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414B1 -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및 그 제조방법, 음판타악기의 음원 유닛 및 건반식 타악기 - Google Patents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및 그 제조방법, 음판타악기의 음원 유닛 및 건반식 타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9414B1 KR100869414B1 KR1020060126130A KR20060126130A KR100869414B1 KR 100869414 B1 KR100869414 B1 KR 100869414B1 KR 1020060126130 A KR1020060126130 A KR 1020060126130A KR 20060126130 A KR20060126130 A KR 20060126130A KR 100869414 B1 KR100869414 B1 KR 100869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plate
- keyboard
- plates
- percussion instru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105 trans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5/00—Combination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e.g. with bells or xylophon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10D13/09—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with keyboard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9)
-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이며,길이 방향 중앙부(31)와,제1 및 제2 단부와,상기 음판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제1 및 제2 단부 근방의, 진동 절이 형성될 수 있는 제1 길이 방향 위치에 각각 위치되는 제1 및 제2 피지지부(36, 37)와,상기 제1 및 제2 피지지부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 근접한 측의 음판의 제2 길이 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단부를 향해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질량 집중부(32, 33)와,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제1 피지지부 사이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제2 피지지부 사이에, 각각 제공된 제1, 제2 박형부(34, 35)를 포함하고,상기 음판은, 단일 재료로 하나의 피스로 제공되고, 상기 음판은 제1 및 제2 피지지부에서 지지되어서 타격될 때, 고유한 음높이의 악음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하는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질량 집중부는, 상기 음판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비해 판두께 방향으로 두껍고, 상기 제1, 제2 박형부는, 상기 음판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비해 판두께 방향으로 얇은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질량 집중부와 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는, 상기 음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음판의 일측쪽으로 상기 제1, 제2 박형부보다 더 돌출하는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지지부는 상기 음판의 폭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결합부로 구성되는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 단일 재료로 제조되고 사각형의 단면인 연장 부재(38)로부터, 길이 방향 중앙부와, 제1 및 제2 단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 근접하여 각각 위치되고 진동 절이 형성될 수 있는 제1 길이 방향 위치에 있는 제1 및 제2 피지지부를 구비하는 음판을 제조하는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의 제조방법이며,(a) 상기 제1 및 제2 피지지부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단부 근방측의 상기 음판의 제2 길이 방향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대응 길이 방향 위치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연장 부재의 제1 부분을 절삭 가공, 연삭 가공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상기 음판의, 제2 길이 방향 위치부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음판의 제1 및 제2 질량 집중부를 형성하는 단계와,(b) 상기 음판의 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제1 피지지부 사이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제2 피지지부 사이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연장 부재의 제 2 및 제3 부분에, 각각 상기 음판의 제1, 제2 박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음판은, 상기 제1 및 제2 피지지부에서 지지되어서 타격될 때, 고유한 음높이의 악음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하는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의 제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연장 부재의 제거 대상 부분이 일방향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질량 집중부를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연장 부재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비해 상기 연장 부재보다 두껍게 하면서, 상기 제1, 제2 박형부를 판두께 방향으로 상기 연장 부재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얇게 형성하는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의 제조방법.
- 음판 타악기의 음원 유닛이며,타격될 때 각각 고유의 음높이의 악음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하는 복수의 음판(30)과,상기 복수의 각 음판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명 챔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명 챔버는 각각 개방측을 갖는 공명 상자(50)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각 음판은, 상기 대응하는 공명 챔버의 개방측에 근접한 각각의 음판과 함께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공명 상자에 장착되어, 상기 공명 상자 및 상기 복수의 음판은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는 음판 타악기의 음원 유닛.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판 중 2개 이상의 음판을 진동 가능하게 집합적으로 보유하는 보유 부재(44)와, 상기 보유 부재를 상기 공명 상자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40)를 더 포함하는 음판 타악기의 음원 유닛.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코드형 부재이며, 상기 2개 이상의 각 음판에는, 상기 복수의 음판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36, 37)이 형성되고, 상기 보유 부재는 상기 복수의 2개 이상의 음판의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2개 이상의 음판이 현수된 상태에서 보유 부재에 의해 보유되는 음판 타악기의 음원 유닛.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판이 공명 상자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음판 중 인접하는 음판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착 부재와 관련하여 가결정(temporarily determined)되는 음판 타악기의 음원 유닛.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상자는, 상기 음판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공통 벽(51, 52)과, 상기 제1 및 제2 공통 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명 챔버를 한정하는 복수의 챔버 형성부(53 내지 55, 65, 66, 71 내지 73)를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공명 챔버 중, 상기 타악기의 적어도 음역의 일부의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소정 공명 챔버(RM1, RM2, RM4)는, 상기 복수의 음판 중 각 관련 음 판에 대하여 1대1로 대응하도록 한정되고,상기 복수의 소정 공명 챔버 각각은, 정면에서 볼 때 적어도 1개의 다른 소정 공명 챔버과 오버랩되고, 또한,상기 복수의 음판이 배열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소정 공명 챔버 각각의 최대폭은 대응하는 음판의 폭의 2배 이상으로 배열되는 음판 타악기의 음원 유닛.
- 건반식 타악기이며,건반을 구성하는 복수의 건과,상기 복수의 건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단일 재료로 제조되며 하나의 피스로 형성되는 복수의 음 발생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각 음 발생 부재는,길이 방향 중앙부(31)와,제1 및 제2 단부와,상기 음 발생 부재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상기 제1 및 제2 단부 근방의, 진동 절이 형성될 수 있는 제1 길이 방향 위치에 각각 위치되는 제1 및 제2 피지지부(36, 37)와,상기 제1 및 제2 피지지부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 근접한 측의 음판의 제2 길이 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단부를 향해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질량 집중부(32, 33)와,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제1 피지지부 사이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앙부와 상기 제2 피지지부 사이에, 각각 제공된 제1, 제2 박형부(34, 35)를 포함하고,상기 음판은 제1 및 제2 피지지부에서 지지되어서 타격될 때, 고유한 음높이의 악음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하고,상기 복수의 각 건과 상기 복수의 각 음 발생 부재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복수의 대응하는 각 건의 가압 조작에 의해 구동될 때 복수의 대응하는 각 음 발생 부재를 타격하는 복수의 타악 유닛을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건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건 각각과 복수의 음 발생 부재 중 대응하는 음 발생 부재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변화될 수 있고,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화될 때, 상기 복수의 각 음 발생 부재와 상기 각 타악 유닛 사이의 대응 관계가 변화되어 건 가압 조작으로 구동되는 타악 유닛에 의해 타격되는 음 발생 부재는, 상기 상대적 위치의 변화 전에 구동되는 타악 유닛에 의해 타격되는 음 발생 부재와 상이한 건반식 타악기.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악 유닛은, 상기 복수의 건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건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건반식 타악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 발생 부재에 대하여 고정식으로 근접하여 배치된 공명 상자를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음 발생 부재와 상기 공명 상자는, 상기 복수의 건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건반식 타악기.
- 건반식 타악기이며,건반을 구성하는 복수의 건과,복수의 음 발생 부재(30) 및 상기 복수의 각 음 발생 부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공명 챔버를 갖는 공명 상자(50)를 포함하고,상기 음원 유닛의 상기 복수의 각 음 발생 부재는, 상기 건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음 발생 부재 각각은 타격될 때 각각 고유의 음높이의 악음을 발생시키도록 진동하고,상기 음원 유닛의 상기 복수의 공명 챔버는 각각 개방측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각 음 발생 부재는 상기 공명 챔버의 대응하는 공명 챔버의 개방 측에 근접하여 위치된 각각의 음판을 갖고, 진동 가능하게 상기 공명 상자에 장착되어 상기 공명 상자 및 상기 복수의 음 발생 부재가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고,상기 복수의 건과 상기 복수의 음 발생 부재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복수의 건 중 대응하는 건의 가압 조작에 의해 구동될 때 복수의 음 발생 부재 중 대응하는 음 발생 부재를 타격하는 복수의 타악 유닛을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건과 대응하는 복수의 각 음 발생 부재 사이의 상기 복수의 건이 배열되는 방향으로의 상대적 위치는 변화될 수 있고,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화될 때,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각 음 발생 부재와 상기 각 타악 유닛의 대응 관계는 변화되어, 건 가압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타악 유닛에 의해 타격되는 음 발생 부재는, 상기 상대적 위치의 변화 전에 구동되는 타악 유닛에 의해 타격되는 음 발생 부재와 상이한 건반식 타악기.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악 유닛은 상기 복수의 건과 함께 상기 건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건반식 타악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 발생 부재에 고정되고 이에 근접하게 배치된 공명 상자를 더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음 발생 부재와 상기 공명 상자는, 상기 건의 배열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건반식 타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59315 | 2005-12-13 | ||
JPJP-P-2005-00359317 | 2005-12-13 | ||
JP2005359315A JP4632089B2 (ja) | 2005-12-13 | 2005-12-13 | 音板打楽器の音源ユニット |
JPJP-P-2005-00359318 | 2005-12-13 | ||
JP2005359317A JP4752481B2 (ja) | 2005-12-13 | 2005-12-13 | 鍵盤式音板打楽器用の音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5359318A JP4821299B2 (ja) | 2005-12-13 | 2005-12-13 | 鍵盤式打楽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2923A KR20070062923A (ko) | 2007-06-18 |
KR100869414B1 true KR100869414B1 (ko) | 2008-11-21 |
Family
ID=3769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61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9414B1 (ko) | 2005-12-13 | 2006-12-12 |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및 그 제조방법, 음판타악기의 음원 유닛 및 건반식 타악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7541530B2 (ko) |
EP (1) | EP1798720B1 (ko) |
KR (1) | KR100869414B1 (ko) |
CN (1) | CN10167698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9905B1 (ko) * | 2005-12-13 | 2008-09-23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건반식 음판 타악기, 상기 음판 타악기용의 공명 관 및공명 상자 |
KR100869414B1 (ko) * | 2005-12-13 | 2008-11-21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및 그 제조방법, 음판타악기의 음원 유닛 및 건반식 타악기 |
JP2008170700A (ja) * | 2007-01-11 | 2008-07-24 | Yamaha Corp | 鍵盤式打楽器 |
US8389841B1 (en) * | 2011-08-29 | 2013-03-05 | Leigh Howard Stevens | Adjustable resonator stop and keyboard percussion instrument including same |
MX350539B (es) | 2012-02-13 | 2017-09-08 | Bristol Myers Squibb Co | Compuestos de enediino, conjugados de los mismos y sus usos y metodos. |
WO2013172937A1 (en) * | 2012-05-16 | 2013-11-21 | The Uab Research Found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sical instruments |
CN102737623B (zh) * | 2012-07-16 | 2014-08-20 | 德州学院 | 一种便于演奏和弦的木琴 |
MX356698B (es) | 2013-02-14 | 2018-06-11 | Bristol Myers Squibb Co | Compuestos de tubulisina, metodos para obtenerlos y uso. |
US10077287B2 (en) | 2014-11-10 | 2018-09-18 | Bristol-Myers Squibb Company | Tubulysin analo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
ES2747386T3 (es) | 2015-01-14 | 2020-03-10 | Bristol Myers Squibb Co | Dímeros de benzodiacepina unidos por heteroarileno, conjugados de los mismos y métodos de preparación y uso |
US9514725B1 (en) | 2015-07-31 | 2016-12-06 | Joseph A. Brandstetter | Musical instrument |
US10287291B2 (en) | 2016-08-19 | 2019-05-14 | Bristol-Myers Squibb Company | Seco-cyclopropapyrroloindole compounds, antibody-drug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
US10398783B2 (en) | 2016-10-20 | 2019-09-03 | Bristol-Myers Squibb Company | Antiproliferative compounds and conjugates made therefrom |
DE102019135565B3 (de) * | 2019-12-20 | 2021-05-12 | SONOR GmbH | Stabspielinstrument mit mindestens zwei Klangstäben |
US11482201B1 (en) | 2021-05-13 | 2022-10-25 | Marimba One, Inc. | Materials and fabrication method for percussive musical instrument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7314U (ko) * | 1989-10-02 | 1991-06-03 | ||
JPH1097241A (ja) * | 1996-09-20 | 1998-04-14 | Yamaha Corp | 音板打楽器用音板 |
JP2006079034A (ja) | 2004-09-12 | 2006-03-23 | Hachiro Kuramata | 打楽器の音源 |
Family Cites Families (5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64587A (en) * | 1928-04-03 | Piano | ||
US149232A (en) * | 1874-03-31 | Improvement | ||
US1323132A (en) * | 1919-11-25 | Xylophone | ||
US1173507A (en) * | 1912-04-29 | 1916-02-29 | Estey Organ Company | Harp-stop for pipe-organs. |
US1283774A (en) * | 1914-11-14 | 1918-11-05 | Robert Hope-Jones | Xylophone and like instrument. |
US1192324A (en) | 1915-04-26 | 1916-07-25 | Kohler Liebich Company |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
US1369268A (en) * | 1917-08-06 | 1921-02-22 | John C Deagan |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
GB144247A (en) * | 1919-05-30 | 1920-09-16 | Leon Virolet | Accompanying and transposing apparatu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
US1532793A (en) * | 1922-08-02 | 1925-04-07 | Zepeda Isaias | Transposition device |
US1632751A (en) * | 1923-01-22 | 1927-06-14 | Leedy Mfg Company | Musical bar |
US1575960A (en) * | 1923-02-08 | 1926-03-09 | Bar Zim Toy Mfg Co Inc | Xylophone |
DE445861C (de) * | 1924-12-17 | 1927-06-18 | Arpad Angyal | Einrichtung zum Spielen von musikalischen Schlaginstrumenten |
US1807057A (en) * | 1930-02-12 | 1931-05-26 | Harry A Bowers | Bar mounting for xylopnones or the like |
US1838502A (en) * | 1930-10-30 | 1931-12-29 | J C Deagan Inc | Vibrant bar for musical instruments |
US2020150A (en) * | 1934-06-11 | 1935-11-05 | Conn Ltd C G |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
US2287138A (en) * | 1941-01-09 | 1942-06-23 | Sas Elmer | Xylophone |
US2315812A (en) | 1941-04-07 | 1943-04-06 | Gerald A O'connell | Piano-vibraphone |
US2347287A (en) * | 1942-05-22 | 1944-04-25 | Sas Elmer | Xylophone |
US2317164A (en) * | 1942-10-07 | 1943-04-20 | Zimmerman Harry | Xylophone |
US2469667A (en) * | 1945-06-12 | 1949-05-10 | Rhodes Harold Burroughs | Piano |
US2901936A (en) * | 1954-02-16 | 1959-09-01 | Scherer Karl | Device for the conversion of mechanical oscillatory energy into electrical oscillatory energy |
US2971424A (en) | 1958-01-10 | 1961-02-14 | Kent Larry | Vibrating bar type musical instrument having strikers |
US3183759A (en) * | 1962-07-05 | 1965-05-18 | Wurlitzer Co | Rigidized reed bar |
US3443469A (en) * | 1968-01-11 | 1969-05-13 | Yoichi Hiraoka | Keyboard percussion instrument |
FR2037468A5 (fr) * | 1968-08-14 | 1970-12-31 | Columbia Broadcasting | Barres de tonalité à l'usage d'instruments musicaux. |
US3595119A (en) | 1969-07-25 | 1971-07-27 | Leendert Hendrik Kuijpers | Xylophonelike sound producing unit |
US3858477A (en) * | 1971-04-08 | 1975-01-07 |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having resonator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
JPS5129320Y2 (ko) | 1971-05-20 | 1976-07-23 | ||
US3705527A (en) * | 1972-03-20 | 1972-12-12 | Stephen G Burnham | Multitone wooden drum |
US4058044A (en) * | 1974-06-29 | 1977-11-15 |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 |
US3981221A (en) * | 1975-09-02 | 1976-09-21 | Wittel Luther A | Portable keyboard |
NL7605085A (en) * | 1976-05-12 | 1977-11-15 | Leendert Hendrik Kuijpers Albe | Musical instrument of xylophone type - has rods of diminishing lengths with side walls below junction lines forming parts of resonance boxes |
US4111094A (en) * | 1977-04-29 | 1978-09-05 | Broser Philip R | Rhythm instrument |
US5235892A (en) * | 1990-12-05 | 1993-08-17 | Yamaha Corporation | Celesta promptly responsive to high speed keying-in |
EP0505652B1 (en) | 1991-03-29 | 1996-03-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mory system with adaptable redundancy |
JPH04372993A (ja) | 1991-06-21 | 1992-12-25 | Yamaha Corp | 音板打楽器 |
DE9110619U1 (de) * | 1991-08-28 | 1991-10-10 | Solenhofer Aktien-Verein, 8838 Solnhofen | Zu schlagende Klangplatten für ein Musikinstrument |
US5207769A (en) * | 1991-10-31 | 1993-05-04 | Malmark, Inc. | Strikerles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 |
US5198602A (en) * | 1991-12-09 | 1993-03-30 | Roper Daleth F | Sound bar for percussive musical instrument |
USD348281S (en) * | 1992-02-28 | 1994-06-28 | Yamaha Corporation | Sound bar for a percussion instrument |
JP2594729Y2 (ja) | 1992-03-31 | 1999-05-10 | ヤマハ株式会社 | 鍵盤式音板打楽器 |
US5313867A (en) * | 1992-11-24 | 1994-05-24 | Yamaha Corporation | Glockenspiel equipped with hammer heads different in hardness for changing tone color |
US5458037A (en) * | 1994-10-17 | 1995-10-17 | Harman; Michael W. | Percussive spoon instrument |
JP3552319B2 (ja) | 1995-01-20 | 2004-08-11 | ヤマハ株式会社 | 音板打楽器用音板 |
JP3503247B2 (ja) | 1995-03-15 | 2004-03-02 | ヤマハ株式会社 | 音板および音板打楽器 |
AT405345B (de) * | 1997-01-08 | 1999-07-26 | Johannes Ing Obermayr | Musikinstrument mit wenigstens zwei klangplattenreihen |
CN2322235Y (zh) * | 1998-04-07 | 1999-06-02 | 王巍 | 竖挂式竹制共鸣筒全竹结构竹板琴 |
JP2003084759A (ja) * | 2001-09-07 | 2003-03-19 | Yamaha Corp | 音 板 |
DE10357326A1 (de) * | 2003-12-05 | 2005-06-30 | Schiedmayer Celesta Gmbh | Musikinstrument |
DE102005015811B3 (de) * | 2005-04-06 | 2006-07-20 | Studio 49 Musikinstrumentenbau Gmbh | Bass-Stabspielinstrument |
KR100869414B1 (ko) * | 2005-12-13 | 2008-11-21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및 그 제조방법, 음판타악기의 음원 유닛 및 건반식 타악기 |
KR100859905B1 (ko) * | 2005-12-13 | 2008-09-23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건반식 음판 타악기, 상기 음판 타악기용의 공명 관 및공명 상자 |
JP5070712B2 (ja) * | 2006-02-22 | 2012-11-14 | ヤマハ株式会社 | 鍵盤式音板打楽器及びグロッケンシュピール |
JP5066817B2 (ja) * | 2006-03-06 | 2012-11-07 | ヤマハ株式会社 | 楽器 |
JP2008170700A (ja) * | 2007-01-11 | 2008-07-24 | Yamaha Corp | 鍵盤式打楽器 |
JP5070844B2 (ja) * | 2007-01-11 | 2012-11-14 | ヤマハ株式会社 | 鍵盤式打楽器 |
JP4930062B2 (ja) * | 2007-01-11 | 2012-05-09 | ヤマハ株式会社 | 打楽器および鍵盤式打楽器 |
-
2006
- 2006-12-12 KR KR1020060126130A patent/KR10086941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13 CN CN2009101792914A patent/CN10167698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13 US US11/610,018 patent/US7541530B2/en active Active
- 2006-12-13 EP EP06025870A patent/EP179872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9
- 2009-04-24 US US12/429,559 patent/US780401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7314U (ko) * | 1989-10-02 | 1991-06-03 | ||
JPH1097241A (ja) * | 1996-09-20 | 1998-04-14 | Yamaha Corp | 音板打楽器用音板 |
JP2006079034A (ja) | 2004-09-12 | 2006-03-23 | Hachiro Kuramata | 打楽器の音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676989B (zh) | 2013-08-28 |
US20070131092A1 (en) | 2007-06-14 |
CN101676989A (zh) | 2010-03-24 |
US7541530B2 (en) | 2009-06-02 |
EP1798720B1 (en) | 2012-11-21 |
US7804014B2 (en) | 2010-09-28 |
KR20070062923A (ko) | 2007-06-18 |
EP1798720A1 (en) | 2007-06-20 |
US20090211428A1 (en) | 2009-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9414B1 (ko) | 건반식 음판 타악기용의 음판 및 그 제조방법, 음판타악기의 음원 유닛 및 건반식 타악기 | |
KR100859905B1 (ko) | 건반식 음판 타악기, 상기 음판 타악기용의 공명 관 및공명 상자 | |
EP1944751B1 (en) | Percussion instrument and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 |
CN100593190C (zh) | 键盘式音板打击乐器的音板、制造方法及乐音发生器装置 | |
US7560629B2 (en) |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 |
EP2511902A1 (en) | Keyboard instrument | |
JP2594729Y2 (ja) | 鍵盤式音板打楽器 | |
JP4632090B2 (ja) | 鍵盤式音板打楽器 | |
JP4345740B2 (ja) | 音板打楽器用の共鳴箱 | |
JP4821299B2 (ja) | 鍵盤式打楽器 | |
JP3503247B2 (ja) | 音板および音板打楽器 | |
JP4882416B2 (ja) | 音板打楽器用の共鳴箱 | |
KR200169746Y1 (ko) | 피아노의 음색 변환장치 | |
JPS5819594Y2 (ja) | 電気ピアノのピックアップ装置 | |
CN2036692U (zh) | 立琴 | |
CN114299897A (zh) | 弦槌及其加工方法与应用、及带有第四踏板的钢琴 | |
JP2003295856A (ja) | 弦鳴楽器の駒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