 변경하는 주기에 따라 다음 두 가지로 세분화된다.
첫 번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CQI가 보고되는 주기인 k 서브프레임 마다 한번씩 하나의 CQI 정보로부터 HS-SCCH 송신 전력값을 계산한다. 따라서 HS-SCCH 송신 전력 값은 k개의 서브 프레임을 주기로 한번씩 변경된다.
두 번째, 도 8과 같이 M개의 서브 프레임 동안 수신한 CQI 정보를 평균한 결과로부터 HS-SCCH 송신 전력값을 유도한다. 따라서 HS-SCCH 송신 전력 값은 M개의 서브 프레임을 주기로 한번씩 변경된다. 이때 CQI 정보를 평균한 결과로부터 송신 전력값을 유도하기 위해 M은 k보다 큰 정수에 해당하며, 만약 M=k일 경우 두번째 방식은 첫번째 방식과 동일하게 된다.
여기서,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주기 사이에는 송신 전력이 변경되지 않는다.
제 2실시 예;
제 2실시 예는 CQI를 이용한 HS-SCCH 송신전력 설정 방식에 업링크 TPC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QI를 이용한 방식과 TPC를 이용한 방식을 이용하여 HS-SCCH 송신 전력 값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일정 서브프레임(F=k 또는 M) 보고되는 CQI를 수신하고(S220), 일정 서브프레임 마다 보고된 CQI로부터 k 또는 M 서브프레임 마다 이동국이 측정한 CPICH SIR 값을 추출하고(S221), CPICH SIR 값으로부터 HS-SCCH 출력전력을 계산한다(S222). 여기서, k는 CQI가 보고되는 주기이고, M은 k 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 계산된 HS-SCCH 출력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n 번째 슬롯의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한다(S223). 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이때, 카운터(t) 값을 1(즉, t=1)로 하고(S224), 업링크 TPC의 전력 업/다운 명령에 따라 현재의 슬롯(n+t-1)의 전력에 대해 계산된 이득 만큼 증감시키고(S225), 증감된 전력으로 다음 슬롯의 전력을 결정한다(S226).
이후, 슬롯의 카운터 값이 상기 일정 서브 프레임 개수(F)에 3을 곱한 값과 같은 가를 비교한 후(S227), 같을 경우에는 카운터 값을 증가(t=t+1)시켜 S225단계를 수행하며, 작을 경우에는 슬롯에 상기 카운터 값을 더해주어(n=n+t) 다음 슬롯에 대해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229). 즉, F는 이전 k 또는 M 서브프레임이므로, k또는 M 서브프레임 동안의 CQI정보를 이용하여 n+(3×k) 또는 n+(3×M) 슬롯의 HS-SCCH 송신 전력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n+2 에서 n + (3 x k)-1 또는 n + (3 x M)-1 슬롯 동안 S225, S226와 동일한 방식으로 HS-SCCH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제 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이전 k 또는 M 서브프레임 동안의 CQI 정보를 이용하여 n + (3 x k) 또는 n + (3 x M) 슬롯의 HS-SCCH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이러한 제 2실시 예는 HS-SCCH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주기 사이 동안의 채널 변화를 고려한다. 즉, CQI에 의해 HS-SCCH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시점들 사이에, 기지국은 업링크 TPC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올리거나 내린다.
제 3실시 예;
제 3실시예는 소프트 핸드오버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전력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 핸드오버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전 력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먼저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S2300, 이후 해당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버(SHO) 상황 여부를 확인한다(S232).
이때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에 있을 경우에는 일정 서브 프레임(k,M) 마다 보고되는 CQI를 수신하고(S234), 이로부터 CPICH SIR값을 추출한 후(S236), HS-SCCH 출력 전력을 일차적으로 계산한 후(S238), 계산된 HS-SCCH 출력 전력에 최종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최종 계산하게 된다(S240).
상기 S232 확인결과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이 아니면 기존에 수행하던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230).
이러한 제 3실시 예는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에 있을 경우에만 제 1실시 예와 같이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식을 적용하고, 소프트 핸드오버가 아닐 경우에는 TPC만을 사용하는 HS-SCCH 전력제어 방식이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들어갈 경우에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식으로 전환하고,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나올 경우에는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식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소프트 핸드오버를 구분하는 방식에서, 첫 번째는 도 11과 같이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수행할 때(S250), RNC로부터 해당 이동국의 소프트 핸드오버 여부 또는 해당 이동국에 설정된 무선 링크의 정보를 수신한 후(S252), 상기 수신된 무선 링크 정보로부터 해당 이동국의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 또는 무선 링크 추가 여부를 확인한다(S254).
이때, 해당 이동국의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 또는 무선 링크가 새롭게 추가되었으면 기지국은 제 1실시 예와 같은 방식으로 CQI를 이용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한다(S256~S262).
여기서, 해당 이동국이 핸드오버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무선링크의 수가 1로 전환되었을 경우 기존에 수행하던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264).
두 번째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수행하면서(S270), RNC로부터 HS-SCCH 전력제어 방식 변경 지시 명령을 수신한 후,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 지시 명령이면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로 전환 및 수행하고(S272,S274),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지시 명령이면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계속 수행하게 된다(S276).
제 4실시 예;
제 4실시 예는 이동국이 요구한 HS-SCCH 송신 전력와 비교하기 위한 임계치를 두고 그 임계치에 따라 CQI를 이용한 송신 전력 제어와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제어 방식을 적용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며, 기지국은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S280), 무선망 제어기가 HS-SCCH에 요구되는 전력값을 기지국에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 내부적인 측정값에서 유도한 결과로 요구되는 HS-SCCH 송신전력을 결정한다(S282). 이때, 해당 이동국을 위해 요구되는 HS-SCCH 송신전력이 기지국이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가를 확인한 후(S284), 임계치 이상이면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로 전환 및 수행하고(S286), 임계치 이하이면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280). 즉, 요구되는 HS-SCCH 송신전력이 기지국이 설정한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는 TPC만을 사용하는 HS-SCCH 전력 제어 방식을 적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에 의하면, 업링크 TPC 이외에 업링크 HS-DPCCH를 통해 전송되는 채널 측정 정보, 즉 채널 품질 지시자를 이용하는 다운링크 HS-SCCH의 전력제어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지국은 무선 채널의 변동에 보다 적절히 대응하여 HS-SCCH 전력제어를 수행하므로서, HS-SCCH에 할당되는 기지국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단말기가 공유하는 하향 공유 제어 채널을 가진 이동통신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복수단말기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단말기가 무선으로 연결된 하향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널 상태 측정 정보로부터 하향 공유 제어 채널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출력 전력으로 하향 공유 제어 채널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측정 정보는 채널 품질 지시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공유 제어 채널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는 일정 주기로 보고되는 채널 품질 지시자를 복수개 평균한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공유 제어 채널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는 일정 주기로 보고되는 채널 품질 지시자의 지시값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고, 그 주기 사이에 단말기가 보고하는 TPC값에 비례하여 상기 계산된 출력전력 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공유 제어 채널은 HSDPA시스템의 HS-SCC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6. 이전 서브 프레임의 CQI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주기 마다 특정 번째의 슬롯의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시간 슬롯을 증가시킨 후, 업링크 전송전력제어의 전력 증감 명령에 따라, 현재 슬롯의 전력에 대한 계산된 이득만큼 증감된 전력으로 다음 슬롯의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슬롯의 HS-SCCH 출력 전력 결정은 CQI를 이용한 출력 전력 제어를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수행하고, 업링크 송신전력제어를 이용한 출력 전력 제어를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서브프레임내의 슬롯 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QI를 이용한 HS-SCCH의 출력 전력 제어 주기는 CQI가 보고되는 주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QI를 이용한 HS-SCCH의 출력 전력 제어 주기는 복수 개의 CQI가 보고되는 주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0. 업링크 전송전력제어를 이용한 HS-SCCH의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특정 이동국의 소프트핸드오버 여부를 감지한 후,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에 있을 경우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되는 소정 주기의 채널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HS-SCCH의 전력 제어로 전환하는 단계;
    소프트 핸드오버가 아닌 경우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측정 정보의 이용 주기는 채널품질지시자가 보고되는 한 주기 또는 채널품질지시자가 보고되는 복수개의 주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채널측정정보를 이용한 HS-SCCH의 전력 제어는 이동국이 보고하는 채널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CPICH 채널의 SIR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CPICH SIR 값으로부터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HS-SCCH 출력 전력에 전력 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 전력을 최종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3. 업링크 전송전력제어를 이용한 HS-SCCH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무선망제어기로부터 해당 이동국에 설정되어 있는 무선링크들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이동국의 소프트핸드오버 상태 또는 무선링크의 추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소프트 핸드오버 또는 무선링크의 추가가 있을 경우 일정 주기의 서브프레임마다 보고되는 CQ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고된 CQI로부터 이동국이 측정한 CPICH SIR값을 추출한 후, HS-SCCH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HS-SCCH 출력 전력에 전력마진을 추가하여 HS-SCCH 출력전력을 최종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의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 또는 무선링크 추가 여부의 확인결과,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가 아니거나 무선 링크의 수가 1로 전환될 경우, 업링크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기가 기지국으로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와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에 대한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6. 무선망 제어기가 이동국의 전력 제어 종류를 기지국에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제어 종류에 해당하는 방식에 따라 HS-SCCH의 해당 전력 제어로 전환하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알려주는 전력 제어 종류는 업링크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식과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식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18. 업링크 TPC를 이용한 HS-SCCH의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무선망 제어기의 요구 전력값 또는 기지국 내부 측정에 의해 해당 이동국의 HS-SCCH의 요구 전력을 감지한 후, 감지된 요구 전력이 임계치 이상이면 CQI를 이용한 전력 제어로 전환 및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HS-SCCH 요구 전력이 임계치 이하이면 TPC를 이용한 전력 제어로 전환 및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 시스템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KR1020020018821A 2002-04-06 2002-04-06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7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821A KR100876282B1 (ko) 2002-04-06 2002-04-06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821A KR100876282B1 (ko) 2002-04-06 2002-04-06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165A KR20030080165A (ko) 2003-10-11
KR100876282B1 true KR100876282B1 (ko) 2008-12-26

Family

ID=3237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8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6282B1 (ko) 2002-04-06 2002-04-06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733B1 (ko) * 2002-11-15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기지국의 전력제어방법
KR101015736B1 (ko) * 2003-11-19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선택적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05809B1 (ko) 2005-08-24 2008-02-2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CN102868489B (zh) * 2005-08-24 2016-06-15 美商内数位科技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wtru)使用的方法、wtru及基站
JP4523072B2 (ja) 2006-10-30 2010-08-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上り接続のリディレクション方法
KR101443618B1 (ko) * 2006-10-30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 채널 메시지 응답 방법, 랜덤 접속 채널 메시지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WO2008133484A1 (en) 2007-04-30 200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data bloc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17205B1 (ko) 2007-05-02 2009-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구성 방법
KR100888061B1 (ko) 2007-06-03 2009-03-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비트 오류율 성능 향상을 위한 송신 전력 할당 방법
ES2428569T3 (es) 2007-06-18 2013-11-08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para llevar a cabo una sincronización de enlace a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KR101470638B1 (ko) 2007-06-18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향상 방법, 상태정보 보고방법 및 수신장치
KR100956312B1 (ko) 2007-12-04 2010-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6537B1 (ko) 2009-04-21 201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1594668B (zh) * 2009-06-30 2011-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Hs-scch功率控制方法及装置
KR102521210B1 (ko) * 2015-11-12 2023-04-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짧은 tti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78A (ko)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삭제 지시자 비트를 이용한 순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20020036639A (ko) * 2000-11-07 2002-05-16 윤종용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 공유 채널에 사용하는송신 형식 결합 지시기를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30019740A (ko) * 2001-08-30 200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프 도중의 전력제어 방법
KR100469245B1 (ko) * 2001-12-07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KR100526523B1 (ko) * 2001-10-29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전력을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78A (ko) * 1997-06-30 1999-01-25 윤종용 삭제 지시자 비트를 이용한 순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20020036639A (ko) * 2000-11-07 2002-05-16 윤종용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 공유 채널에 사용하는송신 형식 결합 지시기를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30019740A (ko) * 2001-08-30 200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프 도중의 전력제어 방법
KR100526523B1 (ko) * 2001-10-29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전력을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69245B1 (ko) * 2001-12-07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165A (ko) 200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0181B2 (e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JP5055633B2 (ja) ユーザ装置
KR100832117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874363B (zh) 用于e-dch的外环功率控制
EP1592145A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bile station
US20070274343A1 (en)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Data Channel Allocation Method
KR100788859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JP2007536800A (ja) レート制御シグナリングにおいてueアップリンクデータ転送を行うための方法
KR100876282B1 (ko) 고속 다운링크 패킷 접속(hsdpa) 시스템의 전송 전력제어방법
CN100438375C (zh) 用于宽带码分多址的下行共享信道功率控制
KR20030068743A (ko)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및 처리방법
JP4205937B2 (ja) 制御局装置
CN1921686B (zh) 一种信道质量指示处理方法和系统
JP2004166123A (ja) 基地局装置及びmcs選択方法
KR20070104576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US7856210B2 (en) Power step control for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packet access
KR100370420B1 (ko) Hsdpa시스템의 mac제어에 의한 동적 전송 채널전환 및 제어신호 전송 방법
CN101507323A (zh) Tdd hsdpa系统中node b获得信道质量信息的方法
Chiu et al. Comparative downlink shared channel evaluation of WCDMA release 99 and HSDPA
KR100839334B1 (ko)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및 처리 방법
KR20020067245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와 신호 제어 메시지전송 방법
KR100844333B1 (ko) 3gpp 시스템에서 고도 다운링크 제어채널 전력 제어를위한 프라이머리 셀의 판단 기준 최적화방법
KR20090011117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기지국에서 블록 에러율을 트래킹하는 방법
KR100459431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공유 채널 전송 전력제어방법
KR2003008861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4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