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404B1 - Hanging groove forming device of support pipe - Google Patents
Hanging groove forming device of support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0404B1 KR100870404B1 KR1020070033201A KR20070033201A KR100870404B1 KR 100870404 B1 KR100870404 B1 KR 100870404B1 KR 1020070033201 A KR1020070033201 A KR 1020070033201A KR 20070033201 A KR20070033201 A KR 20070033201A KR 100870404 B1 KR100870404 B1 KR 100870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stage
- locking groove
- inclined surface
- press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나 핸드브레이크 레버의 지지봉을 형성하는 지지용 파이프의 걸림홈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10)가 삽입/안착되는 안착홈(111,121)이 형성된 패드(110)와 하형(120); 상기 하형(120)을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에 걸림홈(2)을 성형하는 다단펀치(200); 상기 다단펀치(200)를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groove forming apparatus for a support pipe forming a support rod of a headrest or a hand brake lever, and includes a pad 110 and a lower mold 120 having seating grooves 111 and 121 into which the pipe 10 is inserted / seated. ); A multi-stage punch (200) for forming a locking groove (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while mov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10) in a state penetrating the lower mold (120) horizontally; It comprises a moving means 300 for moving the multi-stage punch 200 in the orthogon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다단펀치(200) 왕복시 그에 형성된 다단성형부(220)와 역방향성형부(230)가 파이프(10)를 가로지르면서 걸림홈(2)을 점진 확장시켜 최종 형상을 가공하게 되므로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걸림홈(2) 인접 외주면에 시어드루프(shear droop = shear drop = だれ; 3)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걸림면적 감소에 의한 고정 안정성 저하와 코어 사용으로 인한 생산성 및 강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걸림홈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multi-stage punch 200 is reciprocated, the multi-stage forming part 220 and the reverse molding part 230 gradually extend the locking groove 2 while crossing the pipe 10 to process the final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hear droop (shear droop = shear drop =; Re; 3)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 without using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strength and the like and to form various shapes of the locking grooves.
Description
도 1은 지지용 파이프(지지봉)에 걸림홈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pipe (support rod),
도 2의 (a)는 종래의 걸림홈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2 (a)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ocking groove forming apparatus,
(b)는 종래 장치에 의해 걸림홈이 형성된 파이프의 사시도,(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in which a locking groove is formed by a conventional device,
(c)는 종래 장치의 걸림홈 성형 상태의 단면도,(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groove form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device,
도 3의 (a)는 종래에 코어를 삽입하여 걸림홈을 성형하는 상태의 단면도,Figure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tate of forming the locking groove by inserting the core,
(b)는 종래에 코어를 사용하여 걸림홈을 형성한 파이프의 사시도,(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ventionally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using a cor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용 파이프의 걸림홈 형성장치의 구성도,Figure 4 is a configuration of the hook groove forming apparatus of the suppor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배면에서 도시한 것으로,Figure 5 is shown from the back of Figure 4,
(a)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 형성장치의 패드와 하형 분리 상태도,(a) is a pad and the lower mold separation state of the locking groov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는 패드와 하형 합형 상태도,(b) is the pad and the lower mold combination state diagram,
도 6은 패드와 하형 합형 상태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d and a lower mold combination state,
도 7의 (a)는 다단펀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7 (a)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stage punch;
(b)는 성형단부의 확대도,(b) is an enlarged view of the forming end,
도 8은 본 발명 걸림홈 형성장치의 작동 순서도,8 is a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ngaging groove forming device,
도 9의 (a),(b),(c)는 다단펀치의 작업 이동 순서도,(A), (b), (c) of FIG. 9 is a flow chart of work movement of a multi-stage punch;
도 10은 다단펀치 및 파이프의 걸림홈 성형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forming the locking groove of the multi-stage punch and pipe,
도 11의 (a),(b),(c)는 본 발명 걸림홈 형성장치의 작동에 따라 단계적으로 완성되어 가는 걸림홈을 나타낸 파이프의 단면도,Figure 11 (a),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showing a locking groove that is completed step by step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groov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a),(b),(c),(d)는 본 발명 걸림홈 형성장치의 또 다른 작동 방식에 따라 단계적으로 완성되어 가는 걸림홈을 나타낸 파이프의 단면도,12 (a), (b), (c), (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e showing the locking groove is comple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another operation method of the locking groov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a),(b)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3 (a) and 13 (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 locking groove formed in another shap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 : 걸림홈 10 : 파이프2: hanging groove 10: pipe
110 : 패드 120 : 하형110: pad 120: lower mold
111,121 : 안착홈 121a : 개구홀111,121:
122 : 관통홀 200 : 다단펀치122: through hole 200: multi-stage punch
210 : 함입평면 220 : 다단성형부210: depression plane 220: multi-stage forming part
221,222,223 : 제1,2,3성형부 221a,222a,223a : 성형단면221,222,223: 1st, 2nd,
230 : 역방향성형부 300 : 이동수단230: reverse molding part 300: moving means
310 : 승강바디 311 : 가이드레일310: lifting body 311: guide rail
320 : 제1가압부재 330 : 제2가압부재320: first pressing member 330: second pressing member
335 : 후진유발부재 340 : 제1수압부재335: backward inducing member 340: first hydraulic member
350 :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 second hydraulic pressure and return member
본 발명은 파이프에 홈을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파이프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오목한 걸림홈을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 groove in a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 radially concave engaging groove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ircular pip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나 핸드브레이크 레버의 지지봉(1)에는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함입된 걸림홈(2)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그 걸림홈(2)에 별도로 설치된 고정수단(래칫기구)이 걸려짐으로써 헤드레스트나 핸드브레이크 레버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상기 걸림홈(2)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의 패드(11)와 하형(12) 사이에 파이프(10)를 고정하고, 상기 패드(11)를 통해 펀치(20)를 수직 하강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소정 깊이로 가압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걸림홈(2)은 도2(b)와 같이, 평평한 바닥면(2a)과, 이 바닥면(2a) 일측의 수직면(2b) 및 상기 바닥면(2a) 타측의 완만한 경사면(2c)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수직면(2b)에 걸려져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경사면(2c)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걸림홈(2)으로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었다.The
그런데, 종래와 같이 펀치(20)를 사용하여 파이프(10)의 외주면을 반경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걸림홈(2)을 형성할 경우에는 도2(c)와 같이 걸림 홈(2)이 가압 성형될 때 상기 수직면(2b)측 외경 부분이 딸려 들어가면서 둥글게 굴곡진 부분 즉, 시어드루프(shear droop = shear drop = だれ; 3)가 형성되는데, 이에 의하여 상기 수직면(2b)의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고정수단이 걸려지는 면적이 감소하여 걸림홈(2)으로부터 고정수단이 쉽게 이탈되므로 위치 고정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따라서, 도3(a)와 같이 파이프(10)의 내부에 상기 걸림홈(2) 형상의 오목홈(31)이 형성된 코어(30)를 삽입하고 프레스 작업을 실시하여 도3(b)와 같이 시어드루프(3)의 발생을 억제(방지)하여 충분한 면적의 수직면(2b)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코어(30) 삽입 및 탈거 작업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상기 수직면(2b) 부분의 벽 두께가 얇아져서 강도가 저하되며, 이에 필요 강도 확보를 위해 상기 벽 두께 감소분을 고려하여 벽두께가 두꺼운 파이프(10)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재료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b), the
또한, 종래에는 상방으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펀치(20)에 의해 걸림홈(2)이 형성되기 때문에 걸림홈(2)의 수직면(2b) 각도를 변경할 수 없어 걸림홈(2)의 형상에 제한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시어드루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어드루프 발생에 의한 고정 안정성 저하와 코어 사용으로 인한 생산성 및 강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걸림홈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지지용 파이 프의 걸림홈 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the shear loop without using the core, thereby reducing the fixed stability due to the generation of shear loop and productivity and strength due to the use of the c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groove forming apparatus for supporting pipes, which can prevent degradation, and also form various shapes of locking groov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파이프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패드와 하형; A pad and a lower mold hav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a pipe is inserted and seated;
상기 하형을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걸림홈을 성형하는 다단펀치;A multi-stage punch for forming a locking groov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while mov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while penetrating the lower die horizontally;
상기 다단펀치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형에 대해 상기 패드의 완전 하강시 상기 패드와 상기 하형 사이에 여유간격이 존재하도록 각각 반원형 보다 넓은 호형으로 형성된다.And moving means for moving the multi-stage punc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wherein the seating recesses each have a clearance between the pad and the lower mold when the pad is fully lowered with respect to the lower mold. It is formed into an arc that is wider than a semicircl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용 파이프의 걸림홈 형성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파이프(10)를 고정하는 패드(110)와 하형(120), 상기 파이프(10)의 하측에 위치하여 파이프(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외주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다단펀치(200)와, 상기 다단펀치(200)를 파이프(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파이프(1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gure 4 is a configuration of the hook groove forming apparatus of the suppor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상기 패드(110)와 하형(120)은 도 5(도 5는 도 4의 배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다단성형부(220)의 위치가 반대이다.)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면과 상면에 파이프(10)가 안착되는 안착홈(111,1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형(120)의 안착홈(121)에 파이프(10)가 놓여진 후 패드(110)가 하강함으로써 상/하 안착홈(111,121)내에서 파이프(10)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Each of the
이때 파이프(10)의 직경(외경) 공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11,121)들은 파이프의 반경과 동일한 정확한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넓은 호형면으로 이루어져, 도5(b)와 같이 패드(110)가 하강하여 파이프(10)를 가압 고정했을 때 패드(110)와 하형(120)의 사이에 여유간격(G)이 존재하도록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s (111, 121) to accommodate the diameter (outer diameter) tolerance of the
한편, 상기 하형(120)에는 도 5(a),(b) 및 도 6에서와 같이, 파이프(10)의 길이방향(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성형되는 관통홀(12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파이프에 형성할 걸림홈의 수와 동일)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21)의 하부는 상기 관통홀(122)과 교차되어 개구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홈(121)의 하부에는 관통홀(122)과 연통되는 개구홀(121a)이 형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5A, 6B, and 6, the
따라서, 상기 하형(120)의 안착홈(121)에 파이프(10)가 놓여지면, 파이프(10)의 하측 외주면은 상기 개구홀(121a)을 통해 관통홀(122)의 내부로 돌출된다.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 각 관통홀(122)에는 상기 다단펀치(200)가 삽입되는데, 상기 다단펀치(200)는 기본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파이프(10)에 형성될 걸림홈(2)의 형상 즉, 중앙의 바닥면(2a)과, 일측의 수직면(2b) 및 타측의 경사면(2c)에 대응되는 바닥면대응면(201), 수직면대응면(202), 경사면대응면(203)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다단펀치(200)는 상기 도 7(a) 및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21)의 개구홀(121a)을 통해 관통홀(122) 내부로 돌출된 파이프(10)의 하측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깊이로 중간부분에 평평한 함입평면(210)이 형성되고, 이 합입평면(210)의 일측부에는 계단식으로 연이어 단차 성형된 다단성형부(2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다단성형부(220)는 상기 함입평면(210)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제1성형부(221)와 제2성형부(222) 및 제3성형부(223)로 이루어지는데, 그 단수는 필요에 따라 설계시 증감 조정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단의 성형부는 다단펀치(200)의 최상면인 상기 바닥면대응면(201)과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The
따라서, 상기 다단펀치(2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2,3성형부(221,222,223)의 측단면이 파이프(10)의 하측 외주면을 직접 가압 변형시켜 걸림홈(2)을 성형하게 되는데, 상기 측단면들을 성형단면(221a,222a,223a)이라 칭하기로 한다.Therefore, as the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성형부(221,222,223) 각각의 높이(H)와, 그들의 각 성형단면(221a,222a,223a)의 경사도(θ)와, 상기 성형단면(221a,222a,223a)들의 모서리 라운드(R) 가공정도는 상기 제1,2,3성형부(221,222,223)가 순차적으로 파이프(10)의 하측 외주면을 가압할 때 가압면적 이외의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복 시험을 통해 미리 설정된 값을 가지게 된다. 즉, 하나의 성형부에 의해 과도한 변형이 유발되지 않는 수준에서 적절히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b), the height (H) of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molding parts (221, 222, 223), the inclination (θ) of each of the molding cross-sections (221a, 222a, 223a), The roundness of the rounded corners R of the
또한, 상기 다단성형부(220)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부분에는 상기 함입평 면(210)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바닥면대응면(201)이 절개된 모서리가 존재하게 되는데, 그 모서리는 상기 다단펀치(200)가 정방향으로 전진한 후 역방향 이동(복귀)할 때 상기 다단펀치(200)의 진행 방향 반대쪽에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하거나 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2)의 형상을 최종 완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역방향성형부(230)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역방향성형부(230)는 상기 다단성형부(220)의 최상단성형부 즉,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3성형부(223)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한편,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장치의 구동부(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 생략)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바디(310)와, 상기 승강바디(310)의 일측 하면에 장착된 가이드레일(311)에 파이프(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다단펀치(200)의 걸림홈(2) 성형시 이동방향(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측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321)이 형성되며 하단의 앞쪽 모서리 부분에도 경사면(322)이 형성된 제1가압부재(320)와, 상기 승강바디(310)의 타측 하면에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다단펀치(200)의 역방향이동(도면상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시 이동방향측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331)이 형성된 제2가압부재(3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the moving means 300 is the elevating
그리고, 상기 제2가압부재(330)의 하단 외측단부(도면상 우측)에는 상기 경사면(331)으로부터 연장성형된 경사돌출부(332)가 형성되며, 이 경사돌출부(332)의 상면도 경사면(333)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n
또한,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다단펀치(200)의 상기 제1가압부재(320)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가압부재(320)의 경사면(321)에 맞대어져 밀려지는 경사면(341)이 형성된 제1수압부재(340)와, 상기 다단펀치(200)의 상기 제2가압부재(330)측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가압부재(330)가 하강시 삽입되는 경사홀(351)이 관통 형성되며 그 경사홀(351)의 양측면은 상기 제2가압부재(330)의 두 경사면(331,333)에 각각 맞대어져 작용하는 경사면(352,353)으로 형성된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ving means 30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first pressing
그리고, 상기 경사홀(351)의 양측 경사면(352,353)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수직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가압부재(330)의 승하강 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lower and upper ends of both
또한,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제1가압부재(320)의 하측에 위치되고 그 뒤쪽(도 4의 좌측면도상에서 왼쪽 방향) 상부 모서리부분에 제1가압부재(320)의 상기 앞쪽 경사면(322)과 맞대어져 작용하는 경사면(336)이 형성된 후진유발부재(33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ving means 30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ressing
또한,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후진유발부재(335)에 의하여 뒤쪽으로 이동한 상기 제1가압부재(320)가 상기 제1수압부재(34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제1가압부재(320)를 다시 앞쪽으로 밀어 원위치 시켜주는 리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리턴수단은 유압실린더, 모터와 랙&피니언 기구 등의 관용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In addition, the moving means 300 is the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8의 (a) 내지 (f)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세한 도번은 도 4의 것을 참조하여 설명한다.8 (a) to (f) sequentially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4.
도8(a)는 패드(110)가 파이프(10)를 눌러 고정한 상태에서 승강바디(310)가 1차 하강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제1가압부재(320)의 경사면(321)이 제1수압부재(340)의 경사면(341)에 맞닿게 된다.8 (a) shows that the lifting
이어, 도8(b)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바디(1)에 의해 제1가압부재(320)가 더욱 하강하면, 상기 경사면(321,341)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수압부재(34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도면상 우측)하면서 다단펀치(200)를 밀어줌으로써 다단펀치(200)가 하형(120)의 관통홀(122)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다단성형부(220)가 파이프(10)의 하측 외주면을 가압 변형시켜 걸림홈(2)을 성형하게 된다.(도 8의 경우 다단펀치(200)의 왼쪽에 다단성형부(220)가 형성되어 있다)Subsequently, when the first pressing
이어, 상기 승강바디(310)의 하강 진행에 의해 상기 제1가압부재(320)의 하강이 지속되는데 이때 제1가압부재(320)의 하측 앞쪽 경사면(322)이 상기 후진유발부재(335)의 상측 뒤쪽 경사면(336)에 맞닿아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제1가압부재(320)가 도8(c)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파이프(10)와 평행한 방향 뒤쪽으로 후진하여 상기 제1수압부재(340)의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게 된다. 즉, 상기 제1가압부재(320)가 상기 제1수압부재(340)의 역방향 이동을 막지 않도록 후진된다.Subsequently, the lowering of the first pressing
이어, 다단펀치(200) 우측의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의 내측 경사면(352)이 상기 제1가압부재(320)와 동시에 하강한 제2가압부재(330)의 경사면(331)에 맞 닿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승강바디(310)가 더욱 하강함으로써 상기 경사면(352,331)의 작용에 의하여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를 다시 역방향(좌측)으로 밀어주게 된다.Subsequently, the second hydraulic pressure on the right side of the
이때 상기 다단펀치(200)의 역방향성형부(230)에 의하여 상기 다단성형부(220)에 의한 걸림홈(2) 성형시 발생된 버(burr)가 제거되거나, 또는 버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홈(2)의 성형이 완성되어진다.(이 두 가지 성형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 따로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burr generated when forming the locking
이와 같이 다단펀치(200)의 왕복 작동을 통해 걸림홈(2)의 생성이 완료되면, 이후, 상기 승강바디(310)의 상승에 따라 제1,2가압부재(320,330)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가압부재(330) 경사돌출부(332)의 상부 경사면(333)이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의 외측 경사면(353)과 작용하여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를 도8(d)의 상태로 끌어당김에 따라 다단펀치(200)가 초기위치로 복귀된다.When the generation of the locking
이어 도 8(e)와 같이 승강바디(310)가 더욱 상승하면서 패드(110)가 하형(120)으로부터 이형되고 이때 상기 제1가압부재(320)가 제1수압부재(340)에 걸리지 않는 높이로 상승되면 상기 제1가압부재(320)가 상기 리턴수단에 의하여 다시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앞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E, the elevating
마지막으로 도 8(f)와 같이 승강바디(310)가 완전히 상승함에 따라 제1가압부재(320)와 제2가압부재(330)가 제 1수압부재(340)와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고 상기 패드(110)가 완전히 개방됨으로써 걸림홈(2)이 성형 완료된 파이프(10)를 프레스 장치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Finally, as the lifting
이어 다른 파이프를 하형(120)에 안착시킨 후, 상기 (a) 내지 (f)의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Subsequently, another pipe is seated on the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단펀치(200)에 의한 걸림홈(2) 성형은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이루어진다.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도 9의 (a)와 같이 파이프(10)가 함입평면(210)의 중간부분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제1가압부재(320)의 하강으로 제1수압부재(340)가 밀리면 다단펀치(200)가 도9(b)의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먼저 다단성형부(220)의 제1성형부(221)에 의해 파이프(10)의 하부 외주면이 가압 변형되고, 이어 제2성형부(222)와 제3성형부(223)에 의해 연이어 가압면적의 확대에 따른 걸림홈(2)의 성형이 이루어진다.When the first
즉, 도 10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다단성형부(220)가 진행함에 따라서, 도 11의 (a),(b),(c)와 같이 걸림홈(2)의 깊이가 단계적으로 깊어지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제3성형부(223)가 진행된 후에 상기 제3성형부(223)와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한 형상으로 걸림홈(2)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as the multi-stage forming
이때, 상기와 같은 다단성형부(220)의 정방향 진행에 의하여 파이프(10)에 형성된 걸림홈(2)의 상기 진행방향쪽 모서리 부위에 버(burr)가 형성되므로 도8(c)에서와 같은 제2가압부재(330)의 추가 하강을 통해 다단펀치(200)가 도9(c)의 상태로 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버가 제거된다.At this time, since a burr is form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수단(래칫기구)이 걸려질 수 있는 걸림홈(2)이 완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ocking groove (2) to which the fixing means (ratchet mechanism) can be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다단펀치(200)는 다단성형부(220)의 정방향 진행시 상기한 바와 같이 제3성형부(223)가 상기 파이프(10)를 완전히 지나치도록 하여 걸림홈(2)을 형성토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버가 형성되므로, 도 12와 같은 방식으로 걸림홈(2)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제 1,2성형부(221,222)의 진행에 의해 도 11의 경우와 동일하게 도12의 (a),(b)와 같이 1,2차로 걸림홈(2)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제3성형부(223)는 파이프(10)의 중앙부까지만 진행되도록 하여 도 12(c)와 같이 걸림홈(2)을 완전히 형성하지 않고 반대쪽에 미성형부(2a)를 남겨 둔다.That is, as the first and
그 후, 상기 다단펀치(200)를 역방향 진행시킴으로써 상기 역방향성형부(230)가 파이프(10)를 완전히 지나치면서 성형되지 않은 나머지 반 부분 즉, 상기 미성형부(2a)를 변형시켜 도12(d)와 같이 완전한 형상의 걸림홈(2)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3성형부(223)가 정방향으로 완전히 진행할 때 발생되던 버가 원천적으로 생성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urrs generated when th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다단펀치(200)의 정향향 이동시 제3성형부(223)가 파이프(10)를 완전히 지나치도록 하느냐 아니면 중앙 위치까지만 이동한 후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느냐는 상기 승강바디(310)의 하강 정도, 상기 제1가압부재(320)와 제1수압부재(340)의 치수관계, 그들의 경사면(321,341) 관계, 또한 제1가압부재(320)와 제2가압부재(330)간의 거리, 상기 제2가압부재(330)와 제2수압 및 리턴부재(350)와의 치수관계, 그들의 경사면(331,352) 관계 등 세부 설계사양에 관한 것으로 설계시 상호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됨으로써 다양한 양태로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한편, 상기 걸림홈(2)을 가압 성형하는 상기 다단성형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2) 이외의 부분에 가압력의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져 단계적인 성형이 실시됨과 더불어 상기 각 성형부 즉, 제1,2,3성형부(221,222,223) 각각의 높이(H)와, 그들의 각 성형단면(221a,222a,223a)의 경사도(θ) 및 각 모서리의 라운드(R) 가공정도는 가압면적 이외의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복 시험을 통해 설정된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걸림홈(2) 성형의 결과 종래와 같이 파이프(10)의 외주면과 걸림홈(2)의 수직면(2b) 연결부에 시어드루프(3)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수직면(2b)의 면적 감소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정수단이 걸려지는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고정수단의 걸림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파이프(10) 즉, 헤드레스트나 핸드브레이크 레버의 지지봉(1)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area reduction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시어드루프(3)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 이의 방지를 위해 사용되었던 코어(30)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코어(30)의 삽입 및 탈거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코어(30)를 사용할 경우에 발생하던 수직면(2b)의 벽두께가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벽두께의 감소를 고려하여 강도 보강을 위해 보다 두꺼운 두께의 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ll thickness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펀치가 수직 하강하여 걸림홈의 형상을 형성 하는 것이 아니고, 파이프(10)의 측방향에서 걸림홈 형상부를 관통하면서 걸림홈의 최종 형상을 완성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1,2,3성형부(221,222,223)의 형상을 변경하여 걸림홈(2)의 내부면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 성형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orm th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by vertically lowering the punch, but the first shape of the locking groove while completing th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while passing through th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즉, 상기 제1,2,3성형부(221,222,223)의 수직면대응면(202)에 예각면(α1) 또는 둔각면(α2) 또는 예각면(α1)과 둔각면(α2)을 모두 갖춘 복합면으로 형상 변경하여 도 13의 (a)에서와 같이 걸림홈(2)의 수직면(2b) 경사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That is, a composite surface having an acute angle α1 or an obtuse angle α2 or an acute angle α1 and an obtuse angle α2 on the vertical
즉, 종래에는 수직 하강하는 펀치에 의해 성형하므로 수직면(2b)의 각도를 예각(α1)으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예각(α1)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예각(α1)면과 둔각(α2)면을 모두 가진 복합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형상으로 수직면(2b)의 내측을 예각(α1)으로 형성하고 외측을 둔각(α2)으로 형성하면 고정수단의 이탈을 더욱 강력하게 억제하여 걸림 상태가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since it is molded by a vertically descending punch, it is not possible to form the angle of the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2,3성형부(221,222,223)의 바닥면대응면(201)에 물결모양의 요철을 형성하여 도13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홈(2)의 바닥면(2a)에 동일한 물결모양의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상기 수직면(2b)에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if necessary, wavy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botto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어드루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어드루프 발생에 의한 고정수단의 걸림면 적 감소로 고정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해소되고, 또한 코어 사용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코어 사용에 따른 걸림홈의 벽두께 감소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두꺼운 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재료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rrence of the shear loop can be suppressed without using the core, thereby reducing the phenomenon that the fixed strength is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in the area of the fastening means caused by the shear loo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the use of the core, there is no reduction in the wall thickness of the locking grooves due to the use of the core, so that there is no need to use a thick pipe in consideration of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terial cost.
또한,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펀치가 진행하면서 걸림홈의 형상을 형성하게 되므로 걸림홈의 내측면 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nch progress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o form th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또한, 상기와 같이 걸림홈 형성으로 파이프 벽두께가 감소하지 않게 되어 강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ipe wall thickness is not reduced by the formation of the locking groov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crease in strength does not occur.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3201A KR100870404B1 (en) | 2007-04-04 | 2007-04-04 | Hanging groove forming device of support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3201A KR100870404B1 (en) | 2007-04-04 | 2007-04-04 | Hanging groove forming device of support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0109A KR20080090109A (en) | 2008-10-08 |
KR100870404B1 true KR100870404B1 (en) | 2008-11-25 |
Family
ID=4015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32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0404B1 (en) | 2007-04-04 | 2007-04-04 | Hanging groove forming device of support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040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90680A (en) * | 2014-04-29 | 2014-08-20 | 成都联创精密机械有限公司 | Novel guide rail type profiling device |
KR101550336B1 (en) | 2013-08-09 | 2015-09-10 | 김용봉 | Turf Punch for golf course lawn maintain and manufacturing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2329B1 (en) * | 2008-11-27 | 2011-05-06 | 이영길 | U-shaped groove cutter |
CN118513414B (en) * | 2024-07-23 | 2024-11-15 | 中海石油气电集团有限责任公司 | A die set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67344A (en) * | 1991-06-13 | 1992-12-18 | Matsuyama Sangyo Kk | Mandrel working method for head rest for automobile |
JP2003305519A (en) * | 2002-04-12 | 2003-10-28 | Matsumoto Kogyo Kk | Method and device for indenting pipe material |
JP2004314169A (en) | 2003-04-01 | 2004-11-11 | Oda Gisho:Kk | Groove forming method for pipe material |
KR100582694B1 (en) * | 2003-10-17 | 2006-05-23 | 델타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Headrest lock structure with lock slots, method for forming lock slots in headrest pole and method for producing headrest pole |
-
2007
- 2007-04-04 KR KR1020070033201A patent/KR1008704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67344A (en) * | 1991-06-13 | 1992-12-18 | Matsuyama Sangyo Kk | Mandrel working method for head rest for automobile |
JP2003305519A (en) * | 2002-04-12 | 2003-10-28 | Matsumoto Kogyo Kk | Method and device for indenting pipe material |
JP2004314169A (en) | 2003-04-01 | 2004-11-11 | Oda Gisho:Kk | Groove forming method for pipe material |
KR100582694B1 (en) * | 2003-10-17 | 2006-05-23 | 델타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Headrest lock structure with lock slots, method for forming lock slots in headrest pole and method for producing headrest po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0336B1 (en) | 2013-08-09 | 2015-09-10 | 김용봉 | Turf Punch for golf course lawn maintain and manufacturing method |
CN103990680A (en) * | 2014-04-29 | 2014-08-20 | 成都联创精密机械有限公司 | Novel guide rail type profil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0109A (en) | 2008-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1528B1 (en) |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ing die and molded product | |
KR100870404B1 (en) | Hanging groove forming device of support pipe | |
EP2305395B1 (en) | Press working equipment and press working method | |
KR20150106394A (en) | Forming method for pressed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sed component, and forming tool for pressed component | |
KR20130102118A (en) | Device for producing drive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drive plate | |
JP201550527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ep-drawing shell-shaped parts incorporating upper and frame cutting | |
JP2011152548A (en) | Die device for closed forging | |
KR2015002680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notch groove on stay rod of headrest | |
JP2001239340A (en) | Support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337395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pport rod | |
KR101435933B1 (en) | The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under drive brake pist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489218B1 (en) | Stay for headrest of seat-back on vehicle and method for forming groove thereof | |
JP4132052B2 (en) | Transverse element, metal push belt, and method and processing tool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022798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sion forming of steel pipe | |
KR101192368B1 (en) | Burring manufacturing apparatus | |
US20160215499A1 (en) | Wallboard punch assembly with stripper bushings | |
JP4804291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molded product having undercut portion | |
KR100552631B1 (en) | Press mold construction for simultaneous notching of solenoid valve cases | |
JP2012035292A (en) | Forging mold of rod-like workpiece and method for forging the rod-like workpiece | |
JP3373952B2 (en) | Support rod | |
JP2013111643A (en) | Press forming metallic mold | |
KR20130080080A (en)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pring sheet | |
JP2014217539A (en) | Method for molding lock groove of headrest pillar | |
KR101779074B1 (en) | a device for fabricating a notch of pipe and a punch for pressing and cutting | |
JP2007098437A (en) | Burring die and burr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