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644B1 -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4644B1 KR100874644B1 KR1020010061728A KR20010061728A KR100874644B1 KR 100874644 B1 KR100874644 B1 KR 100874644B1 KR 1020010061728 A KR1020010061728 A KR 1020010061728A KR 20010061728 A KR20010061728 A KR 20010061728A KR 100874644 B1 KR100874644 B1 KR 100874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 data
- frequency
- generating
- clock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전자기적 간섭(EMI)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minimiz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ed during data transmission.
이 데이터 전송장치는 주파수가 동일하고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클럭들을 생성하기 위한 클럭생성기와; 상기 클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럭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샘플링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클럭생성기는 메인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메인클럭 발생기와, 상기 메인클럭에 따라 제 1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제 1 클럭발생기와, 상기 제 1 클럭을 공급받아 상기 제 1 클럭보다 1클럭 지연된 제 2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제 2 클럭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발생기는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t least two clocks having the same frequency and having different phases; A data extractor for sampling input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locks; The clock generator includes a main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main clock, a first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st clock according to the main clock, and a second clock delayed by one clock from the first clock by receiving the first clock. It has a second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clock, said first and second clock generators comprising a D flip-flop.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멀티클럭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래치함으로써, 높은 주파수를 갖는 데이터를 낮은 클럭주파수로 래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속 데이터신호에서의 클럭주파수가 빨라짐에 따른 전자기적 간섭(EMI) 문제 및 신호의 왜곡현상이 방지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by sampling and latching digital data using multi-clock, it is possible to latch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at a low clock frequency. Accordingl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blem and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due to the faster clock frequency in the high speed data signal are prevent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타이밍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iming controller.
도 2는 종래의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클럭을 나타내는 파형도.2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clock for latching conventional data.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빠른 데이터 주파수를 래치하기 위한 클럭을 나타내는 파형도.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for latching a data frequency faster than the frequency of the data shown in FIG.
도 4는 데이터가 소스 구동드라이버에 래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data latched to a source driver.
도 5는 종래의 홀수 및 짝수 데이터로 분리된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클럭주파수를 나타내는 파형도.Fig. 5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clock frequency for latching data separated into conventional odd and even data.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iming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멀티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멀티클럭발생기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multiclock shown in FIG. 6.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멀티클럭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멀티클럭을 나타내는 파형도.FIG. 8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ulti clock generated from the multi clock generator illustrated in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멀티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래치하는 것을 나태내는 파형도.9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latching data using the multi-c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타이밍 마진을 나타내는 파형도. 10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timing margin.
도 11은 래치된 데이터가 소스 구동드라이버에 공급되는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latched data is supplied to a source driver driver.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홀수 및 짝수 데이터로 분리된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클럭주파수를 나타내는 파형도.
12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frequency for latching data separated into odd and eve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14,20,24 : 타이밍 컨트롤러10,14,20,24: Timing Controller
12,16,32,36 : 소스 구동드라이버12,16,32,36: Source Driver
40 : 멀티 클럭발생기40: multi clock generator
42 : 메인 클럭발생기
42: main clock generator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전자기적 간섭(EMI)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minimiz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ed during data transmission.
최근 들어,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고품질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그 양이 증대됨과 아울러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이용할 수 있도록 고속으로 전송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비디오 데 이터의 전송 주파수는 높아지게 되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라인의 수가 증가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증가된 데이터 전송라인들을 통해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비디오 데이터가 일시에 동기되어 전송됨에 따라 전자기적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이하, "EMI"라 한다)이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Recently, the amount of video data transmitted through a transmission medium has been increased in order to meet the user's desire for high quality video and is being transmitted at a high spee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t an appropriate time.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video data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line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s inevitably increased. In this case, as the video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is transmitted synchronously through the increased data transmission lin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I”) becomes severe.
도 1은 종래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iming controller for transmitting conventional data.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데이터 전송장치는 클럭신호(DCLK),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및 디지털 데이터(Data)를 공급받아 인에이블(Enable) 신호에 의해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와,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Data)를 저장하여 도시하지 않은 화상표시부에 전송하는 소스 구동드라이버(1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device receives various clock signals DCLK,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sync and Vsync, and digital data to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by using an enable signal. And a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DCLK)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와 소스 구동드라이버(12)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0)는 게이트 구동 드라이버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클럭신호(DCLK)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에 응답하여 게이트 스타트펄스(GSP), 게이트 쉬프트클럭(GSC)신호 및 게이트 출력인에이블(GOE)신호를 게이트 구동 드라이버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입력 클럭신호(DCLK)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에 응답하여 비디오데이터 구간임을 알리는 소스 스타트펄스(SSP)의 인에이블(Enable) 구간에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Data)를 소스 구동드라이버(12)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소스 샘플링클럭(SSC), 소스 출력인에이블(SOE)신호 및 극성 제어신호(MPOL) 및 디지털 데이터(R, G, B)를 소스 구동드라이버(12)로 공급하게 된다.The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0)는 소스 샘플링클럭(SSC) 주파수의 라이징 에지구간 또는 폴링 에지구간에서 디지털 데이터(Data)를 샘플링하여 소스 구동드라이버(12)에 래치시키게 된다.The
소스 구동드라이버(12)는 타이밍 컨트롤러(1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샘플링클럭(SSC)에 따라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Data)를 도시하지 않은 쉬프트 레지스터에 래치한 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버퍼를 통해 화상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데이터(Data)는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되어 소스 구동드라이버(12)의 도시하지 않은 쉬프트 레지스터에 래치된다.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Data)의 래치는 단일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주파수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래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가 빨라지면 소스 샘플링클럭(SSC) 역시 빨라져야만 한다. 다시 말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가 2배로 증가하면 소스 샘플링클럭(SSC) 역시 도 2에서의 클럭 주파수보다 2배 증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가 증가하게 되면 그 만큼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주파수도 증가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gital data Data is sampled in the rising edge section of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and latched in a shift register (not shown) of the
이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Data)의 래치는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래칭구간 이 좁아짐에 따라 정확한 디지털 데이터(Data)를 래치하는 타이밍 마진(Timing Margin)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타이밍 마진이 줄어들게 되면 데이터의 샘플링 시점이 어긋나 잘못된 디지털 데이터(Data)를 래치하게 되어 데이터신호의 왜곡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latching interval of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becomes narrower, the timing margin for latching the correct digital data Data is reduced. When the timing margin is reduced in this way, the sampling time of the data is shifted and the wrong digital data is latched, which may cause distortion of the data signal.
도 4는 타이밍 컨트롤러(14)에 의해 분리된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를 소스 샘플링클럭(SSC)에 따라 샘플링하여 소스 구동드라이버(16)에 래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4 illustrates a process of sampling odd data ODD data and even data EVEN DATA separated by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데이터(Data)는 타이밍 컨트롤러(14)를 통해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로 나뉘어진 적색(Re, Ro), 녹색(Ge, Go) 및 청색(Be, Bo)의 데이터이다. 이에 따라,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를 샘플링하기 위한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주파수는 절반으로 반감되어 출력된다.4 and 5, the digital data is red (Re, Ro), green (Ge, Go) divided into odd data (ODD DATA) and even data (EVEN DATA) through the timing controller 14. ) And blue (Be, Bo) data. Accordingly, the frequency of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for sampling the odd data ODD DATA and the even data EVEN DATA is halved and output.
이러한,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는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되어 소스 구동드라이버(16)의 도시하지 않은 쉬프트 레지스터에 래치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Data)를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로 나누어 샘플링하여 래치함으로써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주파수가 반감된다.The odd data ODD DATA and the even data EVEN DATA are sampled in the rising edge section of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and latched in the shift register (not shown) of the
그러나, 데이터 전송 주파수가 빨라질수록 소스 샘플링클럭(SSC)의 주파수 역시 그 만큼 빨라져야만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Data)의 래치는 소스샘플링클럭(SSC)의 래칭구간이 좁아짐에 따라 정확한 디지털 데이터(Data)를 래치하 는 타이밍 마진(Timing Margin)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타이밍 마진이 줄어들게 되면 데이터의 샘플링 시점이 어긋나 잘못된 디지털 데이터(Data)를 래치하게 되어 데이터신호의 왜곡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즉 화소수가 많아짐에 따라 단위시간내에 전송될 비디오 데이터 양이 증가하게 되어 데이터전송 주파수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가 XGA 모드인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14)는 입력 및 출력 클럭신호(DCLK, CLOCK) 모두를 65MHz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동기하여 디지털 데이터(Data)를 상기와 같은 주파수로 샘플링하게 된다. However, the faster the data transmission frequency, the faster the frequency of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must be. Accordingly, as the latching interval of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narrowed, the timing margin for latching the correct digital data Data is reduced. When the timing margin is reduced in this way, the sampling time of the data is shifted and the wrong digital data is latched, which may cause distortion of the data signa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the resolution increases, that is, as the number of pixels increases, the amount of video data to be transmitted within a unit time increases,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data transmission frequency. For example,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in the XGA mode, the
이와 같이, 비디오데이터의 전송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데이터버스에서의 EMI가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As such, as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video data increases, EMI on the data bus becomes more sever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전자기적 간섭(EMI)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minimiz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ed during data transmis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장치는 주파수가 동일하고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클럭들을 생성하기 위한 클럭생성기와; 상기 클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럭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샘플링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클럭생성기는 메인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메인클럭 발생기와, 상기 메인클럭에 따라 제 1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제 1 클럭발생기와, 상기 제 1 클럭을 공급받아 상기 제 1 클럭보다 1클럭 지연된 제 2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제 2 클럭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발생기는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t least two or more clocks having the same frequency and different phases; A data extractor for sampling input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locks; The clock generator includes a main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main clock, a first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st clock according to the main clock, and a second clock delayed by one clock than the first clock by receiving the first clock. And a second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clock,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lock generators are configured as D flip-flops.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클럭생성기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클럭들의 개수는 상기 입력데이터의 주파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of clocks generated from the clock generator may var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data.
상기 데이터 추출기는 상기 클럭의 라이징 에지구간 및 폴링 에지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서 상기 입력데이터를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extractor samples the input data in any one of a rising edge section and a falling edge section of the clock.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법은 주파수가 동일하고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클럭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클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클럭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럭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메인클럭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클럭에 따라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제 1 클럭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클럭을 공급받아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클럭보다 1클럭 지연된 제 2 클럭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t least two or more clocks having the same frequency and having different phases; Sampling input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locks; The generating of the clocks may include generating a main clock, generating a first clock using a D flip-flop according to the main clock, and receiving the first clock and using the D flip-flop. Generating a second clock delayed by one clock than one clock.
삭제delete
상기 클럭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클럭들의 개수는 상기 입력데이터의 주파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of clocks generated in the clock generation step may var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put data.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 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장치는 클럭신호(DCLK),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및 디지털 데이터(Data)를 공급받아 인에이블(Enable)에 의해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20)와, 타이밍 컨트롤러(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Data)를 저장하여 도시하지 않은 화상표시부에 전송하는 소스 구동드라이버(3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lock signal DCLK,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sync, Vsync, and digital data to provide various control signals by enabling the signal. And a
타이밍 컨트롤러(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DCLK)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와 소스 구동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타이밍 컨트롤러(20)는 게이트 구동드라이버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입력되는 클럭신호(DCLK)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에 응답하여 게이트 스타트펄스(GSP), 게이트 쉬프트클럭(GSC)신호 및 게이트 출력인에이블(GOE)신호를 게이트 구동 드라이버들에 전송하게 된다.The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0)는 클럭신호(DCLK)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에 응답하여 비디오데이터 구간임을 알리는 소스 스타트펄스(SSP)의 인에이블(Enable) 구간에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Data)를 소스 구동드라이버(32)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0)는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 소스 출력인에이블(SOE)신호 및 극성 제어신호(MPOL) 및 디지털 데이터(Data)를 소스 구동드라이버(32)로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은 클럭의 라이징 에지구간마다 디지털 데이터(Data)를 래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은 도 7에서와 같은 멀티 클럭발생기(40)에 의해 1클럭씩 지연되어 소스 구동드라이버(32)에 공급된다.The first to nth source sampling clocks SSC1 to SSCn serve to latch digital data at every rising edge section of the clock. To this end, the first to nth source sampling clocks SSC1 to SSCn are delayed by one clock by the
도 7을 참조하면, 멀티 클럭발생기(40)는 메인클럭(MCLK)을 발생하는 메인 클럭발생기(42)와, 메인클럭(MCLK)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을 발생하기 위한 n개의 D 플립플롭(DFF1 내지 DFFn)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the
메인 클럭발생기(42)는 메인클럭(MCLK)을 발생하여 n개의 D 플립플롭(DFF1 내지 DFFn)에 각각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n개의 D 플립플롭(DFF1 내지 DFFn)의 반전 입력단자들에는 메인 클럭발생기(42)로부터 메인클럭(MCLK)이 공급된다. The main clock MCLK is supplied from the
이러한, n개의 D 플립플롭(DFF1 내지 DFFn) 중 첫 번째 D 플립플롭(DFF1)은 출력단자(Q)와 데이터 입력단자(D1) 사이에 인버터(IVE)가 설치된다. 이 인버터(IVE)는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의 초기 상태를 라이징 에지상태로 출력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The first D flip-flop DFF1 among the n D flip-flops DFF1 to DFFn is provided with an inverter IVE between the output terminal Q and the data input terminal D1. The inverter IVE is provided to output the initial state of the first source sampling clock SSC1 to the rising edge state.
제 2 내지 제 n D 플립플롭(DFF2 내지 DFFn) 각각에는 메인클럭(MCLK)과 전단의 D 플립플롭들(DFF1 내지 DFFn-1)의 출력신호가 공급된다. 즉, 제 1 D 플립플롭(DFF1)의 출력신호인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은 제 2 D 플립플롭(DFF2)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2)의 출력신호는 제 3 D 플립플롭(DFF3)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Each of the second to nth D flip-flops DFF2 to DFFn is supplied with the output signals of the main clock MCLK and the D flip-flops DFF1 to DFFn-1. That is, the first source sampling clock SSC1, which i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D flip-flop DFF1, is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D flip-flop DFF2,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source sampling clock SSC2 is The input terminal of the third D flip-flop DFF3 is supplied.
이러한, 멀티 클럭발생기(40)는 우선 제 1 D 플립플롭(DFF1)의 출력단자(Q)를 로우상태라고 가정하면, 이 로우상태의 출력신호(SSC)가 인버터(IVE)를 통해 반전되어 데이터 입력단자(D1)에는 하이상태가 된다. 이 때, 메인클럭(MCLK)의 제 1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하이상태의 입력신호가 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상태의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이 출력된다. 이 하이상태의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이 인버터(IVE)를 통해 반전되어 데이터 입력단자(D1)에는 로우상태가 되어 메인클럭(MCLK)의 제 2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로우 상태의 입력신호가 출력단자(Q)를 통해 로우상태의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이 출력된다.When the
이와 같은, 제 1 D 플립플롭(DFF1)에 의해 발생된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은 제 2 D 플립플롭(DFF2)의 데이터 입력단자(D2)에 공급된다. 이 때, 제 2 D 플립플롭(DFF2)의 입력단자(D2)에는 하이상태의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이 지연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메인클럭(MCLK)이 제 1 라이징 에지구간 일때는 로우상태가 되어 메인클럭(MCLK)이 제 2 라이징 에지구간까지 로우상태의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2)을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source sampling clock SSC1 generated by the first D flip-flop DFF1 is suppli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D2 of the second D flip-flop DFF2.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ource sampling clock SSC1 in the high state is delayed and input to the input terminal D2 of the second D flip-flop DFF2, when the main clock MCLK is in the first rising edge section, it is in a low state. The main clock MCLK outputs the second source sampling clock SSC2 in a low state until the second rising edge section.
이 후,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2)은 메인클럭(MCLK)이 제 2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하이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2)은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보다 1클럭 지연되어 출력된다.Thereafter, the second source sampling clock SSC2 has the main clock MCLK changed to a high state in the second rising edge s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source sampling clock SSC2 is output by one clock delay from the first source sampling clock SSC1.
결과적으로, 멀티 클럭발생기(40)는 D 플립플롭들(DFF1 내지 DFFn-1)을 이용하여 도 8과 같이 1 클럭씩 순차적으로 지연되는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n)을 발생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이와 같이 멀티 클럭발생기(40)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러(20)는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 주파수의 라이징 에지 래치방식 또는 폴링 에지 래치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Data)를 샘플링하여 소스 구동드라이버(32)에 공급한다.As such, the
소스 구동드라이버(32)는 타이밍 컨트롤러(2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에 의해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Data)를 도시하지 않은 쉬프트 레지스터에 래치한 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버퍼를 통해 화상표시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멀티클럭을 동시에 구동하여 디지털 데이터(Data)를 래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9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latching digital data by simultaneously driving two multi-cl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데이터(Data)는 제 1 및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되어 소스 구동드라이버(32)의 도시하지 않은 쉬프트 레지스터에 래치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digital data Data is sampled at the rising edge 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ource sampling clocks SSC1 and SSC2 and latched in a shift register (not shown) of the
이를 상세히 하면, 디지털 데이터(Data)의 기수번째 데이터(D1, D3, D5 ,··,Dn-1)는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되어 래치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Data)의 우수번째 데이터(D2, D4, ··,Dn)는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2)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되어 래치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의 주파수는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보다 2배정도 느린 주파수를 갖는다.In detail, the odd-numbered data D1, D3, D5, ..., Dn-1 of the digital data Data are sampled and latched in the rising edge section of the first source sampling clock SSC1. Further, even-numbered data D2, D4, ..., Dn of the digital data Data are sampled and latched in the rising edge section of the second source sampling clock SSC2. At this time,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and second source sampling clocks SSC1 and SSC2 have a frequency that is about twice as slow a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data Data.
이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Data)를 제 1 및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하여 래치하게 된다. 이는 2개의 소스 샘플링클럭(SSC)을 동시에 구동하여 타이밍 마진(Timing Margin)을 높임으로써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가 빨라지더라도 저주파수의 소스 샘플링클럭(SSC)으로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다.As such, the digital data Data is sampled and latched in the rising edge 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ource sampling clocks SSC1 and SSC2. In this case, two source sampling clocks SSCs are simultaneously driven to increase timing margins, so that even if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data becomes faster, the source sampling clocks SSC may be sampled and latched.
타이밍 마진은 도 10과 같이 클럭신호(CLK)가 데이터(Data)를 정확하게 샘플링하기 위한 시간적인 여유를 나타내는 것으로, 클럭신호(CLK)의 하이상태(HIGH)인 구간과 로우상태(LOW)인 구간이 넓을수록 샘플링하여 래치하는 안정적인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이 데이터(Data)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제 1 및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타이밍 마진이 향상된다.The timing margin indicates a time margin for the clock signal CLK to accurately sample the data, as shown in FIG. 10. The timing margin is a period in which the clock signal CLK is in a high state and a low state in a low state. The wider it is, the more stable time it can sample and latch. Accordingly, the timing margin is improved by simultaneously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source sampling clocks SSC1 and SSC2, which are frequencies lower than the frequency of data,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데이터(Data)는 타이밍 컨트롤러(24)를 통해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로 나뉘어진 적색(Re, Ro), 녹색(Ge, Go) 및 청색(Be, Bo)의 데이터이다.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는 제 1 및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에 의해 샘플링되어 소스 구동드라이버(36)에 래치된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digital data is red (Re, Ro), green (Ge, Go) divided into odd data (ODD DATA) and even data (EVEN DATA) through the timing controller 24. ) And blue (Be, Bo) data. The odd data ODD DATA and the even data EVEN DATA are sampled by the first and second source sampling clocks SSC1 and SSC2 and latched in the
기수 번째 홀수 데이터(D1, D5, D9,ㆍㆍ) 및 짝수 데이터(D2, D6, D10,ㆍㆍ)는 제 1 소스 샘플링클럭(SSC1)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되어 소스 구동드라이버(36)에 래치된다. 우수 번째 홀수 데이터(D3, D7, D11,ㆍㆍ) 및 짝수 데이터(D4, D8, D12,ㆍㆍ)는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2)의 라이징 에지구간에서 샘플링되어 소스 구동드라이버(36)에 래치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소스 샘플링 클럭(SSC1, SSC2)의 주파수는 제 1 및 제 2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을 동시에 구동하기 때문에 홀수 데이터(ODD DATA) 및 짝수 데이터(EVEN DATA)의 주파수보다 반감된 주파수를 갖는다. Odd-numbered odd data D1, D5, D9, ..., and even data D2, D6, D10, ... are sampled in the rising edge section of the first source sampling clock SSC1 to be transmitted to the
이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가 빨라지더라도 2개의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을 동시에 구동하여 타이밍 마진을 높임으로써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보다 낮은 저주파수의 소스 샘플링클럭(SSC1, SSC2)으로 디지털 데이터(Data)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data becomes faster, the source sampling clocks SSC1 and SSC2 having a lower frequency than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data are increased by driving two source sampling clocks SSC1 and SSC2 simultaneously to increase the timing margin. Digital data can be sampled and latched.
타이밍 마진은 도 10과 같이 클럭신호(CLK)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샘플링하기 위한 시간적인 여유를 나타내는 것으로, 클럭신호(CLK)의 하이상태(HIGH)인 구간과 로우상태(LOW)인 구간이 넓을 수록 샘플링하여 래치하는 안정적인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이 데이터(Data)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멀티클럭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타이밍 마진이 향상된다.As shown in FIG. 10, the timing margin indicates a time margin for accurately sampling data by the clock signal CLK. The timing margin is high as the interval between the high state and the low state of the clock signal CLK increases. A stable time to sample and latch can be obtained. Accordingly, the timing margin is improved by simultaneously driving the multi-clock which is a frequency lower than the frequency of the data as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4)는 디지털 데이터(Data)의 주파수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 중에서 출력 개수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각각의 제 1 내지 제 n 소스 샘플링클럭(SSC1 내지 SSCn)은 멀티 클럭발생기(40)에서 순차적으로 지연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Data)가 빨라지더라도 낮은 주파수로 디지털 데이터(Data)를 샘플링하여 래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높은 주파수의 디지털 데이터(Data)를 낮은 주파수의 소스 샘플링클럭으로 샘플링하여 래치함으로써 높은 클럭주파수로 인한 전자기적 간섭(EMI)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igh frequency digital data may be sampled and latched by a low frequency source sampling clock to solv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blem due to the high clock frequenc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은 멀티클럭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래치함으로써, 높은 주파수를 갖는 데이터를 낮은 클럭주파수로 래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속 데이터신호에서의 클럭주파수가 빨라짐에 따른 전자기적 간섭(EMI) 문제 및 신호의 왜곡현상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latch the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at a low clock frequency by sampling and latching the digital data using a multi clock. Accordingl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blem and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due to the faster clock frequency in the high speed data signal are prevent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1728A KR100874644B1 (en) | 2001-10-08 | 2001-10-08 |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1728A KR100874644B1 (en) | 2001-10-08 | 2001-10-08 |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0085A KR20030030085A (en) | 2003-04-18 |
KR100874644B1 true KR100874644B1 (en) | 2008-12-17 |
Family
ID=2956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17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4644B1 (en) | 2001-10-08 | 2001-10-08 |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464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52132A (en) * | 1998-02-27 | 1999-09-17 | Yokogawa Electric Corp | Data transmission equipment |
KR19990071705A (en) * | 1995-11-30 | 1999-09-27 | 마이클 엘. 린치 | High speed data sampling system |
KR20000066922A (en) * | 1999-04-22 | 2000-11-15 | 이중구 | Memory control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high speed data |
KR20010076713A (en) * | 2000-01-27 | 2001-08-16 | 구자홍 | Clock generator |
-
2001
- 2001-10-08 KR KR1020010061728A patent/KR1008746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1705A (en) * | 1995-11-30 | 1999-09-27 | 마이클 엘. 린치 | High speed data sampling system |
JPH11252132A (en) * | 1998-02-27 | 1999-09-17 | Yokogawa Electric Corp | Data transmission equipment |
KR20000066922A (en) * | 1999-04-22 | 2000-11-15 | 이중구 | Memory control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high speed data |
KR20010076713A (en) * | 2000-01-27 | 2001-08-16 | 구자홍 | Clock gen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0085A (en) | 200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30036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3461783B2 (en) | Data relay device (DataInterfaceDevice) | |
US2004023960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4145375B2 (en) | Data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CN102314827A (en) | The driving circuit of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739140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 |
TW200303505A (en) |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data driver and gate driver | |
US10909906B2 (en) | Display device | |
KR101552983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JP3895897B2 (en) |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 |
KR100874644B1 (en) |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 |
KR100790984B1 (en) | A driving integrated circuit for a display and a system clock signal gene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system clock signal having a constant frequency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f the DO clock signal. | |
JP2001109437A (en) | Liquid crystal panel drive circuit, liquid crystal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 |
US4965566A (en) | Signal electrode drive circuit for image display apparatus operable under low frequency | |
KR10043323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 |
US6281869B1 (en) | Display device capable of enlarging and reducing video signal according to display unit | |
JPH11202834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998007174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0251550B1 (en) | High resolutio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 |
JPH1141299A (en) | Interface circuit | |
JP4239475B2 (en) | Scanning line converter | |
CN100435554C (en) | Phase recovery method and circuit for image signal processing with phase enhancement leading to weakening | |
JP2001337637A (en) | Display device driver system and display device | |
JPH0713522A (en) | Matrix display controller | |
JPH106925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0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