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723B1 -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8723B1 KR100868723B1 KR1020060076697A KR20060076697A KR100868723B1 KR 100868723 B1 KR100868723 B1 KR 100868723B1 KR 1020060076697 A KR1020060076697 A KR 1020060076697A KR 20060076697 A KR20060076697 A KR 20060076697A KR 100868723 B1 KR100868723 B1 KR 1008687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nket
- tension
- rotating roller
- driving
- electronic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6 galva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 B65H23/18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 B65H23/19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motor-control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30—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 B65H2557/33—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for digital control, e.g. for generating, counting or comparing pul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s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는, 폐로를 형성하는 모포,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모포를 순환시키는 모포 구동롤러, 모포에 의해 모포 구동롤러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모포 회전롤러, 모포 회전롤러와 연동하도록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가변 회전롤러, 모포의 장력을 측정하는 전자식 센서 및,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된 모포의 장력을 이용해 가변 회전롤러를 구동하여 모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자식 센서를 이용하여 장력을 측정하고 원하는 장력으로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계식 장비에 비해 정확하고 신속한 장력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lanket forming a closed, a blanket driving roller driven by a driving source and circulating the blanket, a blanket rotating roller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blanket driving roller by the blanket; A variable rotating roller installed coaxially with the roller, an electronic sensor for measur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and a ten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by driving the variable rotating roller us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ccording to this, by measuring the tension using an electronic sensor and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desired tension,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accurate and rapid tension control than conventional mechanical equipment.
모포/금망, 장력, 제어, 구동모터, 유공압실린더, 전자식 센서 Blanket / gold mesh, tension, control, drive motor, pneumatic cylinder, electronic senso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장력조절유닛의 상세도,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tension control unit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구동모터 제어유닛이 전자식 센서의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이용해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 3 is a graph showing that the drive motor control unit of FIG. 2 transmits a control signal using a measured value of a electronic sensor and a preset reference value;
도 4는 도 1의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장력조절유닛의 상세도,6 is a detailed view of the tension control unit of FIG.
도 7은 도 5의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of FIG. 5.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10. 모포 120. 모포 구동롤러110.
130. 모포 회전롤러 140. 가변 회전롤러130. Blanket
150,230. 전자식 센서 160,240. 장력조절유닛150,230. Electronic sensor 160,240. Tension control unit
163,243. 고정 회전롤러 165. 구동모터163,243. Fixed Rotary Rollers 165. Drive Motors
167,247. 체인 170. 구동모터 제어유닛167,247.
250. 유공압실린더 260.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50. Pneumatic Cylinder 260. Pneumatic Cylinder Control Unit
본 발명은 모포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 이상의 롤러를 연결하는 모포 또는 금망의 장력을 전자식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more specifically, a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or gold mesh connecting two or more rollers by using an electronic sensor It is about.
용융도금장치, 냉연강판이송장치, 제지공장, 연속압출에 의한 필름이나 시트(sheet)지 생산 공장은 제품의 이송을 위해 롤러와, 모포(felt) 또는 금망(wire)(이하 '모포'라 함)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며 모포를 이송하고 있으며, 구동축의 회전력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포의 장력이 적절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Hot-dip galvanizing equipment, cold rolled sheet conveying equipment, paper mills, and film or sheet paper production plants by continuous extrusion are referred to as rollers, felts or wi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ams') for the transfer of products. ) And the like. In this conveying apparatus, the roller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to convey the blanket, and the tension of the blanket must be maintained in order to accurate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haft.
종래의 장력조절 장치는 기계식 링크 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모포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계적은 작동으로 인한 장력 보정에 지연시간이 발생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해지므로 장력 조절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Conventional tensioning devices generally use a mechanical link or spring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blanket. However, the mechanical delay occurs in the tension correction due to the operation, or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weakens with time,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nsion control function is degra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식 센서를 이용하여 모포의 장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구동모터 또는 유공압실린더를 이용해 상기 모포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장력제어가 가능한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tension of the blanket using an electronic sensor, and compare the measured value with a reference value by using a drive motor or a pneumatic cylinder to properly adjust the tension of the blank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cise and rapid tension contro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는, 폐로를 형성하는 모포;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모포를 순환시키는 모포 구동롤러; 상기 모포에 의해 상기 모포 구동롤러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모포 회전롤러; 상기 모포 회전롤러와 연동하도록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가변 회전롤러; 상기 모포의 장력을 측정하는 전자식 센서; 및, 상기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된 모포의 장력을 이용해 상기 가변 회전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모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lanket forming a closed; A blanket driving roller driven by a driving source and circulating the blanket; A blanket rotating roller which rotate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blanket driving roller by the blanket; A variable rotating roller installed coaxially with the blanket rotating roller; An electronic sensor for measur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And a ten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by driving the variable rotation roller by using the tension of the blanke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ens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상기 가변 회전롤러를 이동시키는 고정 회전롤러; 상기 고정 회전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일단이 상기 전자식 센서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단에 고정되며, 상기 가변 회전롤러 및 고정 회전롤러를 거쳐 상기 고정 회전롤러의 구동력을 상기 가변 회전롤러에 전달하는 체인; 및, 상기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된 모포의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The tens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rotating roller for moving the variable rotating roller;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fixed rotating roller; A chai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senso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xed end, the chain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xed rotating roller to the variable rotating roller via the variable rotating roller and the fixed rotating roller; And a driving motor control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driving motor by comparing the tension value of the blanke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구동모터 제어유닛은, 상기 전자식 센서와 신호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을 장력값으로 변환하는 장력값 변환부; 상기 장력값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구동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e motor control unit may include: a tension value converting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sensor so as to be interchangeable with a signal, and converting a value measured by the electronic sensor into a tension value;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tension value converted by the tension value conversion uni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a driving moto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by using the result compared by the comparing unit.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상기 가변 회전롤러를 이동시키는 고정 회전롤러; 상기 고정 회전롤러를 구동하는 유공압실린더; 일단이 상기 유공압실린더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단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회전롤러 및 가변 회전롤러를 거쳐 상기 고정 회전롤러의 구동력을 상기 가변 회전롤러에 전달하는 체인; 및, 상기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된 모포의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유공압실린더를 구동하는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력제어 방식은 체인의 양단이 고정된 경우의 적용방식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력제어 방식은 체인의 일단이 유공압실린더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된 형태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rotating roller for moving the variable rotating roller; A pneumatic cylinder driving the fixed rotating roller; A chai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neumatic cylind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xed end, the chain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xed rotating roller to the variable rotating roller via the fixed rotating roller and the variable rotating roller; And a pneumatic cylind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pneumatic cylinder by comparing the tension value of the blanke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ens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drive motor is an application method when both ends of the chain is fixed, the tens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end of the chain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cylinder The other end is fixed.
상기 유공압실린더는, 실린더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체인이 연결된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 센서는 상기 피스톤 양측의 상기 실린더 챔버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상기 모포의 장 력을 측정한다. The pneumatic cylinder includes a cylinder housing forming a cylinder chamber, and a piston inserted into the cylinder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hain, and the electronic sensor measure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ylinder chambers on both sides of the piston, Measure the tension.
또한, 상기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은, 상기 전자식 센서와 신호교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을 장력값으로 변환하는 장력값 변환부; 상기 장력값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유공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유공압실린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neumatic cylinder control unit may include a tension value converting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sensor so as to be capable of signal exchange and converting the value measured by the electronic sensor into a tension value;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tension value converted by the tension value conversion uni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a pneumatic cylinde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neumatic cylinder using the result compared by the comparison unit.
또한, 상기 유공압실린더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벨브와 연결되며, 상기 유공압실린더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벨브를 개폐하여 상기 피스톤 양측의 상기 실린더 챔버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ydraulic cylind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olenoid valve, the hydraulic cylinder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o open and close the solenoid valv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chamber on both sides of the pist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100)는, 모포(110), 모포 구동롤러(120), 모포 회전롤러(130), 가변 회전롤러(140), 전자식 센서(150) 및 장력조절유닛(160)을 포함한다.1 and 2, a blanket tension
모포 구동롤러(120)와 모포 회전롤러(130) 사이에는 모포(110)가 폐로를 형성하며 설치된다. 모포 구동롤러(120)는 고정된 채로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며, 모포 회전롤러(130)는 모포(110)에 의해 상기 모포 구동롤러(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변 가능하게 회전한다. 따라서, 모포 회전롤러(130)가 좌측 또는 우측 으로 이동함으로써 모포(110)의 장력은 조절된다.The
모포(110)의 경로상에는 모포(110)의 위치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위치제어롤러(180)가 설치된다. On the path of the
삭제delete
전자식 센서(150)는 상기 체인(167)을 이용하여 모포(110)의 장력을 측정한다. 즉, 모포 회전롤러(130)를 회전시키는 모포(110)의 장력은 가변 회전롤러(140)에 걸려있는 체인(167)으로 전달되고, 체인(167)에 연결된 전자식 센서(150)는 모포(110)의 장력을 측정하게 된다. 전자식 센서(150)는 보통 로드 셀(load cell)가 같은 센서를 사용한다.The
장력조절유닛(160)은 상기 전자식 센서(150)에 의해 측정된 모포(110)의 장력을 이용해 가변 회전롤러(1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동시킴으로 인해, 결국 모포 회전롤러(130)에 걸려있는 모포(110)의 장력을 조절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유닛(160)은 고정 회전롤러(163), 구동모터(165), 체인(167) 및 구동모터 제어유닛(170)을 포함한다.The
고정 회전롤러(163)는 체인(167)에 의해 가변 회전롤러(140)와 연결된다. 한편, 고정 회전롤러(163)는 구동모터(165)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구 동모터(165)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정지가 가능한 스테핑(stepping) 모터와 유사한 인버터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65)는 모포 구동롤러(120)를 구동시키는 구동원(미도시)과는 별도의 구동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67)은 가변 회전롤러(140), 고정 회전롤러(163)에 걸쳐 있으며, 상기 고정 회전롤러(163)의 구동력을 가변 회전롤러(140)에 전달한다. The fixed rotating
따라서, 구동모터(165)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고정 회전롤러(163)을 시계방향으로 미세 회전시키면, 체인(147)은 전자식 센서(150)로부터 풀어주는 방향으로 느슨해진다. 따라서 가변 회전롤러(140) 및 이와 동축적으로 연결된 모포 회전롤러(130)는 오른쪽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되고, 결국은 모포(110)의 장력은 줄어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구동모터(165)를 다른 방향으로 구동하여 고정 회전롤러(163)를 반시계방향으로 미세 회전시키면, 체인(147)은 전자식 센서(150)로부터 당겨주는 방향으로 조여진다. 따라서, 가변 회전롤러(140) 및 이와 동축적으로 연결된 모포 회전롤러(130)는 왼쪽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되고, 결국은 모포(110)의 장력은 커지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구동모터 제어유닛(170)은 상기 전자식 센서(150)에 의해 측정된 모포(110)의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65)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구동모터 제어유닛(170)은 장력값 변환부(171), 비교부(173) 및 구동모터 제어부(175)를 포함한다.The driving
장력값 변환부(171)는 전자식 센서(150)와 신호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자식 센서(150)에 의해 측정된 값을 수신하여 장력값으로 변환한다. 비교부(173)는 상기 장력값 변환부(171)에 의해 변환된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구동모터 제어부(175)는 상기 비교부(173)에 의해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65)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장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허용오차 범위(ΔE)내인 경우 구동모터(165)를 구동하지는 않지만,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 장력을 조절해야하는 경우 구동모터(165)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측정된 장력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장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측정된 장력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장력을 커지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모터(165)를 구동시킨다.The tens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65)의 구동에 의해 고정 회전롤러(163)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고정 회전롤러(163)에 감겨진 체인(167)에 의해 가변 회전롤러(14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 회전롤러(140)와 동축적으로 설치된 상기 모포 회전롤러(130)는 이동하고, 결국 모포(110)의 장력이 조절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xed
한편, 보조가변 회전롤러(182)는 연결바(184)에 의해 가변 회전롤러(140)와 연결되어, 가변 회전롤러(140)와 같이 이동한다. 체인(167)은 보조고정 회전롤러(183) 및 보조가변 회전롤러(182)를 거쳐 고정단(181)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모포 구동롤러(120)가 회전하면 모포(110) 및 이와 연결된 모포 회전롤러(130)가 회전하게 된다. 모포 회전롤러(130)를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모포 회전롤러(130) 축 또는 축에 연결된 구조물에 가변 회전롤러(140)가 설치되며 가변 회전롤러(140)는 모포 회전롤러(130)와 별도로 회전한다. 이때 모포(110)의 장력은 가변 회전롤러(140)에 걸려있는 체인(167)에 전달된다. 체인(167)과 연결된 전자식 센서(150)는 모포(110)의 장력값을 측정하게 된다(S310).When the
구동모터 제어유닛(170)은 상기 전자식 센서(150)에 의해 측정된 값을 수신하여 장력값으로 변환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S320). The driving
비교 결과 측정값이 기준값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면(S330), 구동모터 제어유닛(170)은 구동모터(165)를 구동하는 신호를 송출한다(S340).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차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구동모터 제어유닛(170)은 측정된 장력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구동모터(165)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가변 회전롤러(140)를 전자식 센서(150)로부터 풀어주는 방향으로 고정 회전롤러(163)를 미세 회전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측정된 장력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구동모터(165)를 다른 방향으로 구동하여 가변 회전롤러(140)를 조여주는 방향으로 고정 회전롤러(163)를 미세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 제어유닛(170)은 전자식 센서(150)와의 신호교환을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구동모터(165)를 구동하지 않지만, 측정값이 기준값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구동모터(16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모포(110)의 장력을 기준값에 일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out of the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S330), the drive
한편, 위치제어롤러(180)가 이동하여 모포 회전롤러(130), 가변 회전롤러(140)가 이동할 때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포(1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는, 전자식 센서(150)를 이용해 모포(110)의 장력을 측정하고, 구동모터(165)를 구동하여 모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tension of th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2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모포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앞선 실시예에 동일한 구성, 작용을 하는 모포(110), 모포 구동롤러(120), 모포 회전롤러(130) 등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and 6 show a blanket tens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유닛(240)은 고정 회전롤러(243), 유공압실린더(250), 체인(247) 및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60)을 포함한다.The
고정 회전롤러(243)는 체인(247)에 의해 가변 회전롤러(140)와 연결된다. 한편, 고정 회전롤러(243)는 체인(247)에 의해 유공압실린더(250)와 연결되어, 유공압실린더(25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47)은 일단이 고정단(281)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공압실린더(250)의 피스톤(255)에 연결되며, 가변 회전롤러(140) 및 고정 회전롤러(243)에 걸쳐 있어 상기 고정 회전롤러(243)의 구동력을 가변 회전롤러(140)에 전달한다.The fixed
유공압실린더(250)는 실린더 챔버(253a, 253b)를 형성하는 실린더 하우징(251)과, 실린더 하우징(251) 내부에 삽입되며 체인(247)이 연결된 피스톤(255)을 구비한다. 복수의 솔레노이드 벨브(271, 272, 273, 274)는 실린더 챔버(253a, 253b)와 연통하도록 실린더 하우징(251)에 연결된다. 유공압 실린더(250) 상측의 솔레노이드 벨브(271, 272)는 유공압 공급 라인(275)과 연결되어 유공압을 공급받으며, 하측의 솔레노이드 벨브(273, 274)는 유공압이 배출되는 곳으로써 유압인 경우 도시되지 않은 유압탱크와 연결되고 공압인 경우 대기로 배출시킨다.The
전자식 센서는 상기 피스톤(255) 양측의 실린더 챔버(253a, 253b)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상기 모포(110)의 장력을 측정한다. 전자식 센서는 피스톤(255)을 기준으로 좌측의 실린더 챔버(253a)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231)와 우측의 실린더 챔버(253b)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232)를 포함한다. The electronic sensor measure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60)은 전자식 센서(231, 232)에 의해 측정된 모포(110)의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유공압실린더(25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60)은 장력값 변환부(261), 비교부(263) 및 유공압실린더 제어부(265)를 포함한다.The pneumatic
장력값 변환부(261)는 제1압력센서(231) 및 제2압력센서(232)와 신호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센서(213, 232)에 의해 측정된 값을 수신하여 장력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모포(110)의 장력은 실린더 챔버(253a, 253b) 양측의 압력차에 상기 피스톤(255)의 면적을 곱한 값이 된다. The tension
비교부(263)는 상기 장력값 변환부(261)에 의해 변환된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유공압실린더 제어부(265)는 상기 비교부(263)에 의해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유공압실린더(250)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즉, 측정된 장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허용오차 범위내인 경우 유공압실린더(250)를 구동하지 않지만,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공압실린 더(250)를 구동하여 상기 피스톤(255)을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유공압실린더 제어부(265)는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벨브(271~274)를 적절히 개폐함으로써 유공압 실린더(250)를 작동시킨다. 즉, 유공압실린더 제어부(265)는 상기 솔레노이드 벨브(271~274)를 개폐하여 실린더 챔버(253) 내부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실린더 챔버(253) 내부의 압력에 변화가 생기면 상기 피스톤(255)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먼저, 유공압실린더(250)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벨브(271~274)가 모두 닫힌 즉 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피스톤(255)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274" 솔레노이드 벨브를 연다. 여기서 제1,제2압력센서(231, 232)가 측정하는 압력차 즉, 상기 양 실린더 챔버(253a, 253b)의 압력차가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274" 솔레노이드 벨브를 열어야 한다. 제1,제2압력센서(231, 232)가 측정하는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시 "271" 또는 "273" 솔레노이드 벨브를 열 수 있다. 한편, 피스톤(255)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역시 제1,제2압력센서(231, 232)가 측정하는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272"와 "273" 솔레노이드를 적절히 열면 된다. First, in order to operate the
피스톤(255)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255)에 연결된 체인(247)에 의해 고정 회전롤러(243)는 회전하고, 고정 회전롤러(243)에 감겨진 체인(247)에 의해 가변 회전롤러(14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변 회전롤러(140)와 동축적으로 설치된 상기 모포 회전롤러(130) 역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결국 모포(110)의 장력이 조절되게 된다.When the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 및 모포 장력 자동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device and a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모포 구동롤러(120)가 회전하면 모포(110) 및 이와 연결된 모포 회전롤러(130)가 회전하게 된다. 모포 회전롤러(130)를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모포 회전롤러(130)와 같은 축을 갖는 가변 회전롤러(140)가 설치되며 가변 회전롤러(140)는 모포 회전롤러(130)와 별도로 회전한다. 이때 모포(110)의 장력은 가변 회전롤러(140)에 걸려있는 체인(247)에 전달된다.When the
그리고, 체인(247)과 연결된 피스톤(255)에 상기 모포(110)의 장력이 전달된다. 제1압력센서(231)와 제2압력센서(232)는 상기 피스톤(255) 양측의 상기 실린더 챔버(253a, 253b)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S410).Then, the tension of the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60)은 상기 측정된 제1압력센서(231)와 제2압력센서(232)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모포(110)의 장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장력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S420). The hydraulic
비교 결과 측정값이 기준값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면(S430),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60)은 복수의 솔레노이드 벨브(271~274)를 적절하게 개폐하여 유공압 실린더(250)의 피스톤(25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고정 회전롤러(243)를 미세 회전시킨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차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60)은 측정된 장력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가변 회전롤러(140) 및 모포 회전롤러(13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모포(110)의 장력이 작아지도록 피스톤(255)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솔레노이드 벨브를 적절히 조절한다. 이와는 반대로 측정된 장력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가변 회전롤러(140) 및 모포 회전롤 러(13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모포(110)의 장력이 커지도록 피스톤(255)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솔레노이드 벨브를 적절히 조절한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measured value is out of the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S430), the pneumatic
이와 같이, 유공압실린더 제어유닛(260)은 전자식 센서(231, 232)와의 신호교환을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유공압실린더(250)를 구동하지 않지만, 측정값이 기준값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공압실린더(250)의 피스톤(255)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모포(110)의 장력을 기준값에 일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As such, the pneumatic
한편, 위치제어롤러(180)가 이동하여 모포 회전롤러(130), 가변 회전롤러(140)가 이동할 때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포(1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포 장력 자동제어 장치는, 전자식 센서를 이용하여 장력을 측정하고 구동모터 또는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원하는 장력으로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기계식 장비에 비해 정확하고 신 속한 장력 제어가 가능하며, 운전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도 설정된 장력으로 자동으로 유지되어 최전의 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blanket tens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ension using an electronic sensor and automatically adjusts to a desired tension by a driving motor or a pneumatic cylinder, thereby making it more accurate and accurate than conventional mechanical equip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elonging tension, and the change in the driving environment is automatically maintained at the set tens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latest operating stat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697A KR100868723B1 (en) | 2006-08-14 | 2006-08-14 |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697A KR100868723B1 (en) | 2006-08-14 | 2006-08-14 |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5238A KR20080015238A (en) | 2008-02-19 |
KR100868723B1 true KR100868723B1 (en) | 2008-11-13 |
Family
ID=3938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6697A KR100868723B1 (en) | 2006-08-14 | 2006-08-14 |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872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86138B1 (en) * | 2017-09-19 | 2024-03-27 |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 Web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3125A (en) | 1979-08-28 | 1981-04-03 |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 Controller for action of accumulator in continuous treating line |
US4708301A (en) | 1985-08-27 | 1987-11-24 | Hiroshi Kataoka | Take-out/take-up tension control apparatus |
JPH03158352A (en) * | 1989-11-15 | 1991-07-08 | Kawasaki Steel Corp | Tension control method of strip in looper |
JPH06312821A (en) * | 1993-04-28 | 1994-11-08 | Yoshino Rubber Kogyo Kk | Hose type conveyor belt stretching device |
JP2003054799A (en) | 2001-08-09 | 2003-02-26 | Tokyo Kikai Seisakusho Ltd | Continuous form paper traveling tension control device for rotary press |
JP2003237925A (en) * | 2002-02-13 | 2003-08-27 | Ishikawajima Constr Mach Co | Take-up device of conveyor belt |
-
2006
- 2006-08-14 KR KR1020060076697A patent/KR10086872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3125A (en) | 1979-08-28 | 1981-04-03 |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 Controller for action of accumulator in continuous treating line |
US4708301A (en) | 1985-08-27 | 1987-11-24 | Hiroshi Kataoka | Take-out/take-up tension control apparatus |
JPH03158352A (en) * | 1989-11-15 | 1991-07-08 | Kawasaki Steel Corp | Tension control method of strip in looper |
JPH06312821A (en) * | 1993-04-28 | 1994-11-08 | Yoshino Rubber Kogyo Kk | Hose type conveyor belt stretching device |
JP2003054799A (en) | 2001-08-09 | 2003-02-26 | Tokyo Kikai Seisakusho Ltd | Continuous form paper traveling tension control device for rotary press |
JP2003237925A (en) * | 2002-02-13 | 2003-08-27 | Ishikawajima Constr Mach Co | Take-up device of conveyor bel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5238A (en) | 2008-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92466A (en) | Method for self-adjusting color and cut register control in rotary printing machines having a plurality of webs | |
CA2460726A1 (en) |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the torque transmitted by a friction clutch | |
US2008014898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ut register of a web-fed rotary press | |
JP447252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utting registration of a roll paper rotary printing press | |
CA2603384A1 (en) | Motorized roller tube system having dual-mode operation | |
KR100868723B1 (en) | Blanket tension automatic control device | |
JPH10339301A (en) | Control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ed pneumatic device and automatically controlled pneumatic device | |
WO2009031654A1 (en) | Drive control method, drive control apparatus, stage control method, stage control apparatus, exposure method, exposure apparatus and measuring apparatus | |
EP1136257A3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b tension | |
US8352048B2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mpensation of the hysteresis of pneumatically driven fittings | |
CN101603556A (en) | Operation method of electropneumatic valve | |
CN101024447A (en) | Deviation-correcting apparatus of roller-type binding machine conveyer belt | |
EP3394489B1 (en) | Apparatus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seating forces in rotary valves | |
US20100181360A1 (en) | Tension Control System for Deformable Nip Rollers | |
US20070084201A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pneumatic actuator | |
EP1826002A3 (en) | Printing press with web tension control | |
JP5445932B2 (en) | Valve control device and valve control method | |
CN115085095B (en) | Intelligent adjusting system for cable feeding process | |
US6439271B2 (en) | Jet loom and method for achieving substantially identical weaving cycle times | |
CN111736513B (en) | Sugarcane harvester roller anti-clogging electro-hydraulic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FI116785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rollers during operation in a dispensing station | |
GB2542549A (en) | A method of operating a tape drive | |
CN1914104B (en) | Signature transport device | |
JP2002302368A (en) |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 |
CN110316410B (en) | Device for adjusting tightening force of strapping machine strapping tape and air pressure adjus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050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925 Appeal identifier: 2008101004042 Request date: 20080501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2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8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6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