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960B1 - Packing of airtight containers - Google Patents
Packing of airtight contai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0960B1 KR100870960B1 KR1020070096882A KR20070096882A KR100870960B1 KR 100870960 B1 KR100870960 B1 KR 100870960B1 KR 1020070096882 A KR1020070096882 A KR 1020070096882A KR 20070096882 A KR20070096882 A KR 20070096882A KR 100870960 B1 KR100870960 B1 KR 1008709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ing
- lid
- closed
- coupling portion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상향 개구 둘레영역에 밀폐단부와 밀폐림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향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밀폐단부에 대응하는 하부에 패킹결합부가 형성된 뚜껑을 갖는 밀폐용기의 상기 패킹결합부에 결합되는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패킹결합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밀폐단부와 접촉하는 단부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결합부와, 상기 패킹결합부와 상기 밀폐단부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측면접촉부와, 상기 패킹결합부와 상기 밀폐림 사이에 개재되는 밀폐림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upled to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of the airtight container having a closed end portion and a closed rim formed in the upper opening circumferential region and a lid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ward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a packing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losed end portion. As the packing is to be connected, the li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and the bottom contact surface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closed end portion, the side contact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and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e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losed rim contact between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and the closed rim.
이에 의해, 밀폐력이 강력하게 유지되어 뚜껑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의 패킹이 제공된다. Thereby, the sealing force is strongly maintained and the lid is not opened arbitrarily, and the packing of the airtight container which a user can hold easily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구조가 개선된 밀폐용기의 패킹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ing of a seale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ing of a sealed container having an improved sealed structure.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음식물 등의 수납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 및 음식물 액의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한 밀폐력에 의해 제품의 성능이 좌우된다. In general, the sealed container is mainly used for the storage of food, etc.,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is determined by the sealing force for long-term storage of food and preventing the outflow of food liquid.
이러한 밀폐용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음식물 등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향개구를 개폐하는 뚜껑과,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such a sealed container was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for forming a receiving space such as foo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ward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a packing for sealing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그리고, 뚜껑과 용기본체의 상호 밀폐상태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구조로서, 뚜껑의 둘레변에는 회동 작용하는 잠금날개가 마련되어 있었고, 용기본체의 둘레면에는 잠금날개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as a structur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sealed state between the lid and the container body, a locking wing that rotates on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id is provided, and a locking portion that locks and lock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Had a formed structure.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밀폐용기는 외부 충격 또는 빈번한 사용에 의해 잠금날개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뚜껑을 개폐할 때 잠금날개를 회동 조작시켜 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airtight container has a problem that the lock wing is easily broken by external impact or frequent us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lock wing is rotated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진공 상태를 해제하여 뚜껑(120)을 개폐하는 밀폐용기(101)가 개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S. 1 and 2, a hermetically sealed
이 밀폐용기(101)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술한 종래 밀폐용기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등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상향개구를 개폐하는 뚜껑(120)과, 용기본체(110)와 뚜껑(120)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130)과, 용기본체(1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진공 해제하는 진공밸브(125)로 구성되어 있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ealed
이렇게 구성된 밀폐용기(101)의 밀폐 및 밀폐상태의 해제는 진공밸브(125)의 진공 조작 상태에 따라서 용기본체(110)의 상단 둘레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뚜껑(120)의 하부면 둘레영역이 패킹(13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sealing and the release of the sealed state of the sealed
밀폐용기(101)의 밀폐 및 밀폐상태 해제를 위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뚜껑(120)의 상면 일영역에 만곡되게 함몰된 밸브설치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설치부(121)의 저부면에는 관통된 공기유동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설치부(121)에는 탄성력에 의해 밸브설치부(121)의 판면에 밀착 및 이격되어 공기유동공(122)을 개폐하는 진공밸브(125)가 결합되어 있다. 이 진공밸브(125)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밀착력과 밀폐력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Looking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for sealing and releasing the sealed state of the
그리고, 뚜껑(120)의 하부 둘레면에는 패킹(130)이 결합되는 패킹결합홈(123)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용기본체(110)의 상단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패킹결합홈(123)에 형상 맞춤되도록 삽입되어 패킹(130)에 밀착되는 밀폐단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밀폐용기(101)는 뚜껑(120)으로 용기본체(110)의 상향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뚜껑(12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면, 뚜껑(120)의 판면이 탄성력에 의해 용기본체(110)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용기본체(110) 내부의 체적을 축소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용기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밸브설치부(121)의 공기유동공(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용기본체(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진공밸브(125)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공기유동공(122)과 이격된 개방상태가 된다. In the conventional hermetically sealed
그리고, 뚜껑(120)의 상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뚜껑(12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는데, 이때, 용기본체(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동공(122)을 통해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려는 작용과 진공밸브(1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진공밸브(125)가 공기유동공(122)을 차단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에 의해 뚜껑(120)이 용기본체(110)와 진공흡착상태를 이루면서 용기본체(110)의 상단 둘레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뚜껑(120)의 하부면 둘레영역이 패 킹(13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됨으로써, 밀폐용기(101) 내부는 진공 상태로 밀폐된다. As a result, the
한편, 밀폐용기(101)의 밀폐상태를 해제할 때는 사용자가 진공밸브(125)를 밸브설치부(121)의 판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용기본체(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동공(122)을 통해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밀폐용기(101)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대기압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용기본체(110)로부터 뚜껑(12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sealed state of the
이에 의해, 잠금날개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소정의 밀폐력을 유지하면서 뚜껑(120)으로 용기본체(110)를 개폐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공 조작에 의한 밀폐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에 있어서는 뚜껑의 패킹결합홈에 결합된 단순한 사각단면구조의 패킹에 용기본체의 상단 밀폐단부가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과 용기본체의 밀폐단부 간의 접촉면이 매우 협소하게 형성되어 밀폐력이 약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tight container having a closed structure by the vacuum opera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of the simpl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coupled to the packing coupling groove of the lid, the packing and the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losed end of the main body is formed very narrow and the sealing force is weakly formed.
이에 의해, 밀폐용기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뚜껑을 파지하게 되면, 약한 밀폐력에 의해 뚜껑이 임의로 개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As a result, when the lid is gripped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sealed container,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lid is arbitrarily opened by a weak sealing force.
또한, 이러한 종래 밀폐용기는 잠금날개가 구비된 전술한 종래 밀폐용기에 비해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땅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 손으로 밀폐용기를 파지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hold it with one han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provided with a lock wing, and thus it is not easy to hold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with one hand. There was th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력이 강력하게 유지되어 뚜껑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의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ing of a sealed container in which the sealing force is strongly maintained so that the lid is not opened arbitrarily, and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li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향 개구 둘레영역에 밀폐단부와 밀폐림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향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밀폐단부에 대응하는 하부에 패킹결합부가 형성된 뚜껑을 갖는 밀폐용기의 상기 패킹결합부에 결합되는 패킹에 있어서, 상기 패킹결합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상기 밀폐단부와 접촉하는 단부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결합부와, 상기 패킹결합부와 상기 밀폐단부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측면접촉부와, 상기 패킹결합부와 상기 밀폐림 사이에 개재되는 밀폐림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패킹에 의해 달성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al the container body having a closed end portion and a closed rim formed in a region around the upward opening, and a lid having a packing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losed end to open and close the upward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 packing coupled to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li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n end contact surfac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sealed end portion, and between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and the sealed end outer surface. It is achieved by the packing of the airtight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ide contact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airtight rim contact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and the closed rim.
여기서, 상기 패킹결합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리브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리브와, 상기 내측리브와 상기 외측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패킹슬릿을 갖는 ∩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결합부는 상기 패킹슬릿에 결합되고, 상기 측면접촉부는 상기 뚜껑결합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상기 밀폐림접촉부는 상기 측면접촉부로부터 상기 외측리브 하단부와 상기 밀폐림 사이에 개재되도록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has a cross section having an inner rib position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 outer rib positioned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a packing slit formed between the inner rib and the outer rib. Formed into a shape; Preferably, the li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packing slit, the side contact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lid coupling portion, and the closed rim contact portion extends from the side contact portion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outer rib and the closed rim. .
그리고, 상기 측면접촉부와 상기 밀페림접촉부와 함께 상기 외측리브의 하부 영역을 감싸면서 상기 패킹결합부 외측면에 노출되는 마찰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Further, it is effective to further include a friction gripp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while surrounding the lower region of the outer rib together with the side contact portion and the sealing contact portion.
이때, 상기 마찰파지부의 외부 노출면에는 마찰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fri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externally exposed surface of the friction gripping portion.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밀폐단부 상단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접촉면은 상호 형상맞춤되는 곡면형상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losed end of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t is more effective that the end contact surface is a curved shape that is mutually matched.
또한, 상기 측면접촉부로부터 상기 밀폐단부 측으로 돌출된 밀폐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a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contact portion toward the closed end.
이에 의해, 밀폐력이 강력하게 유지되어 뚜껑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의 패킹이 제공된다. Thereby, the sealing force is strongly maintained and the lid is not opened arbitrarily, and the packing of the airtight container which a user can hold easily is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의 밀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킹(30)을 갖는 밀폐용기(1)는 상향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상향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20)을 가지고 있으며; 패킹(30)은 후술할 뚜껑(20)의 하부 둘레면에 형성된 패킹결합부(23)에 결합된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ed container having a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aling process of the sealed container having a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ealed
용기본체(10)는 일반적인 밀폐용기와 마찬가지로 상향개구된 통형상을 가지 고 있고, 그 상부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패킹(30)에 접촉되는 밀폐림(13)과 밀폐림(13)의 상부로 연장된 밀폐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밀폐단부(11)의 상단 단면 형상은 패킹(30)과의 접촉면 증대를 위해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상향개구에 대응하는 면적과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판상부(21)와, 판상부(21)의 하부면 둘레영역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패킹결합부(2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이 뚜껑(20)은 전술한 종래 밀폐용기(101)의 뚜껑(20)과 마찬가지로 판상부(21) 일영역에 진공밸브(25)를 마련하여 별도의 잠금구조 없이 용기본체(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진공밸브(25)는 전술한 종래 밀폐용기(101)의 진공밸브(125)와 동일한 것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여타 일반적인 진공 조작 구조를 갖는 종래 밀폐용기(101)의 진공밸브(125) 등 다양한 형태의 진공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또한, 뚜껑(20)은 진공밸브(25)가 아닌 잠금날개(미도시) 구조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0)를 밀폐시킬 수도 있다. 이 잠금날개(미도시) 구조는 뚜껑(20)의 판상부(21) 둘레영역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밀폐림(13)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진공밸브(25) 구조를 갖는 뚜껑(20)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뚜껑(20)의 하부면 둘레영역에 형성되는 패킹결합부(23)는 용기본체(10)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리브(23a)와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리브(23b)와 내측리브(23a)와 외측리브(23b) 사이에 형성되는 패킹슬릿(23c)을 갖는 ∩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여기서, 외측리브(23b)는 단면투영시 하부로 갈수록 폭의 좁아지는 하향 테이퍼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외측리브(23b)의 하부 영역 외측면에는 후술할 패킹(30)의 마찰파지부(35)가 형상맞춤되도록 내향 단차진 패킹외측결합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패킹외측결합부(23d)는 후술할 패킹(30)의 구조에서 마찰파지부(35)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배제될 수 있다. Her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패킹(30)은 탄성력과 밀착력 및 밀폐력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후술할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에 대응하는 띠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 패킹(30)은 단면 형상으로 볼 때, 뚜껑(20)의 패킹슬릿(23c)에 삽입되는 뚜껑결합부(31)와, 뚜껑결합부(31)로부터 하향연장되어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외측면과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 외측리브(23b) 사이를 밀폐시키는 측면접촉부(33)와, 측면접촉부(33)와 함께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 외측리브(23b) 하부 영역을 감싸는 마찰파지부(35)와, 측면접촉부(33)와 마찰파지부(35)의 하단부를 연결하면서 용기본체(10)의 밀폐림(13)에 접촉하는 밀폐림접촉부(36)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뚜껑결합부(31)의 하부면은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상단이 접촉되는 단부접촉면(31a)으로서, 단부접촉면(31a)은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에 대응하 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접촉면 증대를 위해 바람직하다. 이때, 단부접촉면(31a)은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가 소정 깊이 삽입되는 곡면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마찰파지부(35)의 외표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때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패서 다수의 돌기와 같은 마찰패턴(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찰파지부(35)는 경우에 따라서 패킹(30)의 전체 구조에서 배제될 수도 있다. 즉, 패킹(30)의 구조가 뚜껑결합부(31)와 측면접촉부(33) 및 밀폐림접촉부(36)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밀폐림접촉부(36)는 측면접촉부(33)와 마찰파지부(35)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는 뚜껑(20)으로 용기본체(10)를 밀폐시키는 과정에서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상단이 뚜껑결합부(31)를 가압하면 뚜껑결합부(31)가 압축되면서 측면접촉부(33)가 변형되어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와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 외측리브(23b)에 원활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losed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패킹(30)은 외측리브(23b)에 대면하는 뚜껑결합부(31)와 측면접촉부(33)의 외측면은 외측리브(23b)의 하향 경사진 면에 대해 소폭의 간격을 갖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acking 3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outer surface of the
이는 뚜껑(20)의 패킹슬릿(23c) 내에 패킹(30)의 뚜껑결합부(31)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20)으로 용기본체(10)를 밀폐시키는 과정에서 패킹(30)의 측면접촉부(33)가 패킹슬릿(23) 내부의 공기를 밀어내면서 외측리브(23b)에 밀착되도록 하여 밀폐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This allows the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패킹(30)을 갖는 밀폐용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 상부에 뚜껑(20)을 위치시킨 후, 도 5와 같이, 뚜껑(20)으로 용기본체(10)의 상향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도 5의 화살표 "P"와 같이 뚜껑(2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면, 뚜껑(20)의 판면이 탄성력에 의해 가상선 "A"와 같이 용기본체(10)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용기본체(10) 내부의 공기가 개방된 진공밸브(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4, the sealed
그리고, 뚜껑(20)의 상면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뚜껑(2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용기본체(1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진공밸브(25)가 차단되고, 뚜껑(20)의 복원력에 의해 화살표 "S"와 같이, 패킹결합부(23)가 패킹(30)을 사이에 두고 밀폐단부(11)에 강력하게 밀착된다. Then,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에 의해 뚜껑(20)이 용기본체(10)와 진공흡착상태를 이루면서 용기본체(10)의 상단 밀폐단부(11)와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가 패킹(3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됨으로써, 밀폐용기(1) 내부는 진공 상태로 밀폐된다. As a result, the
이때,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및 밀폐림(13)과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와 패킹(30) 간의 접촉 밀폐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 패킹결합부(23)의 패킹슬릿(23c) 내면과 이에 대응하는 용기본체(10)의 밀패단부 상단 외면 사이 영역과,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 외측리브(23b) 하부영역과 용기본체(10)의 밀폐림(13) 사이 영역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밀폐면적이 매우 크게 형성 되어 밀폐력이 향상된다. At this time, the
또한, 밀폐단부(11)와 이에 대응하는 패킹(30)의 뚜껑결합부(31) 단부접촉면(31a)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접촉면이 더욱 증대되어 밀폐력이 보다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sealing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상단이 패킹(30)의 뚜껑결합부(31)를 가압하면, 뚜껑결합부(31)와 측면접촉부(33) 및 밀폐림접촉부(36)가 변형되면서 패킹(30)의 뚜껑결합부(31)는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상단면과 뚜껑(20)의 패킹슬릿(23c) 내부면에 극대화된 밀착력으로 밀착되고, 패킹(30)의 측면접촉부(33) 역시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외측면과 뚜껑(20)의 패킹결합부(23) 외측리브(23b)에 극대화된 밀착력으로 밀착된다. 또한, 패킹(30)의 밀폐림접촉부(36)가 패킹결합부(23)의 외측리브(23b) 하단부와 용기본체(10)의 밀폐림(13)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뚜껑(20)과 용기본체(10) 간의 밀폐력은 현격하게 향상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upper end of the
한편, 이렇게 밀폐된 밀폐용기(1)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들어올릴 때, 사용자의 손은 밀폐용기(1) 외부로 노출된 패킹(30)의 마찰파지부(35)에 접촉됨으로써, 미끄러짐 없이 밀폐용기(1)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grips and lifts the hermetically sealed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의 밀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 시예에 따른 패킹(30)은 전술한 밀폐용기의 패킹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측면접촉부(33)로부터 용기본체(10)의 밀폐단부(11) 측으로 돌출된 밀폐돌기(33a)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aling process of the sealed container having a pac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acking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acking of the sealed container described above, from the
이 밀폐돌기(33a)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으로 용기본체(10)를 밀폐시키는 과정에서 밀폐돌기(33a)가 용기본체(10)의 곡면형상의 밀폐단부(11) 일측에 접촉되면서 가압되어 밀폐단부(11)와 패킹(30)의 단부접촉면(31a) 간에 형성될 수 있는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밀폐단부(11)와 단부접촉면(31a)간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7 to 9, the seal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본체의 밀폐단부와 뚜껑의 패킹결합부와 패킹 간의 접촉영역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밀폐력이 매우 강력하게 형성되어 뚜껑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는다. As such, the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contact area between the sealed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packing coupling part of the lid and the packing, so that a tight sealing force is formed so that the lid is not opened arbitrarily.
또한, 사용자가 밀폐용기를 한 손으로 파지하더라도 패킹의 마찰파지부의 마찰력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폐용기를 파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grips the sealed container with one hand, the user can grip the sealed container stably without slipping due to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riction gripping portion of the packing.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밸브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having a conventional vacuum valve structure;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의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ed container having a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의 밀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to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aling process of the sealed container having a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의 밀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aling process of the sealed container having a pac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용기본체 11 : 밀폐단부10: container body 11: closed end
20 : 뚜껑 25 : 진공밸브20: lid 25: vacuum valve
23 : 패킹결합부 30 : 패킹23: packing coupling part 30: packing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6882A KR100870960B1 (en) | 2007-09-21 | 2007-09-21 | Packing of airtight contai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6882A KR100870960B1 (en) | 2007-09-21 | 2007-09-21 | Packing of airtight contain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0960B1 true KR100870960B1 (en) | 2008-12-01 |
Family
ID=4037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68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0960B1 (en) | 2007-09-21 | 2007-09-21 | Packing of airtight contai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096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2731B1 (en) * | 2012-03-19 | 2014-02-14 | 주식회사 디케이조명 | Lighting apparatus with airtightness packing struc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81350A (en) | 1996-08-30 | 1998-03-31 | Dsm Nv | Cover for container having folded top edge |
JPH10120043A (en) | 1997-04-09 | 1998-05-12 | Kyoko Mizoguchi | Container for use in microwave oven |
JPH11121245A (en) | 1997-10-14 | 1999-04-30 | Kyushu Henatsuki Kk | Sealed container and the same for electric machinery |
JP3096724U (en) * | 2003-03-13 | 2003-10-03 | 喜久雄 坪根 | Closed container |
KR200425701Y1 (en) | 2006-06-17 | 2006-09-13 | 장두진 | One Touch Airtight Container |
-
2007
- 2007-09-21 KR KR1020070096882A patent/KR1008709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81350A (en) | 1996-08-30 | 1998-03-31 | Dsm Nv | Cover for container having folded top edge |
JPH10120043A (en) | 1997-04-09 | 1998-05-12 | Kyoko Mizoguchi | Container for use in microwave oven |
JPH11121245A (en) | 1997-10-14 | 1999-04-30 | Kyushu Henatsuki Kk | Sealed container and the same for electric machinery |
JP3096724U (en) * | 2003-03-13 | 2003-10-03 | 喜久雄 坪根 | Closed container |
KR200425701Y1 (en) | 2006-06-17 | 2006-09-13 | 장두진 | One Touch Airtight Contai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2731B1 (en) * | 2012-03-19 | 2014-02-14 | 주식회사 디케이조명 | Lighting apparatus with airtightness pack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90722B2 (en) | Vacuum receptacle lid for easy sealing | |
JP6189871B2 (en) | Rubber sealant for vacuum container and vacuum container lid using the same | |
KR101613482B1 (en) | Airtight container | |
KR101147005B1 (en) | Button type container lid | |
JP2016513050A (en) | Vacuum vessel check valve and vacuum vessel lid using the same | |
KR101827129B1 (en) | Airtight vacuum container | |
KR100870960B1 (en) | Packing of airtight containers | |
KR20070120007A (en) | One Touch Airtight Container | |
KR100802404B1 (en) | Vacuum Valve-operated Sealed Container | |
JP3180743U (en) | Airtight container with valve | |
KR200433727Y1 (en) | Airtight lid for food container | |
KR200441528Y1 (en) | Airtight container lid | |
WO2014000146A1 (en) | Airtight cover | |
JPH111279A (en) | Food container | |
KR101108080B1 (en) | Airtight container packing | |
WO2008131583A1 (en) | Sealed container of vacuum-pumping | |
JP3225210U (en) | Vacuum freshness storage container | |
KR200413849Y1 (en) | Lid for food container | |
KR101117557B1 (en) | Vinyl bag with bending type check valve | |
WO2007148853A1 (en) |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 |
KR100976335B1 (en) | Airtight container for food storage | |
TWM610131U (en) | Sealing structure for preservation container and preservation container | |
KR200406688Y1 (en) | Airtight containers | |
CN211108990U (en) | Vacuum fresh-keeping box | |
KR102242655B1 (en) | Silicone gasket sealing structure for vacuum rice containers with excellent vacuum perform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