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099B1 -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 Google Patents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9099B1 KR100869099B1 KR1020020082088A KR20020082088A KR100869099B1 KR 100869099 B1 KR100869099 B1 KR 100869099B1 KR 1020020082088 A KR1020020082088 A KR 1020020082088A KR 20020082088 A KR20020082088 A KR 20020082088A KR 100869099 B1 KR100869099 B1 KR 100869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n beam
- cathode
- ray tube
- electr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84 hot electr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06—Shield centering cu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67—Control electrodes for flat display tubes, e.g. of the type covered by group H01J31/123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음극선관용 전자총이 개시된다. 상기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적,녹,청색에 대응하는 전자빔을 출사하는 캐소우드와, 전자빔의 출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을 포함하는 삼극부; 캐소우드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전극; 이 포커스전극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메인렌즈를 형성하며, 내부에 내부보조전극이 배치된 최종가속전극; 이 최종가속전극에 결합되어 최종가속전극에 고전압을 제공하는 쉴드컵; 및 최종가속전극의 내부보조전극과 쉴드컵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수차보정전극을 구비한다. 개시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의하면, 화상 주변부에서 빔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해상도를 개선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is disclosed. The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may include a three-pole portion including a cathode for emitting an electron beam corresponding to red, green, and blue, a control electrode for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of the electron beam, and a screen electrode; At least one focus electrode through which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cathode passes; A final acceleration electrode disposed to face the focus electrode to form a main lens, and having an internal auxiliary electrode disposed therein; A shield cup coupled to the final acceleration electrode to provide a high voltage to the final acceleration electrode; And an aberration correction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inner auxiliary electrode of the final accelerating electrode and the shield cup and having at least one transverse electron beam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ccording to the disclosed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the phenomenon of distorting the beam spot in the image periphery is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resolution.
Description
도 1a는 종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일례를 나타낸 입단면도,1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도 1b 및 도 1c는 도 1에 도시된 종장형 및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을 각각 나타낸 정면도들, 1B and 1C are front views showing the elongated and transverse electron beam through holes shown in FIG. 1, respectively;
도 2는 종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입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입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입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n gun for the cathode ray tube shown in FIG.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분리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illustrated in FIG. 4;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수차보정전극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들,6A and 6B are front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lectron beam through hole formed in the aberration correction electrode shown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분리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쉴드컵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들이다.8A and 8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 formed in the shield cup shown in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전자총 111,112,113...캐소우드100.Electron gun 111,112,113 ... Caswood
120...제어전극 130...스크린전극120
141,142...제1 및 제2포커스전극 150...최종가속전극
141,142 ... First and
151...내부보조전극 161,162,163,164...쉴드컵151 Internal auxiliary electrodes 161,162,163,164 Shield cup
171,172,173...수차보정전극 180...벌브스페이스171,172,173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향자계에 의해 화상 주변부에서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미리 보정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in which a phenomenon in which an electron beam spot is distorted at an edge of an image by a deflection magnetic field is corrected in advance.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열전자를 방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음극선관의 성능은 전자총으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이 형광막에 랜딩되는 상태에 따라 좌우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총으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이 형광막의 형광점에 정확하게 랜딩시킬 수 있도록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키고 렌즈의 수차를 줄일 수 있는 많은 전자총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음극선관의 전장을 줄이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편향각을 크게하고 전자총의 길이를 줄이고 있는데, 이 경우 형광막의 중앙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포커싱 길이보다 형광막의 주변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포커싱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며, 이 때문에 화면 주변부에서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편향각이 커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증가되는 편향요오크의 강한 편향자계에 의해 전자빔의 왜곡량이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Typically, the electron gun for the cathode ray tube is installed in the neck portion of the cathode ray tube to emit hot electrons, the performance of the cathode ray tube is dependent o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is landing on the fluorescent film. Accordingly, many electron gun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improve focusing characteristics and reduce lens aberration so that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can be accurately landed at the fluorescence point of the fluorescent film. In particular, recently,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length of the cathode ray tube, the deflection angle of the cathode ray tube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electron gun is reduced. It becomes relatively long, which causes the focus characteristic of the electron beam to be degraded at the periphery of the screen. In addition, as the deflection angle increases, the distortion amount of the electron beam is exponentially increased by the strong deflection magnetic field of the deflection yoke, which causes the electron beam landing on the fluorescent film to be distort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일례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미국 특허 제4,814,670호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a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s for solving this problem is shown in FIGS. 1A-1C, which is disclosed in US Pat. No. 4,814,670.
도면을 참조하면, 개시된 전자총은 적,녹,청색에 대응하는 전자빔을 출사하는 캐소우드(11,12,13)와, 상기 전자빔의 출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전극(20) 및 스크린전극(30)을 포함하는 삼극부와, 상기 캐소우드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이 통과하고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포커스전극(41)(42)과, 제2포커스전극(42)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메인렌즈를 형성하는 최종가속전극(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포커스전극(41)의 출사측면에는 캐소우드(11,12,13)에서 출사되는 세 전자빔이 통과하는 세 개의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41a,41b,41c)을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2포커스전극(42)의 입사측면에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42a,42b,42c)이 형성함으로써, 편향자계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은 어느 정도 보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closed electron guns include
그런데, 상기 전자빔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간에 큰 전위차이가 발생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면 주변에서 높은 전압 발생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압은 회로상의 신뢰성, 파형의 비대칭 및 포커스의 균일도 문제를 야기시킨다.However,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ion of the electron beam, a large potential difference must b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forming the quadrupole lens, and thus a high voltage is required around the screen. However, these high voltages cause circuit reliability, waveform asymmetry and focus uniformity issues.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낮은 전압으로 화상 주변부의 전자빔 왜곡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전압에 민감한 사중극렌즈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중극렌즈를 이루는 통과공을 작게 형성할수록 유리하다. 그러나, 조립되는 다른 전극들보다 빔 통과공들의 크기가 작으면 빔 통과공을 이용하여 전자총을 조립하는 공정의 특성상 조립이 매우 어렵게 되며, 정밀도나 제작 공정이 복잡하게 되 는 현실상의 문제가 있다.Due to the above problems, a voltage sensitive quadrupole lens should be constructed to compensate for the electron beam distortion phenomenon around the image at low voltage. For this purpose, the smaller the through hole forming the quadrupole lens i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beam passing holes is smaller than other electrodes to be assembled, the assembly becomes very difficult due to the nature of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electron gun using the beam passing holes, and there is a problem in reality that the precision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도 2에는 종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 입단면도로서, 이는 미국 특허 제4,678,964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lectron gun for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which is disclosed in US Pat. No. 4,678,964.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1A to 1C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actions and effects.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전자총은, 포커스전극(40)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메인렌즈를 형성하는 최종가속전극(50)의 내부에 배치된 컵형상의 내부보조전극(51)과, 상기 최종가속전극(50)에 양전기를 제공하는 쉴드컵(60)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보조전극(51)에는 캐소우드(11,12,13)에서 출사되는 세 전자빔이 통과되는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51a,51b,51c)이 형성되어 편향자계에 의한 전자빔경의 왜곡량을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부보조전극(51)은 최종가속전극(50)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전자빔 통과공(51a,51b,51c)의 직경이 작아져서 비점수차의 보정효과가 약하며, 이에 따라 화상 주변에서의 전자빔 스포트의 왜곡 형상을 충분히 개선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closed electron gun includes a cup-shaped inn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편향자계에 의한 비점수차를 미리 보정함으로써, 화상 주변부에서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which minimizes a phenomenon in which an electron beam spot is distorted in an image periphery by correcting astigmatism caused by a deflection magnetic field in advan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적,녹,청색에 대응하는 전자빔을 출사하는 캐소우드와, 상기 전자빔의 출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을 포함하는 삼극부; 상기 캐소우드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전극; 상기 포커스전극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메인렌즈를 형성하며, 내부에 내부보조전극이 배치된 최종가속전극; 상기 최종가속전극에 결합되어 상기 최종가속전극에 고전압을 제공하는 쉴드컵; 및 상기 최종가속전극의 내부보조전극과 상기 쉴드컵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수차보정전극;을 구비한다.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iode comprising a cathode for emitting an electron beam corresponding to red, green, blue, a control electrode for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of the electron beam, and a screen electrode; At least one focus electrode through which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cathode passes; A final acceleration electrode disposed to face the focus electrode to form a main lens and having an internal auxiliary electrode disposed therein; A shield cup coupled to the final acceleration electrode to provide a high voltage to the final acceleration electrode; And an aberration correction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internal auxiliary electrode of the final accelerating electrode and the shield cup and having at least one transverse electron beam through hole formed therein.
상기 전자빔 통과공은 상기 캐소우드에서 출사된 적,녹,청색의 전자빔이 모두 통과 할 수 있도록 상기 캐소우드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된 하나의 횡장형 구멍일 수 있다.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 may be one horizontal hole elongated in the array direction of the cathode so that all of the red, green, and blue electron beams emitted from the cathode may pass.
또한, 상기 전자빔 통과공은 상기 캐소우드에서 출사된 적,녹,청색의 전자빔 각각이 대응하여 통과할 수 있는 독립적인 3개의 횡장형 구멍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각 횡장형 구멍은 횡장형의 사각형 통공과 상기 사각형 통공의 중심부에 배치된 원형공이 조합된 횡장형 키-홀의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 may be three independent horizontal holes through which the red, green, and blue electron beams emitted from the cathode may pass. In this case, each of the horizontal holes may have a shape of a horizontal key-hole in which a horizontal rectangular hole and a circular hol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rectangular hole are combin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분리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1)과, 이 패널(1)과 봉착되는 펀넬(2)과, 상기 패널(1)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섀도우마스크(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펀넬(2) 네크부(2a) 내부에는 상기 패널(1)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에 적,녹,청색의 전자빔을 출사하는 전자총(100)이 봉입되어 있으며, 상기 펀넬(2)의 콘부(2b) 상에는 전자빔을 주사 위치에 따라 편향시키는 편향요오크(4)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athode ray tube includes a
상기 전자총(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 배치된 삼극부, 적어도 하나의 포커스전극, 최종가속전극(150), 및 쉴드컵(161)을 구비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the
상기 삼극부는 열전자의 방출원으로서 적,녹,청색에 대응하는 전자빔을 출사하는 캐소우드(111,112,113)와, 상기 전자빔의 출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전극(120), 및 스크린전극(130)을 포함한다.The triode includes
상기 포커스전극은 캐소우드(111,112,113)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을 집속 및 가속하기 위한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포커스전극(141)(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포커스전극(141)(142)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포커스전극의 수는 위에서 언급된 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빔을 다단으로 집속하기 위하여 사중극렌즈의 형성 상태에 따라 그 수를 늘릴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포커스전극(141)(142)에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인-라인 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전자빔 통과공들은 상기 포커스전극들(141,142) 사이에 형성되는 사중극렌즈의 크기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 포커스전극(141,142)에는 세 전자빔이 모두 통과할 수 있는 하나의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focus electrode forms a quadrupole lens for focusing and accelerating the electron beams emitted from the
상기 제2포커스전극(142), 즉 최종포커스전극과 이와 대향되게 설치된 최종가속전극(150) 사이에는 메인렌즈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최종포커스전극(142)의 출사면과 최종가속전극(150)의 입사면에는 대구경(142a,1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 main lens is formed between the
상기 쉴드컵(161)은 최종가속전극(150)에 결합되어 고전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쉴드컵(161)의 외주면에는 벌브스페이스(180)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벌브스페이스(180)는 음극선관의 내장흑연층(5;도 3)과 접촉하여 최종가속전극(150)에 양전기를 제공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100)은 상기 최종가속전극(150)의 내부보조전극(151)과 쉴드컵(161) 사이에 배치되어 편향자계에 의한 비점수차를 보정함으로써 화면 주변부에서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수차보정전극(171)을 더 구비한다. 비점수차의 보정을 위하여 상기 수차보정전극(171)에는 적어도 하나의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athode ray
상기 수차보정전극(171)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우드(111,112,113)에서 출사된 적,녹,청색의 전자빔이 모두 통과 할 수 있도록 캐소우드(111,112,113)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된 하나의 횡장형 구멍(171a)일 수 있다.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s formed in the
또한, 수차보정전극(172)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우드(111,112,113)에서 출사된 적,녹,청색의 전자빔 각각이 대응하여 통과할 수 있는 독립적인 3개의 횡장형 구멍(172a,172b,172c)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A,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s formed in the
더욱이, 수차보정전극(173)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횡장형 구멍(173a,173b,173c)으로서, 각 횡장형 구멍(173a,173b,173c)은 횡장형의 사각형 통공과 이 사각형 통공의 중심부에 배치된 원형공이 조합된 횡장형 키-홀의 형상일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s formed i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총(100)이 수차보정전극(171)을 더 구비하는 경우의 보정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correction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화면 중앙부에서는 편향자계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전자빔 스포트가 정확한 형상을 갖지만, 그 주변부에서는 편향자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발산하고 수직방향으로 과집속되어 왜곡된 횡장형의 전자빔 스포트가 형성되며, 이 때문에 화면 주변부에서의 해상도 열화를 초래한다. 물론 위에서 언급된 포커스전극들(141,142)에 의해 형성된 사중극렌즈와 최종가속전극(150) 내부에 설치된 내부보조전극(151)의 영향으로 편향자계에 의한 비점수차를 미리 보정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주변부에서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충분히 보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Since the deflection field is not appli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electron beam spot has an accurate shape, but at the periphery of the screen, the deflected field is diverged horizontally and over-conve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distorted horizontal electron beam spot. Results in resolution degradation at. Of course, astigmatism due to the deflection field may be corrected in advance by the influence of the quadrupole lens formed by the above-mentioned
그런데, 상기 수차보정전극(171)에는 쉴드컵(161)을 통해 양전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양전기가 제공되는 수차보정전극(171)에 형성된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을 전자빔이 통과하게 되면, 상기 전자빔에는 전기적 인력이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은 수직 방향의 폭이 수평방향보다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상기 전자빔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전기적 인력은 수평방향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빔은 수직방향으로는 발산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집속된 종장형으로 보정된다. 이렇게 종장형으로 보정된 전자빔은 편향자계에 의한 비점수차를 보상함으로써, 화면 주변부에서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However, a positive electrode is provided to the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전자총에서 최종가속전극과 쉴드컵만을 발췌하여 도시하였으며,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FIG. 7, only the final accelerating electrode and the shield cup are drawn from the electron gun, and the parts not shown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 5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최종가속전극(150)에 결합되어 고전압을 제공하는 쉴드컵(162)에 적어도 하나의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되었던 수차보정전극(171;도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As shown,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transverse electron beam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상기 쉴드컵(162)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우드(111,112,113)에서 출사된 적,녹,청색의 전자빔이 모두 통과 할 수 있도록 캐소우드(111,112,113)의 배열방향으로 연신된 하나의 횡장형 구멍(162a)일 수 있다.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s formed in the
또한, 상기 쉴드컵(163)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우드(111,112,113)에서 출사된 적,녹,청색의 전자빔 각각이 대응하여 통과할 수 있는 독립적인 3개의 횡장형 구멍(163a,163b,163c)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A, the electron beam passing holes formed in the
더욱이, 상기 쉴드컵(164)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횡장형 구멍(164a,164b,164c)으로서, 각 횡장형 구멍(164a,164b,164c)은 횡장형의 사각형 통공과 이 사각형 통공의 중심부에 배치된 원형공이 조합된 횡장형 키-홀의 형상일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electron beam through holes formed i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쉴드컵(162,163,164)의 내부에 형성된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전자빔이 수직방향으 로는 발산되고 수평방향으로는 집속되도록 종장형으로 보정한다. 이렇게 종장형으로 보정된 전자빔은 편향자계에 의한 비점수차를 보상함으로써, 화면 주변부에서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electron beam through hole formed in the shield cups 162, 163, and 164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electron beam is diverg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librate to length to ensure focusing. The elongated corrected electron beam compensates for astigmatism caused by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thereby minimizing the distortion of the electron beam spot at the periphery of the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의하면, 최종가속전극의 내부보조전극과 쉴드컵 사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하여 편형자계에 의한 비점수차를 미리 보정함으로써, 화상 주변부에서 빔스포트가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해상도를 개선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ctron beam gun for the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verse electron beam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auxiliary electrode and the shield cup of the final accelerating electrode to correct the astigmatism caused by the polarized magnetic field in advance, so that the beam at the image periphery Spot distortion is minimized, thereby improving resolu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2088A KR100869099B1 (en) | 2002-12-21 | 2002-12-21 |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2088A KR100869099B1 (en) | 2002-12-21 | 2002-12-21 |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5421A KR20040055421A (en) | 2004-06-26 |
KR100869099B1 true KR100869099B1 (en) | 2008-11-17 |
Family
ID=3734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20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9099B1 (en) | 2002-12-21 | 2002-12-21 |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909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604U (en) * | 1992-06-01 | 1994-01-03 |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 Caulking Punch |
KR970011163U (en) * | 1995-08-24 | 1997-03-29 | 오리온전기주식회사 | Electron gun for color crown and its beading jig |
KR0119393Y1 (en) * | 1994-10-25 | 1998-07-01 | 구자홍 | Electron gun |
KR20000074316A (en) | 1999-05-19 | 2000-12-15 | 김영남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2002
- 2002-12-21 KR KR1020020082088A patent/KR1008690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604U (en) * | 1992-06-01 | 1994-01-03 |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 Caulking Punch |
KR0119393Y1 (en) * | 1994-10-25 | 1998-07-01 | 구자홍 | Electron gun |
KR970011163U (en) * | 1995-08-24 | 1997-03-29 | 오리온전기주식회사 | Electron gun for color crown and its beading jig |
KR20000074316A (en) | 1999-05-19 | 2000-12-15 | 김영남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5421A (en) | 2004-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605202B2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KR970008566B1 (en) | Color cathode-ray tube of electron gun | |
US2806163A (en) | Triple gun for color television | |
KR100869099B1 (en) |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 |
KR100334072B1 (en) | electron gun for the cathode ray tube | |
US4885505A (en) | Electron gun assembly | |
KR100759544B1 (en) | Dual Dynamic Focus Gun | |
KR100719526B1 (en) | Electron gun for colored cathode ray tube | |
JP3926953B2 (en) | Color picture tube | |
KR100768174B1 (en) |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 |
KR100322067B1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JP2602254B2 (en) | Color picture tube | |
US6744190B2 (en) |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 |
KR100777716B1 (en) | Screen Electrode for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and Electron Gun with the Same | |
KR100228159B1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KR100869100B1 (en) | Electron gun for colored cathode ray tube | |
KR100269395B1 (en) | Electron gun for color crt | |
KR100236105B1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KR20010041076A (en) | Electron gun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n electron gun | |
KR100224977B1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KR950003539Y1 (en) | Electron gun for color tv | |
KR100804523B1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KR100751306B1 (en) | Electron gun for colored cathode ray tube | |
KR20030028130A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
KR20040076117A (en) |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