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8779B1 -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779B1
KR100868779B1 KR1020070040659A KR20070040659A KR100868779B1 KR 100868779 B1 KR100868779 B1 KR 100868779B1 KR 1020070040659 A KR1020070040659 A KR 1020070040659A KR 20070040659 A KR20070040659 A KR 20070040659A KR 100868779 B1 KR100868779 B1 KR 10086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urifier
washing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959A (ko
Inventor
고중균
Original Assignee
앨트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트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앨트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7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 또는 회사 구내식당과 같은 장소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일체형의 정수기와 살균수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량으로 사용되는 음식을 요리하기 전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을 목적으로 하는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청소 및 살균을 위한 살균수기가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용 바퀴가 형성된 설치된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원수에서 녹 찌꺼기와 부유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PP(Polypropylene)필터가 내장된 제1여과기와; 상기 제1여과기에서 여과된 물을 정화하도록 파이카트리지 필터가 내장된 정화기와; 상기 정화기에서 정화된 물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카본블럭 필터가 내장된 제2여과기로 구성된 정수기와;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포화염수 상태로 저장하는 염수탱크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염수를 공급받아 차아염화산나트륨 형태의 살균수로 변환시키는 전해장치와; 상기 전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살균수 탱크로 구성된 살균수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수기와 살균수기는 이동가능하도록 이송바퀴가 설치된 몸체에 설치된 것이다.
대용량 정수기, 세척수, 요리수, 살균수기, 염수

Description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A water purifier for washing and cooking with steriliz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기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대용량 정수기가 몸체에 설치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살균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대용량 정수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1여과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2여과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2 : 살균수기
10 : 제1여과기 11 : PP필터
20 : 정화기 21 : 대나무 숯층
22 : 코랄샌드층 23 : 알카리볼층
24 : 자철광층 25 : 토르말린층
30 : 제2여과기 31 : 카본블럭 필터
40 : 염수탱크 50 : 전해장치
60 : 살균수탱크 70 : 직류전원공급장치
본 발명은 학교 또는 회사 구내식당과 같은 장소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일체형의 정수기와 살균수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량으로 사용되는 음식을 요리하기 전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을 목적으로 하는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청소 및 살균을 위한 살균수기가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용 바퀴가 형성된 설치된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는 청소를 할 경우 소독을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소독제(예:락스)를 사용하여 청소함으로써, 소독제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고, 소독제에 의한 악취발생으로 식당을 찾는 사람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청소시 소독제로부터 인체의 피부가 장시간 노출되거나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에 들어옴으로써 소독제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258722호로 밸브A(101)에 의해 제어되며, 공급수중의 부유물질과 유기질 및 잔류염수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1차필터(102)와 박테리아와 미 생물들을 제거하도록 하는 한외여과장치인 2차필터(103)로 구성된 여과장치부와; 직류전원공급장치(111)와 전해조(112) 내부에 양극(113)과 음극(114) 및 음이온교환수지 또는 양이온교환수지분말을 원료료 한 이온교환막(115)이 적층 구성된 전해장치부와; 상기 전해장치부에 공급되는 0.05% ~ 0.1% 농도의 소금물을 만들기 위해 비교적 고농도의 소금물을 저장하는 저장조(122)와 상기 소금물 저장조(122)의 소금물을 관로상에 주입하도록 하는 소금주입장치인 에젝터(125) 상기 소금물 저장조(122)에 설치되어 에젝터(125)에 소금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에젝터 흡입필터(123)와 상기 이젝터(125)가 연결된 관로를 제어하도록 하는 밸브B(126) 와 밸브C(127)로 구성된 소금물공급부와; 상기 전해장치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다수의 개별관로로 배출하도록 하며 이를 각각 제어하도록 밸브D(131)와 밸브E(132)와 밸브F(133)와 밸브G(14)를 구비한 배출부로 구성되어 단일장치모듈을 이용하여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수와 음료용 알칼리수 및 음료용 정수기능을 가지는 정수 및 살균수 제조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제시된 종래기술과 그 외에 제시된 정수기를 통하여 정수되어 배출되는 정수량은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로 사용하기에 그 배출량이 적어 사용에 적합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 제시되어 있는 정수기는 식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제시된 기술로써 보다 깨끗하고 정수율이 높은 물로 정수하기 위하여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써 종래에 제시된 정수기를 통하여 정수 되는 물은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데에 부적합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를 사용하 고자 할 경우 다량의 물이 요구될 때에는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만약 사용하고 할 경우에는 미리 물통을 준비하여 정수된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제시된 정수기를 본 발명과 같이 다량으로 사용되는 식재료의 세척수나 요리수로 사용할 경우 필터의 수명이 짧아져 정수기의 유지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어 비효율적이다.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본 발명은, 식당과 같은 장소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량의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를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정수기와 청소시 살균을 위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살균수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공급관에 설치된 감압밸브로 압력이 조정되어 공급되는 원수에서 녹 찌꺼기와 부유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PP(Polypropylene)필터가 내장된 제1여과기와; 상기 제1여과기에서 여과된 물을 정화하도록 파이카트리지 필터가 내장된 정화기와; 상기 정화기에서 정화된 물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카본블럭 필터가 내장된 제2여과기로 구성된 정수기와;
공급관에 설치된 감압밸브로 압력이 조정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포화염수 상태로 저장하는 염수공급 펌프가 설치된 염수탱크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염수와 자동밸브를 통하여 공급량이 제어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직류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으로 살균수로 변환시키는 전해장치와; 상기 전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살균수 공급펌프가 설치된 살균수 탱크와;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진 살균수기와;
상기 정수기와 살균수기는 이동가능하도록 이송바퀴가 설치된 몸체에 설치된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는,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정수기와 살균용 살균수기에 있어서,
공급관에 설치된 감압밸브(12)로 압력이 조정되어 공급되는 원수에서 녹 찌꺼기와 부유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PP(Polypropylene)필터(11)가 내장된 제1여과기(10)와; 상기 제1여과기(10)에서 여과된 물을 정화하도록 파이카트리지 필터가 내장된 정화기(20)와; 상기 정화기(20)에서 정화된 물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카본블럭 필터(31)가 내장된 제2여과기(30)로 구성된 정수기(1)와;
공급관에 설치된 감압밸브(42)로 압력이 조정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포화염수 상태로 저장하는 염수공급 펌프(41)가 설치된 염수탱크(40)와; 상기 염수탱크(40)로부터 공급되는 염수와 자동밸브(44)를 통하여 공급량이 제어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직류전원공급장치(7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으로 살균수로 변환시키는 전해 장치(50)와; 상기 전해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살균수 공급펌프(61)가 설치된 살균수 탱크(60)와;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진 살균수기(2)와;
상기 정수기(1)와 살균수기(2)는 이동가능하도록 이송바퀴가 설치된 몸체(B)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기(20)의 파이카트리지 필터는 물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대나무 숯층(21)과; 천연미네랄이 풍부하며, 칼슘을 다량 용출시켜 물에 다량의 칼슘이 함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랄샌드층(22)과; 알카리 물로 만들기 위한 알카리볼층(23)과; 자력을 방출함으로써 물의 성질을 변화시키기 위한 자철광층(24)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물의 성질을 변화시키며,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여 미네랄이 풍부한 물로 변화시키기 위한 토르말린층(2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이카트리지 필터는 하측에서부터 토르말린 3㎏과 자광철 3㎏과 알카리볼 5㎏과 코랄샌드 3㎏과 대나무 숯 2㎏이 순서대로 적층된다.
상기 감압밸브(12)에서는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이 제1여과기(10)와 정화기(20)와 제2여과기(30)를 통하여 원활하게 여과 및 정화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물의 압력을 4㎏/㎠으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수기(2)는 제어기가 자동밸브(44)를 제어하여 전해장치(50)에 공급되는 원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전기분해장치(50)에서 배출되는 살균수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규모의 식당이나 학교 또는 회사의 구내식당에서 식재료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 및 요리를 위한 요리수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대용량 정수기(1)와 청소시 소독을 위한 살균수용 살균수기(2)가 일체형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몸체(B)에 설치된 것이다.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를 본 발명의 정수기(1)를 통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함으로써 식재료의 신선도를 높이고, 음식맛을 개선할 수 있으며,
청소시 살균수기(2)에서 공급되는 살균수를 이용할 경우에는 소독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고, 소독제에 비하여 안정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며, 살균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소독제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는 크게 정수기(1)와 살균수기(2)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1)와 살균수기(2)는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하측에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몸체(B)의 내부에 설치되며, 정수기(1)와 살균수기(2)에서 배출되는 정수와 살균수는 각각의 배출구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배출구는 하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B)는 보통 가로×세로×높이가 1000×750×1600㎜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설치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에 쉽게 이동 설치가 가능하고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상기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1)는 다시 제1여과기(10)와 정화기(20)와 제2여과기(30)로 구분된다.
상기 정수기(1)의 제1여과기(10)는 도 5와 같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녹 찌꺼기와 부유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중공의 원통형태의 PP(Polypropylene)로 제작된 PP필터(11)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내부에 PP필터(11)가 내장된 제1여과기(10)는 공급관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보통 50㎛이상의 녹 찌꺼기와 부유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정수기(1)의 정화기(20)는 상측에 제1여과기(10)로부터 여과된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배출관이 형성된 원통형태의 몸체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내부에 파이카트리지 필터가 내장된다.
상기 원통형태의 몸체 크기는 내경이 약 230㎜이고, 높이가 약800㎜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충진되는 파이카트리지 필터는 제1여과기(1)로부터 여과되어 공급되는 물의 성질을 변화시키며, 악취를 제거하고, 미네랄 등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정화기(20) 내부에 하측에서부터 토르말린과 자광철과 알카리볼과 코랄샌드와 대나무 숯이 순서대로 일정한 비율로 적층 되어 이루어진다.
보통 중량대비 토르말린 3㎏과 자광철 3㎏과 알카리볼 5㎏과 코랄샌드 3㎏과 대나무 숯 2㎏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대나무 숯층(21)을 구성하는 대나무 숯은 냄새나 악취의 제거 능력이 크고, 항균능력과 미네랄 용출능이 있음으로, 제1여과기에서 여과된 물이 대나무 숯층(21)을 통과하게 되면 냄새와 악취가 제거되고, 항균력과 미네랄이 풍부한 물로 변화된다.
상기 코랄샌드층(22)을 구성하는 코랄샌드는 천연미네랄이 풍부하고,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물이 코랠샌드층(22)을 통과하게 되면 물에는 천연미네랄과 칼슘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알카리볼층(23)을 구성하는 알카리볼은 물을 빠른 시간내에 약 알카리화 시킨다. 그럼으로 알카리볼층(23)을 통과한 물은 약 알카리화 된다.
상기 자광철층(24)을 구성하는 자광철은 자력을 방출시키는 성질이 있어 자력으로 물의 성질을 변화시킨다. 일반적으로 물에 강한 자력을 가하게 되면 물은 육각고리 형태의 육각수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토르말린층(25)을 구성하는 토르말린은 음이온을 방출하며, 천연 미네랄을 가지고 있어 물이 토르말린층(25)을 통과하게 되면 물은 음이온에 의하여 그 성질이 변화고, 다량의 천연미네랄을 함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이카트리지 필터를 통과하는 물은 그 성질이 알카리볼에 의하여 약 알칼리화로 변화하고, 자철광에 의하여 육각수로 일부가 변화하며, 토르말린의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을 가지는 물로 변화하게 된다. 또한, 다량의 미네랄을 함유하게 되고 칼슘의 성분을 함유하게 된다.
상기 정수기(1)의 제2여과기(30)는 도 6과 같이 정화기(20)에서 정화된 물을 다시 한번 여과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중공의 원통형태의 카본블럭 필터(31)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카본블럭 필터(31)는 약 1㎛의 기공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여과기(30)의 내부에 설치된 카본블럭 필터(31)는 물속에 잔유물로 존재하는 부유물질, 염수, 총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 중금속(수은 등) 등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는 소정의 압력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정상적인 여과와 정화가 이루어져서 배출이 될 수 있다.
그럼으로 제1여과기(10)에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감압밸브(12)을 설치하여 제1여과기(10)와 정화기(20)와 제2여과기(30)를 통하여 원활하게 여과 및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감압밸브(12)에 의하여 보통 물의 압력은 4㎏/㎠으로 조정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압력이 4㎏/㎠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면 정상적으로 물이 여과와 정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배출되며, 그 이하가 되면 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용량 정수기(1)의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 도구 소독 및 청소용 살균수를 공급하는 살균수기(2)는 다시 염수탱크(40)와 전해장치(50)와 살균수 탱크(60)와 직류전원공급장치(70)와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분된다.
상기 염수탱크(40)에는 소금이 들어있어 공급되는 원수를 포화염수로 바꾼다.
상기 전해장치(50)는 살균수를 생성하는 장치로써, 전해장치(50)에는 염수탱크(40)에서 공급되는 포화염수를 공급하는 염수용 배관라인과, 포화염수에 원수를 공급하여 포화염수를 희석하기 위한 염수희석용 배관라인과, 살균수에 원수를 공급하여 살균수의 농도를 조절하는 살균수농도조절용 배관라인과, 희석된 염수를 전기분해하는 전해조(5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관라인에는 제어기로부터 제어되는 다수의 밸브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염수와 원수가 조절된다.
상기 포화염수가 공급되는 염수용 배관라인에 원수가 공급되는 염수희석용 배관라인을 연설하여 포화염수에 원수가 공급되어 희석되도록 한 것으로, 센서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조절함으로써 희석농도를 조절하며, 그 농도는 약 3%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조(51)에 설치되어 있는 이리듐평막셀에 직류전원공급장치(70)부터 직류가 인가되면 공급된 희석염수는 전기분해되어 하기 식(1)과 같이 차아염화산나트륨(NaOCl) 형태의 살균수로 변화된다.
NaCl+H2O+2e- → NaOCl + H2 ---------------- 식(1)
상기 희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화산나트륨으로 생성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 전해조에서 발생된 살균수에 살균수농도조절용 배관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공급하여 희석하되, 약 200ppm 농도로 희석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수 탱크(60)는 전해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수를 저장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살균수 펌프(61)를 이용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살균수기(2)의 작동상태를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급관에 설치되어 있는 감압밸브(42)에서 1㎏/㎠의 수압으로 조정하여 원수를 공급하면, 원수는 분기관(43)를 통하여 일부는 염수탱크(40)에 공급되고, 일부는 자동밸브(44)에 의하여 유량이 조절되어 분기관(45)로 분기되어 염수희석용 배관라인과, 살균수농도조절용 배관라인으로 공급된다.
상기 염수탱크(40)에 공급된 원수는 저장되어 있는 소금에 의하여 포화염수로 염수펌프(41)로 전해장치(50)에 공급된다.
상기 전해장치(50)에 공급되는 포화염수와 원수는 배관라인에서 희석되어 전해조(51)로 공급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수탱크(40)에 저장되어 있는 포화염수는 염 수펌프(41)에 의하여 펌핑되어 염수용 배관라인에 공급되고, 분기관(43)으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원수는 제어기로 제어되는 자동밸브(44)에 의하여 유량이 조절되어 염수희석용 배관라인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포화염수와 원수는 배관라인에서 희석되어 전해조(51)에 공급된다.
또한, 전해장치(50)에서 생성되는 살균수의 농도는 제어기가 자동밸브(44)에서 조절되어 공급되는 원수량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해장치(50)의 전해조(51)에 공급된 희석염수는 전해조(51)에 설치되어 있는 이리듐평막셀에 직류전원발생장치(70)로부터 인가된 직류전원으로 전기분해되어 차아염화산나트륨 형태의 살균수를 생성한다.
상기 직류전원발생장치(70)로부터 인가된 직류전원은 DC 10V, 16~17A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장치(50)의 전해조(51)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 탱크(60)로 공급되어 저장되었다가 사용시 살균수 펌프(61)에 의하여 소정의 압으로 펌핑되어 사용된다.
첫째, 정수기와 살균수기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공간이용 좋고,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몸체에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에 이동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PP(Polypropylene)필터가 내장된 제1여과기와, 파이카트리지 필터가 내장된 정화기와, 카본블럭 필터가 내장된 제2여과기로 구성된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를 제공함으로써 다량의 식재료의 세척수와 요리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차아염화산나트륨 형태의 환경에 친화적인 살균수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이고, 화학적 소독제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살균수기에서 생성되는 살균수는 식재료의 세척시에도 살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방의 도구(도마, 칼, 칼, 숟가락 등) 및 청소시 높은 살균력으로 소독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정함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섯째,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수와 살균수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소독과 세척하면 열을 가하지 않고 직접 섭취하는 야채의 경유 아무런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으며, 요리수로 사용될 경우에는 음식맛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정수기와 살균용 살균수기에 있어서,
    공급관에 설치된 감압밸브(12)로 압력이 조정되어 공급되는 원수에서 녹 찌꺼기와 부유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PP(Polypropylene)필터(11)가 내장된 제1여과기(10)와; 상기 제1여과기(10)에서 여과된 물을 정화하도록 파이카트리지 필터가 내장된 정화기(20)와; 상기 정화기(20)에서 정화된 물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카본블럭 필터(31)가 내장된 제2여과기(30)로 구성된 정수기(1)와;
    공급관에 설치된 감압밸브(42)로 압력이 조정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포화염수 상태로 저장하는 염수공급 펌프(41)가 설치된 염수탱크(40)와; 상기 염수탱크(40)로부터 공급되는 염수와 자동밸브(44)를 통하여 공급량이 제어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직류전원공급장치(7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으로 살균수로 변환시키는 전해장치(50)와; 상기 전해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살균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살균수 공급펌프(61)가 설치된 살균수 탱크(60)와;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진 살균수기(2)와;
    상기 정수기(1)와 살균수기(2)는 이동가능하도록 이송바퀴가 설치된 몸체(B)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20)의 파이카트리지 필터는 물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대나무 숯층(21)과; 천연미네랄이 풍부하며, 칼슘을 다량 용출시켜 물에 다량의 칼슘이 함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랄샌드층(22)과; 알카리 물로 만들기 위한 알카리볼층(23)과; 자력을 방출함으로써 물의 성질을 변화시키기 위한 자철광층(24)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물의 성질을 변화시키며,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여 미네랄이 풍부한 물로 변화시키기 위한 토르말린층(2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이카트리지 필터는 하측에서부터 토르말린 3㎏과 자광철 3㎏과 알카리볼 5㎏과 코랄샌드 3㎏과 대나무 숯 2㎏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12)에서는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이 제1여과기(10)와 정화기(20)와 제2여과기(30)를 통하여 원활하게 여과 및 정화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물의 압력을 4㎏/㎠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균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기(2)는 제어기가 자동밸브(44)를 제어하여 전해장치(50)에 공급되는 원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전기분해방치(50)에서 배출되는 살균수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 살 균수기.
KR1020070040659A 2007-04-26 2007-04-26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KR10086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659A KR100868779B1 (ko) 2007-04-26 2007-04-26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659A KR100868779B1 (ko) 2007-04-26 2007-04-26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959A KR20080095959A (ko) 2008-10-30
KR100868779B1 true KR100868779B1 (ko) 2008-11-17

Family

ID=4015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659A KR100868779B1 (ko) 2007-04-26 2007-04-26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11B1 (ko) * 2011-07-08 2013-10-10 주식회사 교원 살균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808A (ja) * 2001-09-26 2003-04-02 Masanobu Sakurai 低圧式自己洗浄型ろ過装置
JP2004057983A (ja) * 2002-07-30 2004-02-26 Fuji Photo Film Co Ltd 濾過装置
KR100583407B1 (ko) 2004-04-29 2006-05-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수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
KR100618658B1 (ko) 2002-11-08 2006-09-05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폐수를 재사용하는 순환식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808A (ja) * 2001-09-26 2003-04-02 Masanobu Sakurai 低圧式自己洗浄型ろ過装置
JP2004057983A (ja) * 2002-07-30 2004-02-26 Fuji Photo Film Co Ltd 濾過装置
KR100618658B1 (ko) 2002-11-08 2006-09-05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폐수를 재사용하는 순환식 정수기
KR100583407B1 (ko) 2004-04-29 2006-05-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수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959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3267A (en) Water deionization and contaminants removal or degradation
KR100985918B1 (ko) 미생물 및 이물질의 혼입 차단을 위한 밀폐형 전해 수소 함유 냉·온수 정수기 및 정수 방법
KR100858971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US20180370831A1 (en) Water treatment device
JP5620477B2 (ja) 浄水ピッチャー
US8454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KR20110127628A (ko) 수처리 장치의 살균세척방법
JP2013049047A (ja) 飲用水製造装置及び飲用水製造方法
JP5129442B2 (ja) 液体の帯電物質の濃度調節装置
KR20090030783A (ko) 저수조 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저수조살균장치
KR20160041549A (ko) 휴대용 수소수생성기
CN105692815A (zh) 中央净水器
RU74909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ктивации жидкостей
JP2016055913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076630B1 (ko) 수소수 가습기
KR100868779B1 (ko)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JP2006043610A (ja) 電解式水素水生成装置
KR20110075870A (ko) 광촉매 필터 멸균 급수마개
JP5385776B2 (ja) 中水供給装置
WO2012063583A1 (ja)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CN209052474U (zh) 一种无废水产生的ro膜净水装置
TWI323245B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and sink including the same
KR100647909B1 (ko) 정수살균장치를 구비하는 가정용 정수기 및 이에 사용되는 가정용 정수살균장치
CN212293140U (zh) 一种用于管道净水的管网循环杀菌抑菌系统
KR20160018079A (ko)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다기능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