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1361B1 -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 Google Patents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361B1
KR100871361B1 KR1020067026334A KR20067026334A KR100871361B1 KR 100871361 B1 KR100871361 B1 KR 100871361B1 KR 1020067026334 A KR1020067026334 A KR 1020067026334A KR 20067026334 A KR20067026334 A KR 20067026334A KR 100871361 B1 KR100871361 B1 KR 10087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pulley
pair
pulleys
elev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4599A (en
Inventor
간 가와사키
이쿠오 아사미
다카시 이시이
šœ 후지무라
사토시 다카사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6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361B1/en
Publication of KR2007002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361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형추가 케이지의 뒤쪽에서 수직 이동하고, 상기 케이지와 상기 균형추가 제 1 전환 활차 및 제 2 전환 활차를 통해 지그 백 방법으로(jig back manner) 매달리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본 발명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의할 때, 상기 균형추의 충분히 큰 승강 충격이 확보될 수 있고, 또한 호이스트 로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 로프의 각 부분에는 장력 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케이지가 수직 이동을 재개하는 때에 상기 케이지에 승강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견인 활차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좌우 측벽 중의 하나에 배치된다. 제 1 전환 활차는 상기 견인 활차의 하부에 충분히 떨어져서 배치되고, 제 2 전환 활차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후방벽의 꼭대기에 배치된다. 상기 견인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그 회전 축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측벽으로부터 그 후방 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which vertically moves behind the counterweight cage and hangs in a jig back manner through the cage and the counterweight first pulley and the second switching pulley. By th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fficiently large lifting impact of the counterweight can be ensured and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difference does not occur in each portion of the hoist ro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vibration in the cage when the cage resumes vertical movement. Towing pulleys are arrang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elevator hoistway. A first diverting pulley is disposed far enough below the tow pulley, and a second diverting pulley is disposed on top of the rea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The pulley,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is inclined relative to the sidewall such that its axis of rotation extends from the side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to its rear wall.

케이지(cage), 승강로, 균형추 Cage, hoistway, counterweight

Description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MACHINEROOM-LESS ELEVATOR}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MACHINEROOM-LESS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에 머신룸(machineroom)을 갖지 않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without a machine room on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건물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일조권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에 머신룸을 갖지 않는 각종 엘리베이터가 개발 및 제안되어 왔다.Various elevators have been developed and proposed that do not have a machine room on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space in the building and to observe the law on sunshine.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케이지(1)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안내 레일(1L, 1R)에 안내되어 승강로(2)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한다. 케이지(1)의 뒤쪽에 배치된 균형추(3)는 좌우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3L, 3R)에 의해 안내되어 그 후방 벽을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로(2) 내를 수직 이동한다.For example, in the elevator without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shown in FIGS. 5 to 7, the cage 1 is guided by a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guide rails 1L and 1R to move vertically in the hoistway 2. do. The counterweight 3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ge 1 is gui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ounterweight guide rails 3L and 3R to vertically move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2 along its rear wall.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꼭대기 위의 그 후방 벽(2r)측에 고정된 구동 장치(4)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견인 활차(5)를 회전 구동시킨다.The drive device 4 fixed on the rear wall 2r side above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ing drive drives the pulley pulley 5 to rotate about the axis of rotation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제 1 전환 활차(6)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측 위에 배치된 구동 장치(4)의 좌측단 바로 아래 위치에 배치된다.The first switching pulley 6 rotatable about the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just below the left end of the drive device 4 arranged on the rear wall 2r 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2.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제 2 전환 활차(7)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2L)의 제 1 전환 활차(6)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The second diversion pulley 7 rotatable about the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arranged to be located above the first diversion pulley 6 of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견인 활차(5)에 감긴 호이스트 로프(8)는 그 일측 끝단(8a)이 제 1 전환 활차(6)를 감기 위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전환 활차(7)를 감기 위해 상측 방향(8b)으로 연장되고, 제 2 전환 활차(7)로부터 하측 방향(8c)으로 연장되고, 케이지(1) 아래쪽에 부착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a, 1b) 사이에 수평하게 연장되고, 전방 히치 부분(a front hitch part)(9f)에 고정되기 위해 오른편의 케이지측 활차(1b)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2:1 로우핑 배치로 케이지(1)를 매단다.The hoist rope 8 wound on the towing pulley 5 has one end 8a extending downward to wind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and an upward direction 8b to wind the second switching pulley 7. ) Extends in the lower direction 8c from the second switching pulley 7, extends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a and 1b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age 1, and the front hitch The cage 1 is suspended in a 2: 1 rowing arrangement by extending upward from the cage side pulley 1b on the right side to be secured to a front hitch part 9f.

호이스트 로프(8)의 타측 끝단(8f)은 균형추측 활차(3a)를 감기 위해 균형추(3)를 향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방 히치 부분(a rear hitch part)(9r)에 고정되기 위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2:1 로우핑 배치로 균형추(3)를 매단다.The other end 8f of the hoist rope 8 extends downward toward the counterweight 3 to wind the counterweight pulley 3a, and the upper side to be fixed to a rear hitch part 9r. Direction, thereby suspending the counterweight 3 in a 2: 1 rowing arrangement.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런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구동 장치(4)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에 배치되고, 또한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을 따라 수직 이동된다.By the way, in the elevator without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shown in FIGS. 5-7, the drive device 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wall 2r of the elevator hoistway 2, and the counterweight 3 is an elevator hoistway 2 Vertical movement along the rear wall 2r).

상기 구성에서, 제 1 전환 활차(6)는 구동 장치(4)의 하부에 배치되어야만 하므로, 제 1 전환 활차(6)와 균형추(3) 사이의 간섭 때문에 균형추(3)의 충분히 큰 승강 충격이 확보될 수 없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must be disposed under the drive device 4, a sufficiently large lifting impact of the counterweight 3 is prevented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and the counterweight 3. Could not be secured.

균형추(3)의 충분히 큰 승강 충격을 확보하기 위해, 제 1 전환 활차(6)가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제 1 전환 활차(6)는 견인 활차(5) 및 제 2 전환 활차(7)에 근접하게 된다.In order to ensure a sufficiently large lifting impact of the counterweight 3, when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is the towing pulley 5 and the second switching pulley 7. )

그러면, 호이스트 로프의 제 1 전환 활차(6)와 제 2 전환 활차(7) 사이의 부분과 견인 활차(5)와의 사이 부분의 연장 방향들이 갑자기 변하기 때문에, 호이스트 로프(8)는 S-형상으로 굽어진다.Then, since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and the second switching pulley 7 of the hoist rope and the portion between the pulling pulley 5 suddenly change, the hoist rope 8 is S-shaped. Bent

따라서, 호이스트 로프(8)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refor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8 may fall.

또한, 케이지(1)가 정지하는 경우에는, 제 1 전환 활차(6)로부터 각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호이스트 로프 부분(8a, 8b)에 장력 차(tensile difference)가 발생하므로, 케이지(1)가 수직 이동을 다시 시작하는 경우에 케이지(1)에 승강 진동(vertical vibrations)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ge 1 stops, a tension difference occurs in each of the hoist rope portions 8a and 8b extending from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us the cage 1 Vertical vibrations may occur in the cage 1 in the case of restarting vertical movement.

호이스트 로프 중의 견인 활차(5)와 제 1 전환 활차(6) 사이의 연장 부분(8a)과 제 1 전환 활차(6)와 제 2 전환 활차(7) 사이의 연장 부분(8b)의 비틀림 각도는 각각 90도이다. 따라서, 호이스트 로프(8)가 더 작은 직경의 복수개 로프로 형성된다면, 각 활차의 로프 홈의 방향과 각 로프가 각각의 로프 홈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 변위가 커져서, 꼬임 선으로 구성되는 각 로프와 각 로프 홈과의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torsion angle of the extending portion 8a between the pulley pulley 5 and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and the extending portion 8b between the first switching pulley 6 and the second switching pulley 7 in the hoist rope is 90 degrees each. Therefore, if the hoist rope 8 is formed of a plurality of ropes of smaller diameter, the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and the direction in which each rope extends from each rope groove becomes large, so that the angle constituted by the twist line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ied by contact of the rope with each rope groove can be prevented.

반면에,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구동 장치(4) 및 견인 활차(5)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2L)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후방 벽(2r)측의 견인 활차(5)로부터 균형추(3)까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호이스트 로프(8)의 일부분을 안내하기 위해, 전환 활차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좌측 벽(2L)에 배치되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 device 4 and the towing pulley 5 are disposed on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owing pulley 5 on the rear wall 2r side. In order to guide the part of the hoist rope 8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balance weight 3 to the counterweight 3, the diverting pulleys must be arranged on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상기 구성에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구동 장치(4), 견인 활차(5), 및 전환 활차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므로, 견인 활차(5)로부터 케이지측 활차(1a)로 하측 방향 연장되는 호이스트 로프(8)의 부분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rive device 4, the pulley 5, and the switching pulley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so that the hoist rope extends downward from the pulley pulley 5 to the cage side pulley 1a. The part of (8) is located in front of the elevator hoistway (2).

이에 따라,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a, 1b) 사이에 수평하게 연장되는 호이스트 로프의 부분(8d)과 케이지(1)의 무게 중심(G)을 일치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Accordingly,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it becomes difficult to match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1 with the portion 8d of the hoist rope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a and 1b. .

또한, 케이지(1)를 지지하는 케이지측 활차(1b, 1c)가 케이지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작업자가 케이지측 활차(1b, 1c)를 점검하는 작업공간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배치된 피트(pit)에 필요로하는 크기의 깊이로 확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cage side pulleys 1b and 1c supporting the cage 1 ar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ge, the work space where the operator inspects the cage side pulleys 1b and 1c is provided with a pit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It should be secured to the depth required for the pit).

또한, 호이스트 로프(8)가 케이지(1)의 좌우 측벽(1c, 1d)을 따라 연장되기 위해서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a, 1b)가 케이지(1)의 좌우 측벽(1a, 1b)으로부터 돌출해야 한다. 따라서, 케이지(1)의 좌우 방향(도어의 개폐 방향)의 치수 W를 확보하려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 L이 증가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hoist rope 8 to exten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1c and 1d of the cage 1,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a and 1b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1a and 1b of the cage 1. It must protrude from.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dimension W in the left-right direction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cage) of the cage 1, the left-right direction dimension L of the cross section of an elevator hoistway must be increased.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 L이 일정한 치수로 고정된다면, 케이지(1)의 좌우 방향 치수 W가 감소되어야 한다. That is, if the horizontal dimension L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ing is fixed to a constant dimension, the horizontal dimension W of the cage 1 should be reduced.

구동 장치(4), 견인 활차(5),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측벽의 꼭대기에 고정된 제어 장치(CP)의 유지보수는 케이지(1)를 작업자가 서 있을 수 있는 최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킴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Maintenance of the drive device 4, the pulley pulley 5, and the control device CP fixed to the top of the side walls of the elevator hoisting are carried out by raising the cage 1 to the highest position at which the operator can stand. Should be.

한편, 케이지측 활차(1a, 1b)의 유지보수는 케이지(1)를 최하부 위치까지 하강시켜 피트 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maintenance of the cage side pulleys 1a and 1b should be performed in the pit by lowering the cage 1 to the lowest position.

따라서,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작업자가 건물의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를 오르내려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Therefore, in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maintenance work cannot be performed efficiently because an operator must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top floor and the bottom floor of a building.

또다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도 5에 도시된 전환 활차(7)가 견인 활차로 대체되고, 구동 장치는 그 회전축이 케이지측 활차(1a, 1b) 사이를 연장하는 호이스트 로프의 부분(8d)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견인 활차가 회전함에 따라, 균형추(3)는 케이지(1)의 뒤쪽에서 수직으로 이동한다.In an elevator without another machine room, the switching pulley 7 shown in FIG. 5 is replaced by a traction pulley, and the driving device is a part of the hoist rope 8d whose axis of rotation extends between the cage side pulleys 1a and 1b. It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owing pulley rotates, the counterweight 3 moves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cage 1.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트 로프의 내구성, 구동장치의 지지 방법, 및 진동 등과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존재한다.However,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of such a configuration has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durability of a hoist rope, a supporting method of a driving device, and vib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균형추가 케이지의 뒤쪽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It is therefore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in which the counterweight moves vertically behind the cage, thereby solving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상기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의 승강 충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호이스트 로프의 내구성은 그 호이스트 로프의 드로잉(drawing)이 완화됨에 따라 향상된다. 각각의 호이스트 로프에 장력 차(tensile difference)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케이지가 수직 이동을 다시 시작하는 때에 케이지의 승강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활차의 로프 홈과 호이스트 로프가 접촉함에 따라 수반되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levator, the lifting impact of the counterweight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is improved as the drawing of the hoist rope is relaxed. Since no tension difference occurs in each hoist ro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ge's lifting vibration when the cage resumes vertical move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ying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and the hoist rope.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의 피트 깊이를 감소시키고, 유지보수 작업이 케이지의 상부에서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향상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가 케이지의 폭 치수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 로프의 일부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무게 중심(G)과 일치되도록 당겨질 수 있다. 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which reduces the pit depth of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ing and is improved to allow maintenance work to be carried out intensively at the top of the cage. Moreover, it can manufacture so that the left-right dimension of an elevator hoistway cross section may become comparatively smal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mension of a cage. Also, part of the hoist rope can be pull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수단은,Mean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케이지;A cage guided by a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guide rails to vertically move in the elevator hoistway;

균형추측 활차를 구비하고, 좌우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을 따라 상기 케이지의 뒤쪽에서 수직 이동하는 균형추;A counterweight having a counterweight gauge, gui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ounterweight guide rails and vertically moving at the rear of the cage along the rear wall of the hoistway;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꼭대기 위의 좌우 측벽 중의 어느 하나의 근방에 배치되고,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후방 벽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견인 활차;A pulley pulley disposed in the vicinity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n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ing shaft, and being driven to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from the sidewall to the rear wall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상기 견인 활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 장치;A drive device for rotating the pulley;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지를 매달아 지탱하고,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에 평행한 회전축 주위로, 또는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에 인접한 각도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that suspend and support the cage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ge and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towing pulley or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at an angle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towing pulley;

상기 측벽 근방에서 상기 견인 활차보다 더 낮게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되는 제 1 전환 활차;A first shift pulley disposed lower than the pulley in the vicinity of the side wall and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후방 벽 근방에서 상기 제 1 전환 활차보다 더 높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되는 제 2 전환 활차; 및A second diversion pulley disposed higher than the first diversion pulley in the vicinity of the rear wall and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상기 견인 활차에 감기고, 그 일측 끝단은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를 통해 상기 케이지를 매달고, 그 타측 끝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활차와 상기 균형추측 활차를 통해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호이스트 로프;를 포함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A hoist rope wound around the towing pulley, one end of which hangs the cage through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pulleys, and the other end of which hangs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pulleys and the counterweight guess pulley; There is no machine room that includes an elevator.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후방 벽을 따라 케이지의 뒤쪽에서 수직 이동하고, 견인 활차와 제 1 전환 활차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좌우 측벽중의 어느 하나 근방에 배치되고, 제 2 전환 활차는 후방 벽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꼭대기에 배치된다.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erweight moves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cage along the rear wall of the elevator hoisting, and the towing pulley and the first switching pulley are near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elevator hoisting. And a second diversion pulley is disposed on top of the elevator hoist near the rear wall.

따라서, 제 1 전환 활차가 견인 활차의 충분히 아래쪽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제 1 전환 활차와 균형추 사이의 간섭은 방지될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first switching pulley is disposed sufficiently below the towing pulley,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switching pulley and the counterweight can be prevented.

제 2 전환 활차는 견인 활차의 위치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환 활차와 균형추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어, 충 분히 큰 승강 충격이 확보될 수 있다.The second diverting pulley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towing pulley. Therefore,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switching pulley and the counterweight can be prevented, so that a sufficiently large lifting impact can be ensured.

또한, 제 1 전환 활차는 견인 활차의 충분히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견인 활차로부터 제 1 및 제 2 전환 활차를 통해 균형추측 활차로 연장되는 호이스트 로프의 구부러진 부분이 완만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호이스트 로프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장력 차가 호이스트 로프의 각부분에 발생하지 않으므로, 케이지가 수직이동을 다시 시작하는 경우 발생하는 케이지의 승강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각 활차들의 로프 홈(rope groove)과 호이스트 로프의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lso, since the first diverting pulley can be disposed sufficiently below the towing pulley, the bent portion of the hoist rope extending from the towing pulle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verting pulleys to the counterweight pulley can be smoothed. Thus,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difference does not occur in each part of the hoist ro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vibration of the cage that occurs when the cage resumes vertical movement, and the contact between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and the hoist rop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ying.

또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측벽에 대한 견인 활차의 회전축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케이지측 활차의 배열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측벽에 대한 견인 활차의 회전축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와 케이지의 무게 중심 사이의 호이스트 로프 부분과 케이지의 무게중심이 서로 겹쳐지도록, 호이스트 로프를 당길 수 있다.Further,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of the cage side pulleys can be increa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pulley pulley relative to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That is,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wing pulley relative to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hoist rope portion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cage side pulleys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overlap each other. To lose, you can pull the hoist rope.

케이지측 활차는 케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서, 피트(pit)의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cage side pulley is arranged at the top of the cage,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a maintenance space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thereby reducing the depth of the pit.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의 유지보수 뿐만 아니라, 견인 활차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꼭대기에 배치된 제어 장치(CP)의 유지보수는 케이지의 상부에 탄 작업자에 의 해 집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건물의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를 오르내려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maintenance of the towing pulley and cage side pulley, the maintenance of a drive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towing pulley and a control unit (CP) arranged on top of the elevator hoisting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is the top of the cage. This can be done intensively by ethane workers. Therefore, since the worker does not have to climb up and down between the top floor and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maintenance work on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호이스트 로프는 케이지의 좌우 측벽을 따라 연장되지 않으므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가 케이지의 좌우 측벽으로부터 돌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더라도 케이지를 위한 더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케이지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더 작게 할 수 있다.Since the hoist rope does not exten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do not need to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Thus, even i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ing is made to a certain size, a larger space for the cage can be secured. That is, even if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cage is manufactured to a constant siz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made smaller.

또한, 케이지의 하부에는 케이지측 활차와 호이스트 로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하는 버퍼를 케이지 저면의 중심 위치에 대향시켜 배치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age side pulley and the hoist rope do not exist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the buffer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an elevator hoistway can be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center position of the cage bottom face.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구동 장치가 견인 활차와 같은 축을 가지도록 배치한다.The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drive device has the same axis as the pulley in the elevator without the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상기 구동 장치는 기어가 없는 다이렉트 드라이빙 모터일 수 있다.The drive device may be a direct driving motor without gears.

즉, 견인 활차와 구동 장치가 서로 같은 축에 의해 배치될 경우, 위에서 수직하게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측벽에 대한 견인 활차의 회전축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구동 장치는 그 회전축의 길이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측벽과 후방 벽의 사이에 수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ow pulley and the drive device are disposed by the same axis as each other,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w pulley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hoisting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drive device is independent of the length of the axis of rotation. It can be stor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rear wall of the elevator hoisting.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 또는 제 2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호이스트 로프가 각각 직경 4㎜ 내지 6㎜를 갖는 다수의 로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The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the hoist rop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ropes each having a diameter of 4 mm to 6 mm.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호이스트 로프를 형성하는 각 로프들이 직경 4㎜ 내지 6㎜를 갖기 때문에, 견인 활차, 케이지측 활차, 및 균형추측 활차의 각각의 외경은 200㎜ 내지 250㎜로 억제될 수 있다.In the machin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f the ropes forming the hoist rope has a diameter of 4 mm to 6 mm, the respective outer diameters of the pulley, cage side pulley, and counterweight pulley are 200 It can be suppressed from mm to 250 mm.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견인 활차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배열 자유도가 증가하므로, 호이스트 로프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 사이의 호이스트 로프의 일부와 케이지의 무게 중심이 서로 겹치도록 호이스트 로프를 자유롭게 당길 수 있다.Since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of the towing pulley and the pair of cage-side pulleys on the elevator hoistway increases, the hoist rope is hoisted so that part of the hoist rop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rope can be pulled freely.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견인 활차의 회전축 및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이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0도 내지 45도의 각도로 연장되도록 구성한다.Means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the rotation axis of the pulley pulley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cage side pulley are 0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It is configured to extend at an angle of 45 to 45 degrees.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도 내지 30도의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도 내지 15도의 범위이다.The angle formed by the rotational shaft of the pulley and the pair of rotational shafts of the pair of cage-side pulleys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30 degrees, and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15 degrees.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 사이에 연장되는 호이스트 로프 부분의 비틀림 각도가 감소될 수 있다.In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sion angle of the hoist rope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towing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can be reduced.

따라서, 케이지가 최상부 위치로 상승되어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 사이의 수직 공간이 좁아질 때,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의 로프 홈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의 경사각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age is raised to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 vertical space between the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is narrow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oist rope with respect to the rope groove of the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can be kept small.

그 결과, 호이스트 로프가 다수의 로프로 이루어질 때, 비틀린 선들로 이루어진 각 로프와 각 활차의 로프 홈의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hoist rope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ropes,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ying by contact of each rope made of twisted lines with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 내지 제 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가 각각 케이지의 좌우 측벽 근방에 배치되도록 구성한다.The means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arranged near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respectively. do.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좌우 케이지측 활차 중의 어느 하나는 견인 활차의 바로 아래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may be disposed just below or near the pulley pulley.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 사이에 전환 활차가 개재될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천장과 케이지 사이의 수직 공간, 즉 상부 간극(top clearance)이 작아질 수 있다.Since the switching pulley does not ne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towing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the vertical space, i.e., the top clearance between the cage and the ceiling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견인 활차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의 감아올리는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호이스트 로프는 견인 활차에 대해 확실하게 마찰 결합될 수 있다.By increasing the hoist rope's reel angle to the towing pulley, the hoist rope can be reliably frictionally engaged to the towing pulley.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 내지 제 5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수직 투영형상(projection)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한다.The means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projection of a cage when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viewed vertically 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inside the projection.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케이지의 측벽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 벽면에 접근함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하게 정해질 때, 케이지를 위한 보다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de wall of the cage approach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hoisting, a larger space for the cage is secured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ing is constant. Can be.

즉, 케이지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cage is set to a constant valu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 내지 제 6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다.Means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the left and right pair of cage-side pulleys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about.

케이지의 무게 중심은 케이지에 승객이 타고 있지 않을 때 설계상 가정되는 위치를 의미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is the position assumed by design when no passenger is in the cage.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케이지에 작용하는 중력과 케이지를 상측으로 매달기 위한 힘이 수평방향에서 서로 크게 오프셋(offse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us suspending the cage upwards with gravity acting on the c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ces for offsetting greatly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케이지는 경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매달릴 수 있으며, 진동 없이 부드럽게 수직 이동될 수 있다.Therefore, the cage can be stably suspended without inclination and can be moved vertically smoothly without vibration.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 내지 제 7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구동 장치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그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의 수직 투영형상과 겹치도록 배치한다.Means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asp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cage when the drive device is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vertical projection shape of the cage To overlap.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구동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견인 활차를 회전 구동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above the cage, the space required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ulley can be secured.

케이지의 측벽들 중 상기 구동 장치가 배치된 측벽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 표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하게 정해질 때 케이지를 위한 보다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Since the side walls of the cage in which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can acces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hoisting, a larger space for the cage can be secured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ing is constant.

즉, 케이지(10)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cage 10 is set to a constant valu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따른 수단은, 제 1 형태 내지 제 8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견인 활차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그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와 중첩되도록 배치한다.Means 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aspects, are arranged such that the tow pulley overlaps with the cage when viewed from above vertically. do.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견인 활차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견인 활차가 케이지측 활차 중 하나의 바로 위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I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required for the pulley can be secured, and the pulley can be disposed directly above or near one of the cage side pulleys.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 사이에 전환 활차가 개재될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천장과 케이지 사이의 수직 공간, 즉 상부 간극이 감소될 수 있다.Since the switching pulley does not ne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towing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the vertical space, ie the upper gap, between the ceiling and the cage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견인 활차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의 감김 각도를 180도의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있으므로, 호이스트 로프가 견인 활차에 대해 확실하게 마찰 결합될 수 있다.Since the winding angle of the hoist rope with respect to the towing pulley can be made to a sufficient size of 180 degrees, the hoist rope can be reliably frictionally engaged to the towing pulley.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0 형태에 따른 수단은,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케이지;A cage guided by a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guide rails to vertically move in the elevator hoistway;

균형추측 활차를 구비하고, 좌우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후방 벽을 따라 상기 케이지의 뒤쪽에서 수직 이동하 는 균형추;A counterweight having a counterweight pulley and gui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ounterweight guide rails to vertically move from the rear of the cage along the rear wall of the elevator hoist;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좌우 측벽 중의 하나의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좌우 측벽 중의 다른 하나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견인 활차;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a pulley pulley driven to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elevator hoisting to the front side of the o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hoistway;

상기 견인 활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 장치;A drive device for rotating the pulley;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호이스트 로프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지를 매달아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which are supported by a hoist rope extend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a rotation axis of the towing pulley, for hanging the cage from the top of the cage;

상기 견인 활차보다 더 낮은 쪽에서 회전하는 제 1 전환 활차; 및A first diverting pulley that rotates on a lower side than the towing pulley; And

상기 제 1 전환 활차보다 더 높은 쪽에서 회전하는 제 2 전환 활차;를 포함하고,And a second switching pulley rotating at a higher side than the first switching pulley.

상기 호이스트 로프는 상기 견인 활차에 감기고, 그 일측 끝단은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를 통해 상기 케이지를 매달고, 그 다른 끝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활차와 상기 균형추측 활차를 통해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The hoist rope is wound on the towing pulley, one end of which hangs the cage through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pulleys, and the other end of the hoist rope pulls the balance weigh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pulleys and the counterweight guessing pulley.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characterized by hanging.

또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1 형태에 따른 수단은,In addition, the means according to an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레일에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케이지;A cage which is guided to the rail and vertically moves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A pair of cage side pulleys disposed on the cage;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의 상기 케이지 뒤쪽에서 수직 이동하는 균형추;A counterweight moving vertically behind the cage in the elevator hoist;

상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 사이의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 장치;A drive device hav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across a straight line between the pair of cage side pulleys;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견인 활차;A pulley pulley which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e device;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매달리고, 그 일측 끝단은 상기 견인 활차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지측 활차에 감기고, 그 타측 끝단은 상기 균형추에 감기는 호이스트 로프; 및 A hoist rope suspended in the elevator hoistway, one end of which is extended from the towing pulley and wound on the cage side pulle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wound on the counterweight; And

상기 견인 활차와 상기 균형추의 사이에서 상기 구동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환 활차;를 포함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It is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including; the switching pulley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e device between the pulley and the balance weight.

본 발명의 제 10 형태 및 제 11 형태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구동 장치의 배열의 자유도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 로프의 비틀림 각도가 감소되어, 그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호이스트 로프와 각 활차들의 로프 홈이 접촉함에 따라 수반되는 잡음 및 진동의 발생이 방지된다.In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tenth and eleventh aspects of the invention,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arrangement of the drive arrangement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twist angle of the hoist rope is reduced, and the durability thereof is improved.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ying the hoist rope and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is prevented.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균형추에 대해 충분히 큰 승강 충격을 확보할 수 있고, 호이스트 로프의 드로잉을 완화시킴으로써 호이스트 로프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호이스트 로프의 각 부분에 장력 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케이지가 수직 이동을 재시작하는 때에 발생했던 케이지의 승강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활차의 로프 홈과 호이스트 로프의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잡음 및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sufficiently large lifting impact against the counterweight, and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is improved by easing the drawing of the hoist rope. 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difference does not occur in each part of the hoist rope, the lifting vibration of the cage, which occurred when the cage restarts the vertical movemen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ying the contact between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and the hoist ro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without the machine room shown in FIG.

도 4는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pulley and cage side pulleys;

도 5는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면도.FIG. 6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shown in FIG. 5; FIG.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shown in FIG.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케이지(cage)1: cage

2: 승강로2: hoistway

3: 균형추3: counterweight

4: 구동 장치4: driving device

5: 견인 활차5: towing pulley

6,7: 전환 활차6,7: pulley

8: 호이스트 로프8: hoist rope

9f,9r: 히치부(hitch part)9f, 9r: hitch part

10: 케이지(cage)10: cage

11L,11R: 케이지측 레일11L, 11R: Cage Side Rails

12L,12R: 도어12L, 12R: Door

13: 상부빔13: upper beam

14L,14R: 수직빔14L, 14R: Vertical Beam

15: 활차 지지빔15: pulley support beam

16L,16R: 케이지측 활차16L, 16R: Pulley on the cage side

17: 견인 활차17: towing pulley

18: 구동 장치18: drive unit

19: 균형추19: Counterweight

19a,19b: 균형추측 활차19a, 19b: Balance estimation pulley

20L,20R: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20L, 20R: Counterweight Guide Rail

21: 지지 테이블21: support table

31,32: 제 1 전환 활차31,32: first transition pulley

33: 제 2 전환 활차33: 2nd transition pulley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이하의 설명에서는, 케이지의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지칭하고, 승객이 케이지로부터 나가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며, 승객이 케이지 내로 들어가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며, 또한 수직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각각 지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of the cage is opened and closed is referred to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 exits from the cag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 enters the cage is referred to as the rear,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nd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케이지(10)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레일(11L, 11R)에 의해 안내되어 빌딩 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내부에서 수직 이동한다.In th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4, the cage 10 is guided by a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rails 11L and 11R, and the elevator hoistway 2 installed in the building. It moves vertically inside of.

케이지(10)의 앞면에 배치된 좌우 한쌍의 도어(12L, 12R)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된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doors 12L and 12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ge 10 are opened and cl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케이지(10)를 지지하는 케이지 프레임은 케이지(1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상부빔(13), 및 상부빔(13)의 좌우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수직빔(14L, 14R)을 포함한다.The cage frame supporting the cage 10 includes an upper beam 1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op of the cag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eams 14L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beam 13, respectively. 14R).

케이지(10)와 상부빔(13) 사이의 수직 공간(vertical gap)에는, 활차 지지 빔(15)이 케이지(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차 지지 빔(15)은 상부빔(13)에 대해 수평면 내에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활차 지지 빔(15)과 상부빔(13)은 X-자 형상을 형성한다.In a vertical gap between the cage 10 and the upper beam 13, the pulley support beam 15 is arranged to be spaced upwardly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ge 10. As shown in FIG. 3, the pulley support beam 15 is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n a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upper beam 13, so that the pulley support beam 15 and the top beam 13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 Forms an X-shaped shape.

활차 지지 빔(15)은, 그 상면의 종방향 중심 부분이 상부빔(13) 하면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 밀착하도록 상부빔(13)에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지(10)를 상측으로 매달기 위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에 작용하는 힘은, 활차 지지 빔(15)으로부터 상부빔(13)과 좌우 한쌍의 수직빔(14L, 14R)을 통해서 케이지(10)에 전달될 수 있다.The pulley support beam 15 is connected to the upper beam 13 such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eam 13. Therefore, the force acting 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to suspend the cage 10 upwards is from the pulley support beam 15 and the upper beam 13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eams 14L, Can be delivered to cage 10 via 14R).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15a)이 활차 지지 빔(15)의 상부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다.Brackets 15a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disposed at both upper ends of the pulley support beam 15, respectively.

활차 지지 빔(15)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회전축보다 더 낮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케이지 프레임의 상부빔(13)은 케이지(10)의 상면에 인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Since the pulley support beam 15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rotation axi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the upper beam 13 of the cage fram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10. .

따라서, 케이지(10)가 최상의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천장과 케이지(10)의 최상부 사이의 수직 공간, 즉 상부 간극(top clearance)이 감소될 수 있다.Thus, when the cage 10 is raised to the best position, the vertical space, ie top clearance, between the ceiling of the elevator hoist and the top of the cage 10 can be reduc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꼭대기 위에는, 견인 활차(17)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2L) 근방에, 거의 중앙 위치에 좌측 벽(2L)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견인 활차(17)의 회전축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좌측 벽(2L)에 경사지고, 후방 벽(2r)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As shown in Fig. 3, on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ing path 2, the pulley pulley 17 is located near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ing path 2,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eft wall 2L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sition. It is arrange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ulley 17 is inclined to the left wall 2L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and extends horizontally to the rear wall 2r.

견인 활차(17)의 뒤쪽에는, 견인 활차(17)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18)가 견인 활차(17)와 같은 축으로 배치된다.At the rear of the pulley 17, a drive device 18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ulley 17 is arranged on the same axis as the pulley 17.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을 따라 수직 이동하는 균형추(19)를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20L, 20R)은 구동 장치(18)의 후방 끝단의 하부에 배치된다.A pair of right and left counterweight guide rails 20L, 20R for guiding the counterweight 19 moving vertically along the rear wall 2r of the elevator hoistway 2 is disposed below the rear end of the drive device 18. .

구동 장치(18)는 좌우 양측의 가이드 레일(20L, 20R)과 왼편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11L)에 의해 지지되며, 수평 연장되는 지지 테이블(21) 위에 장착 및 고정된다.The drive device 18 is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20L and 20R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the cage-side guide rail 11L on the left side, and is mounted and fixed on the horizontally extending support table 2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제 1 전환 활차(31, 32)는 견인 활차(17)로부터 먼 아래쪽의, 엘리베이터 승강로(2) 좌측 벽(2L) 근방의, 좌측 벽(2L) 앞뒤 방향으로 중앙 부분의 뒤쪽 부분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switching pulleys 31, 32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2 below the pulley pulley 17. 2L) is arranged in the rear part of the center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left wall 2L near.

제 1 전환 활차(31, 32)는 왼편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11L)과 왼편의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20L) 사이를 수평으로 연장하여 연결되는 지지 부재(도시생략)에 의해 지지된다.The first switching pulleys 31 and 32 are supported by a supporting member (not shown)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the cage-side guide rail 11L on the left side and the balance-guided guide rail 20L on the left side.

전후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제 2 전환 활차(33)는 지지 테이블(21)의 바로 아래의,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 근방의, 상기 후방 벽(2r)의 왼편 단부측에 배치된다.A second diversion pulley 33 which can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the rear wall 2r, near the rear wall 2r of the elevator hoisting 2, just below the support table 21. It is arranged in the left end side of the).

제 2 전환 활차(33)는 좌우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20L, 20R) 사이를 수평으로 연장하여 연결되는 지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The second switching pulley 33 is supported by a supporting member (not shown) connected horizont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balance guessing guide rails 20L and 20R.

견인 활차(17)에는 그 각각이 예를 들어 5㎜의 외경을 갖는 상호 평행한 여덟개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트 로프(8)가 감긴다.The hoisting rope 17 is wound with a hoist rope 8 consisting of eight mutually parallel ropes each having an outer diameter of, for example, 5 mm.

호이스트 로프(8)의 일측 끝단은 견인 활차(17)로부터 지지 테이블(21)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거쳐 왼편의 케이지측 활차(16L)를 향해 하방 연장되는 부분(8a)과, 케이지(10)를 지지하고 매다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 사이에 수평 연장되는 부분(8b)과, 전방 히치 부분(9f)에 고정되기 위해 오른편의 케이지측 활차(16R)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부분(8c)으로 구성되어, 2:1 로우핑 배열로 케이지(10)를 매단다.One end of the hoist rope 8 is a portion 8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ulley pulley 17 through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upport table 21 toward the cage side pulley 16L on the left side, and the cage 10. A portion 8b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that supports and suspends, and a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right side cage side pulley 16R to be fixed to the front hitch portion 9f ( 8c) to suspend the cage 10 in a 2: 1 rowing arrangement.

호이스트 로프(8)의 타측 끝단은 견인 활차(17)의 하부에 배치된 전방의 제 1 전환 활차(31)를 향해 하방 연장되는 부분(8d)과, 전후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31, 32) 사이에 수평 연장되는 부분(8e)과, 후방의 제 1 전환 활차(32)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부분(8f)과, 제 2 전환 활차(33)를 감으면서 왼편의 균형추측 활 차(19a)를 향해 하방 연장되는 부분(8g)과, 좌우 한쌍의 균형추측 활차(19a, 19b) 사이에 수평 연장되는 부분(8h)과, 후방 히치 부분(9r)에 고정되기 위해 오른편의 균형추측 활차(19b)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부분(8i)으로 구성되어, 2:1 로우핑 배열로 균형추(19)를 매단다.The other end of the hoist rope 8 includes a portion 8d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front first switching pulley 31 disposed below the traction pulley 17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first switching pulleys 31 and 32. ) 8a of horizontally extending between the part, the part 8f extended upward from the rear 1st switching pulley 32, and the 2nd switching pulley 33, and the counterbalance guess pulley 19a of the left side. Right side counterbalance pulley 19b to be fixed to portion 8g extending downwards toward the side, horizontally extended portion 8h between left and right pairs of counterweight pulleys 19a and 19b, and rear hitch portion 9r. ) Consists of a portion 8i extending upwards, suspending the counterweight 19 in a 2: 1 rowing arrange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10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즉,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는 호이스트 로프의 부분 중,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 사이에 수평 연장되는 부분(8b)이 케이지(10)의 무게 중심(G)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That is, the right and left pairs of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have a portion 8b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s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Is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top of the center of gravity (G).

또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11L, 11R)은 케이지(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좌우 방향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11L and 11R ar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10.

따라서, 케이지에 작용하는 중력과 케이지를 위쪽으로 매다는 힘이 수평 방향으로 크게 오프셋되지 않으므로, 케이지는 경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매달릴 수 있으며, 진동 없이 부드럽게 수직 이동될 수 있다.Therefore, the gravity acting on the cage and the force that suspends the cage upwards are not greatly off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age can be stably suspended without tilting and can be moved vertically smoothly without vibration.

호이스트 로프(8)는 5㎜ 미만의 외경을 갖는 8개 로프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므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각 외경은 200㎜ 내지 250㎜ 범위로 억제될 수 있다.Since the hoist rope 8 is formed by an arrangement of eight ropes having an outer diameter of less than 5 mm, each outer diameter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can be suppressed in the range of 200 mm to 250 mm.

이러한 구성으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와 상부빔(13)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부빔(13)과 활차 지지 빔(15) 사이의 각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nd the upper beam 13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angle between the upper beam 13 and the pulley support beam 15 can be made smaller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따라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배열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degree of freedom in arrangement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can be increas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2L)에 대한 견인 활차(17)의 회전축의 각도(α)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배열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left and right pairs of right and left pairs are appropriately adjust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ngle α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towing pulley 17 with respect to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of the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can be increased.

또한, 평탄한 가요성의 로프 또는 벨트를 사용하여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11L, 11R)을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구동 장치, 견인 활차, 케이지측 활차, 및 가이드 레일이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내부에서 더 자유롭게 배치된다.In addi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elevator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tow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are parallel to each other using a flat flexible rope or belt,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Cage side pulleys (16L, 16R)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11L, 11R)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and the drive unit, the pulley, the cage side pulleys, and the guide rail It is arranged more freely inside the hoistway 2.

즉, 견인 활차(17)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므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승강로(2) 및 케이지(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traction pulley 17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can be free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evator hoistway 2 and the cage 10.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견인 활차(17)의 회전축에 대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회전축의 각도(θ)가 0도 내지 45도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도 내지 30도의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도 내지 15도의 범위가 되도록 배치된다.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ge-side pulleys 16L and 16R,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have an angle θ of the rotational axe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side pulleys 16L and 16R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tow pulley 17 from 0 degrees. It is the range of 45 degrees,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0-30 degree, Most preferably, it arrange | positions so that it may become the range of 0 degree-15 degree.

따라서, 견인 활차(17)와 왼편의 케이지측 활차(16L) 사이에 연장된 호이스 트 로프 부분(8a)의 비틀림 각도는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torsion angle of the hoist rope portion 8a extending between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cage side pulley 16L on the left side can be minimized.

따라서, 케이지(10)가 최상부 위치로 상승되어 견인 활차(17)와 왼편의 케이지측 활차(16L) 사이의 수직 공간이 좁아질 때, 견인 활차(17)와 왼편 케이지측 활차(16)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로프 홈이 연장되는 방향과, 각 로프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도 변위는 작게 유지될 수 있다.Thus, when the cage 10 is raised to the top position and the vertical space between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is narrow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left cage side pulley 16 Th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rope grooves provid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each rope extends can be kept small.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견인 활차(17)의 로프 홈으로부터 왼편의 케이지측 활차(16L)를 향해 하측 연장되는 로프는 항상 수직하게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며, 왼편 케이지측 활차(16L)의 위치에 따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견인 활차(17)의 로프 홈의 벽면과 각각의 로프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로프 홈의 방향과 각 로프가 로프 홈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 사이의 각도 변위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ro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pe groove of the pulley pulley 17 toward the cage-side pulley 16L on the left side does not always extend vertically downward, and the position of the left cage-side pulley 16L. As a result, it is slightly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Thus, friction occurs between the wall surface of the rope groove of the pulley pulley 17 and each rope. However, in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rope groove and the direction in which each rope extends from the rope groove can be kept small.

따라서, 비틀린 선들로 구성되는 각 로프와 각 활차의 로프 홈 사이의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호이스트 로프(8)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ying by the contact between each rope composed of twisted lines and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can be prevented, and also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8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균형추(19)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을 따라 케이지(10)의 뒤쪽에서 수직 이동된다. 견인 활차(17)와 제 1 전환 활차(31, 32)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2L) 근방에 배치되고, 또한 제 2 전환 활차(33)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 근방에 배치된다.In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unterweight 19 is moved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cage 10 along the rear wall 2r of the elevator hoistway 2. The towing pulley 17 and the first diverting pulleys 31 and 32 are arranged near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ing path 2, and the second diverting pulley 33 is also arranged on the rear wall of the elevator hoisting path 2 2r) in the vicinity.

따라서, 제 1 전환 활차(31, 32)가 견인 활차(17)의 아래쪽에 충분히 떨어져 위치한 경우라도, 제 1 전환 활차(31, 32)가 균형추(19)에 의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환 활차(33)는 견인 활차(17)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first switching pulleys 31 and 32 are sufficiently located below the traction pulley 17, the first switching pulleys 31 and 32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counterweight 19. In addition, the second switching pulley 33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2 regardless of the pulley pulley 17.

결과적으로, 제 2 전환 활차와 균형추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균형추의 충분히 큰 승강 충격이 확보될 수 있다.As a result,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switching pulley and the counterweight can be prevented, so that a sufficiently large lifting impact of the counterweight can be ensured.

제 1 전환 활차(31, 32)가 견인 활차(17)의 충분히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견인 활차(17)로부터 제 1 전환 활차(31, 32) 및 제 2 전환 활차(33)를 통해 균형추측 활차(19a, 19b)로 연장되는 호이스트 로프의 각 부분(8d, 8e, 8f, 8g)의 드로잉(drawing)이 완화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diverting pulleys 31, 32 can be disposed sufficiently below the towing pulley 17, balance from the towing pulley 17 through the first diverting pulley 31, 32 and the second diverting pulley 33. The drawing of each part 8d, 8e, 8f, 8g of the hoist rope extending to the guess pulleys 19a, 19b can be relaxed.

따라서, 호이스트 로프(8)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호이스트 로프(8)의 각 부분에서 장력 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케이지가 수직 이동을 시작할 때 발생하는 승강 진동 및 각 활차의 로프 홈과 호이스트 로프의 접촉에 의해 수반되는 잡음 및 진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8 can be improved, and since tension differences do not occur in each part of the hoist rope 8, the lifting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cage starts vertical movement and the rope grooves and hoists of each pulley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accompanied by the contact of the rope can be preven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는 케이지(10)의 상부에서 그 좌우 측벽(10L, 10R) 근방에 각각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10L and 10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ge 10, respectively.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배치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서 피트(pit)의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a work space for maintaining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need not b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ing, whereby the depth of the pit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ing can be reduced. .

또한, 케이지(10)의 하부에는 케이지측 활차와 호이스트 로프가 존재하지 않 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하는 버퍼를 케이지(10) 저면의 중심 위치에 대향시켜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ge side pulley and the hoist rope do not exist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10, a buff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disposed to face the center position of the bottom face of the cage 10.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와, 견인 활차(17)와, 구동 장치(18) 및 그 구동 장치(1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꼭대기에 배치된 제어 장치(CP)의 유지보수는 케이지(10)의 상부에서 집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건물의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를 오르내려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 작업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Control device CP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the traction pulley 17, the drive device 18 and the drive device 18 thereof. Maintenance of the can be performed intensively at the top of the cage (10). In this case, maintenance work on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since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climb up and down between the top floor and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호이스트 로프(8)는 케이지(10)의 좌우 측벽(10L, 10R)을 따라 연장되지 않으므로, 케이지(10)의 좌우 방향 치수는 케이지(10)의 왼편 측벽(10L)이 견인 활차(17)의 하부에 위치되는 치수(W2)까지 확장될 수 있다.Since the hoist rope 8 does not exten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10L and 10R of the cage 10,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10L of the cage 10 have the left sidewall 10L of the cage 10 of the tow pulley 17. It can extend up to the dimension W2 located below.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이 일정할 때 케이지(10)를 위한 더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Therefore, a larger space for the cage 10 can be secured whe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is constant.

즉, 케이지(10)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할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더 작게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cage 10 is constan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made smaller.

왼편의 케이지측 활차(16L)가 견인 활차(17)의 바로 하부에 위치되므로 견인 활차(17)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8)의 감김 각도는 거의 180도의 크기로 할 수 있고, 호이스트 로프(8)는 견인 활차(17)에 대해 확실하게 마찰 결합될 수 있다.Since the cage side pulley 16L on the left side is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towing pulley 17, the winding angle of the hoist rope 8 with respect to the towing pulley 17 can be approximately 180 degrees, and the hoist rope 8 Can be reliably frictionally engaged with respect to the pulley 17.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전환 활차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2L) 근방에 배치된 전후 한쌍의 활차(31, 32)로 구성하였으나, 견인 활차(17)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 근방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환 활차를 전방의 활차(31)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switching pulley is constituted by a pair of front and rear pulleys 31 and 32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ing 2, but the pulley pulley 17 is the elevator hoisting. When arranged closer to the rear wall 2r of (2), the said 1st switching pulley can be comprised only by the pulley 31 of the front.

이와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전환 활차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후방 벽(2r) 근방에 배치된 단일 활차(33)로 구성하였으나, 균형추(19)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2L)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환 활차를 좌우 한쌍의 활차로 구성할 수 있다.Similarly,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witching pulley consists of a single pulley 33 arranged near the rear wall 2r of the elevator hoisting 2, but the counterweight 19 is on the left side of the elevator hoisting 2 When it is arrange | positioned far from the wall 2L, the said 2nd switching pulley can be compris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pulleys.

Claims (13)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케이지(cage);A cage gui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to vertically move in the elevator hoistway; 균형추측 활차를 구비하고, 좌우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후방 벽을 따라 상기 케이지의 뒤쪽에서 수직 이동하는 균형추;A counterweight having a counterweight pulley and gui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ounterweight guide rails to vertically move from the rear of the cage along the rear wall of the elevator hoist;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꼭대기 위의 좌우 측벽 중의 어느 하나의 근방에 배치되고,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좌우 측벽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예각(銳角)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견인 활차;A pulley pulley disposed in the vicinity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n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ing path, and being driven to rotate about an axis of rotation extending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상기 견인 활차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 장치;A drive device for rotating the pulley;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지를 매달아 지탱하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로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한쪽은 상기 견인 활차의 전방측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다른쪽은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상기 한쪽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suspended from and supported by the cage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ge, and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on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is disposed near the front side of the towing pulley,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s The other side of the side pulley comprises: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disposed on the one front sid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상기 좌우 측벽 중의 어느 하나의 근방에서 상기 견인 활차보다 더 낮게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되는 전후방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로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전후방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의 한쪽은 상기 견인 활차의 후방측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방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의 다른쪽은 상기 전후방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의 상기 한쪽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전후방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A pair of front and rear first switching pulleys disposed lower than the towing pulley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being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in the front and rear pair of first switching pulleys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A front and rear pair of first switching pulleys arranged at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tow pulley and the other of the front and rear pair of first switching pulleys arranged at one rear side of the front and rear pair of first switching pulleys; 상기 후방 벽 근방에서 상기 전후방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보다 더 높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되는 제 2 전환 활차; 및A second shift pulley disposed higher than the front and rear pair of first shift pulleys near the rear wall, the second shift pulley being rotated about an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상기 견인 활차에 감기고, 그 일측 끝단은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를 통해 상기 케이지를 매달고, 그 타측 끝단은 상기 전후방 한쌍의 제 1 전환 활차와 제 2 전환 활차 및 상기 균형추측 활차를 통해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호이스트 로프를 포함하고,It is wound on the towing pulley, one end of which hangs the cage through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nd the other end of the balance weight through the front and rear pair of first and second switching pulleys and the counterweight guessing pulley. Includes a hoist rope for hanging,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상기 좌우 측벽 중의 어느 하나 사이의 제 1 각도는,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와 상기 좌우 측벽 중의 어느 하나 사이의 제 2 각도 보다 더 크고,As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a first angle betwee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ulley and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is greater than a second angle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nd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상기 견인 활차와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 사이의 제 3 각도가 0도 내지 45도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The tow pulley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arranged such that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a third angle betwee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w pulley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is 0 degrees to 45 degrees.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견인 활차와 같은 축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the drive unit is arranged to have the same axis as the towing pulle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호이스트 로프는 각각 4 ㎜ 내지 6 ㎜ 직경을 갖는 복수의 로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Said hoist rop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ropes each having a diameter of 4 mm to 6 m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견인 활차의 상기 회전축과 상기 케이지측 활차의 상기 회전축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0도 내지 30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said rotary shaft of said pulley and said cage-side pulley extend at an angle of 0 degrees to 30 degrees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상기 케이지의 좌우 측벽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지의 수직 투영형상(vertical projection)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disposed inside a vertical projection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 장치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said drive device is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overlaps said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견인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the towing pulley is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overlaps with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케이지의 상면 위에서 수평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을 갖는, 상기 케이지를 지탱하는 케이지 프레임; 및A cage frame for supporting the cage, the cage frame having an upper beam extending horizontally horizontally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And 상기 상부 빔과 상기 케이지의 상기 상면 사이의 수직 공간 내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그 중심부가 상기 상부 빔의 중심부에 접속되며, 그 양단부에서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를 지탱하는 케이지측 활차 지지 빔을 더 포함하고,A cage side pulley support beam inserted horizontally in a vertical space between the upper beam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the center portion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beam, and suppor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t both ends; Including more,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한쪽은 상기 상부 빔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다른쪽은 상기 상부 빔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And one sid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is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upper beam, a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is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upper beam.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케이지측 활차 지지 빔은 상기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의 아래쪽에 배치되고,The cage side pulley support beam is disposed below the rotation axis of the cage side pulley,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상기 한쪽은 상기 상부 빔의 후방 측벽에 대향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의 상기 다른쪽은 상기 상부 빔의 전방 측벽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one sid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faces the rear sidewall of the upper beam, a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faces the front sidewall of the top beam.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1020067026334A 2006-12-14 2004-06-01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Expired - Fee Related KR100871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334A KR100871361B1 (en) 2006-12-14 2004-06-01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334A KR100871361B1 (en) 2006-12-14 2004-06-01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99A KR20070024599A (en) 2007-03-02
KR100871361B1 true KR100871361B1 (en) 2008-12-02

Family

ID=3809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3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1361B1 (en) 2006-12-14 2004-06-01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36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69B1 (en) * 2018-06-04 2019-07-16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Heavy Duty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2034750B1 (en)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Right angle through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468A (en) * 1993-02-05 1994-08-23 Fujitsu General Ltd Elevator system
KR20000012456U (en) * 1998-12-18 2000-07-05 백영문 Elevator waiting time display device
JP2002145555A (en) * 2000-11-08 2002-05-22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JP2003306282A (en) * 2002-04-16 2003-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Elevator equipment
JP2004115161A (en) * 2002-09-24 2004-04-15 Toshiba Elevator Co Ltd Machine-roomless elevator
KR20050076197A (en) * 2004-01-20 2005-07-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Calling and reservstion apparatus for elevator and method thereof
KR200414576Y1 (en) 2005-12-19 2006-04-26 (주)에이치피엔알티 Generation elevator calling system and home network linked generation elevator call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468A (en) * 1993-02-05 1994-08-23 Fujitsu General Ltd Elevator system
KR20000012456U (en) * 1998-12-18 2000-07-05 백영문 Elevator waiting time display device
JP2002145555A (en) * 2000-11-08 2002-05-22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JP2003306282A (en) * 2002-04-16 2003-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Elevator equipment
JP2004115161A (en) * 2002-09-24 2004-04-15 Toshiba Elevator Co Ltd Machine-roomless elevator
KR20050076197A (en) * 2004-01-20 2005-07-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Calling and reservstion apparatus for elevator and method thereof
KR200414576Y1 (en) 2005-12-19 2006-04-26 (주)에이치피엔알티 Generation elevator calling system and home network linked generation elevator call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69B1 (en) * 2018-06-04 2019-07-16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Heavy Duty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2034750B1 (en)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Right angle through type machine roomless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99A (en)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63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401069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350988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US817204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41638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55174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US7562745B2 (en) Elevator with an operation space in a center of a machine room
KR100965162B1 (en) elevator
KR100871361B1 (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WO2018198232A1 (en) Elevator device
JP2006264862A (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JPWO2005056457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789518B1 (en)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