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455B1 - Cleaning device for waste container separation part of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for waste container separation part of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2455B1 KR100872455B1 KR1020070045920A KR20070045920A KR100872455B1 KR 100872455 B1 KR100872455 B1 KR 100872455B1 KR 1020070045920 A KR1020070045920 A KR 1020070045920A KR 20070045920 A KR20070045920 A KR 20070045920A KR 100872455 B1 KR100872455 B1 KR 1008724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unit
- patient
- cap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배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과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관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일측에는 오물관에 끼워 결합되고, 타측은 오물통의 오물유입구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분리시에는 이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관내부에 잔류하는 액상의 오물이 모아져 고이도록 하는 오물저류부가 내측면에 형성하도록 하여 분리작업시 오물찌꺼기가 외부로 흘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을 청결하게 분리 결합시키도록 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분리부 청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member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waste container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excrement of the automatic waste treatment device and the waste pipe for collecting waste, one side is fitted into the waste pipe, the other side is detachable to the waste inlet coupling groove of the wast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be combined and slides in the direction of relaxation when separating, so that the liquid waste remaining in the tube is collected and accumulated so that the waste reservoi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o that the waste does not flow to the outside during sepa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ail separator cleaning device of an automatic treatment device for feces to separate and separate a waste pail of a treatment device.
오물통, 오물통캡, 연결부재, 오물저류부, 슬라이더, 오물흘림방지캡 Cistern, Cistern cap, Connecting member, Cistern reservoir, Slider, Spill prevention cap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배설물수거부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상태 확대단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ion state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는 연결부재와 오물통캡과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a) shows the combined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waste cap,
b)는 연결부재와 오물통캡을 서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임.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waste cap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5는 환자배설물자동처리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인 계통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system.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10: 배설물수거부 20: 기저귀부10: excrement collection 20: diaper
30: 흡입부 40: 악취제거부30: suction part 40: odor removing part
50: 세척수공급부 60: 밸브장치부50: washing water supply unit 60: valve unit
100: 오물통 200: 오물통캡100: waste container 200: waste container cap
210: 오물유입구 211: 결합홈210: dirt inlet 211: coupling groove
220: 배기구 300: 연결부재220: exhaust port 300: connecting member
310: 오물저류부 320: 연결바렐310: dirt storage 320: connection barrel
330: 연장부 331: 플랜지330: extension portion 331: flange
332: 이탈방지턱 333: 패킹332: dropping jaw 333: packing
340: 슬라이더 341: 걸림턱340: slider 341: jamming jaw
350: 오물흘림방지캡 351: 흘림방지벽350: spill prevention cap 351: spill prevention wall
352: 통공 353: 밀폐주름부352: through hole 353: airtight wrinkles
360: 압축코일스프링 400: 오물관360: compressed coil spring 400: dirt pipe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체적 결함에 의해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 등의 배설물을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자동처리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을 청결하게 분리 결합시키도록 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분리부 청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eatment device for feces, more specifically, to clean and easily automatic treatment of feces, such as patients who can not process the feces by themselves due to physical impairment to clean and easily hygienic manag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ail separator cleaning device of an automatic patient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mbining a waste container of an automatic patient waste treatment apparatus.
신체적 결함으로 인하여 혼자서 용변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 이들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다.Patients who are unable to treat stool alone due to physical defects need the help of a caregiver or caregiver to process their feces.
그러나 이와 같은 간병작업은 환자나 보호자에게 엄청난 스트레스와 번거로움을 주며, 환자의 경우 부끄러움은 감수하더라도 침구 등을 더럽힐 것에 대한 불 안감이 항상 존재하여 편안함을 유지할 수 없으며, 특히 간병인이 없을 경우 용변을 원하는 시간에 편안하게 볼 수 없는 문제점으로 육체적 고통은 상상을 초월하게 심하다.However, such caring work can cause tremendous stress and hassle to the patient or caregiver, and the patient may not feel comfortable because of the unstable feeling of fouling of bedding, even if they are embarrassed, especially when there is no caregiver. Physical pain is beyond imagination because of problems that cannot be seen comfortably at the desired time.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7-34978호(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proposed a patent application No. 2007-34978 (patient excretion automatic processing device).
상기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것으로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 건조노즐과 대변감지센서 및 소변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저면부에는 배설물을 진공압에 의해 수거하도록 오물관이 연결되는 오물배출구가 구비된 기저귀부(20)와; 상기 기저귀부에 연결된 오물관과 하기 진공탱크에 연결된 흡기관A가 각각 상측의 개폐 가능한 뚜껑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물관을 통하여 흡입된 배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며, 일측부에는 오물 수거량을 감지하도록 수거량감지센서가 구비된 밀폐용기형 배설물수거부(10)와; 상기 배설물수거부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진공탱크와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흡입부(30)와; 상기 흡입부의 진공탱크와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도록 다단계의 필터A, 필터B, 필터C를 구비한 악취제거부(40)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탱크와 상기 세척수탱크로 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저장하는 온수통과 상기 온수통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기저귀부의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에 공급하도록 급수관로에 연결된 워터펌프를 구비한 세척수공급부(50)와; 상기 기저귀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 기의 공급을 제어하고, 진공탱크와 진공펌프의 연결관로를 제어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된 밸브장치부(60) 및; 상기 각 센서로 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밸브장치부 및 세척수공급부의 워터펌프, 히터 등을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The automatic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is a bidet nozzle, washing nozzle, butt washing nozzle, stool crushing nozzle, dry nozzle and stool detection sensor and urine detection sensor to be worn on the patient's body as shown in FIG. A
이와 같은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사용중에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을 수시로 비워주어야만 하는데 이때 오물통과 오물관의 분리함에 있어서 매우 주의를 요한다.Such automatic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apparatus should empty the waste container of the
즉, 오물통의 오물을 비우기 위해 오물통과 오물관의 결합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결합부의 관내부에 잔류해 있던 오물이 바닥에 떨어져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waste container and the waste pipe in order to empty the waste of the waste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that dirt remaining in the inn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fell on the floor and contaminated.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물통과 오물관의 연결부위에 잔류한 오물을 분리작업시에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고 보다 깔끔하고 청결하게 오물통의 비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분리부 청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all on the floor even when separating work remaining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aste container and the waste pipe so as not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so as to clean and clean the waste cont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 pail separator cleaning device of the automatic treatment of patient was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와; 상기 기저귀부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도록 하는 밀폐용기형 배설물수 거부와; 상기 배설물수거부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흡입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기저귀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부 및;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수거부는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과; 상기 오물통의 상측 입구를 밀폐하며 오물관을 통하여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구와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오물통캡과; 상기 오물통캡의 오물유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기저귀부로 부터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관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 diaper part worn on the patient's body to receive a stoo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tight container-type excrement re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diaper unit to collect dirt; A suction unit configured to apply suction to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so that the excrement can be collected; Odor removal unit for removing odor in the air discharged during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suction unit; A washing water supply unit for washing the body of the patient after stool; A valve unit for controlling supply of washing water and dry air supplied to the diaper unit; An automatic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each device, wherein the excrement collecting unit comprises: a waste passage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waste; A dirt cap cap sealing an upper inlet of the dirt container and having a dirt inlet through which a dirt flows in through a dirt pipe and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internal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waste inlet of the waste cap cap and connected from the diaper part to detachably connect the waste pipe to collect the was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는 오물관에 끼워 결합되고, 타측은 오물통의 오물유입구 결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분리시에는 이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관내부에 잔류하는 오물이 모아져 고이도록 하는 오물저류부가 내측면에 형성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wage pipe,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wage inlet coupling groove of the sewage container, and when separated, the sewage remaining in the inner tube is collected while sliding in a relaxed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t storage portion to be formed on the inner si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오물관의 선단부에 끼워결합되는 연결바렐과; 상기 연결바렐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플랜지와 이탈방지턱을 갖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압축/이완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오물흘림방지캡;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플랜지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barrel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waste pipe; An extension part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barrel and having a flange and a separation prevention jaw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lider slid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to compress / relax; Spill prevention cap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and supported by a flange to exert an elastic force outwardly with respect to the slid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이탈방지턱에는 슬라이더와의 틈으로 오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기밀성을 갖는 패킹이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of the extens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is installed with airtightness so that dirt does not flow into the gap with the slid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오물흘림방지캡은 선단부 내측으로 일정규격의 흘림방지벽을 형성하며, 중앙부는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부에는 상기 오물유입구의 결합홈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밀폐주름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h prevention cap of the connection member forms a bleeding prevention wall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tip end portion, and a central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reof has a closed wrinkle portion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filth inlet. Characterized in havin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배설물수거부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상태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xcrement coll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ion state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있어 배설물수거부(10)는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100)과 상기 오물통(100)의 상측 입구를 밀폐하는 오물통캡(200)과 상기 오물통캡(200)의 오물유입구(210)와 오물관(40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In the patient excrement automatic treatment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상기 오물통캡(200)은 상기 오물통(100)의 상측 입구를 밀폐하며 오물관(400)을 통하여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구(210)와 오물통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흡입부(30)과 연결되는 배기구(220)를 구비하고 있다.The
상기 연결부재(300)의 일측에는 오물관(400)에 끼워 결합되고, 타측은 오물통(100)의 오물유입구 결합홈(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side of the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오물통캡(200)의 오물유입구(210)에 결합되어 상기 기저귀부(20)로 부터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관(400)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바렐(320)과 연장부(330)와 슬라이더(340)와 오물흘림방지캡(350) 및 압축코일스프링(36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상기 연결바렐(320)은 오물관(400)의 선단부에 끼워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바렐(320)의 선단부에는 연장부(330)가 결합된다.The
상기 연장부(33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331)와 이탈방지턱(3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330)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가능하여 압축/이완되는 슬라이더(340)가 결합되어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슬라이더(340)의 선단부에는 오물흘림방지캡(350)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더(340)가 슬라이드작용을 하면서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물저류부(3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tip portion of the
또한 압축코일스프링(360)은 상기 연장부(33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플랜지(331)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340)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오물통캡(200)으로 부터 분리시에는 이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관내부에 잔류하는 오물이 모아져 고이도록 하는 오물저류부(310)가 내측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연장부(330)의 이탈방지턱(332)에는 슬라이더(340)와의 틈으로 오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기밀성을 갖는 패킹(333)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의 오물흘림방지캡(350)은 선단부 내측으로 일정규격의 흘림방지벽(351)을 형성하며, 중앙부는 통공(352)이 형성되어 오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며, 분리시에는 상기 흘림방지벽(351)에 의해 오물이 고일 수 있는 오물저류부(3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오물흘림방지캡(350)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오물유입구(210)의 결합홈(211)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밀폐주름부(353)가 구비되어 오물통캡(200)의 결합홈(211)에 기밀성을 갖게 결합되도록 한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20)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도록 하는 배설물수거부(10)의 밀폐용기(100)ㅇ에 배설물이 일정수위 이상 채워졌을 경우 이를 비우기 위해서는 오물관(4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분리시켜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연결부재와 오물통캡과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압축코일스프링(360)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더(340)이 후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있는 상태이고, b)는 연결부재와 오물통캡을 서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축코일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40)가 이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오물저류부(310)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waste cap cap, the
따라서, 오물통(100)을 비우기 위해 오물이 흐르던 오물관(400)을 분리하였을 경우 오물관(400)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소량의 액상 오물찌꺼기가 상기 오물저류부(310) 부분에 고이게 되므로 외부로 흘러 나오지 않게 되어 보다 청결하게 환 자용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줌으로써 환자가 보호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시간의 구애를 받지않고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여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최소화하여 환자요양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매우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treat the patient's inconvenient behavior to help the patient care by minimizing mental and physical pain by excretion of urine or faeces without the care of time without the help of the caregiver It is a very useful technology that can be used without polluting the surroundings so that the automatic treatment of feces very hygienic.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920A KR100872455B1 (en) | 2007-05-11 | 2007-05-11 | Cleaning device for waste container separation part of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920A KR100872455B1 (en) | 2007-05-11 | 2007-05-11 | Cleaning device for waste container separation part of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9968A KR20080099968A (en) | 2008-11-14 |
KR100872455B1 true KR100872455B1 (en) | 2008-12-08 |
Family
ID=4028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5920A KR100872455B1 (en) | 2007-05-11 | 2007-05-11 | Cleaning device for waste container separation part of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245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07508A (en) * | 2021-02-08 | 2021-05-18 | 深圳作为科技有限公司 | Sewage bucket of nursing robo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9844Y1 (en) | 1997-04-14 | 1999-06-15 | 허정민 | Automatic urine discharge device |
JP2000185068A (en) * | 1998-12-24 | 2000-07-04 | Hokuto Engineering:Kk | Urine disposal device |
KR20020082985A (en) * | 2001-04-24 | 2002-11-01 | 이재당 | Automatic human excreta and cleaning machinery |
US6585709B2 (en) | 2000-06-12 | 2003-07-01 | Baltic Trader Limi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care and cleaning |
-
2007
- 2007-05-11 KR KR1020070045920A patent/KR10087245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9844Y1 (en) | 1997-04-14 | 1999-06-15 | 허정민 | Automatic urine discharge device |
JP2000185068A (en) * | 1998-12-24 | 2000-07-04 | Hokuto Engineering:Kk | Urine disposal device |
US6585709B2 (en) | 2000-06-12 | 2003-07-01 | Baltic Trader Limi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care and cleaning |
KR20020082985A (en) * | 2001-04-24 | 2002-11-01 | 이재당 | Automatic human excreta and cleaning machin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9968A (en) | 2008-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2458B1 (en) | Patient feces automatic processing device | |
JP2016523170A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WO2009015542A1 (en) | Automatic device for nursing patient | |
CN10526804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and containment of human waste excretion | |
KR100893733B1 (en) | Patient excretion automatic processing device with safety device | |
KR101947797B1 (en) | Automatic defecation disposal equipment | |
KR100872455B1 (en) | Cleaning device for waste container separation part of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 |
JP2002165821A (en) | Excreta disposer | |
KR100882810B1 (en) | Cistern tubing electrical connection of automatic patient excretion system | |
KR100882811B1 (en) | Cistern tubing connections for automatic patient excretion | |
JP2008237420A (en) | Automatic excrement disposal device | |
KR20140133309A (en) | Sewage tank for Automatic Toileting Aid Appatus | |
KR100963234B1 (en) | Retaining device for waste pail in patient dropping | |
JP7031865B2 (en) | Excrement cleaning device | |
KR100880608B1 (en) | Washing water supply device of automatic patient waste treatment | |
KR100963244B1 (en) | Detergent container container for automatic patient dropping | |
JP2018515316A (en) |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KR20090115825A (en) | Waste container of automatic patient excretion processing device with prevention part | |
KR100882812B1 (en) | Levered wastewater pipe connection of automatic patient excretion system | |
KR20110101681A (en) | Suction device for patient waste treatment | |
KR20150142383A (en) |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of toilet bowl | |
KR101671610B1 (en) | Excretion Cleaner | |
KR100963243B1 (en) | Intermediate plate separation structure of patient feces automatic processing device | |
KR20200045228A (en) | Device for automatic excrement processing of bed | |
JP4467361B2 (en) |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and hose cleaning method for waste disposal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1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