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0740B1 -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740B1
KR100870740B1 KR1020070125893A KR20070125893A KR100870740B1 KR 100870740 B1 KR100870740 B1 KR 100870740B1 KR 1020070125893 A KR1020070125893 A KR 1020070125893A KR 20070125893 A KR20070125893 A KR 20070125893A KR 100870740 B1 KR100870740 B1 KR 10087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ank
wastewater
flow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군
정창화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주)태성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태성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7012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에 적용되는 일차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침전조에 복수의 챔버를 구성하고 자연유하에 의한 생물반응조로의 하·폐수 공급 및 선택된 챔버로부터의 강제유하에 의한 생물반응조로의 하·폐수 공급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하·폐수처리장으로의 하·폐수 유입량에 상관없이 일정량의 하·폐수를 생물반응조로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제 1분배조, 제 2분배조, 침전조, 일차침전지

Description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A Primary Settlement Tank For Regulating Flux}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라 유량조정조와 일차침전지가 모두 구비된 하·폐수처리장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라 유량조정조가 생략되고 일차침전지만이 구비된 하·폐수처리장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가 하·폐수처리장에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 2도류벽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일차침전지 110 : 침전조
120 : 제 1분배조 130 : 제 2분배조
140 : 자연유동라인 150 : 강제유동라인
160, 190 : 제1,2도류벽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에 적용되는 일차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일차침전지에 복수의 챔버를 구성하고 자연유하에 의한 생물반응조로의 하·폐수 공급 및 선택된 챔버로부터의 강제유하에 의한 생물반응조로의 하·폐수 공급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하·폐수처리장으로의 하·폐수 유입량에 상관없이 일정량의 하·폐수를 생물반응조로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처리장에는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하·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정조와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일차침전지와 생물반응조가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즉, 상기 일차침전지는 후단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예비처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하·폐수를 일정시간 체류시켜 물보다 무거운 부유 입자를 중력에 의해 침전 분리하는 것으로 침전된 물질은 생슬러지로 제거되고, 물보다 가벼운 물질은 수표면의 스컴제거장치를 통해서 제거한 후 무동력에 의한 자연유하로 상기 생물반응조로 유입된다. 상기 일차침전지는 일반적으로 운전관리를 위해 소정 크기로 구분된 다수의 챔버로 구획되어져 사용하고 있으며, 일차침전지로부터 생물반응조까지의 하·폐수의 흐름은 무동력에 의한 자연유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생물반응조는 산소공급장치를 통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산화분해시키거나, 임의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므로 미생물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유지되어야 하고 일정한 체류시간을 유지해야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침전지로부터 생물반응조로 공급되는 하·폐수량이 항상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하·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량은 시간대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예를 들면 사람들의 활동이 활발한 낮 시간대에는 하·폐수량이 증가하고, 사람들이 활동을 거의 하지 않는 새벽시간대에는 하·폐수량이 급격이 감소된다. 하지만 하·폐수처리장의 모든 구조물들은 평균적으로 유입되는 하·폐수량을 기준으로 각각 설계하고 있으며, 생물반응조는 일평균 유입 하·폐수량을 기준으로 설계한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은 일평균 유입 하·폐수량으로 설계된 생물반응조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하여 시간대별로 변동이 심한 유입 하·폐수량을 별도의 유량조정조 설치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유량조정조는 배열방식에 따라 직렬방식과 병렬방식으로 구분되는데 도 1a는 유입하수가 모두 유량조정조를 통과하는 직렬방식이고, 도 1b는 1일 최대하수량을 초과하는 양만 유량조정조로 유입되는 병렬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량조정조를 설치하게 되면 유입하수량의 변동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량조정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넓은 면적의 설치부지가 요구되므로 부지구입 비용과 시설공사비 등이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93580호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 유량조정방법"에서는 유량조정조가 생략되고 일차침전지에서 침전된 하수를 일차침전지 이전 공정인 펌프장으로 반송하여 유량조정 기능을 갖도록 한 일차침전지를 제시하고 있다. 즉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차침전지로 유입하수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유입펌프로 구성된 펌프장과 상기 펌프장에서 펌핑되는 유입하수를 유량조정용 일차침전지의 각 침전조로 균등 분배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배장치와 다수의 침전조로부터 침전조 내부의 하수를 상기 펌프장으로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기술은 유입하수의 수량이 부족할 때, 유량조정용 일차침전지의 침전조 중 선택된 어느 침전조의 하수를 상기 펌프장으로 반송하고, 상기 펌프장에 설치된 유입펌프를 이용하여 반송된 하수를 분배장치로 다시 유입시켜서 유량조정용 일차침전지의 각 침전조로 균등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기술로써 이미 일차침전지에서 침전하여 처리된 하수를 다시 펌프장으로 보내어 퍼 올리도록 함으로써 중복된 펌핑으로 전력비가 증가되며, 또한 침전이 된 하·폐수를 전단으로 리싸이클 하여 다시 침전조로 유입하게 함으로써 재침전을 해야 하는 불합리한 공정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은 침전된 조내 하수를 이전 공정인 펌프장으로 반송한 후 다시 퍼 올림으로써 하수도시설기준에서 제시된 침전을 위한 적정한 표면적부하율을 맞추기 위해서 일차침전지의 용적을 크게 해야 하므로 부지 면적이 커져야만 되는 단점을 가지 고 있다. 상기 기술을 기존에 설치 운영 중인 시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일차침전지의 적정한 용적이 확보되어야 가능하므로 적용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신규시설의 적용시에도 일차침전지의 용적이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부지면적을 필요로 하는 유량조정조를 생략하면서도 유입 하·폐수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생물반응조로 공급되는 하·폐수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일차침전지의 용적에 상관없이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미 침전된 하·폐수를 다시 리싸이클 하여 재침전하게 하는 불필요한 공정이 필요 없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하·폐수 처리장에서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을 제거하여 생물반응조로 하·폐수를 유출하는 일차침전지에 있어서, 다수의 챔버로 구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전단에 구성되며 다수의 챔버에 하수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제 1분배조와;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구성되며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출되는 하수를 균등하게 상기 생물반응조로 분배하는 제 2분배조와;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 2분배조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자연유동라인과 강제유동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 2분배조 사이에는 하·폐수가 유동하는 2개의 라인이 구성되는데, 우선 상기 자연유동라인은 상기 각각의 챔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로 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가 구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유로는 하나로 합류하여 상기 제 2분배조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또 하나의 라인으로 상기 강제유동라인은 상기 각각의 챔버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가 구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유로도 하나로 합류하여 상기 제 2분배조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강제유동라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로에는 제어밸브가 구성되어 챔버로부터의 하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분배조는 상기 자연유동라인 및 상기 강제유동라인의 일단과 연통하며 상기 각각의 챔버로부터 유동된 하·폐수를 일시적으로 혼합하였다가 상기 생물반응조로 혼합된 하·폐수를 유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수가 일시적으로 혼합되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로부터 하수가 유동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실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실에서 상기 분배실로 하·폐수가 유동할 시 그 흐름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도류벽이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가 하·폐수처리장에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 침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도류벽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크게 3개의 조로 구성되는 바, 제 1분배조, 침전조, 제 2분배조로 구성되어 이러한 3개의 조의 작용에 의해 펌프장에서 유출되는 하·폐수가 생물반응조로 일정 유량이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프장(10)으로 유입된 하·폐수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100)로 유입되는데, 세부적으로는 제 1분배조(120)로 유입되어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로 균등하게 하·폐수가 분배되며,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에 하·폐수로부터의 이물질이 침전과정을 거치고 각각의 챔버(111)와 연통하는 자연유동라인(140) 또는 강제유동라인(150)을 통해 제 2분배조(130)로 하·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하·폐수는 제 2분배조(130)에서 정류과정을 거쳐 생물반응조(20)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상기 침전조(110)는 그 내부에 복수의 챔버(111)가 구성되는 바, 각각의 챔버(111)는 바닥면이 경사구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구배가 형성됨에 의해 챔버(111) 내에서 자연스럽게 유입된 하·폐수가 유동을 할 수 있으며, 침전되는 이물질이 일측에 침적되므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1)에 유입된 하·폐수의 흐름방향과 직각으로 제 1도류벽(160)이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도류벽(160)은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부(165)를 형성하는 2중벽 구조로 형성되는데, 제 1분배조(120) 방향의 전면벽(161) 즉 유입된 하·폐수가 유동 시 먼저 접하게 되는 벽에는 상부에 복수의 관통공(163)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161)과 일정거리가 유격된 후면벽(162)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공(164)이 형성되는데, 유입된 하·폐수가 전면벽(16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63)을 통해 유입되어 중공부(165)를 거쳐 후면벽(162)에 형성된 관통공(164)을 통하여 유출됨에 의해 하·폐수의 챔버(111) 내 체류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도류벽(160)의 수, 관통공(163, 164)의 크기 및 수, 중공부(165)의 너비 등을 조절함으로써 챔버(111) 내에서 하·폐수의 체류시간을 조절하여 이물질의 침전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며 배출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분배조(12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프장(10)과 파이프 등 유로(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통되며 유입된 하·폐수를 일시적으로 혼합하는 혼합실(121)과 상기 혼합실(121)로부터 하·폐수가 유동하여 분배되 는 복수의 분배실(122)로 구성되어 펌프장(10)으로부터 유입된 하·폐수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상기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분배실(122)은 복수의 유출라인(170)에 의해 각각의 챔버(1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출라인(170)에는 각각 제어밸브(172)가 구성되어 선택된 챔버(111)로의 하·폐수 유입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분배조(13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전조(100)와 자연유동라인(140) 및 강제유동라인(150)을 통해 연통되며 유입된 하·폐수를 일시적으로 혼합하는 혼합실(131)과 상기 혼합실(131)로부터 하·폐수가 유동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실(132)로 구성되어 침전조(100)로부터 유입된 하·폐수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상기 생물반응조(20)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분배실(132)은 복수의 유출라인(180)에 의해 생물반응조(20)로 하·폐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실(131)과 상기 분배실(132)은 제 2도류벽(190)에 의해 구획되어 지는데, 상기 제 2도류벽(190)도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부(195)를 형성하는 2중벽 구조로 형성되는데, 혼합실(131) 방향의 전면벽(191) 즉 유입된 하·폐수가 유동 시 먼저 접하게 되는 벽에는 상부에 복수의 관통공(193)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191)과 일정거리가 유격된 후면벽(192)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공(194)이 형성되는데, 유입된 하·폐수가 전면벽(19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93)을 통해 유입되어 중공부(195)를 거쳐 후면벽(192)에 형성된 관통공(194)을 통하여 각각의 분배실(132)로 유출됨에 의해 하·폐수의 제 2분배조(130) 내 체류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도류벽(190)의 수, 관통공(193, 194)의 크기 및 수, 중공부(195)의 너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 2분배조(130) 내에서 하·폐수의 체류시간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하·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2도류벽(160, 190)은 정류작용은 물론 전면벽(161, 191)의 상부에 복수의 관통공(163, 193)이 구성됨에 의해 월류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연유동라인(140)은 상기 각각의 챔버(111)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141)가 구성되는데, 상기 자연유동라인(140)에 의한 하·폐수의 유동은 무동력에 의한 흐름으로 챔버(111) 상부까지 하·폐수가 차면 상기 유로(141)를 통해 하·폐수가 유출되며 이러한 각각의 유로(141)를 통한 하·폐수 유출은 통합유로(142)를 통해 상기 혼합실(131)로 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강제유동라인(150)은 상기 각각의 챔버(111)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로(151)가 구성되는데, 상기 강제유동라인(150)은 인위적으로 선택되어진 챔버(111)에서 하·폐수를 유출하여 각각의 해당 유로(151)를 통해 하·폐수를 유출하며, 각각의 유로(151)를 통한 하·폐수의 유동은 통합유로(154)를 통해 상기 혼합실(131)로 유출된다. 상기 각각의 유로(151)에는 제어밸브(152)가 구성됨으로써 선택되어진 챔버(111)에서 하·폐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유로(154)에는 강제적인 하·폐수의 유출을 위해 펌프(153)가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에서 순차적으로 강제유동라인(150)을 작동하여 생물반응조(20)에 일정한 유량의 하·폐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처리경과를 나타내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도 7c는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아 강제유동라인(150)을 작동시키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강제유동라인(150)을 중단시키고 자연유동라인(140)에 의한 자연유하로 하·폐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생물반응조(20)에 공급하고, 고갈된 챔버(111)에 하·폐수를 충수시키는 처리경과를 나타내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펌프장(10)은 수위센서(측정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수위감지와 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연동으로 운전되고 있는 바,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하·폐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펌프장(10)의 수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펌프장(10)에 설치된 수위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신호에 의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전조(110)에서 만수위 상태에 있는 챔버(111a)가 선택되며, 선택된 챔버(111a)에 구성된 강제유동라인(150) 중 해당 유로(151a)의 제어밸브(152a)가 개방되며 펌프(153)의 작동으로 선택된 챔버(111a)의 하·폐수가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유출된다. 이 경우 펌프장(10) 및 제 1분배조(120)를 통해 유입되어 지는 하·폐수는 선택된 챔버(111a)로 유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1분배조(120a)의 해당 분배실(122a)과 연통되는 유출라 인(171a)의 제어밸브(172a)를 폐쇄시킨다. 이때 선택된 챔버(111a)에 침적되는 이물질은 이물질배출라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유출을 하여야 이물질이 제 2분배조(130)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택된 챔버(111a)의 하·폐수가 완전히 고갈되고, 선택된 챔버(111a)의 수위센서(s)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개방되어 있는 유로(151a)의 제어밸브(152a)를 폐쇄하고, 타 챔버(111b)를 선택하여 해당 제어밸브(152b)를 개방하여 타 챔버(111b)의 하·폐수가 제 2분배조(130)의 혼합실(131)로 유출된다. 이때 선택된 챔버(111a) 및 타 챔버(111b)에 하·폐수의 유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1분배조(120)의 해당 분배실(122a, b)과 연통되는 유출라인(171a, b)의 각각의 제어밸브(172a, b)를 모두 폐쇄시킨다. 이러한 챔버(111)의 선택은 복수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과정 즉 침전조(110)의 챔버(111a, b)의 하·폐수가 전부 또는 일부 고갈된 상태에서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충분한 양의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펌프장(10)의 수위가 증가하고, 상기 펌프장(10)의 수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하·폐수를 유출하고 있는 챔버(111b)에서 해당 유로(151b)의 제어밸브(152b)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펌프(153)의 작동을 중단시켜 하·폐수의 강제유동라인(150)으로의 유출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펌프장(10)으로 유입되는 하·폐수는 제 1분배조(120)로 유출되고 있으므로 제 1분배조(120)의 각각의 분배실(122)과 연통되는 유출라인(170)의 제어밸 브(172)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시킨다. 그러면 제 1분배조(120)에 의해 균등분배된 하·폐수가 침전조(110)의 각각의 챔버(111)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만수위 상태의 챔버(111c, d)로 유입된 하·폐수는 침전과정을 거친 다음 무동력에 의한 자연유하로 유출되어 제 2분배조(130)를 통해 생물반응조(20)로 공급된다. 그러나 하·폐수가 고갈된 챔버(111a, b)로 유입되는 하·폐수는 만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충수과정이 지속된다.
한편, 하·폐수처리장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량이 일시적으로 불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고갈된 챔버(111)로 유입되는 하·폐수량을 해당 유출라인(170)의 제어밸브(172)를 제한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별도의 유량조정조를 설치하지 않고도 침전조의 각각의 챔버에 저장된 하·폐수를 강제유동라인 및 자연유동라인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하·폐수 유량을 유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적이며 각각의 챔버를 주기적으로 비워줌으로써 이물질(슬러지)의 계면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량조정이 가능한 일차침전지는 리싸이클 형식의 유량조정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싸이클에 따른 동력원이 필요 없고 불필요한 이중의 침전 공정을 할 필요가 없어 공정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전조 및 제 2분배조에 정류작용과 월류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도류벽을 구성함에 의해 하·폐수의 유속을 제한하여 일정한 유량이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폐수 처리장에서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을 제거하여 생물반응조로 하수를 유출하는 일차침전지에 있어서,
    다수의 챔버로 구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전단에 구성되며 다수의 챔버에 하수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제 1분배조와;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구성되며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출되는 하수를 혼합하여 상기 생물반응조로 분배하는 제 2분배조와;
    상기 침전조와 상기 제 2분배조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자연유동라인과 강제유동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챔버에는 하나 이상의 제 1도류벽이 구성되며,
    상기 제2분배조는 상기 자연유동라인 및 상기 강제유동라인의 일단과 연통하며 하수가 저장되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로부터 하수가 유동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실과 상기 혼합실과 상기 분배실을 구획하는 제 2도류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2도류벽은 2중벽 구조로서 전면벽에는 상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면벽에는 하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KR1020070125893A 2007-12-06 2007-12-06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KR10087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93A KR100870740B1 (ko) 2007-12-06 2007-12-06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93A KR100870740B1 (ko) 2007-12-06 2007-12-06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740B1 true KR100870740B1 (ko) 2008-11-27

Family

ID=4028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893A KR100870740B1 (ko) 2007-12-06 2007-12-06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6369A (zh) * 2015-05-12 2015-08-12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回转式平流沉淀池
KR102025106B1 (ko) * 2019-05-20 2019-09-25 대구환경공단 액체 분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228A (ko) * 2001-02-16 2002-08-22 (주)경동이엔씨 조립식 오·폐수 처리시설
KR20050028899A (ko) * 2004-12-17 2005-03-23 (주)이엠엔씨코리아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유량조정방법
KR20050088047A (ko) * 2005-07-05 2005-09-01 (주)이엠엔씨코리아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비정상원수유입에 대응하는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방법
KR20070037477A (ko) * 2007-03-16 2007-04-04 주식회사 하이텍엔지니어링 강제 배출방식을 적용한 일차침전지의 유량조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228A (ko) * 2001-02-16 2002-08-22 (주)경동이엔씨 조립식 오·폐수 처리시설
KR20050028899A (ko) * 2004-12-17 2005-03-23 (주)이엠엔씨코리아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유량조정방법
KR20050088047A (ko) * 2005-07-05 2005-09-01 (주)이엠엔씨코리아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비정상원수유입에 대응하는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방법
KR20070037477A (ko) * 2007-03-16 2007-04-04 주식회사 하이텍엔지니어링 강제 배출방식을 적용한 일차침전지의 유량조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6369A (zh) * 2015-05-12 2015-08-12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回转式平流沉淀池
KR102025106B1 (ko) * 2019-05-20 2019-09-25 대구환경공단 액체 분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378B1 (ko) 매립형 탱크에 구비된 오수 정화 처리 장치
CN109020091A (zh) 一种复合式人工湿地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US3805957A (en) Floating solids return device
CN105819624A (zh) 基于af-生物接触氧化的模块式污水处理装置和方法
US6802975B2 (en) Method for biological effluent treatment
CN111875182B (zh) 微污染水体处理系统的运行方法
KR100870740B1 (ko) 유량조절이 가능한 일차침전지
KR100394701B1 (ko) 배수처리 시스템
CN109311715A (zh) 雨水的生物接触和溶解气浮选处理
KR100537049B1 (ko)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US662032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urifying a waste influent material
KR20070037477A (ko) 강제 배출방식을 적용한 일차침전지의 유량조정 방법
KR20050043855A (ko) 자동제어 수처리공정
CA3154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return activated sludge
KR100493580B1 (ko)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 유량조정방법
KR101577063B1 (ko) 폭기/침전 일체형 반응조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0375549B1 (ko) 부유성 내장형 침전조
CN213141749U (zh) 预处理池和使用预处理池的水体处理系统
KR100540549B1 (ko) 수직형 멤브레인 바이오 리액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
La Motta et al. The effect of air-induced velocity gradient and dissolved oxygen on bioflocculation in the trickling filter/solids contact process
CN207091082U (zh) 一种低碳节能型沉淀调节池
CN221191586U (zh) 一种非占地孢子转移系统
KR100710501B1 (ko) 유량 조절장치
CN215627006U (zh) 一种泥浆脱水碱性废水的pH调控装置
CN213446434U (zh) 一种无需滗水器的sbr反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