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4483B1 - 다용도 안전 펜스 - Google Patents

다용도 안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483B1
KR100874483B1 KR1020070062902A KR20070062902A KR100874483B1 KR 100874483 B1 KR100874483 B1 KR 100874483B1 KR 1020070062902 A KR1020070062902 A KR 1020070062902A KR 20070062902 A KR20070062902 A KR 20070062902A KR 100874483 B1 KR100874483 B1 KR 10087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support
safety fence
present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4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무단횡단 방지용 이외에도 유턴 금지용이나, 어린이 보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주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펜스부가 포멕스 원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파손이 되지 않고 복원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반사지를 이용함으로써 야간 시인성이 탁월한, 다용도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면에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블록과, 상기한 블록의 결합홀에 하부가 결합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2개의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를 서로 연결해줌과 동시에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펜스와, 상기한 지주와 펜스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전 펜스, 브라켓트, 블록, 지주, 고무, 결합홀, 포멕스 원단

Description

다용도 안전 펜스{multi-purpose safety fence}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블록 2 : 지주
3 : 펜스 4 : 브라켓트
이 발명은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무단횡단 방지용 이외에도 유턴 금지용이나, 어린이 보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주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펜스부가 포멕스 원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파손이 되지 않고 복원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반사지를 이용함으로써 야간 시인성이 탁월한, 다용도 안전 펜스에 관한 것이다.
무단횡단방지용 안전 펜스는 도로상에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이 종종 발생됨으 로써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곳의 도로중앙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도로횡단을 하지 못하도록 막아줌으로써 사고발생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무단횡단방지용 안전 펜스의 구성은, 하단이 지중에 매립되는 한쌍의 지주와, 상기 한쌍의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주 사이로의 보행을 차단할 수 있는 헨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안전 펜스는,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도로의 중앙부에 지주의 하부의 일부를 도로의 지중에 매립 고정시킴으로써 설치를 하게 된다.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안전 펜스에 관한 일예로서, 철제 파이프를 이용한 사각의 틀을 형성하기 위해 구부리거나 용접 또는 볼트 너트로 결합하여 사각틀을 이루고 이 틀을 세우기 위해 넘어짐 방지의 기초용 바닥은 떵에 콘크리트와 철심으로 혼합된 기초를 제적해서 땅에 고정시키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31089(공개일자 2005년 4월 1일)의 "무단횡단 방지 안전 펜스 제작방법"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번호 10-2005-0031089를 포함한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안전 펜스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무단횡단 방지용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안전 펜스는, 스틸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파손이 되고, 상대적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안전 펜스는, 상대적으로 야간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무단횡단 방지용 이외에도 유턴 금지용이나, 어린이 보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안전 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펜스부가 포멕스 원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파손이 되지 않으며 복원력이 우수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는, 다용도 안전 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반사지를 이용함으로써 야간 시인성이 탁월한, 다용도 안전 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면에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블록과, 상기한 블록의 결합홀에 하부가 결합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2개의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를 서로 연결해줌과 동시에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펜스와, 상기한 지주와 펜스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펜스는 포멕스 원단 재질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브라켓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펜스 및 브라켓트는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구성은, 상부면에 다수개의 결합홀(12)이 형성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블록(1)과, 상기한 블록(1)의 결합홀(12)에 하부가 결합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주(2)와, 2개의 지주(2)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2)를 서로 연결해줌과 동시에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펜스부(3)와, 상기한 지주(2)와 펜스(3)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주(2)는 고무재질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펜스부(3)는 포멕스 원단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쉽게 파손이 되지 않으며 복원력이 우수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됨으로써 야간 시인성이 향상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브라켓트(4)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도 반사지가 부착됨으로써 야간 시인성이 향상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펜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무단횡단 방지용, 유턴 금지용, 어린이 보호용으로서 안전 펜스를 설치하고 자하는 경우에, 다용도 안전 펜스를 조립하게 되는데, 미리 조립을 해놓을 수도 있다.
다용도 안전 펜스 조립을 위해서는, 먼저 블록(1)의 상부면(1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결합홀(12)에 원통형 지주(2)의 하부를 결합시킴으로써 블록(1)의 위에 지주(2)를 설치 고정한다. 다음에, 2개의 지주(2)의 사이에 펜스부(3)를 대고서 브라켓트(4)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다용도 안전 펜스를 설치위치에 갖다가 놓으면 설치가 완료되며, 필요에 따라 위치의 이동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다용도 안전 펜스는, 지주(2)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펜스부(3)는 포멕스 원단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파손이 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힘을 받게 되더라도 재질의 특성상 복원력이 우수하므로 원래의 형태로 쉽게 되돌아가게 되며, 상대적으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포멕스(foamex) 원단재질은 PVC 원액을 거품으로 발포시켜 고압으로 압착한 판재로서 나무와 플라스틱의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무라고도 한다. 상기한 포멕스(foamex) 원단재질은 상대적으로 가공이 매우 쉬워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가공하기가 쉽다.
또한, 펜스부(3) 및 브라켓트(4)의 표면에는 반사지가 부착됨으로써 밤에 빛의 반사가 잘 이루어지므로 야간 시인성이 탁월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무단횡단 방지용 이외에도 유턴 금지용이나, 어린이 보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주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펜스부가 포멕스 원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파손이 되지 않고 복원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브라켓과 반사지를 이용함으로써 야간 시인성이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상부면에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블록과, 상기한 블록의 결합홀에 하부가 결합되는 지주와, 2개의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를 서로 연결해줌과 동시에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펜스와, 상기한 지주와 펜스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펜스는 포멕스 원단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브라켓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펜스 및 브라켓트는 표면에 반사지가 부착됨으로써 야간 시인성을 높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 펜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62902A 2007-06-26 2007-06-26 다용도 안전 펜스 Expired - Fee Related KR10087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02A KR100874483B1 (ko) 2007-06-26 2007-06-26 다용도 안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02A KR100874483B1 (ko) 2007-06-26 2007-06-26 다용도 안전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483B1 true KR100874483B1 (ko) 2008-12-18

Family

ID=4037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9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4483B1 (ko) 2007-06-26 2007-06-26 다용도 안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4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645Y1 (ko) * 1997-10-01 2000-01-15 황용순 간이차선규제블록
KR200215915Y1 (ko) * 2000-09-26 2001-03-15 신도산업주식회사 차선 블록
KR200347826Y1 (ko) * 2003-12-31 2004-04-17 태 오 김 조명 기능을 가지는 휀스지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645Y1 (ko) * 1997-10-01 2000-01-15 황용순 간이차선규제블록
KR200215915Y1 (ko) * 2000-09-26 2001-03-15 신도산업주식회사 차선 블록
KR200347826Y1 (ko) * 2003-12-31 2004-04-17 태 오 김 조명 기능을 가지는 휀스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8998B1 (ko)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100874483B1 (ko) 다용도 안전 펜스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JP6285682B2 (ja) 防止柵
KR101609760B1 (ko) 경사지용 옹벽을 이용한 확장 인도 시공방법
KR102556392B1 (ko) 투명 방재벽 조립체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1050927B1 (ko) 도로분리대용 지주
KR101757260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9568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교량 구조물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1278589B1 (ko) 이동식 다목적 가교
KR101620592B1 (ko) 가드레일과 동물유도울타리 겸용 파워방형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70724B1 (ko) 매립형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도용 방호 울타리
KR102767867B1 (ko) 방호울타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758071B1 (ko) 전단 보강지주와 이를 이용해 설치되는 난간 및 울타리
KR101421031B1 (ko) 노측용 가드레일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KR102598297B1 (ko) 인도교를 이루는 각재 파이프와 각재 파이프의 하단 상에 배치되는 h 형강을 결합하는 부재 연결구
EP2894257B1 (en) Protection system for avoiding obstacles in roadside trenches
KR101276164B1 (ko) 개방형 낙석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