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425B1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5425B1 KR100875425B1 KR1020070024507A KR20070024507A KR100875425B1 KR 100875425 B1 KR100875425 B1 KR 100875425B1 KR 1020070024507 A KR1020070024507 A KR 1020070024507A KR 20070024507 A KR20070024507 A KR 20070024507A KR 100875425 B1 KR100875425 B1 KR 100875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idle mode
- network entity
- location updat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Name | Type | Length | Value |
Expedited Network Setup | nn | 1 |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0' indicates the associated re-entry management messages are not wished to be kept, a value of '1' indicated the re-entry management messages are wished to be kept. Bit#0: 기본 성능 요청/응답(SBC-REQ/RSP) management related profiles Bit#1: 개인키 요청/응답(PKM-REQ/RSP) management related profiles Bit#2: 등록 요청/응답(REG-REQ/RSP) management related profiles Bit#3: Network Address Information related profiles Bit#4: Network Service related profiles Bit#5~6: reserved |
Claims (32)
-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이동한 이동 단말이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 RNG-REQ)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단계;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백본을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에 전달된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이 수행된 이후,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갱신하는 네트워크 등록(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는,상기 이동 단말의 유휴 모드 진입을 승인한 네트워크 엔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는,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인 것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단계는,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를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상기 이동 단말의 유휴 모드 진입을 승인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를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이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유지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재진입(Network re-entry)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유지하는 정보는,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가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에 의하여 유지되는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한 정보는,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관한 정보와, 인증 정보와, IP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에 관한 정보 및 네트워크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0번째 비트(Bit #0)는,기본 성능 요청/응답(SBC-REQ/RSP) 메시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1번째 비트(Bit #1)는,개인키 관리 요청/응답(PKM-REQ/RSP) 메시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2번째 비트(Bit #2)는,등록 요청/응답(REG-REQ/RSP) 메시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3번째 비트(Bit #3)는,네트워크 주소에 관한 정보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는,네트워크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하나의 비트(b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는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에 등록(entry)하기 위해 수행하는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네트워크 등록 절차는,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갱신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을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 갱신을 수행할 것을 허락하는 동작 코드(action c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레인징 요청(RNG-REQ)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백본을 통해 제2 네트워크 엔터티에 전달된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이 수행된 이후,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갱신하는 네트워크 등록(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는,상기 이동 단말의 유휴 모드 진입을 승인한 네트워크 엔터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는,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인 것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상기 이동 단말의 유휴 모드 진입을 승인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를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단말이 유휴 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가 가리키는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및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유지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Netrwork re-entry)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에 의하여 유지되는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한 정보는,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관한 정보와, 인증 정보와, IP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주소에 관한 정보 및 네트워크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0번째 비트(Bit #0)는,기본 성능 요청/응답(SBC-REQ/RSP) 메시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1번째 비트(Bit #1)는,개인키 관리 요청/응답(PKM-REQ/RSP) 메시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2번째 비트(Bit #2)는,등록 요청/응답(REG-REQ/RSP) 메시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의 3번째 비트(Bit #3)는,네트워크 주소에 관한 정보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는,네트워크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하나의 비트(b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는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에 등록(entry)하기 위해 수행하는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네트워크 등록 절차는,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갱신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을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 갱신을 수행할 것을 허락하는 동작 코드(action c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갱신을 위한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984 | 2004-08-02 | ||
KR20040062984 | 2004-08-02 | ||
KR1020040063248 | 2004-08-11 | ||
KR20040063248 | 2004-08-11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5201A Division KR100845846B1 (ko) | 2004-06-25 | 2005-01-20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단말의 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6757A KR20070036757A (ko) | 2007-04-03 |
KR100875425B1 true KR100875425B1 (ko) | 2008-12-22 |
Family
ID=3712201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5201A KR100845846B1 (ko) | 2004-06-25 | 2005-01-20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단말의 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KR1020070024506A KR100875424B1 (ko) | 2004-08-02 | 2007-03-13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KR1020070024507A KR100875425B1 (ko) | 2004-08-02 | 2007-03-13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KR1020070024508A KR100875426B1 (ko) | 2004-08-02 | 2007-03-13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5201A KR100845846B1 (ko) | 2004-06-25 | 2005-01-20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단말의 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KR1020070024506A KR100875424B1 (ko) | 2004-08-02 | 2007-03-13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4508A KR100875426B1 (ko) | 2004-08-02 | 2007-03-13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08458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0227B1 (ko) * | 2006-03-17 | 2013-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시스템 |
KR100788899B1 (ko) * | 2006-10-26 | 2007-12-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관리방법 |
KR101042839B1 (ko) * | 2007-04-16 | 2011-06-20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CN102246570B (zh) * | 2008-12-15 | 2014-06-18 | Lg电子株式会社 | 无线通信系统的位置更新方法 |
KR20100080288A (ko) | 2008-12-31 | 2010-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 |
KR100980852B1 (ko) * | 2009-02-13 | 2010-09-10 | 주식회사 케이티 | 프록시 이동 아이피망에서의 프리저베이션이 적용된 바인딩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KR101666899B1 (ko) | 2009-05-24 | 2016-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5121A (ko) * | 1998-05-11 | 1999-12-06 | 윤종용 | 이동 통신 시스템의 휴지상태에서 데이터 발생 시 채널 형성방법 |
EP1235445B1 (en) | 2001-02-16 | 2004-04-28 | Lucent Technologies Inc. | User equipment device for a UMTS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
US7457265B2 (en) | 2001-06-13 | 2008-11-2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high data 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US20030217157A1 (en) | 2002-03-28 | 2003-11-20 | Tung Sharon W. |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wireless data transfer delay |
US20040121765A1 (en) | 2002-09-24 | 2004-06-24 | Idnani Ajaykumar R. |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ip contact addresses using event subscription |
KR20050107533A (ko) * | 2004-05-07 | 2005-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세션정보를 이용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
-
2005
- 2005-01-20 KR KR1020050005201A patent/KR1008458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
- 2007-03-13 KR KR1020070024506A patent/KR1008754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13 KR KR1020070024507A patent/KR1008754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13 KR KR1020070024508A patent/KR1008754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Minimization of paging and registration costs through registration deadlines,199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Volume 2, 18-22 June 1995 Page(s):735 - 739 vol.2 |
Performance evaluation of location management in UMTS, Shun-Ren Yang; Yi-Bing Lin;,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ume 52, Issue 6, Nov. 2003 Page(s):1603 - 1615 |
Two Alternative Registration and Paging Schemes for Supporting Idle Mode in IEEE 802.16e Wireless MAN,2006 IEEE 64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06. VTC-2006 Fall., Sept. 2006 Page(s):1 - 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2243A (ko) | 2006-02-07 |
KR20070036757A (ko) | 2007-04-03 |
KR20070036756A (ko) | 2007-04-03 |
KR100845846B1 (ko) | 2008-07-14 |
KR100875426B1 (ko) | 2008-12-23 |
KR100875424B1 (ko) | 2008-12-22 |
KR20070036758A (ko) | 2007-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69210C (en) |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1080539B1 (ko)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이동단말을 위한메시지 전송방법 | |
AU2005251634B2 (en) | Supporting idle mode of mobile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 |
US8219117B2 (en) | Method of paging a mobile terminal | |
KR100875425B1 (ko)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 |
CN101262692B (zh) | 一种处理群组移动的方法及无线通信系统 | |
KR101119095B1 (ko)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이동국의 아이피주소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 |
KR101080556B1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 |
CN1981551B (zh) | 无线移动通信系统中的数据通信方法 | |
KR100935294B1 (ko) | 유휴모드 단말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 |
IL180226A (en) |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0788899B1 (ko) |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관리방법 | |
KR100875419B1 (ko)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유효성 확인방법 | |
KR100908260B1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 |
JP2008526083A (ja) |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遊休モード動作方法 | |
JP4750117B2 (ja) | 無線接続システムで移動局の遊休モードを制御する方法 | |
KR20090062484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090058739A (ko) |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3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