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4428B1 -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428B1
KR100874428B1 KR1020070045512A KR20070045512A KR100874428B1 KR 100874428 B1 KR100874428 B1 KR 100874428B1 KR 1020070045512 A KR1020070045512 A KR 1020070045512A KR 20070045512 A KR20070045512 A KR 20070045512A KR 100874428 B1 KR100874428 B1 KR 10087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optical waveguide
arm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668A (ko
Inventor
송민호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4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4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7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by using interferometr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interferome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1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with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being disposed at the same side of a fibre or waveguide end-face, e.g. reflect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Length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인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광섬유 센서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마하젠더 간섭계와 마이켈슨 간섭계의 효과를 동시에 얻는 하이브리드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마이켈슨 간섭신호를 내부트리거 신호로 이용하여 마하젠더 간섭신호의 샘플링을 수행하여, 샘플에서 감지된 물리량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의 위상 변화를 이용하여 물리량을 연산하는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신호만을 이용하여 모든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영향에 상관없이 정확히 위상차가 π/2 간격으로 샘플링이 가능해지고, 또한 외부트리거도 필요없어서 시스템크기가 작아지고 생산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광섬유센서, 하이브리드, 마이켈슨 간섭계, 마하젠더 간섭계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Fiber-optic sensor system using hybrid interferometer}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마이켈슨 간섭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제1섬유결합기 및 제2섬유결합기에서 광섬유의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위상변조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램프 신호에 의하여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간섭출력신호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적용하여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에 가해진 스트레인을 복조한 도면
본 발명은 스트레인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광섬유 센서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마하젠더 간섭계와 마이켈슨 간섭계의 효과를 동시에 얻는 하이브리드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스트레인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 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 등과 같이 외력 등에 따른 변형 여부가 중요한 경우, 스트레인의 측정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인의 측정을 위하여 종래에는 전기적 센서를 이용하였으나, 센서당 최소 두 가닥의 전선이 필요한데, 이 전선으로 인하여 구조물 자체의 강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전선이 갖는 자기가열효과로 인해 측정오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그 복잡성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광섬유에 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이 중 광섬유 간섭계 센서에서는 간섭계의 한쪽 팔에 온도, 스트레인, 압력과 같은 물리적 변화가 가해지면, 광경로차에 의한 간섭신호가 발생하게 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광경로차에 의해 변조된 위상 변화를 추출하면, 센서에 가해진 물리량을 복조 할 수 있다.
그러나, 광섬유 간섭계의 출력신호는 사인형태여서, 광경로차에 의한 위상 변화량을 바로 추출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분광 분석기를 이용하면 간단히 출력신호를 분석할 수 있지만, 장비가 너무 고가이고 응답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실제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직교신호처리(quadrature signal processing)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직교신호처리방법은 위상이 π/2되는 지점을 정확히 찾으면, 아크탄젠트 복 조(arctangent demodulation), 크로스 멀티플라이법 및 페이즈 언랩핑(phase unwrapping) 방법 등 종래에 수행되는 방법에 의하여 위상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방법인데, 이 방법에서는 위상이 정확히 π/2 간격으로 샘플링을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직교신호처리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위상이 π/2되는 지점을 정확히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가 진행중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마하젠더 간섭계와 마이켈슨 간섭계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하여 광섬유 센서를 이용하여 직교신호처리방법으로 정확한 위상을 찾아서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광결합부와 제2광결합부가,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제1섬유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제1암부와, 제3광도파로와 제4광도파로가,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제2섬유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광도파로에는 소정의 위상변조를 위한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위상변조를 수행하는 제1위상변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4광도파로에는 물리량 측정을 위한 센서에 연결되어 센서에 가해진 물리량에 따라 따라 위상변조를 수행하는 제2위상변조부를 구비한 제2암부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간섭계부; 상기 제1광결합부에 소정의 광신호를 출력하는 광원부; 상기 제1광결합부를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1암부의 상기 제1섬유결합부에서 반사된 신호 및 상기 제2암부의 제2섬유결합부에서 반사된 신호가 상기 제1광결합부에서 결합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광검출부; 상기 제1광결합부를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1암부 및 상기 제2암부를 거쳐 상기 제2광결합부에서 결합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2광검출부; 및 상기 제1광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에서 제로크로싱이 일어나는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2광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에서 샘플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2위상변조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위상 변화를 이용하여 물리량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암부는 특정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편광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위상변조부는 막대형 압전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광도파로, 상기 제2광도파로, 상기 제3광도파로 및 상기 제4광도파로는 광섬유, 폴리머, 리튬나오베이트 또는 리튬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는 종래의 마하젠더 간섭계에 마이켈슨 간섭 효과가 나도록 구성을 하여, 마이켈슨 간섭계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이용하여 샘플링 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는 제1광결합기(111)와 제2광결합기(112) 사이에 광도파로를 형성한 제1암(121)과 위상변조를 하기 위한 제1위상변조부(171) 및 제2위상변조부(172)를 구비하고, 역시 광도파로를 형성한 제2암(122)을 구비하여 마하젠더 간섭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제1암(111)과 제2암(112)은 각각 제1섬유결합기(Fiber Connector)(141)와 제2섬유결합기(142)에 의해 제1암 및 제2암을 구성하는 광섬유가 결합되어서 마이켈슨 간섭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광도파로는 광섬유, 폴리머, 리튬나오베이트 또는 리튬탄탈레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섬유가 광도파로를 구성하는 대표물질로 전제하고 설명한다.
참고로, 마하젠더 간섭계는 입사된 광신호를 2개의 암으로 분배하하고 다시 이 신호를 결합하여, 각각의 암의 광경로의 길이 차에 의해 발생된 간섭현상을 이용하는 시스템이고, 마이켈슨 간섭계는 입사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킨 후 다시 합쳐서 반사된 광의 경로 길이와 투과된 광의 경로 길이의 차이로 인한 간섭현상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도 2는 마이켈슨 간섭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제1섬유결합기 및 제2섬유결합기에서 광도파로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암과 제2암은 클래딩층과 코어층으로 구성되는 제1광섬유(181) 및 제2광섬유(182)로 결합이 되며, 제1광섬유 및 제2광섬유는 사이 에 간극(d)이 존재하도록 느슨하게 결합되게 하여 후방반사(Back reflection)를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간극으로 인하여 광신호가 굴절률 n1을 가지는 광섬유와 굴절률 n2를 가지는 간극을 통과할 때 일부의 신호는 간극을 투과하여 제2광섬유(182)로 전달이 되지만, 일부 신호는 간극에서 반사되어 다시 제1광섬유(181)를 통하여 역으로 전달이 된다.
제1섬유결합기 및 제2섬유결합기에서 생성된 간극은 투과된 신호와 반사된 신호가 제1광검출기(131) 및 제2광검출기(13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정도의 세기를 가질 수만 있다면 그 간격에 큰 제한이 없다.
한편, 제1위상변조부(171)는 제2암(122)의 광경로의 길이를 조정하는 장치이면 되며, 대표적인 것으로 원통형 압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원통형 압전소자에 전기 신호를 가하면 가해진 전기신호의 세기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그 주위를 따라 형성된 광경로의 길이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가 위상변조되게 된다.
제2위상변조부(172)는 스트레인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에 부착되는 소자로 온도, 스트레인, 압력과 같은 물리적 변화가 가해지는 경우 그 부피가 변화함으로 인해 광경로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소자이기만 하면 된다.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것을 예로 들면, 제2위상변조부(172)를 제2암(122)의 광섬유를 금속으로 된 막대형 압전소자 변조기에 에폭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사된 광(101)은 방향성 광결합기인 제1광결합기(111)를 통하여 하이브리드간섭계의 제1암(121)과 제2암(122)에 전송된다.
제1암(121)에 입사된 광은 제1섬유결합기(141)에서 일부는 반사되고 다른 일부는 투과가 되며, 제1섬유결합기(141)에서 반사된 광은 다시 제1광결합기(111)에서, 제2암(122)의 제2섬유결합기(142)로부터 반사된 광과 함께 제1광검출기(131)에 의해 검출이 된다.
제2암(122)에 입사된 광은 제1위상변조부(171)에 의해 위상이 변조되고, 제2섬유결합기(142)에서 일부는 반사되고 다른 일부는 투과가 되며, 제2섬유결합기(142)에서 반사된 광은 다시 제1광결합기(111)에서 제1암(121)의 제1섬유결합기(141)로부터 반사된 광과 함께 제1광검출기(131)에 의해 검출이 된다.
한편, 제2섬유결합기(142)를 투과한 광은 센서와 연결된 제2위상변조부(172)에 의해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에 따라 다시 위상이 변조된 후 제2광결합기(112)에서 제1섬유결합기(141)를 투과한 광과 함께 제2광검출기(132)에 의해 검출이 된다.
이렇게 제1위상변조부(17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램프 신호(c)에 의하여 광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간섭출력신호의 일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a는 마하젠더 간섭계에 의해 제2광검출기(132)에 의해 검출된 간섭신호이며, b는 제1광검출기(131)에서 검출된 마이켈슨 간섭신호이다.
마이켈슨 간섭효과에 의한 위상신호가 4π의 주기를 생성하도록 25 Hz의 톱 니파를 제1위상변조부(171)기에 인가하면, 제1광검출기(131)에 검출된 신호(b)는 4π 위상변조에 의하여 주기적인 사인파를 형성하며, 각 π주기가 마하젠더 간섭계의 간섭을 일으키는 광신호(a)의 π/2위상주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AC 커플링된 제1광검출기(131) 출력(b)의 영점에서 제2광검출기(132) 출력신호(a)의 정확하게 π/2 위상차를 가지는 데이터를 취득 할 수 있고, 연산을 통하여, 스트레인에 의한 위상변화량을 추출 할 수 있다.
이렇게 위상이 π/2 간격의 점들의 값이 정확히 측정이 되면 사인 곡선과 코사인 곡선의 특성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고, 종래의 아크탄젠트 복조(arctangent demodulation) 및 페이즈 언랩핑(phase unwrapping) 방법 등의 복조 방법에 따라서 위상의 변화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트레인 등의 물리량의 변화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제1광검출기(131) 및 제2광검출기(132)에서 검출된 신호는 제로크로싱탐지부(150) 및 직교샘플링부(160)를 통하여 샘플링되게 된다.
제로크로싱탐지부(150)에서는 제1광검출기(131)에 검출된 신호(b)를 기준으로 하여 제로크로싱이 일어나는 점을 탐지하여 그 지점에서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직교샘플링부(160)는 이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여 제로크로싱이 일어난 지점에서 제2광검출기(132)에서 검출된 신호(a)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한다. 특정 신호에서 제로크로싱이 발생하는 지점을 찾아내는 기술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적용하여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는 제1광결합기(211)와 제2광결합기(212)사이에 제1암(221) 및 제2암(222)이 연결되어 광원(201)로부터 제1광결합기(211)에 입사된 광신호를 제2광결합기(212)를 통하여 마하젠더 간섭 신호를 출력하고, 제1광결합기(211)를 통하여 마이켈슨 간섭신호를 출력하여 마이켈슨 간섭신호를 내부 트리거 신호로 이용하여 마하젠더 간섭신호를 복조함으로써 물리량을 측정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여기서 광원(201)은 소정의 광을 출력하는 구성요소로 BBS(Broad Band Source), SLD(Super Luminescent Diode), ASE(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광원, 파장가변레이저광원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유사한 특성을 가진 여러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암(221)은 제1광도파로(221-1)와 제2광도파로(221-2)과 제1섬유결합기(241)에 의해 제1광도파로(221-1)와 제2광도파로(221-2)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느슨하게 결합되고, 제2암(222)은 제3광도파로(222-1)와 제4광도파로(222-2)가 제2섬유결합기(242)에 의해 제3광도파로(222-1)와 제4광도파로(222-2)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느슨하게 결합되어 마이켈슨 간섭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제2암(222)의 제3광도파로(222-1)는 구동신호에 따라 광경로의 길이를 변동시켜서 위상이 변하게 하기 위한 제1위상변조부(271)가 구비되며, 제4광도파로(222-2)는 센서에 연결되어 압력, 온도, 진동, 전류 값에 따라 광경로의 길이를 변동시키는 제2위상변조부(272)가 구비된다.
편광제어부(290)는 제1암(221)을 경유하는 빛의 편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 특정 편광만을 통과시킴으로써 검출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제2광검출기(232)는 광원(201)으로부터 제1광결합기(211)를 통하여 입사된 신호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통과하면서 발생되어 제2광결합기(212)를 통하여 출력된는 마하젠더 간섭신호를 검출한다.
제1광검출기(231)는 광원(201)으로부터 제1광결합기(211)를 통하여 입사된 신호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의 제1섬유결합기(241) 및 제2섬유결합기(242)에서 반사되어 다시 제1광결합기(211)를 통하여 출력되는 마이켈슨 간섭신호를 검출한다.
로우패스필터(281, 282)는 제1광검출기(231) 및 제2광검출기(232)에서 검출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산부(27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광검출기(232)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로크로싱이 일어나는 점을 탐지하여 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π/2 간격으로 제1광검출기(231)에서 검출된 신호의 샘플링을 수행하고, 아크탄젠트 복조, 페이즈 언랩핑과 같은 종래의 직교신호처리에서 사용되는 복조 방법에 따라 센서격자부(290)에서 반사된 신호의 위상변화에 따라 센서격자부(290)에 가해진 스트레인을 연산하게 된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간략하게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원(201)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1광결합기(211)를 통하여 제1암(221) 및 제2암(222)으로 분배된다.
제2암(222)의 제3광도파로(222-1)로 입사된 신호는 구동신호(271-1)에 의해 위상변조를 시키는 제1위상변조부(271)에 의해 위상이 1차 변조되고, 1차 변조된 신호는 제2섬유결합기(242)에서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가 된다.
제4광도파로(222-2)로 입사된 신호는 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된 물리량에 따라 광경로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2위상변조부(272)에 의해 위상이 2차 변조되게 된다.
한편, 제1암(221)의 제1광도파로(221-1)에 입사된 신호는 제1섬유결합기(241)에서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가 되며, 제2광도파로(221-2)로 투과된 신호는 편광제어부(290)에서 특정 편광을 제외한 나머지 노이즈 신호가 제거된 상태로 제2광결합기(212)에서 제4광도파로(222-2)를 통하여 입력되는 2차 변조된 신호와 결합된 마하젠더 간섭신호가 되어 제2광검출기(232)에서 검출된다.
한편, 제2섬유결합기(242)에서 반사된 신호는 다시 제1위상변조부(271)에 의해 위상이 변조되고 제1광결합기(211)에서 제1섬유결합기(241)에서 반사된 신호와 결합된 마이켈슨 간섭신호가 되어 제1광검출기(231)에서 검출된다.
제1광검출기(231) 및 제2광검출기(232)에서 검출된 신호는 연산부(270)에서 연산되며, 제1광검출기(231)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로크로싱이 일어나는 점을 탐지하여 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π/2 간격으로 제2광검출기(232)에서 검출된 신호의 샘플링을 수행하고, 아크탄젠트 복조, 페이즈 언랩핑과 같은 종래의 직 교신호처리에서 사용되는 복조 방법에 따라 센서와 연결된 제2위상변조부(272)에 의한 신호의 위상변화에 따라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리량을 연산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에 가해진 스트레인을 복조한 도면이다.
도 5를 측정하기 위해서 광원으로는 중심파장을 1550nm로 고정한 파장가변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센서에 부착된 막대형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한 제2위상변조부(272)에 10Hz(10Vp-p)의 다양한 형태의 변조신호를 가하고, 제1위상변조부(271)에는 1kHz의 사인파를 인가하여, 한 주기에, 800 샘플을 얻어서 센서에 가해진 스트레인을 복조하였다.
종래의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서 주로 이용되는 직교신호처리방법에서는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 외에 π/2 위상차를 찾아내기 위한 별개의 신호를 이용하였고, 이를 위하여 별개의 외부 트리거를 두어야 하였고, 이 경우 두 신호간의 상대적인 진폭, 위상차 등이 외부의 강도-편광 섭동(intensity-polarization perturbations), 입력파장의 편차(variation), 광검출기나 전지기기 등에 쉽게 영향을 받았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이득 또는 위상의 조정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신호만을 이용하여 모든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영향에 상관없이 정확히 위상차가 π/2 간격으로 샘플링이 가능해지고, 또한 외부트리거도 필요없어서 시스템크기 가 작아지고 생산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상변조부의 비선형적 동작 특성이나, 위상변조신호의 형태에 상관없이 다른 추가적인 처리가 없어도 정확히 π/2 간격으로 샘플링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제1광결합부와 제2광결합부가,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제1섬유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제1암부와, 제3광도파로와 제4광도파로가,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제2섬유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광도파로에는 소정의 위상변조를 위한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위상변조를 수행하는 제1위상변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4광도파로에는 물리량 측정을 위한 센서에 연결되어 센서에 가해진 물리량에 따라 따라 위상변조를 수행하는 제2위상변조부를 구비한 제2암부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간섭계부;
    상기 제1광결합부에 소정의 광신호를 출력하는 광원부;
    상기 제1광결합부를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1암부의 상기 제1섬유결합부에서 반사된 신호 및 상기 제2암부의 제2섬유결합부에서 반사된 신호가 상기 제1광결합부에서 결합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광검출부;
    상기 제1광결합부를 통해 입사되어 상기 제1암부 및 상기 제2암부를 거쳐 상기 제2광결합부에서 결합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2광검출부; 및
    상기 제1광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에서 제로크로싱이 일어나는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제2광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에서 샘플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2위상변조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위상 변화를 이용하여 물리량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는 특정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편광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상변조부는 막대형 압전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도파로, 상기 제2광도파로, 상기 제3광도파로 및 상기 제4광도파로는 광섬유, 폴리머, 리튬나오베이트 또는 리튬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KR1020070045512A 2007-05-10 2007-05-10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7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12A KR100874428B1 (ko) 2007-05-10 2007-05-10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512A KR100874428B1 (ko) 2007-05-10 2007-05-10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68A KR20080099668A (ko) 2008-11-13
KR100874428B1 true KR100874428B1 (ko) 2008-12-16

Family

ID=4028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5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4428B1 (ko) 2007-05-10 2007-05-10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87B1 (ko) 2008-05-13 2010-09-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더블 패스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25B1 (ko) * 2013-06-27 2014-09-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 파이버를 이용한 센서 장치
CN109343173B (zh) * 2018-12-06 2023-08-25 安徽问天量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波导集成的干涉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9476A1 (en) 2004-11-23 2006-05-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essel beam interferometer and measur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9476A1 (en) 2004-11-23 2006-05-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essel beam interferometer and measurement metho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optical society of korea vol. 6, no. 4, 1995.12 p365~372
한국광학회지 vol.12, no. 4, 2001.8, p300~304
한국광학회지 vol.18, no. 2, 2007.4, p105~1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87B1 (ko) 2008-05-13 2010-09-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더블 패스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68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8523B2 (en)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iber optic faults
CN100437050C (zh) 分布式光纤振动传感器
CN102636217B (zh) 布里渊光时域分析和马赫曾德尔干涉共同检测的传感装置
CN102607621A (zh) 同时检测温度和应变的分布式光纤布里渊传感装置和方法
CN106949850B (zh) 一种高灵敏度高精度的光纤形状传感测量方法及系统
CN103090813B (zh) 一种基于ofdr系统测量保偏光纤拍长及应变的高分辨率传感系统
CN102564564A (zh) 一种基于非平衡迈克尔逊光纤干涉仪的非接触微振动测量系统
EP3066423B1 (en) Single-end brillouin optical distributed sensing device and method
KR100982487B1 (ko) 더블 패스 마하젠더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US20090290147A1 (en) Dynamic polarization based fiber optic sensor
CN101458101A (zh) 一种基于3×3耦合器的波长扫描白光干涉测量方法
CN105953825A (zh) 用于温度与应变同时测量的光纤光栅式传感系统及方法
Wu et al. Fiber sensor based on interferometer and Bragg grating for multiparameter detection
KR20190006659A (ko) 브릴루앙 산란을 이용한 형상 센싱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2401666A (zh) 一种光纤光栅反射波长的解调方法和装置
KR101310783B1 (ko) 브릴루앙 이득 및 손실 동시 측정을 이용한 분포형 광섬유 센서 및 센싱 방법
CN108760021A (zh) 基于双折射晶体的光纤法珀声振动传感装置及解调方法
KR100810145B1 (ko) 더블패스 마하젠더 간섭계와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스트레인 측정시스템
KR100874428B1 (ko) 하이브리드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
CN101526376A (zh) 偏振光纤传感器
CN103759924B (zh) 光纤干涉仪多参数的综合测量系统
CN107314823B (zh) 干涉型光纤传感器的相位测量方法及装置
CN104215319A (zh) 可调节动态范围的微分干涉仪及测量方法
CN110186500B (zh) 一种采用绝对法的非平衡光纤干涉仪臂长差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9004983A (zh) 一种基于相位到强度调制转换原理的精确传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