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993B1 -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 Google Patents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4993B1 KR100874993B1 KR1020080026082A KR20080026082A KR100874993B1 KR 100874993 B1 KR100874993 B1 KR 100874993B1 KR 1020080026082 A KR1020080026082 A KR 1020080026082A KR 20080026082 A KR20080026082 A KR 20080026082A KR 100874993 B1 KR100874993 B1 KR 1008749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eating
- tank
- passage
- p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2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요, 장판, 침대커버, 카펫트, 이불, 카싯트 등의 난방장치, 또는 물리 치료기로 사용되는 핫패드 등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hot water to a heating device such as a blanket, a blanket, a bed cover, a carpet, a blanket, a cassette, or a hot pad used as a physical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난방패드(30)로 순환된 물이 유입되고, 공기압의 발생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물주입구(12)에 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마개밸브(18)가 설치되어 있으며, 난방패드(30)로부터 물이 순환 유입되는 물순환유입관(13)이 형성되어 있는 물탱크(10)와; 상기 물탱크(10)와 연결되는 물주입구(2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물이 끓을 때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을 줄여 기포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며 설치된 가열히터(21)가 설치되어 있으며,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가 연결되는 물공급관(22)이 형성되어 있는 가열탱크(20)로 구성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irculated to the heating pad 30 is introduced, the stopper valve 18 is provided so as to eliminate the generation of air pressure and to block the leakage of water at the water inlet (12) A water tank 10 having a water circulation inlet pipe 13 through which water is circulated from the heating pad 30; The water inlet 23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0 is formed, the heating heater installed inclined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bubbles 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generated when the water boils ( In the heating apparatus using a hot water consisting of a heating tank 20 is provided 21, the water supply pipe 22 to which the heating hose 31 of the heating pad 30 is connected,
물탱크(10)의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관(11)에 일단이 연결되고, 물의 역류를 차단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인바디(41)의 통로는 선택적으로 차단되어지고, 아웃바디(45)의 통로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체크밸브(40)를 포함하는 수로관(60)을 통해 가열탱크(20)로 물을 공급하되, 가열탱크(20)내에 채워지는 물이 공간 없이 가득채워질 수 있도록 물이 아래에서부터 윗쪽을 향해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가열탱크(20)의 하부에 물공급관(2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탱크(20)에서 생산된 난방수가 역류 없이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인바디(51)의 통로는 선택적으로 차단되어지고, 아웃바디(55)의 통로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체크밸브(50)가 아랫쪽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에 의해 달성된다.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1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passage of the inbody 41 is selectively blocked to block water backflow and selectively supply water, and the outbody 45 ) Passage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20 through the water pipe 60 including the check valve 40 which is always open, but the water to be filled in the heating tank 20 can be filled without space It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2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ing tank 20 so that it can be filled upward from below, the heating hose of the heating pad (30) without the back flow of the heating water produced in the heating tank (20) 31, the passage of the inbody 51 is selectively blocked so that it can exit, and the passage of the outbody 55 has a check valve 50 which is always open at the bottom of the heating apparatus using hot water. Is achieved by.
Description
본 발명은 담요, 장판, 침대커버, 카펫트, 이불, 카시트 등의 난방장치, 또는 물리 치료기로 사용되는 핫패드 등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hot water to a heating device such as a blanket, a blanket, a bed cover, a carpet, a blanket, a car seat, or a hot pad used as a physical therapy device.
일반적으로 난방기기로 사용되어지는 제품은 그 종류가 수없이 다양하다.In general, there are many kinds of products that are used as heating equipment.
상기의 난방기기 중 패드형 난방기기(담요, 장판, 침대커버, 카펫트, 이불, 카시트)는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Among the heaters, pad-type heaters (blankets, floor coverings, bed covers, carpets, duvets, car seats)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can be easily handled and used conveniently.
상기 패드형 난방기기의 가열방법은 전기가열식과 온수가열식으로 나누어진다.The heating method of the pad heater is divided into electric heating and hot water heating.
상기의 가열방법 중 대중화되어진 난방기기는 전기가열식으로써, 취급 사용이 용이한 반면, 사용 중에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하여 전자파에 의한 건강을 해치게 되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기직접가열식이나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식 난방기기는 열에너지의 소모가 높아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The heating apparatus popularized among the heating methods is an electric heating type, which is easy to handle and use,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are generated during use, resulting in an adverse effect on the health of electromagnetic waves. Boiler heaters that use direct electric heating or fuel are economically expensive due to high consumption of thermal energy.
반면, 온수가열식 난방기기는 전기가열식 난방기기의 단점을 해결하였으나, 난방수 순환에 따른 작동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t water heating device solves the disadvantages of the electric heating device, bu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ion noise caused by the heating water circulation is severely generated.
상기의 난방기기 중 펌핑수단(모터 펌프 등)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수환시키는 온수가열식 난방기기는 난방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모터펌프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소비자 불만이 발생하는 등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The hot water heating device that receives the heating water by using the pumping means (motor pump, etc.) among the above heating devices has a smooth circulation of the heating water, but the customer dissatisfaction occurs due to noise generated from the motor pump.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reliability.
상기의 펌핑수단을 매개로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온수가열식 난방기기의 단점을 해결한 난방기기를 이건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7-87353호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개발 출원하여 특허 제10-0786056호로 등록받은 바 있고, 상기 특허 제10-0786056호의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보완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2007년 11월 13일자에 특허출원번호 제2007-115777호로 출원하였다.The applicant applied for a heating device that solves the shortcomings of the hot water heating device that circulates the heating water through the pumping means. Patent application No. 2007-87353 discloses a "heating device using hot water" and filed a patent application. It was register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7-115777 filed on November 13, 2007, a "heating device using hot water" that supplements the "heating device using hot water" of Patent No. 10-0786056.
상기 선출원 발명은 물의 순환을 단속하는 체크밸브의 사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가열탱크에서 생산된 난방수를 표면 단면적이 큰 보조탱크로 배출 순환시킴으로써, 열팽창으로 난방수의 순간 유속이 빨라질 수 밖에 없었던 유속의 속도 조절의 효과를 가져와 난방수 순환에 따른 소음을 절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난방수 순환진동에 의한 난방기기의 떨림현상을 해소하였으며, 난방기기의 상품가치를 상향시킬 수 있었다.The above-describe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use of check valves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water, and simultaneously discharges and circulates the heating water produced in the heating tank to the auxiliary tank having a large surface cross-sectional area, thereby increasing the instantaneous flow rate of the heating water due to thermal expansion. It not only reduced the noise caused by the circulation of heating water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water, but also eliminated the shaking of the heating device caused by the circulation of the heating water, and increased the value of the heating device.
그러나, 선출원 발명은 물탱크로부터 가열탱크에 공급되는 물이 윗쪽에서 공급되는 구조이어서 지속적인 운전시 가열탱크로의 물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prior application has a problem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from the water tank is supplied from above so that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heating tank is not smoothly performed during continuous operation.
상기 가열탱크로의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가열상태 에 있는 가열탱크내에 물을 공급할 때 온도차에 의한 가열탱크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물주입구에 설치된 체크밸브가 조기에 닫히는 결과를 초래하여 물이 가열탱크에 충분하게 채워지지 못한 상태에서 가열이 재개되어 지기 때문에 난방수 가열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The reason why the water supply to the heating tank is not made smoothly is that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heating tank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tank in the heating state, and the check valve installed at the water inlet is closed early. As a result, the heating is resum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s not sufficiently filled in the heating tank, thereby generating a large noise when heating the heating water.
즉, 가열탱크에 물의 공급이 충만하지 못하여 빈 공간이 많이 발생함으로써, 난방수 가열시 소음이 크게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is not full, so a lot of empty space is generated, the noise is greatly generated when heating the heating water.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에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난방수의 순환에 까지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의 신뢰성 확보에 어려움을 격게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If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tank is not made smoothly as described above, it also affects the circulation of the heating water, which may cause difficulties in securing reliability of the heating apparatus using hot water.
본 발명은 선출원발명 제2007-115777호의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보완 개량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난방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원가를 낮춤과 동시에 가열탱크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난방수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함은 물론 난방수 가열시 발생하는 소음발생을 해소하여 외부소음이 줄어드는 심야 시간대에도 소음 없는 난방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lements and improves the heating apparatus using hot water of the first invention 2007-115777, the purpose of which i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heating apparatus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water supply of the heating tank smoothly In addition to promoting smooth circulation of water, it also solves the noise generated when heating water is heated, thereby providing a heating device using hot water that enables the use of a heating device without noise even in a late-night time when external noise is reduce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방패드(30)로 순환된 물이 유입되고, 공기압의 발생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물주입구(12)에 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마개밸브(18)가 설치되어 있으며, 난방패드(30)로부터 물이 순환 유입되는 물순환유입관(13)이 형성되어 있는 물탱크(10)와; 상기 물탱크(10)와 연결되는 물주입구(2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물이 끓을 때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을 줄여 기포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며 설치된 가열히터(21)가 설치되어 있으며,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가 연결되는 물공급관(22)이 형성되어 있는 가열탱크(20)로 구성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에 있어서,
물탱크(10)의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관(11)에 일단이 연결되고, 물의 역류를 차단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인바디(41)의 통로는 선택적으로 차단되어지고, 아웃바디(45)의 통로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체크밸브(40)를 포함하는 수로관(60)을 통해 가열탱크(20)로 물을 공급하되, 가열탱크(20)내에 채워지는 물이 공간 없이 가득채워질 수 있도록 물이 아래에서부터 윗쪽을 향해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가열탱크(20)의 하부에 물공급관(2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탱크(20)에서 생산된 난방수가 역류 없이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인바디(51)의 통로는 선택적으로 차단되어지고, 아웃바디(55)의 통로는 항상 개방되어 있는 체크밸브(50)가 아랫쪽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ater circulated to the heating pad 30,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는,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는, 난방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원가를 낮춤과 동시에 물탱크(10)로부터 가열탱크(20)에 공급되는 물이 아래에서 윗쪽을 향해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가열탱크(20)내에 물이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서 물이 끓을때 발생하는 소음을 해소하였고, 그로인해 실외의 소음이 줄어드는 심야 시간대에도 소음 없이 난방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난방수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하여 안정된 난방이 가능하게 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device using the hot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device using the hot water,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heating devic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at the same time water supplied from the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1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는, 가열탱크(20)에 물을 보충 공급하는 물탱크(10), 공급라인을 통해 물탱크(10)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가열히터(21)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난방수를 생산하게 되는 가열탱크(20)와, 상기 가열탱크(20)에서 생산된 난방수의 순환을 단속 하는 체크밸브(40)(50)와, 난방수가 순환되지는 난방패드(30)로 이루어져 있다.1 to 7, the heating device using ho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물탱크(10)는 충전된 물의 확인 보충이 가능하도록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물주입구(12)에는 물탱크에 발생하는 에어를 해소함과 더불어 넘어졌을 때 물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마개밸브(18)가 나사식 체결되어 있다.The
상기 물탱크(10)의 측하부에는 가열탱크(20)의 물공급관(22)과 수로관(60) 에 의해 연결되는 물배출관(11)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부에는 난방패드(30)로부터 순환되어져 리턴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순환유입관(13)이 형성되어 있다.A water circulation inlet
상기 물탱크(10)가 연결되는 가열탱크(20)는, 물탱크(10)의 하부와 연결되어 운전초기에 가열탱크(20)에 물을 채울 수 있게 하고, 가열탱크(20)로 물의 유입이 완료되면 조절봉(29)을 가지는 마개(28)에 의해 차단되는 물유입구(23)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가열탱크(20)의 내부에는 물이 끓을 때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을 최소화 시켜 기포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가열히터(21)가 가열탱크(20)로 공급된 물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대각선을 이루도록 설치한 것이다.The
상기 가열탱크(20)의 측하부에는 물탱크(10)의 물배출관(11)에 연결되는 수로관(60)가 연결되어 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물공급관(22)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물공급관(22)과 이웃하는 위치에는 난방수공급관(25)이 형성되어 있다.The heating
상기 물탱크(10)의 물배출관(11)과 가열탱크(20)의 물공급관(22)은 수로관(6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로관(60)에는 체크밸브(40)가 설치되어 진다.The
상기 가열탱크(20)의 외측에는 가열탱크(20)가 85℃~88℃까지만 가열되어질 수 있도록 전기에너지의 공급을 제어하는 바이메탈식 온도감지기(26)가 설치되어 있고, 95℃이상 가열이되면 전원을 차단시키는 상기 바이메탈식온도감지기(27)가 설치되어 있어 안전성을 높이는 상기의 바이메탈식온도감지기(26)(27)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utside of the
상기 가열탱크(20)의 난방수공급관(25)에는 체크밸브(50)가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50)에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며 배하여진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가 연결된다.A
상기 가열탱크(20)으로부터 난방수가 순환 공급되어지는 난방패드(30)는 난방호스(31)가 지그재그의 패턴을 이루며 배하여져 있고, 상기 난방호스(31)로 순환되는 난방수는 물순환유입관(13)을 통해 재차 물탱크(1)로 유입되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heating pads 30 to which the heating water is circulated and supplied from the
상기 수로관(60)과 난방수배출관(25)에 설치되는 체크밸(40)(50)는 물 내지 난방수가 공급되는 인바디(41)(51)와 유입된 물 또는 난방수가 배출되는 아웃바디(45)(55)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인바디(41)(51)와 아웃바디(45)(55)는 나사식 결합되고, 수로관(60) 등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관(42)(52),(46)(56)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inbody 41, 51 and the outbody 45, 55 are screwed together, and the connecting pipes 42, 52, 46, 56 are respectively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상기 인바디(41)(51)의 내주면에는 개폐패킹(70)의 링부(71)가 체결되는 환홈(43)(53)이 형성되어 있다.Ring grooves 43 and 5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body 41 and 51 to which the
상기 아웃바디(45)(55)는 개폐패킹(70)이 접촉되어지더라도 물 또는 난방수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이송통로(44)(54)가 열십자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The out bodies 45 and 55 are formed in the form of a criss-crossing passage 44 and 54 so that the water or heating water can be transferred even when the opening /
상기 개폐패킹(70)은 인바디(41)(51)의 환홈(43)(53)에 고정되는 링부(71)가 가장자리로 형성되어지고, 중앙에는 탄성변형판(74)을 매개로 개폐돌부(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변형판(74)에는 다수의 물이송구멍(7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탄성변형판(74)은 장착 사용시 인바디(41)(51)쪽으로 볼록하여 단면형상이 마치 갈매기가 연상되는 형상을 이루며 형성된 것이다.The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를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물탱크(10)의 물주입구(12)에 장착된 마개밸브(18)를 분리하고, 이어서 가열탱크(20)의 물유입구(23)을 차단하게 되는 마개(28)를 분리한다.(도2참조)When using the heating apparatus using the hot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emove the
이후, 상기 물탱크(10)의 물주입구(12)를 통해 물을 주입하게 되고, 물탱크(10)로 주입되는 물은 가열탱크(20)의 물유입구(23)를 통해 가열탱크(20)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탱크(20)에 먼저 물이 채워지게 되고, 지속적인 물의 공급에 따라 물탱크(10)에도 물이 채워지게 된다.(도3참조)Thereafter,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20)와 물탱크(10)의 물이 가득채워지면, 가열탱크(20)의 물유입구(23)를 마개(28)로 차단하고, 물탱크(10)의 물주입구(12)에 마개밸브(18)를 장착함으로써 물의 공급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도3참조)When the water of the
상기와 같이 물의 공급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가열히터(21)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난방수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가열히터(21)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70℃~85℃로 가열되어지면, 상기 가열히터(21)의 주변으로부터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When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기포는 기체로 변하게 되고, 상기 기체로 변하는 기포의 그 발생량이 증가하게 되면, 기체로 변하지 못한 물이 기체와 섞여서 서서히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로 배출 순환되어지게 된다.The bubble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changed into gas, and when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by the gas is increased, water which does not change into gas is mixed with the gas and gradually discharged to the
상기와 같이 생산된 난방수가 난방패드(30)로 배출되는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heating water produced as described above to the heating pad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와 같이 기체가 팽창하면 수로관(60)에 설치된 체크밸브(40)의 개폐패킹(70)의 개폐돌부(72)는 인바디(42)로 접촉되어 물탱크(10)와 가열탱크(20)를 차단시키게 된다.When the gas expands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반면, 가열탱크(20)의 난방수배출관(22)에 설치되고,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와 연결된 체크밸브(50)는 개패폐킹(70)의 걔폐돌부(72)가 아웃바디(55)쪽으로 이동하여 인바디(51)를 개방하므로써, 가열탱크(20)에서 생산된 난방수가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로 밀려나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난방수가 아웃바디((55)로 난방수가 빠져나갈 수 있는 이유는 아웃바디(55)에 개폐패킹(70)의 개폐돌부(72)에 차단되어지지 않고 난방수가 이송하는 있는 이송통로(44)(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The reason why the heating water may escape to the out body 55 is because the heating water is not block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가열탱(20)로부터 난방수가 배출되어지고 난 후의 가열탱크(20) 내의 온도는 상승되고, 상기 가열탱크(20)의 외부 온도는 낮기 때문에 기온차이로 인해서 가열탱크(20)내의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Since the temperature in the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20)의 내의 기압이 낮아지면 가열탱크(20)내의 기체부피가 줄어든다.When the air pressure in the
상기와 같이 기체가 줄어들므로써, 상기 가열탱크(20)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이루게 된다.As the gas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 in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가열탱크(20) 내부가 진공 상태에 놓이게 되면, 수로관(60)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40)는 개방되고, 반면 난방수공급관(25) 설치된 체크밸브(50)은 차단되어진다.When the inside of the
그 이유는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가열탱크(20)의 내부가 진공상태에 놓이게 되면 진공흡입력에 의해서 상기의 체크밸브(40)의 개폐패킹(70)의 개폐돌부(72)가 열리면서 상기 물탱크(10)의 물이 수로관(60)을 통하여 가열탱크(20)에 물이 공급되어진다.The reason is tha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ide of the
반면, 가열탱크(20)의 난방수공급관(25)에 설치된 체크밸브(50)의 개폐패킹(70)의 개폐돌부(72)는 진공흡입력에 의해 인바디(51)에 접촉되어 난방패드(30)의 난방호스(31)로 배출되어진 난방수가 열류하는 것을 차단시켜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40)가 개방되어 수로관(60)을 통해 물탱크(10)로부터 가열탱크(20)로 채워지는 물은 아래에서부터 위쪽을 향해 채워지게 된다.The
따라서 난방수를 배출하고난 후, 물이 재충전되어질 때 가열탱크(20) 내에 공간없이 충분한 량의 물이 충전되어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fter discharging the heating water, when the water is recharged,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is filled in the
상기에서 기술한 원리에 의해 가열탱크(20)로부터 생산된 난방수가 난방패드(30)로 지속적으로 순환됨과 동시에 난방패드(30)를 돌아나온 난방수는 물탱크(10)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탱크(20)로 재공급되어지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inciple described above, the heating water produced from the
한편, 상기 가열탱크(20) 외측에 설치된 바이메탈식 온도감지기(26)는 가열탱크(20)가 85℃~88℃까지만 가열되어질 수 있도록하게 되고, 상기 가열탱크(20)의 가열이 95℃이상 가열이되면, 바이메탈식온도감지기(27)가 작동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어 릴레이를 작동시켜서 전원를 차단시켜, 안정성을 확보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bimetallic temperature sensor 26 installed outside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난방수 흐름 전개도.1 is a development view of the heating water flow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에 초기 운전시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supplying water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to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에 물의 공급을 마친 후, 가열탱크의 무유입구와 물탱크의 물주입구에 차단시킨 상태의 예시도.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blocked after the supply of water to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of the heating tank and the water inlet of the water tank.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가열탱크의 물이 가열되어 난방패드로 바져나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of the heating tank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and faded to the heating pa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가열탱크로 재차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again to the heating tank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체크밸브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eck valve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a,b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의 체크밸브를 발췌한 단면도로써, a는 차단된 상태이고, b는 개방된 상태의 예시도.Figure 7a,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of 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blocked state, b is an illustration of an open sta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물탱크 11 : 물배출관10: water tank 11: water discharge pipe
20 : 가열탱크 21 : 가열히터20: heating tank 21: heating heater
22 : 물공급관 23 : 물유입구22: water supply pipe 23: water inlet
28 : 마개 30 : 난방패드28: stopper 30: heating pad
40,50 : 체크밸브 60 : 수로관40,50: check valve 60: water pipe
70 : 개폐패킹70: opening and closing packing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6082A KR100874993B1 (en) | 2008-03-20 | 2008-03-20 |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
CNU2008201348727U CN201306837Y (en) | 2008-03-20 | 2008-09-26 | Heating appliance using warm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6082A KR100874993B1 (en) | 2008-03-20 | 2008-03-20 |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1714A KR20080031714A (en) | 2008-04-10 |
KR100874993B1 true KR100874993B1 (en) | 2008-12-19 |
Family
ID=3953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60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4993B1 (en) | 2008-03-20 | 2008-03-20 |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4993B1 (en) |
CN (1) | CN201306837Y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0737B1 (en) * | 2008-08-04 | 2015-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er assembly for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
KR100913654B1 (en) * | 2008-11-26 | 2009-08-24 | 박국현 | Bubble discharge device of hot water mat |
KR100956166B1 (en) * | 2009-07-09 | 2010-05-06 | 윤희석 | A hot water circulation apparatus for a hot water mat |
KR101250583B1 (en) * | 2010-12-17 | 2013-04-09 | 신천식 | Heater mattype make use of hot-water |
CN104172796A (en) * | 2014-08-22 | 2014-12-03 | 严文辉 | Heating control device of water heating mattress |
CN107568997A (en) * | 2016-07-05 | 2018-01-12 | 尹京哲 | A kind of Warm water circulation device for being used to warm mattress |
CN114322313B (en) * | 2022-01-11 | 2024-11-15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Water heating blanket hos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5430U (en) | 1973-11-14 | 1975-07-01 | ||
JPS53134138U (en) | 1977-03-30 | 1978-10-24 | ||
KR100348457B1 (en) | 1999-09-14 | 2002-08-13 | 노영복 | Warm Water Generator for Heating System and Physical Therapy |
JP2003322264A (en) | 2002-04-30 | 2003-11-14 | Smc Corp | Check valve device |
-
2008
- 2008-03-20 KR KR1020080026082A patent/KR10087499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9-26 CN CNU2008201348727U patent/CN201306837Y/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5430U (en) | 1973-11-14 | 1975-07-01 | ||
JPS53134138U (en) | 1977-03-30 | 1978-10-24 | ||
KR100348457B1 (en) | 1999-09-14 | 2002-08-13 | 노영복 | Warm Water Generator for Heating System and Physical Therapy |
JP2003322264A (en) | 2002-04-30 | 2003-11-14 | Smc Corp | Check valv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1714A (en) | 2008-04-10 |
CN201306837Y (en) | 2009-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4993B1 (en) |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 |
KR100804303B1 (en) | Instantaneous heating device | |
KR100786056B1 (en) |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 |
KR20070079968A (en) |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 |
KR101110551B1 (en) | Non-powered hot water pumping device | |
KR100872414B1 (en) | Hot water circulation device | |
CN110200479A (en) | A kind of hypoglycemic electric cooker | |
JP2003262338A (en) | Superheat steam cooking device and steam generating device | |
JPS6314264B2 (en) | ||
KR100486559B1 (en) | Apparatus of induct-heating for steam cleaner | |
KR100930532B1 (en) | Heating equipment using hot water | |
KR100348457B1 (en) | Warm Water Generator for Heating System and Physical Therapy | |
US2870318A (en) | Hot water heater | |
KR101197371B1 (en) | Portable Device to Supply Warm Water | |
KR20090082986A (en) | Hot water mat device | |
CN108968499A (en) | A kind of solar energy hot-water warming mattress | |
KR101561927B1 (en) | Warm water supply device for bidet | |
KR20100028169A (en) | Hot-water supply device for hot-water mat to be equipped a pressure device to control circulation velocity of hot-water | |
CN105865016A (en) | High-pressure high-temperature hot-water supply device | |
CN205747452U (en) | A kind of high pressure-temperature hot water supply apparatus | |
JP2005095826A (en) | High temperature water cleaning device | |
CN203749182U (en) | Energy-saving steam-free water heating type rice cooker | |
KR102187919B1 (en) | Cool or hot water combination type mat | |
KR100700313B1 (en) | Portable Steam Heating System | |
JPH0629260Y2 (en) | Hot water tank device for human body clean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6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