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15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through hotke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through hotke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1156B1 KR100871156B1 KR1020070039359A KR20070039359A KR100871156B1 KR 100871156 B1 KR100871156 B1 KR 100871156B1 KR 1020070039359 A KR1020070039359 A KR 1020070039359A KR 20070039359 A KR20070039359 A KR 20070039359A KR 100871156 B1 KR100871156 B1 KR 1008711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call service
- hotkey
- list
- servic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핫키가 눌러지면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전화번호부 모드로 연결되며, 여기에서 착신자를 검색 및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When a hotkey is pressed by a user, a list of call services of various special functions provided from a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displayed in a menu format. Selecting a desired service from the displayed list is connected to the phone book mode, and a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and selecting a called party to connect to a call are provided.
핫키, 피쳐코드, 영상통화, 음성통화, 감성통화 Hotkey, Feature Code, Video Call, Voice Call, Emotion Cal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2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3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video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video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video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s>
100: 발신 단말기 101: 키입력부100: calling terminal 101: key input unit
103: 표시부 105: 데이터 처리부103: display unit 105: data processing unit
107: 데이터베이스 200: 착신 단말기 107: database 200: called terminal
300: 발신측 교환기 400: 착신측 교환기 300: calling side exchange 400: called side exchange
500: 발신측 서버 600: 착신측 서버500: calling server 600: called server
본 발명은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에게 간단한 키 조작으로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easily and quickly providing call services having various special functions to users by simple key operations.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제 3세대 이동통신망 (예를 들면, W-CDMA망 또는 HSDPA망)이 구축되면서, 기존의 음성통화 서비스에만 국한되었던 것을 탈피해 통화자 간 영상을 통해 얼굴을 직접 보면서 통화하는 영상통화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제 3세대 이동통신망의 가입자들을 먼저 선점하기 위해 더욱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W-CDMA network or HSDPA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large amounts of data at high speed is established, and it is possible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video call while looking at the face directly through the video. Accordingly, mobile carriers are developing and providing call services with a variety of special functions in order to preempt subscribers of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first.
이러한 특수 기능의 서비스들은 이를 테면, 음성/영상통화 통화 중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통화내용을 녹음하고,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서로 이모티콘, 이미지, 플래시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주고 받음으로써 통화에 더욱 재미와 흥미를 더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음성분석을 통해 상대방의 상태 및 감정까지도 표시해주는 감성통화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더욱더 다양해지고 있다.These special features of the service, for example, by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call through the user terminal during the voice / video call, and by send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such as emoticons, images, flash and video between the caller and the called party more fun and In addition to the interest, more and more, ranging from the emotional call service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emotion of the other party through voice analysis.
그러나 만약 이동통신사에서 제공되는 이러한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어려운 키 조작을 요한다거나 각각의 서비스마다 서로 다른 피쳐코드(feature code)들을 일일이 직접 입력해야 한다면 호 접속 시간도 길어질 뿐만 아니라 각 피쳐코드에 대한 암기를 사용자의 기억력에 의존하거나 아니면 해당 매뉴얼을 찾아 익혀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However, if you require difficult key operation or need to input different feature codes for each service in order to use these various special function call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carrier, the call connection time will not only be long but also Memorization of the feature code depends on the user's memory, o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find and learn the manual.
또한 이동통신사에서 신규서비스가 개발되었을 경우,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직접 사업장을 방문하여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해 업데이트하거나 업데이트로 대체할 수 없을 경우엔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해야 하는 불편과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인 이동통신사는 신규서비스가 추가될 때마다 신규 단말기의 라인업을 해야함으로써, 이에 따른 노동과 시간 및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 In addition, when a new service is developed by a mobile carrier, a user who wants to use it must bear the inconvenience and economic burden of purchasing a new terminal if he / she cannot visit the workplace directly and update or replace the software with the update. . In addition, such a service provider, a mobile carrier, has to line up a new terminal every time a new service is added, resulting in labor, time, and economic losses.
본 발명은 음성/영상통화 시 제공되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들을 하나의 핫키에 묶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간단한 키 조작으로 쉽고 빠른 통화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users with easy and fast call service by simple key operation by tying various special function call services provided in a voice / video call into one hot ke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hot key)를 구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 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having at least one hot key and a plurality of calls by pressing a hot key of the key input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rvice list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are includ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피쳐코드를 독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독출된 피쳐코드를 이용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are displayed by pressing a hotkey and any one of the displayed list. If is selected, the step of reading a predetermined feature code included in the list and the step of connecting the call using the read feature cod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후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incoming number, and pressing a hotkey after the input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 is displayed And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lists to connect the cal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통화기록으로부터 착신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후 메뉴버튼을 누름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called number from the call record, and at least one by pressing a menu button after the selection; Displaying a submenu having a hotkey function, displaying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by selecting one of the submenus having at least one hotkey function, and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list. Making a call connec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통화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various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hotkey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발신 단말기로서 키입력부(101), 데이터 처리부(103), 표시부(105) 및 데이터베이스(107)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키입력부(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전용키, hot key)를 구비하며, 상기 핫키를 누르면 특수 기능의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단말기 내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그 자체로 하나의 독립된 어플리케이션, 팝업(pop-up) 또는 티커(tic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통통신사에 서 새로운 통화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통화서비스 리스트에 기능이 추가, 삭제 및 변경되었을 경우, 신규 단말기의 라인업 없이도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통신사의 가입자에게 보다 쉽고 빠른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는 상기 키입력부(101)의 핫키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선택될 때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07)에 기저장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를 비교하여 갱신하며 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103 processe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in association with a databas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by a hot key of the
즉, 상기 표시부(105)는 핫키에 의한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단말기 창에 메뉴판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로부터 갱신된 통화서비스 존재시 이를 단말기 창에 표시한다. 여기서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란 신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추가 또는 기존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기능의 추가, 삭제 및 변경 모두를 말한다.That is, the
상기 데이터베이스(107)는 핫키에 의한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에 대한 버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103)로부터 일련의 과정을 거쳐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를 전송받아 다시 저장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2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through a hot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를 구비하여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에 대한 호 접속 요청 신호를 발신한다. 이때,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는 각각의 통화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피쳐코드(feature code)와 착신번호를 포함한다. 2, the
또한,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에는 영상통화를 위한 영상호 접속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식별자 또는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호 접속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통화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영상통화 식별자는 '*'로 설정하고 음성통화 식별자는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 식별자들이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아니며 이 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further include a video call identifier including video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for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identifier including voice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for a voice call. For example, the video call identifier may be set to '*' and the voice call identifier may be set to '#'. Of course, the video call or voice call identifiers are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variously set.
즉, 상기 호 접속 요청 신호의 음성/영상통화 식별자에 따라 음성통화를 할 것인지 또는 영상통화를 할 것인지가 결정되고, 각각의 피쳐코드에 따라 다수의 특수 기능의 음성/영상통화서비스 중 해당 피쳐코드에 상응하는 서비스가 착신번호로 접속되어 수행된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ake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according to the voice / video call identifier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feature code among a plurality of special function voice / video call services according to each feature cod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alled number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핫키는 영상통화서비스 리스트와 음성통화서비스 리스트가 하나의 핫키에 통합되거나, 각각의 영상/음성통화서비스 리스트가 각각의 핫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The hotkey provided in the called
또한, 상기 핫키는 이를 짧게 누를 경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설정된 시간보다 길게 누를 경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로 바로 접속되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hot key has a function of directly acces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preset by the user when the user presses it for a short time and displays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in a menu type.
착신 단말기(200)는 상기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발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호 연결을 완성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200)가 반드시 핫키를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called
발신측 및 착신측 교환기(300 및 400)는 상기 발신 및 착신 단말기(100 및 200)로부터 발/착신되는 신호 전송을 위해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교신한다.The source an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 기지국의 교환기(300 및 400)에 서버(VSCS: 500 및 600)가 연결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3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servers (VSCS) 500 and 600 are connected to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측 서버(500)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발신측 교환기(300)에 연결되며 상기 발신측 교환기(300)로부터 각 피쳐코드에 따라 라우팅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통화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하여 처리 및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riginating server 500 is connected to the originating exchange 300 shown in FIG. 2 and receives a signal routed according to each feature code from the originating exchange 300 and corresponds thereto. Program, process, and transmit call services.
착신측 서버(600)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착신측 교환기(400)에 연결되며 상기 착신측 교환기(4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해 호 착신신호로 프로그램하여 처리 및 전송한다.The called
특히, 상기 발신측 서버(500)는 음성통화의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영상통화시 통화 내용을 녹음하거나 또는 통화중 서로에게 이모티콘, 이미지, 플래시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주고 받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착신자의 음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착신자의 감정상태를 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전송해 줌으로써, 좀 더 다양한 멀티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통화서비스에 최적화된 서버이다. In particular, the calling server 500 not only provides various call services of a voice call, but also records a call during a video call or exchange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emoticons, images, flashes, and videos to each other during a call, or periodically By analyzing the receiver's voice and transmitting the caller's emotional state in real time so as to check through the screen, the server is optimized for a video call service that enables a variety of multi-call.
또한, 상기 발신측 서버(500)는 통화가 끝난 후 통화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수치로 변환하여, 이를 테면, 사랑 지수 또는 진실 지수와 같은, 상기 결과를 MMS (Multimedia Messesing System)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alling server 500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call after the call is completed and converts the result into a numerical value, and transmits the result, such as a love index or a truth index, to the MMS (Multimedia Messesing System). .
또한, 상기 발신측 서버(50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어 서비스된 통화내용을 인터넷 망을 통하여 해당 사이트의 서버로 전송하며, 그리하여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도 이를 보관, 열람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alling server 500 transmits the servic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server of the corresponding sit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thus allows the user to store, view and modify it on the Internet.
또한, 상기 하나의 핫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특수 기능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단말기 내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리스트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ll service list of various special functions provided by the one hot key may be a list provided embedded in the terminal or may be a list provided from the server 5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후자의 경우, 상기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는 어플리케이션, 팝업(pop-up) 또는 티커(ticker)로 구현함으로써, 이통통신사에서 새로운 통화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기능이 추가, 삭제 및 변경되었을 경우, 보다 쉽고 빠른 다양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능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latter case, the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may be implemented by an application, a pop-up or a ticker, thereby developing a new call service in a telecommunication carrier or adding, deleting, or changing a function of an existing call service lis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list of various call services more easily and quickly, thereby reducing user inconvenience and providing an active user interface.
이러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을 위해 상기 발신측 서버(500)에서 푸쉬(push)방식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며, 핫키에 의해 다수의 통화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때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In order to update the call service list, the caller server 500 transmits the call service list to the
또는, 이러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갱신을 위해 상기 발신측 서버(500)로부 터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선택될 때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와 상기 발신 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105)에 기저장되어 있는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를 비교하여 갱신될 사항을 사용자의 단말기 창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05)로 전송한다.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on the version of the updated call service list is periodically updated from the calling server 500 or at least one call request is requested by the user for the update of the call service list. The version information of the call service list pre-stored in the
상기 표시부(105)에 갱신될 통화서비스가 표시되면, 이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발신측 서버(500)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갱신할 수 있다. 이렇게 갱신된 통화서비스는 핫키에 의해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때 반영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갱신된 통화서비스 리스트의 버전정보는 다시 상기 데이터베이스(107)에 저장된다.When the call service to be updated is displayed on the
도 4,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도시하며, 여기서 각 도면에 도시된 단말기의 핫키는 특수 기능의 영상통화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핫키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상기 핫키를 영상통화서비스에만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특수 기능의 다양한 음성통화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다4, 5, and 6 illustrate a method of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by using the hot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erein the hotkey of the terminal shown in each drawing provides only a video call service having a special function. Although it is shown as a hotkey,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hotkey only to a video call service, but may also provide various voice call services with special functions.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다.4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arious video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핫키를 짧게 누르면 다수의 '영상 메세지 서비스'가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이중 '영상 사랑탐지기'서비스를 선택하여 '전화번호부' 모드로 연결되면, 여기서 착신자를 검색 및 선택하 여 호를 발신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a hot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riefly pressed, a plurality of 'video message services' are displayed in a menu type, and when the 'video love detector' service is selected, the 'phone book' mode is connected. Here, a method of searching for and selecting a called party to make a call is shown.
또한, 단말기의 핫키를 일정시간 보다 길게 누르면 영상편지 녹화 모드로 바로 접속되는 방법이 도시된다.Also, a method of directly accessing the video letter recording mode by pressing a hot key of th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s shown.
다시 말해,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피쳐코드를 독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독출된 피쳐코드를 이용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쳐코드를 독출한 후 사용자에 의한 직접입력 또는, 전화번호부 검색 및 통화기록부로부터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In other words, the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using the hotke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displaying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by pressing a hotkey, and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lists. Reading the included preset feature code and connecting a call using the read feature code. In addition, after reading the feature code further comprises a step of directly input by the user, or receiving the incoming number from the phone book search and call log.
또한, 핫키를 설정시간보다 길게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예를 들면, 영상편지 녹화 모드와 같은 어느 하나로 바로 접속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로써 한번의 키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서비스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essing the hot key longer than the set tim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directly acces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previously set by the user, such as a video letter recording mode. Pre-set services can be used easily and simply.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다.5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arious video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창에 착신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 핫키를 누르면 다수의 '영상 메시지 서비스'가 메뉴판 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이중 '영상 사랑탐지기'를 선택하여 호를 발신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a hot key is directly inputted after entering a called number directly into a window of a terminal, a plurality of 'video message services' are displayed in a menu format, and among them, 'video love detector' is selected to send a call. The method is shown.
다시 말해,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 창에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 후 핫키를 누름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ther words, a method of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receiving a called number on a terminal window, displaying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by pressing a hotkey after the input; And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list to connect the call.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다양한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다.6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video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통화버튼을 눌러 '최근 통화 내역'에서 착신번호를 선택한 후 단말기 창의 왼쪽 하단의 메뉴버튼을 누르면 다수의 하위 메뉴 중 '영상 메시지' 목록을 볼 수 있다. 이는 핫키 기능을 갖는 핫키메뉴로서 이를 선택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영상 메시지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이중 '영상 사랑탐지기'를 선택하여 호를 발신하는 방법이 도시된다.As shown in Figure 6, by pressing the call button of the terminal to select the called number in the 'recent call history' and then press the menu button on the bottom left of the terminal window, you can see a list of 'video message' of a plurality of sub-menus. This is a hotkey menu having a hotkey function. When this is selected,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plurality of 'video message services' are displayed, and a method of sending a call by selecting 'video love detector' is shown. do.
다시 말해,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통화기록으로부터 착신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후 메뉴버튼을 누름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핫키 기능을 가지는 하위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통화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ther words, a method of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using a hotke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selecting a called number from a call log and pressing a menu button after the selection, and having a submenu having at least one hotkey function. Displaying a plurality of call service lists by selecting one of the submenus having the at least one hotkey function, and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lists to connect a call. do.
도 4, 5 및 6에서, '*01'은 '영상 사랑탐지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피쳐코드이고, '01012345678'은 착신번호이다. 상기 피쳐코드는 제공되는 영상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영상 콜중진담'은 '*02', '영상 녹화콜'은 '*03', '영상 회의'는 '*04', '영상 립싱크'는 '*05' 식으로 각기 다른 피쳐코드를부여하여 사용자에 의한 호 접속 요청시 착신번호와 함께 전송한다.4, 5 and 6, '* 01' is a feature code for providing a 'video love detector' service, '01012345678' is a called number. The feature code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ideo service provided. For example, 'video call' is' * 02 ',' video recording call 'is' * 03', 'video conference' is' * 04 ',' The image lip sync is assigned with different feature codes in the form of '* 05' and transmitted with the called number when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made by the us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특수 기능의 음성/영상통화 시 핫키를 사용하여 쉽고 빠르게 서비스에 접속하는 효과가 있으며, 주기적으로 또는 신규서비스가 개발될 때마다 리스트의 추가 및 보완을 위해 자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키고 능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and quickly accessing a service by using a hot key in a voice / video call of various special functions, so that it can be updated automatically for adding and supplementing a list periodically or whenever a new service is developed. Thu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and providing an active user interfac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359A KR100871156B1 (en) | 2007-04-23 | 2007-04-23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through hotkey |
PCT/KR2008/001596 WO2008130101A1 (en) | 2007-04-23 | 2008-03-21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using hot key and method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
JP2010503959A JP2010525652A (en) | 2007-04-23 | 2008-03-2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using hot keys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s |
CN200880013304A CN101682350A (en) | 2007-04-23 | 2008-03-21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using hot key and method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359A KR100871156B1 (en) | 2007-04-23 | 2007-04-23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through hotke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5051A KR20080095051A (en) | 2008-10-28 |
KR100871156B1 true KR100871156B1 (en) | 2008-12-05 |
Family
ID=3987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9359A KR100871156B1 (en) | 2007-04-23 | 2007-04-23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through hotkey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0525652A (en) |
KR (1) | KR100871156B1 (en) |
CN (1) | CN101682350A (en) |
WO (1) | WO200813010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64733B1 (en) | 2016-06-29 | 2019-08-07 | Unify Patente GmbH & Co. KG | Method of providing a recent event list, software product, telecommunications device and system |
CN107968879B (en) * | 2017-11-15 | 2021-05-18 | 宁波麦博韦尔移动电话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making video cal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2755A (en) | 2002-05-31 | 2003-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searching a phone number in mobile phone |
KR20040088175A (en) | 2003-04-09 | 2004-10-16 | 주식회사 팬택 | To call through shortcut menu confirma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38761A (en) * | 1989-03-13 | 1990-09-21 | Toshiba Corp | Telephone system |
JP2001086219A (en) * | 1999-09-10 | 2001-03-30 | Nec Mobile Commun Ltd |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
JP2001103153A (en) * | 1999-09-29 | 2001-04-13 | Kyocera Corp | Mobile phone |
JP2002044729A (en) * | 2000-07-27 | 2002-02-08 | Sony Corp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JP2003044207A (en) * | 2001-07-26 | 2003-02-14 | Fujitsu Ltd |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JP3905742B2 (en) * | 2001-10-31 | 2007-04-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Electronic equipment with menu function |
JP2004229064A (en) * | 2003-01-24 | 2004-08-12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Additional number display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JP2004260299A (en) * | 2003-02-24 | 2004-09-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videophone |
KR20060078883A (en) * | 2004-12-30 | 2006-07-05 | 브이케이 주식회사 | How to invoke a hotkey function specified by a mobile phone user |
JP2006195002A (en) * | 2005-01-11 | 2006-07-27 | Xing Inc | Content distribution system |
KR100672529B1 (en) * | 2005-04-27 | 2007-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hone book search method and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100731619B1 (en) * | 2005-09-26 | 2007-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lling method using keyboard shortcut |
-
2007
- 2007-04-23 KR KR1020070039359A patent/KR10087115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3-21 CN CN200880013304A patent/CN101682350A/en active Pending
- 2008-03-21 WO PCT/KR2008/001596 patent/WO200813010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3-21 JP JP2010503959A patent/JP2010525652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2755A (en) | 2002-05-31 | 2003-1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of searching a phone number in mobile phone |
KR20040088175A (en) | 2003-04-09 | 2004-10-16 | 주식회사 팬택 | To call through shortcut menu confirm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525652A (en) | 2010-07-22 |
WO2008130101A1 (en) | 2008-10-30 |
CN101682350A (en) | 2010-03-24 |
KR20080095051A (en) | 2008-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17400C2 (en) | Unified contact database with availability status indicator | |
US1062168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ag from a conversation in a social networking website | |
KR101718770B1 (en) |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87115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through hotkey | |
US10437437B1 (en) | Method and device for appending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 in a voice based networking website | |
KR101879785B1 (en) | The method to syncronize both web/app session and phone channel on Visual-IVR systems | |
KR20110008171A (en) | How to establish telecommunication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mobile terminals | |
CN113672152B (en) | Display method and device | |
KR100598978B1 (en) | Speed Dial System and Method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
KR101440527B1 (en) | Right call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nnecting customer and counselor directly without voice information process and right call voice information service process using the same | |
KR10166902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honebook in portable terminal | |
KR101514294B1 (en) | Method for guiding caller information | |
KR101531309B1 (en)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application after a call | |
KR102368142B1 (en) | Extension phone management system with app capable of real-time phone number update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0731619B1 (en) | Calling method using keyboard shortcut | |
KR100762665B1 (en) | Outgoing Method in Roaming Service | |
KR20140085634A (en) | The integrated messenger | |
KR101422154B1 (en)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being able to provide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telephone number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telephone number | |
KR20140110966A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ompt information to a user in a communication system | |
KR10158954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mmunication history | |
KR20020006267A (en) | Network connecting system and its method using numbers | |
KR20190100724A (en) | Method, Server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lural ARS server | |
KR10067931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unterpart information display service using voice recording | |
KR20020091622A (en) | Method for detecting telephon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 |
KR20140032679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mmunication history based on lo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